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584A -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584A
KR20030015584A KR1020010049374A KR20010049374A KR20030015584A KR 20030015584 A KR20030015584 A KR 20030015584A KR 1020010049374 A KR1020010049374 A KR 1020010049374A KR 20010049374 A KR20010049374 A KR 20010049374A KR 20030015584 A KR20030015584 A KR 2003001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unit
level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584A/ko
Publication of KR2003001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using auxiliary connections for control or supervision, e.g. w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is a signalling system number 7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09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for lines also used for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라인 스위칭하여 안정적인 시그널링이 이루어지도록 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신 신호망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는 신호 교환기와 E1으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라인 스위칭하도록 연결시키는 E1 정합부와; 상기 E1 정합부의 프레머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를 추출하여 동기화하는 채널 스위치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와 E1 라인과의 연결 정보를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셋팅하는 프로세서 제어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 제어부의 연결 정보에 따라 소정의 E1 정합부의 프레머에 연결되는 넘버 세븐 레벨2 칩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타 서브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System of Matching NO.7 Signalling Block in Dat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라인 스위칭하여 안정적인 시그널링이 이루어지도록 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신 신호망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2 신호 방식은 전자식 교환기 상호간에 사용하는 신호 방식으로, 직류 루프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의 감시 신호가 있다.
이 중에서, 해당 직류 루프 방식은 시내 교환 구간이나 실선 접속 구간에 적용되며, 루프의 단속 또는 극성반전에 의하여 전달된다.
해당 아날로그 방식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4 선식 아날로그 반송회선에 적용한다. 주로, 3,825 Hz를 사용하여 주파수 송출 및 중단의 2 가지 상태로 신호를 전송한다.
해당 디지털 방식은 디지털 전송 구간에 적용한다.
전술한 감시 신호에 따른 선택 신호는 전방향 주파수 6개와, 후방향 주파수 6개를 사용하며, 각각 2개의 주파수 조합에 의해 15개의 전방향 신호와 15개의 후방향 신호로 구성된다.
해당 전방향 신호는 15개의 각 주파수 조합에 복수의 의미를 부여하여 군I, 군II로 구성한다.
해당 후방향 신호는 15개의 각 주파수 조합에 복수의 의미를 부여하여 군A,군B로 구성한다.
R2 신호 방식에서의 신호 교환은 전방향, 후방향 신호 확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길어진다.
종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신호 방식은 위와 같이 전술한 R2 방식을 사용하였고, 그에 따라 시그널 전송 시간 및 접속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 채널 안에 시그널 정보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시그널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정합 블록은 존재하지 않고, 각 블록 내에서 시그널 처리가 이루어졌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구성하여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호 접속 속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그널링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E1 정합부의 프레머와 넘버 세븐 레벨2 칩을 순서대로 1대 1로 매칭하는 것이 아니라, E1 라인의 채널을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연결해서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도1은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첨가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도시한 도.
도3은 도2의 채널 스위치부 및 넘버 세븐 레벨2 칩의 연결과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E1 정합부
20 : 채널 스위치부
30 : 프로세서 제어부
40 : 넘버 세븐 레벨2 칩
50 : 랜 인터페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는 신호 교환기와 E1으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라인 스위칭하도록 연결시키는 E1 정합부와; 상기 E1 정합부의 프레머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를 추출하여 동기화하는 채널 스위치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와 E1 라인과의 연결 정보를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셋팅하는 프로세서 제어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 제어부의 연결 정보에 따라 소정의 E1 정합부의 프레머에 연결되는 넘버 세븐 레벨2 칩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타 서브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구성한다.
해당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장치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호 접속, 제어, 해제, 착신번, 발신번 등의 시그널링은 넘버 세븐(NO.7) 신호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넘버 세븐 신호 방식이란, 통화회선과 별도로 신호링크를 사용하므로써, 신호처리 속도가 빠르고 신호 내용을 데이터화하여 많은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전화, ISDN, 회선교환, 데이터 전송 등 전기통신 서비스에 대한 호 제어 및 신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ISDN의 전제 조건으로 실현해야 할 신호방식이다.
또한, 넘버 세븐 신호 방식은 에러 검출 및 수정 기능에 의해 손실 없이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방식이고,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의 시그널링 유니트로 만들어 전송하며, 시그널링 유니트의 길이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가변적인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넘버 세븐 신호 방식을 적용하는 해당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1 정합부(10)와, 채널 스위치부(20)와, 프로세서 제어부(30)와, 넘버 세븐 레벨2 칩(40)와, 랜 인터페이스(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E1 정합부(10)는 신호 교환기와 E1으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채널 스위치부(20)를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E1은 디지털 신호를 초당 2.048 메가비트(Mbps) 전송 속도로 케이블을 통해 E1 정합부(10)의 프레머(framer)로 전송된다.
해당 채널 스위치부(20)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1 정합부(10)의 프레머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와 클록을 추출하여, 이를 동기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신호 교환기로부터 E1 정합부(10)의 프레머로 시그널링 데이터가 교환되게 되는데, 이때, 32개의 E1 채널 중 어떤 채널을 사용할 것인지를 미리 정의하게 된다.
넘버 세븐 신호 방식에서는 1개의 신호 링크는 E1의 32 채널 중에 1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따라서, E1 라인으로 여러 개의 신호 링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1 채널에 해당하는 마스킹 클록(Masking Clock : MCLOCK)을 넘버 세븐 레벨2 칩(40)에 공급해야 하는데 이는 클록을 마스킹(Masking)시켜서 원하는 채널 부분만 통과시켜서 64Kbps의 마스킹 클록을 공급하게 된다.
해당 프로세서 제어부(30)는 채널 스위치부(20)와 E1 라인과의 연결 정보를 칩 셀렉트(Chip Select)와 데이터(0~7)를 통해 넘버 세븐 레벨2 칩(40)에 셋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부(30)는 넘버 세븐 레벨2 칩(40)을 통해 넘버 세븐 상위 프로토콜을 처리하여 이를 랜 인터페이스(50)를 통해 타 서브 시스템과 통신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당 넘버 세븐 레벨2 칩(40)은 채널 스위치부(20)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 제어부(30)의 연결 정보에 따라 소정의 E1 정합부(10)의 프레머에 연결된다.
해당 랜 인터페이스(50)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타 서브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E1 정합부(10)와 넘버 세븐 레벨2 칩(40)은 순서대로 1대 1로 매칭하는 것이 아니라, E1 라인의 채널을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40)에 연결해서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연결이 가능해져서 효율이 좋게 할 수 있다.
서비스 중인 E1 정합부(10)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즉시 프로세서 제어부(30)로 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E1 정합부의 채널을 이용하여 넘버 세븐 링크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E1 라인에 에러가 발생하여 사용할 수 없을 때 다른 E1 라인을 통하여 넘버 세븐 링크를 구성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공통선 신호망 정합 블록을 구성하여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호 접속 속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그널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E1 정합부와 넘버 세븐 레벨2 칩을 순서대로 1대 1로 매칭하는 것이 아니라, E1 라인의 채널을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연결해서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연결이 가능해져서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고속 전송, 신호 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신호 교환기와 E1으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라인 스위칭하도록 연결시키는 E1 정합부와;
    상기 E1 정합부의 프레머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를 추출하여 동기화하는 채널 스위치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와 E1 라인과의 연결 정보를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셋팅하는 프로세서 제어부와;
    상기 채널 스위치부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로세서 제어부의 연결 정보에 따라 소정의 E1 정합부의 프레머에 연결되는 넘버 세븐 레벨2 칩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타 서브 시스템 상호간에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치부는 1채널에 해당하는 마스킹 클록을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공급할 경우, 클록을 마스킹시키서 원하는 채널 부분만 통과시켜 마스킹 클록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치부는 E1 라인의 채널을 각각의 넘버 세븐 레벨2 칩에 연결해서 링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KR1020010049374A 2001-08-16 2001-08-16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KR20030015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74A KR20030015584A (ko) 2001-08-16 2001-08-16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374A KR20030015584A (ko) 2001-08-16 2001-08-16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84A true KR20030015584A (ko) 2003-02-25

Family

ID=2771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374A KR20030015584A (ko) 2001-08-16 2001-08-16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5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2693A1 (fr) * 2005-08-26 2007-03-01 Zte Corporation Interface e1 avec circuit de compatibilite electromagnet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2693A1 (fr) * 2005-08-26 2007-03-01 Zte Corporation Interface e1 avec circuit de compatibilite electromagnet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130B1 (ko) 교환장치
KR920004129B1 (ko) 교환장치 및 이 장치내에서의 통신로 설정방법
US4587651A (en) Distributed variable bandwidth switch for voice, data, and image communications
EP0245077A2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mmon local path medium and local time slot for intraoffice calls
US455844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ed remote switching modules
KR920005224B1 (ko) 교환장치 및 통신로 설정방법
US6781985B1 (en) Time-division multiplexer
US200602747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trol services link for a multi-shelf node in a communication switch
KR20030015584A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공통선 신호망 정합 장치
JPS6059841A (ja) 通信速度可変端末
KR100244777B1 (ko) 무선 가입자 망에 대한 버전5.2 프로토콜의 적용 방법
KR100217347B1 (ko)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KR940006745B1 (ko) 디지탈 간이 교환시스템
FI96653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iirin 109 ohjaamiseksi digitaalisessa monipisteverkossa
KR100301581B1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내 브이5 정합장치
KR100850111B1 (ko) 키폰 시스템의 브이오아이피 처리장치
KR20000002926U (ko) 사설 교환기와 기지국 간의 동기화 장치
CN102185990B (zh) 一种主从式数字共线通信系统及通信方法
KR100315688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의 채널정합방법
CA2222622A1 (en) 4-vf line multiplexer
JPH06133028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回線混在収容システム
EP0243291A2 (en) Improvements in a new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possibility of connection to public or private networks
JPH01215138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30054369A (ko) 아이에스디엔 비알아이 유점의 트렁크 및 가입자 접속제어 장치
EP0840968A1 (en) Implementation of a fault-tolerant b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