KR100510087B1 - 열교환 신발 - Google Patents

열교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087B1
KR100510087B1 KR10-2003-0054969A KR20030054969A KR100510087B1 KR 100510087 B1 KR100510087 B1 KR 100510087B1 KR 20030054969 A KR20030054969 A KR 20030054969A KR 100510087 B1 KR100510087 B1 KR 10051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vent
ventilation
heat exchang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244A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송쌍규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쌍규, 박성민 filed Critical 송쌍규
Priority to KR10-2003-005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0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크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창(10)과; 뒤꿈치 부분부터 앞꿈치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고, 통기실(21)의 측면으로 통기실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22)가 구성되며, 각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22)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22)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23)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밑창(30)과; 발바닥이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며,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통공된 격자 그릴로 구성되는 안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 신발 {Shoes Having Heat Exchanging System}
본 발명은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 기능에 의해 발냄새 제거, 무좀방지, 착용감 증진 효과 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착용자의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열교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기본형의 신발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밑창(1),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2), 및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고 유지하며 발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보호하는 외피(3)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밑창(1)은 지면에 접촉하는 특성상 내구성이 크고 보행시 발의 편의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탄력성도 가지고 있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외피(3)는 신발의 기능성에 따라 통기성이 있는 직물, 내구성이 큰 가죽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신발은, 발이 밀착된 신발을 신고 장시간 운동을 하거나 걸으면, 발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로 인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뜨거워지며 발에서 땀이 나게 되므로 답답함과 피로감을 빨리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땀과 먼지의 혼합에 의한 습기와 세균의 번식으로 악취는 물론 무좀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여 발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신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밑창(1), 안창(2) 및 외피(3) 이외에, 사람의 발이 밑창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통기성 등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기 기능을 부여하여 발냄새, 무좀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깔창과, 외피(3) 내부 표면에 접착 또는 봉제되어 구비되며 외피가 발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발바닥 이외의 발 부위의 열을 교환하고자 하는 기능성이 부여된 내피가 신발에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시도의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65420호에 보면, 여러 종류의 한약재와 톱밥, 빙초산, 크레오스오토, 에탄올 등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혼합물을 한지 및 면직물 재질의 내,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발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무좀억제, 세균 및 곰팡이 억제, 방부기능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한 시도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도는 흡착, 흡습 기능 등을 통해 탈취, 무좀방지 등의 효과를 획득함으로써 발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발생된 땀을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므로, 그 효과의 지속성에 한계가 있었다.
그밖에, 이와 같은 시도들중 가장 자주 사용되는 보편적인 것은 신발 밑창 부분에 외부와 연결되는 통기실 또는 통기로를 형성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습기를 외부공기와 교환하는 방법을 사용한 열교환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신발의 예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59506호에 보면, 내부통기로에 의해 연결된 다수개의 공실이 상면에 구성되고, 외부통기로를 통해 이 공실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통풍구멍이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밑창을 사용하는 열교환신발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1086호에 보면, 다수개의 돌기가 상면에 구성되고, 이 돌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통기시키기 위한 장방형의 공기순환구멍이 구성되어 있는 밑창을 사용하는 열교환신발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78189호에 보면, 상면에 통기로와 에어펌핑실 및 밸브체가 구성되고 이들이 구성된 내부 공간을 외부와 통기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후면에 구성되어 있는 밑창을 사용하는 열교환신발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열교환신발들은 열교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신발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교환신발들은 모두 두가지의 치명적인 약점들을 공통적으로 가지게 되었는데,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해야 한다는 특성상 개방되어 외부와 통하는 통기구를 필수구성요소로 하며 이렇게 통기구가 개방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 및 수분이 그대로 신발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는 단점과, 밑창 부분에 열교환되는 공기의 통로로 사용될 빈 공간인 통기실이 형성됨으로써 신발 사용시 발바닥 부분이 함몰될 염려가 있다는 단점이 바로 그것이었다.
물론, 전기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59506과 같이 통기구에 캡을 구비하거나, 고어텍스와 같은 통기성 방수부재로 통기구를 막아 공기는 통하게 하고 물의 유입은 방지하고자 한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물과 이물질의 유입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 대신 통기성이 너무 저조해지는 등의 또 다른 단점들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본래의 목적에 충실하지 못하게 되는 부작용을 낳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발바닥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통기실 대신 공기의 이동통로로서 복잡하고 작은 통기로 등을 구성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통로가 길고 복잡해짐으로써 역시 열교환신발 본래의 목적인 열교환 기능이 부실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밑창 부분에 넓게 형성된 통기실이 구성됨으로써 발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분을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쾌적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열교환신발의 장점은 그대로 가지면서도, 통기구를 통한 이물질 및 물의 신발 내 침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발바닥 부분이 함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열교환신발의 출현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밑창에 넓게 형성된 통기실이 구성됨으로써 발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분의 열교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구를 통하여 이물질 및 물이 신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 발바닥 부분이 함몰되는 것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크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창(10)과; 뒤꿈치 부분부터 앞꿈치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고, 통기실(21)의 측면으로 통기실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22)가 구성되며, 각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22)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22)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23)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밑창(30)과; 발바닥이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며,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통공된 격자 그릴로 구성되는 안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신발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구조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발냄새 제거, 무좀방지, 착용감 증진 효과 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열교환신발의 단점이었던 물/이물질의 침투, 발바닥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열교환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65402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73371호에서, 상부 표면으로 돌기가 구성된 하부창, 상부 표면에 돌기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통공된 중창, 및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상부창으로 구성되는 열교환장치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발들이 그 열교환 효과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지고 있던 물/이물질의 침투, 발바닥의 함몰 등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2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하부창(10)과 상부창(20)으로 나누어 구성되며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는 열교환구조가 형성된 밑창(30)과,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열교환시 외부공기가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발바닥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 안창(4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50)로 구성된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상기 밑창(30)은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하부창(10)과, 개방된 통기실(21)과 통기구(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바닥에서 발생한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창(10)은 지면에 접촉하는 특성상 내구성이 크고 보행시 발의 편의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탄력성도 가지고 있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소정 두께의 신발 밑창모양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상부창(20)에는 뒤꿈치 부분부터 앞꿈치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고, 통기실(21)의 측면으로 통기실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22)가 구성되며, 각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22)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22)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23)가 구성된다.
상기 방수부재(23)의 재료는 망의 구멍에 물의 막을 형성시킬 수 있을 만큼 물의 표면장력을 크게 해줄 수 있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물질로는 금속, 유리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금속이 사용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방수부재(23)로는, 직경 0.5mm 이하의 얇은 금속사로 직조된 망이나 직경 0.5mm 이하의 얇은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제조한 망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사로 직조된 망의 경우, 그 구멍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0.01-0.5mm의 범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얇은 금속판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망의 경우, 그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이 0.01-0.5mm의 범위를 가져야 한다.
사실, 운동화, 등산화 등에 주로 사용되는 열교환신발에서 요구되는 방수 정도는 완전한 밀폐형 방수가 아닌 간헐적인 습기와의 접촉시 이를 어느 정도 막아줄 수 있는 이른바 생활방수 수준 정도의 방수성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수부재(23)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성 기능을 획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성은 물이 표면장력이 크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획득한 것으로서, 친수성 물질로 구멍의 크기가 미세한 망을 조성하게 되면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망의 구멍이 물로 막혀 막이 형성되고 이것이 오히려 더 이상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게 된다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러한 정도, 즉,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성은 열교환신발의 통기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정도의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창(40)은 상기 상부창(20)에 빈 공간인 통기실(21)이 구성됨으로 인해 발바닥이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며,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격자 그릴 모양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창(40)은 그 통공의 존재로 인하여 상부창의 통기실(21)과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에서 발생하는 땀 및 습기의 교환을 활발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경질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일반 깔창 등의 사용시 염려되는 발바닥이 밑창 부분으로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열교환신발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상부창(20)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부창(20)을 하부창(10)의 상부에 접착하여 적층하고, 상부창(20)의 상면에 외피(5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적층한 후, 외피(50) 내부의 발바닥을 이루는 부분에 안창(40)을 접착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열교환신발은 상부창(20) 통기구(22)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기실(21) 및 안창(40) 격자 그릴 상의 구멍을 거쳐 신발 내부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외부 공기는 발에서 발생한 열 및 땀을 교환한 후 안창(40)의 격자 그릴 상의 구멍을 통해 상부창 통기실(21)을 거쳐 통기구(22)로 배출됨으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때, 외부 공기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물은 상부창(20) 통기구(22) 내부측 입구에 구비된 방수부재(23)에 의해 차단되는데, 특히 물의 경우 침투한 물의 수압이나 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못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방수부재(23)에 부착되어 수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수막은 오히려 다음에 침투하는 습기를 막아주는 장벽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3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열교환신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상기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창(60)과 상부창(70)으로 나누어 구성되며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는 열교환구조가 형성된 밑창(80)과,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열교환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안창(9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상기 밑창(80)은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하부창(60)과, 개방된 통기실(71)(72)과 통기구(73), 통기실지지부재(7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바닥에서 발생한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창(60)은 지면에 접촉하는 특성상 내구성이 크고 보행시 발의 편의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탄력성도 가지고 있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소정 두께의 신발 밑창모양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상부창(70)에는 뒤꿈치 부분과 앞꿈치 부분에 각각 일정한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통기실(71)과 제2통기실(72)이 구성되고, 각 통기실(71)(72)의 측면으로 각 통기실(71)(72)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73)가 구성되며, 각 통기실(71)(72)의 내부에는 통기실(71)(72)이 빈 공간으로 구성됨으로써 신발 사용시 발바닥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통기실지지부재(74)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각 통기구(73)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73)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73)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75)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실지지부재(74)는, 빈 공간인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었던 제1실시예에서 발바닥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창(40)이 하던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뒤꿈치 부분과 앞꿈치 부분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제1통기실(71)과 제2통기실(72)에 각각 1개씩 2개의 통기실지지부재(74)가, 각각의 통기실(71)(72)에 삽입하여 구성하기 적당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된다.
발바닥을 지지하여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통기실지지부재(7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바닥을 통하여 전해지는 무게와 힘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통기실(71)(72)의 통기작용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편평한 판재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대(742)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741)의 지지대(742)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격자 그릴 형태의 통기부재(743)를 접착하여 부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각각의 통기실(71)(72)에 삽입되는 통기실지지부재(74)는 발바닥을 지지하여 함몰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통기실(71)(72)을 지나 발바닥 또는 외부로 전달되는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방수부재(7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직경 0.5mm 이하의 얇은 금속사로 직조된 망이나 직경 0.5mm 이하의 얇은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제조한 망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사로 직조된 망의 경우, 그 구멍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0.01-0.5mm의 범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얇은 금속판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망의 경우, 그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이 0.01-0.5mm의 범위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방수부재(75)는 각각의 통기구(73)의 내부측 입구에 구비됨으로써, 열교환신발의 통기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정도의 물의 침투는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방수성 즉, 생활방수 수준의 방수성을 신발에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창(9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일정 간격 통공된 격자 그릴 모양으로 제조되나, 제1실시예에서 안창(40)이 하던 역할을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실지지부재(74)가 하기 때문에 경질의 재질로 구성될 필요성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창(90)은 그 통공의 존재로 인하여 상부창의 통기실(71)(72)과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진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에서 발생하는 땀 및 습기의 교환을 활발하게 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열교환신발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각 통기구(73)의 내부측 입구를 덮어 밀봉하고 각 통기실(71)(72)에 통기실지지부재(74)를 삽입함으로써 상부창(70)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부창(70)을 하부창(60)의 상부에 접착하여 적층하고, 상부창(70)의 상면에 외피(10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적층한 후, 외피(100) 내부의 발바닥을 이루는 부분에 안창(90)을 접착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열교환신발은 상부창(70) 통기구(73)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기실(71)(72)에 삽입된 통기실지지부재(74) 및 안창(90) 격자 그릴 상의 구멍을 거쳐 신발 내부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외부 공기는 발에서 발생한 열 및 땀을 교환한 후 안창(90)의 격자 그릴 상의 구멍을 통해 다시 상부창 통기실(71)(72)에 삽입된 통기실지지부재(74)를 거쳐 통기구(73)로 배출됨으로써 기능하게 된다.
이때, 외부 공기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습기는 상부창(70) 통기구(73) 내부측 입구에 구비된 방수부재(75)에 의해 차단되는데, 특히 습기의 경우 침투한 습기의 수압이나 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못하면 표면장력에 의해 방수부재(75)에 부착되어 수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수막은 오히려 다음에 침투하는 습기를 막아주는 장벽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크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창(10)과; 뒤꿈치 부분부터 앞꿈치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고, 통기실(21)의 측면으로 통기실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22)가 구성되며, 각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22)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22)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23)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밑창(30)과; 발바닥이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며,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통공된 격자 그릴로 구성되는 안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신발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밑창에 넓게 형성된 통기실이 구성됨으로써 발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분의 열교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구를 통하여 이물질 및 물이 신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 발바닥 부분이 함몰되는 것까지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신발이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하부창 20, 70: 상부창
30, 80: 밑창 40, 90: 안창
50, 100: 외피 21: 통기실
22, 73: 통기구 23, 73: 방수부재
71: 제1통기실 72: 제2통기실
74: 통기실지지부재 741: 지지부재
742: 지지대 743: 통기부재

Claims (2)

  1.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는 열교환구조가 형성된 밑창(30),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열교환을 위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창(4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신발에 있어서,
    밑창(30)은,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크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창(10)과; 뒤꿈치 부분부터 앞꿈치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1개의 통기실(21)이 구성되고, 통기실(21)의 측면으로 통기실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22)가 구성되며, 각 통기구(22)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22)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22)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23)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2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여기서 방수부재(23)는, 직경 0.5mm 이하의 금속사로 직조된 망으로서 그 구멍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0.01-0.5mm의 범위인 망과, 직경 0.5mm 이하의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제조한 망으로서 그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이 0.01-0.5mm의 범위인 망중 어느 하나이며,
    안창(40)은, 발바닥이 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제조되며,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통공된 격자 그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신발.
  2.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는 열교환구조가 형성된 밑창(80),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열교환을 위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창(9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신발에 있어서,
    밑창(80)은, 보행시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크고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창(60)과; 뒤꿈치 부분과 앞꿈치 부분에 각각 소정 크기 및 모양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통기실(71)과 제2통기실(72)이 구성되고, 각 통기실(71)(72)의 측면으로 각 통기실(71)(72)을 외부와 통하게 하기 위한 통기구(73)가 구성되며, 각 통기실(71)(72)의 내부에는 신발 사용시 발바닥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편평한 판재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대(742)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741)의 지지대(742)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격자 그릴 형태의 통기부재(743)를 접착하여 부착함으로써 구성되는 통기실지지부재(74)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각 통기구(73)의 내부측 입구에는 통기구(73)를 덮어 밀봉함으로써 통기구(73)를 통하여 이물질 또는 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표면장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된 망으로 이루어지는 방수부재(75)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에서 발생한 열 및 땀을 교환해주는 열교환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탄성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시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상부창(70)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여기서 방수부재(75)는, 직경 0.5mm 이하의 금속사로 직조된 망으로서 그 구멍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0.01-0.5mm의 범위인 망과, 직경 0.5mm 이하의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제조한 망으로서 그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이 0.01-0.5mm의 범위인 망중 어느 하나이며,
    안창(90)은, 발과 통기실(21)간의 통기를 위하여 통공된 격자 그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신발.
KR10-2003-0054969A 2003-08-08 2003-08-08 열교환 신발 KR10051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69A KR100510087B1 (ko) 2003-08-08 2003-08-08 열교환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69A KR100510087B1 (ko) 2003-08-08 2003-08-08 열교환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36U Division KR200318279Y1 (ko) 2003-04-04 2003-04-04 열교환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44A KR20040087244A (ko) 2004-10-13
KR100510087B1 true KR100510087B1 (ko) 2005-08-24

Family

ID=3736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969A KR100510087B1 (ko) 2003-08-08 2003-08-08 열교환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108B1 (ko) * 2012-08-20 2014-12-15 최유달 테두리압착밴드를 형합(분리,조립)할 수 있는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44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5126C (en) Ventilated footwear
EP1201143B1 (en) Breathable and waterproof sole for shoes
EP0910964B1 (en) Vapor permeable shoe with improved transpiration action
KR101815522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US20120266494A1 (en)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JP3474468B2 (ja) 靴底用通気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通気靴
KR101737910B1 (ko)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0510087B1 (ko) 열교환 신발
KR200318279Y1 (ko) 열교환 신발
US8713816B2 (en) Ventilating shoe
KR100807642B1 (ko) 신발 중창 및 그 제조방법
EP1749455B1 (en)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KR100564792B1 (ko)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KR200313804Y1 (ko) 열교환신발용 지지구
KR200248603Y1 (ko)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0564790B1 (ko)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KR200343132Y1 (ko) 통풍공을 갖는 신발구조
EP2514330B1 (en) A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CN215381845U (zh) 一种吸湿透气鞋面
KR20030017383A (ko) 열교환 신발
KR200412709Y1 (ko) 통풍구를 가지는 슬리퍼
KR200265381Y1 (ko) 신발의 열교환장치
KR200372168Y1 (ko) 다기능 신발 깔창
KR20010100174A (ko) 신발의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