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448A -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448A
KR20030015448A KR1020010048956A KR20010048956A KR20030015448A KR 20030015448 A KR20030015448 A KR 20030015448A KR 1020010048956 A KR1020010048956 A KR 1020010048956A KR 20010048956 A KR20010048956 A KR 20010048956A KR 20030015448 A KR20030015448 A KR 2003001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detection
unit
wireless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신
Original Assignee
(주)씨큐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큐텔레콤 filed Critical (주)씨큐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4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448A/ko
Publication of KR2003001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무실 및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전력선 통신(Power Line), 전화라인 및 리피터(Repeater)를 통한 단독적 운영과 여러 가입자들 끼리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하여, 보안 감시상황을 유무선으로 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교환망에 접속되어 전화라인을 통해 보안감시 상황 요청 및 통보받는 보안요청부와; 상기 보안요청부의 보안감지 요청에 의해 해당되는 센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상황을 상기 보안요청부로 통보하는 다수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보안상황 및 응급상황이 감지되면, 파워라인을 통해 전송된 보안감지 상황을 저장 및 대응하는 보안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An Integration Cable-Wireless Secure Device And Sec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실 및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전력선 통신(Power Line), 전화라인 및 리피터(Repeater)를 통한 단독적 운영과 여러 가입자들 끼리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하여, 보안 감시상황을 유무선으로 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안시스템은 첫째, 전문보안시스템 용역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방식으로 각종 센서(Sensor)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중앙 감지 수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다시 전송부에서 전용회선을 통해 관제실로 통보하여 보안용역업체 근무요원이 출동하도록 하는 보안방식이다.
둘째로, 센서(Sensor)와 제어장치로 구성된 개별보안장치로서 필요시 전화기와 연결하여 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장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안시스템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보안 용역업체에 의한 방식일 경우 지속적으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개별 보안장치의 경우 단순한 1가지 센서(Sensor)에 의한 감지기능을 갖는 보안장치로서 필요시 기존에 사용중인 전화기에 강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계로 상호 매칭(Matching)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보안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한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보안시스템에서는 오동작을 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도 특별히 이를 알릴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실 및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서, 전력선 통신(Power Line), 전화라인 및 리피터(Repeater)를 통한 단독적 운영과 여러 가입자들 끼리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하여, 보안 감시상황을 유무선으로 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교환망(220)에 접속되어 전화라인(240)을 통해 보안감시 상황 요청 및 통보받는 보안요청부(200)와; 상기 보안요청부(200)의 보안감지 요청에 의해 해당되는 센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상황을 상기 보안요청부(200)로 통보하는 다수의 감지부(300)와;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보안상황 및 응급상황이 감지되면, 파워라인(320)을 통해 전송된 보안감지 상황을 저장 및 대응하는 보안처리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보안처리부(100)와 상기 감지부(300)에 접속되며 기기간 무선신호로 중계 및 운영하는 제 1 홈베이스(340)와; 상기 제 1홈베이스(340) 및 리모컨(2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360)과; 상기 제 1 홈베이스(340)가 설치된 사무실 및 가정내의 침입자 감지, 화재 발생감지 및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80)는, 가정내의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 감지센서(380a)와;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감지센서(380b)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센서(380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안요청부(200)는 휴대폰(260)을 통한 상기 교환망(220)의 무선접속 및/또는 전화(280)를 통해 교환망(220)에 유선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상기 파워라인(320)을 통해 상기 감지부(300)에 접속되어 보안감지를 중계 및 운영하는 제 2 홈베이스(120)와; 상기 제 2 홈베이스(120)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부(300)의 감지상황에 대응 및 보안감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상기 제 1 홈베이스(340)와 다른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제 1 홈베이스(340) 및/또는 제 2 홈베이스(120) 끼리 상호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리피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된 비상 상황시,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비상통보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합 유무선 보안방법에 있어서, 비상통보처 전화번호 및 비상통보 메시지, 비밀번호 및 일반 기능정보를 설정받아 감지부(300) 및 보안처리부(1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0)와; 사용자의 동작 설정을 받은 감지부(300)에 의해 침입자,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도어개폐의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감지단계(S20)와; 감지사항 발생을 확인한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홈베이스(340)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비상통보 및 경보음 발생을 수행하는 수행단계(S30)와; 사용자의 전화연결을 통한 보안요청 및 비상통보를 받는 수신자의 요청에 의해 감지상황을 제공하는 제공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리모컨 100: 보안처리부
120: 제 2 홈베이스 140: 컨트롤부
200: 보안요청부 220: 교환망
240: 전화라인 260: 휴대폰
280: 전화 300: 감지부
320: 파워라인 340: 제 1 홈베이스
360: 도어락 380: 센서부
380a: 가스누출 감지센서 380b: 화재발생 감지센서
380c: 침입자 감지센서 400: 리피터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하고, 파워라인(320), 전화라인(240) 및 리피터(400)를 통한 단독적 운영과 여러 가입자들 끼리 연결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라인(320)은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Power Line)을말하며, 상기 본 발명은 크게 보안처리부(100), 보안요청부(200), 감지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침입자 감지, 화재발생 감지 및 가스누출 감지, 도어(Door)개폐의 보안감지를 수행시키며, 감지상황이나 응급상황 발생시 대응 및 보안감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통계자료를 작성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라인(320)을 통해 상기 감지부(300)와 접속되는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보안감지 상황을 중계하는 제 2 홈베이스(120)와, 상기 제 2 홈베이스(120)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부(300)의 보안감지를 대응 및 보안상황을 저장하는 컨트롤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보안요청부(200)는 사용자가 교환망(220)에 유무선으로 접속하여 전화라인(240)을 통해 상기 감지부(300)의 제 1 홈베이스(340)에 보안감시 상황을 요청 및 통보받는다. 이때, 상기 보안요청부(200)는 휴대폰(260)을 통한 상기 교환망(220)의 무선접속 및/또는 전화(280)를 통한 교환망(220)에 유선접속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보안요청부(200)로부터 보안감지 요청을 전달받아, 해당되는 감지기능의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상황 발생시 파워라인(320)을 통해 상기 보안처리부(100)로 통보하여 저장된다.
또한, 상기 보안요청부(200)에서 감지상황을 필요로 할 경우, 상기 감지부(300)의 제 1 홈베이스(340)가 전화라인(240)을 통해 교환망(22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휴대폰(260) 및 전화(280)를 통해 감지상황을 통보받는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홈베이스(340), 도어락(360), 센서부(38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상기 보안처리부(100)에 접속되어 기기간 무선신호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며, 상기 도어락(360)은 제 1 홈베이스(340) 및 리모컨(2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Door)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80)는 상기 제 1 홈베이스(340)가 설치된 사무실 및 가정내의 침입자 감지, 화재 발생감지 및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가정내의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 감지센서(380a)와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감지센서(380b) 및 적외선을 통한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센서(380c)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380)는 가정내에 설치하여 화재, 가스, 침입, 파손, 무게, 개폐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홈베이스(340)의 요청에 따라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통보받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380)를 통해 비상상황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유무선으로 비상통보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사용자가 저장시킨 대처정보에 따라 비상상황을 대응 및 저장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상기 제 1 홈베이스(340)와 다른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제 1 홈베이스(340) 및/또는 제 2 홈베이스(120) 끼리 상호무선통신을 리피터(400)가 중계하는데, 상기 리피터(400)는 제 1 홈베이스(340)에서 수신된 신호를 타 신호로 변경한 후, 다른 제 1 홈베이스(340)로 신호를 재전송, 일정한 데이터를 저장 및 자체적으로 반복 발송한다.
이는, 상기 제 1 홈베이스(340)의 상호간에 무선으로 정보교환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제 1 홈베이스(340)가 상기 보안요청부(200) 및 상기 보안처리부(100)와 통신이 두절될 경우, 다른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제 1 홈베이스(340)를 통해 비상상황을 대신 중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무실 및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하고,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보안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는 것으로써, 파워라인(320), 전화라인(240) 및 리피터(400)를 통한 보안감시와 여러 가입자들 끼리 연결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하여, 자체감시와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안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보안방법은 비상통보처 전화번호 및 비상통보 메시지, 비밀번호 및 일반 기능정보를 설정받아 감지부(300) 및 보안처리부(100)에 저장한다(S10).
그리고, 사용자의 동작 설정을 받은 감지부(300)에 의해 침입자,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도어개폐의 감지기능을 수행하며(S20), 상기 감지사항 발생을 확인한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홈베이스(340)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비상통보 및 경보음 발생을 수행한다(S30).
그리고, 사용자의 전화연결을 통한 보안요청 및 비상통보를 받는 수신자의 요청에 의해 감지상황을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S40).
상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사무실 및 가정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홈베이스(340)와 도어락(360) 및 센서부(380)로 구성되어, 침입자감지, 화재발생감지 및 가스누출감지, 도어(Door)개폐의 보안감지를 수행한다.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비상통보처 전화번호 및 비상통보 메시지, 비밀번호 및 일반 기능정보를 설정받아, 감지 상황이나 응급 상황 발생시 휴대폰(260) 및 전화(280)를 통해 사용자에게 비상통보하며,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상황 종료 및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해제의 감지와 각종 통계자료를 작성하기 위한 보안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380)는 가정내의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 감지센서(380a),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감지센서(380b), 적외선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센서(380c)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도어락(360)은 상기 제 1 홈베이스(340) 및 리모컨(20)을 통해 입력되어진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Door)를 개폐시킨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침입자감지, 화재발생, 가스감지 및 가스누출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비상통보 및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보안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가정내의 보안정보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교환망(220)에 휴대폰(260) 및 전화(280)를 이용하여 접속하여 감지부(300)의 보안요청 및 이를 통보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에 의하면, 사무실 및 가정내의 현관 출입통제, 방범 및 재난 감시/경보, 비상 호출 및 대응하고, 사용자가 보안 감시상황을 유무선으로 보안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전화라인 및 리피터(Repeater)를 통한 단독적 운영과 여러 가입자들 끼리 연결 상호 비상 체제를 구축하여, 자체적 감시와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요청 및 통보받을 수 있다.
아울러, 비상상황 발생시 이에 즉각 대처하여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무선으로 교환망(220)에 접속되어 전화라인(240)을 통해 보안감시 상황 요청 및 통보받는 보안요청부(200)와;
    상기 보안요청부(200)의 보안감지 요청에 의해 해당되는 센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감지상황을 상기 보안요청부(200)로 통보하는 다수의 감지부(300)와;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보안상황 및 응급상황이 감지되면, 파워라인(320)을 통해 전송된 보안감지 상황을 저장 및 대응하는 보안처리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보안처리부(100)와 상기 감지부(300)에 접속되며 기기간 무선신호로 중계 및 운영하는 제 1 홈베이스(340)와;
    상기 제 1 홈베이스(340) 및 리모컨(2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360)과;
    상기 제 1 홈베이스(340)가 설치된 사무실 및 가정내의 침입자 감지, 화재 발생감지 및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80)는,
    가정내의 가스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 감지센서(380a)와;
    온도 변화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발생 감지센서(380b)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센서(38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요청부(200)는 휴대폰(260)을 통한 상기 교환망(220)의 무선접속 및/또는 전화(280)를 통해 교환망(220)에 유선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처리부(100)는,
    상기 파워라인(320)을 통해 상기 감지부(300)에 접속되어 보안감지를 중계 및 운영하는 제 2 홈베이스(120)와;
    상기 제 2 홈베이스(120)에 접속되어 상기 감지부(300)의 감지상황에 대응 및 보안감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상기 제 1 홈베이스(340)와 다른 상기 감지부(300)에 설치된 제 1 홈베이스(340) 및/또는 제 2 홈베이스(120) 끼리 상호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리피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된 비상 상황시, 상기 제 1 홈베이스(34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비상통보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8. 통합 유무선 보안방법에 있어서,
    비상통보처 전화번호 및 비상통보 메시지, 비밀번호 및 일반 기능정보를 설정받아 감지부(300) 및 보안처리부(1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0)와;
    사용자의 동작 설정을 받은 감지부(300)에 의해 침입자,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도어개폐의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감지단계(S20)와;
    감지사항 발생을 확인한 상기 감지부(300)는 제 1 홈베이스(340)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비상통보 및 경보음 발생을 수행하는 수행단계(S30)와;
    사용자의 전화연결을 통한 보안요청 및 비상통보를 받는 수신자의 요청에 의해 감지상황을 제공하는 제공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유무선 보안방법.
KR1020010048956A 2001-08-14 2001-08-14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KR20030015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56A KR20030015448A (ko) 2001-08-14 2001-08-14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56A KR20030015448A (ko) 2001-08-14 2001-08-14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48A true KR20030015448A (ko) 2003-02-25

Family

ID=2771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56A KR20030015448A (ko) 2001-08-14 2001-08-14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4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24A (ko) * 2002-03-27 2003-10-04 김영수 도어락 시스템
KR100672113B1 (ko) * 2005-03-02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KR100793814B1 (ko)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60Y1 (ko) * 1999-10-28 2000-04-15 천국성 침입자 자동 통보 장치
KR20000074038A (ko) * 1999-05-17 2000-12-05 심응용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200219265Y1 (ko) * 2000-01-10 2001-04-02 장건 원격조정기능과 화상전화를 이용한 종합방범장치
KR20010029643A (ko) * 1999-09-27 2001-04-06 박병석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6646A (ko) * 2000-05-22 2001-12-07 정병홍 화재 감시 시스템
KR20030012950A (ko) * 2001-08-06 2003-02-14 (주)애니컨트롤 인터넷-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네트워크 출입통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038A (ko) * 1999-05-17 2000-12-05 심응용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20010029643A (ko) * 1999-09-27 2001-04-06 박병석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77560Y1 (ko) * 1999-10-28 2000-04-15 천국성 침입자 자동 통보 장치
KR200219265Y1 (ko) * 2000-01-10 2001-04-02 장건 원격조정기능과 화상전화를 이용한 종합방범장치
KR20010106646A (ko) * 2000-05-22 2001-12-07 정병홍 화재 감시 시스템
KR20030012950A (ko) * 2001-08-06 2003-02-14 (주)애니컨트롤 인터넷-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네트워크 출입통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24A (ko) * 2002-03-27 2003-10-04 김영수 도어락 시스템
KR100672113B1 (ko) * 2005-03-02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KR100793814B1 (ko)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US7633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by periodic check in with remote facility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8378808B1 (en) Dual intercom-interfaced smoke/fire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012472A1 (en) Method for remotely chang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ensor
US20040217847A1 (en) Wireless sensing system
JP3661620B2 (ja) 地震報知機能付き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409542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KR20030015448A (ko) 통합 유무선 보안장치 및 그 보안 방법
JP4620218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230012086A (ko)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JP2005182471A (ja) 監視装置の中央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40116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0032693A (ko)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JP7113330B2 (ja) 集合施設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火災情報伝達方法、及び火災情報伝達プログラム
JP2005184190A (ja) 監視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50095160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KR20230144430A (ko) 효과적인 무이경비 시스템
KR20050113037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0322239Y1 (ko) 비상 호출 시스템
KR100962031B1 (ko) 화재경보 발생위치 자동신고 시스템 및 방법
JPH0562088A (ja) 住宅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