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094A -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094A
KR20030017094A KR1020010051222A KR20010051222A KR20030017094A KR 20030017094 A KR20030017094 A KR 20030017094A KR 1020010051222 A KR1020010051222 A KR 1020010051222A KR 20010051222 A KR20010051222 A KR 20010051222A KR 20030017094 A KR20030017094 A KR 2003001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llet
connector
main bod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353B1 (ko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10-2001-005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3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을 시공할 때 수도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결된 수도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관(2)의 연결부위인 양측에 대칭되게 오링 삽입홈(6)이 형성되고 오링 삽입홈의 입구측에는 단턱(7)이 각각 형성된 본체(1)와, 상기 각 오링 삽입홈에 끼워져 수도관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단턱에 접속되어 수도관을 지지하는 콜렛(4)과, 상기 콜렛의 일측면에 접속되게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콜렛을 지지하는 고정부재(8)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도관의 지지상태를 콜렛으로 부터 해제시키는 푸셔(5)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omitted}
본 발명은 수도관을 시공할 때 수도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결된 수도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의 수도관은 생산되는 과정에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먼 거리를 시공할 경우에는 여러개의 수도관을 연결하여야 되는데, 이 때 연결부위에 사용되는 부품이 컨넥터(connector)이다.
상기한 컨넥터는 수도관의 외경이 삽입되도록 내경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도관의 외주면 또는 컨넥터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수도관의 연결부위에 컨넥터를 삽입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를 갖는 컨넥터는 수도관의 시공과정에서 수도관의 길이가 달라 컨넥터로부터 연결되었던 수도관을 분리시키고자 하더라도 이미 이들의 연결부위가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어 수도관을 분리시키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수도관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수도관 및 컨넥터의 길이가 불변이어서 기후 변화 또는 지반 침하 등에 의해 합성수지제의 수도관이나, 컨넥터의 길이가 가변될 경우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공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컨넥터에 수도관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수도관의 연결부위인양측에 대칭되게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오링 삽입홈의 입구측에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각 오링 삽입홈에 끼워져 수도관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단턱에 접속되어 수도관을 지지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의 일측면에 접속되게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콜렛을 지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도관의 지지상태를 콜렛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푸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에 수도관이 연결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체내에 결합된 수도관을 지지하고 있던 콜렛을 푸셔의 누름동작으로 확장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수도관
3 : 오링 4 : 콜렛
5 : 푸셔 5a, 8a : 공구 삽입홈
6 : 오링 삽입홈 7 : 단턱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도관연결용 컨넥터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에 수도관이 연결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수도관(2)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과, 상기 본체내에 고정 설치되어 수도관을 지지하는 콜렛(4)과, 상기 본체의 입구측에 나사 결합되어 수도관(2)의 지지상태를 콜렛(4)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푸셔(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에는 양측에 대칭되게 오링 삽입홈(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링 삽입홈의 입구측에는 단턱(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오링 삽입홈에는 수도관(2)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이 끼워져 있다.
상기 본체(1)에 형성된 단턱(7)에 접속되어 수도관(2)을 지지하는 콜렛(4)은 수도관(2)의 삽입방향을 따라 내향 절곡된 절곡편(4a)이 절결부(4b)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각 절곡편에는 수도관(2)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어 수도관을 물어주는 금속재질의 지지편(4c)이 인써트되어 있다.
상기 본체(1)에 형성된 단턱(7)에 접속되어 수도관(2)을 물어주는 콜렛(4)은 본체(1)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일정 간격(S)이 유지되게 본체(1)에 나사 결합되어 수도관의 지지상태를 콜렛(4)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푸셔(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8)와 푸셔(5)의 일측면에는 공구 삽입홈(5a)(8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콜렛(4)의 지지 또는 수도관(2)의 물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고정부재(8) 또는 콜렛(4)을 회전시킬 때 지그(Jig)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양측에 형성된 오링 삽입홈(6)내에 오링(3)을 각각 삽입한 다음 상기 오링 삽입홈의 일측에 위치하는 단턱(7)상에 콜렛(4)을 위치시킨 후 본체(1)의 양측에서 고정부재(8)를 나사 결합하여 콜렛(4)을 단턱(7)상에 긴밀히 접속시키는데, 상기 고정부재(8)의 나사 결합은 별도의 공구를 공구 삽입홈(8a)내에 끼워 회전시키게 되므로 고정부재(8)의 체결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 본체(1)의 양측으로부터 콜렛(4)을 끼운 다음 고정부재(8)로 콜렛을 지지하고 나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푸셔(5)를 각각 나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푸셔(5)는 고정부재(8)와 일정 간격(S)이 유지되게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내에 오링(3)과 콜렛(4) 그리고 푸셔(5)를 차례로 조립한 상태에서 푸셔(5)의 내부로 수도관(2)을 밀어 넣으면 수도관의 삽입력에 의해 콜렛(4)의 절곡부(4a)가 절결부(4b)에 의해 수도관의 삽입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수도관(2)이 삽입되므로 상기 수도관은 콜렛(4)에 인써트된 금속재질의 지지편(4c)에 의해 삽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내에 삽입되는 수도관(2)의 외주면은 오링(3)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 수도관(2)을 삽입하였으나, 수도관의 길이가 길어 본체(1)로부터 수도관(2)을 분리시켜야 될 경우에는 본체(1)에 나사 결합되어있던 푸셔(5)의 공구 삽입홈(5a)내에 공구를 끼워 푸셔를 회전시키면 수도관(2)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즉, 작업자가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된 푸셔(5)를 회전시켜 푸셔(5)의 선단이 콜렛(4)을 본체(1)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절결부(4b)에 의해 절곡편(4a)들이 내측으로 벌어져 지지편(4c)이 수도관(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수도관(2)을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수도관(2)의 길이를 재조절한 다음 본체(1)내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관의 연결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수도관을 컨넥터에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수도관의 시공작업이 편리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수도관의 시공과정에서 절단된 수도관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더라도 컨넥터로부터 수도관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길이를 조절한 다음 재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음은 물론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2)

  1. 수도관의 연결부위인 양측에 대칭되게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오링 삽입홈의 입구측에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각 오링 삽입홈에 끼워져 수도관의 외주면에 긴밀히 접속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단턱에 접속되어 수도관을 지지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의 일측면에 접속되게 본체에 나사결합되어 콜렛을 지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도관의 지지상태를 콜렛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푸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푸셔의 일측면에 공구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10-2001-0051222A 2001-08-23 2001-08-23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10044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222A KR100444353B1 (ko) 2001-08-23 2001-08-23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222A KR100444353B1 (ko) 2001-08-23 2001-08-23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094A true KR20030017094A (ko) 2003-03-03
KR100444353B1 KR100444353B1 (ko) 2004-08-16

Family

ID=2772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222A KR100444353B1 (ko) 2001-08-23 2001-08-23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64B1 (ko) * 2008-01-18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90A (ja) * 1988-06-24 1990-01-12 Junkosha Co Ltd 管継手
KR200157151Y1 (ko) * 1996-12-31 1999-09-15 노천래 냉.온 정수기 및 공압용 공급관의 연결구
JPH1122875A (ja) * 1997-07-03 1999-01-26 Hayakawa Valve Seisakusho:Kk 流体管のための差込式管継手、及びその管支持筒の取付方法
KR200184274Y1 (ko) * 2000-01-05 2000-06-01 박태열 합성수지배관용 이음쇠
KR100421693B1 (ko) * 2001-05-23 2004-03-18 이중호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64B1 (ko) * 2008-01-18 2010-06-14 신기산업 주식회사 배관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353B1 (ko)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US5131691A (en) Snap-fit connector for connecting slender piping members at end portions
US5160175A (en) Quick pipe coupling with inflatable seal and pin retainer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US6575500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BE902098A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douilles a ressorts de contact
EP1366318B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KR20090069120A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0444353B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US5120092A (en) Apparatus to provide a threaded coupling for a broken pipe
CA2272016A1 (en) Conduit
KR200251599Y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KR100421693B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JPH0338549Y2 (ko)
KR200245145Y1 (ko) 수도관 연결용 컨넥터
JP2003176895A (ja) ヘッダー及びその固定構造
KR0134887Y1 (ko) 관이음쇠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200194963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KR200385731Y1 (ko) 관체 접속구조
KR200309127Y1 (ko) 파이프의 연결구 조립체
JP2009293687A (ja) ガスコックの取付構造
KR200157151Y1 (ko) 냉.온 정수기 및 공압용 공급관의 연결구
EP1055858A3 (de) Muffenverbindung und Klemmvorrichtung für eine Muffenverbi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