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087A -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087A
KR20030015087A KR1020010049141A KR20010049141A KR20030015087A KR 20030015087 A KR20030015087 A KR 20030015087A KR 1020010049141 A KR1020010049141 A KR 1020010049141A KR 20010049141 A KR20010049141 A KR 20010049141A KR 20030015087 A KR20030015087 A KR 2003001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pipe
pipe
drum
contac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901B1 (ko
Inventor
김홍기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일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9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거나 전선 보호관으로 사용되는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중공 사각단면을 구비하며 저면의 적어도 일외측으로 수평의 연결용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된 소형 파이프를 압출하여 관체 성형기의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파이프의 드럼측으로의 진입과 병행하여 소형 파이프와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드럼상에서 면접촉하도록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이송로중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이후에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대상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가열된 접촉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그 접촉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권회 이송되는 성형 관체의 내,외 표면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내,외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소형 파이프들이 연속적으로 연결접착되어 이중벽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용 부재 및 플랜지에 의해서 이중벽관의 상면 및 저면중 적어도 한면에 별도의 강화피복층이 부가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서 종래의 이중벽 평활관에 비해 보다 높은 내압강도를 나타내어 지중에 매설 시공 후 주위로부터 강한 토압이나 외력이 작용하여도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pipe with double fly wall}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거나 전선보호관으로 사용되는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압출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중공 사각단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를 관체 성형장치의 드럼으로 진입시킴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 역시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여 이들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이 서로 연결접착되면서 회전드럼에 안내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내,외주면이 평활하면서 관벽에 중공부가 나선상으로 연속형성된 이중벽 구조의 관체가 성형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매설용 하수관이나 전선관으로는 내주면이 평활하고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나선관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나선관은 재료의 사용량을 증가시켜 관벽의 단면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형 돌조에 하중의 집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대된 강도를 나타내게 됨으로써 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킨 가운데 높은 내압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면에서 최근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 나선관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조에 의해서 관연결 작업이 어렵고 또한 취급이 불편하다는 점과 나선형 요입부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내압강도를 나타냄에 기인하여 특별히 높은 내압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의 적용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에서 지적되고 있는 단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새로운 종류의 관체로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이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중공의 원형 또는 각형의 소형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이를 관체 성형장치의 회전드럼 외주면상에 나선상으로 감아돌리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부로 용융 합성수지를 주입해서 이들 소형 파이프들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외주면이 평활하면서 관벽에 중공부가 나선상으로 연속된 이중벽 평활관이 얻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도1 내지 도3에 의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종래 이중벽 평활관의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도2의 (가), (나)는 종래 이중벽 평활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3의 (가) 내지 (다)는 도2의 장치를 이용한 이중벽 평활관이 제조되는 단계별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1)은 내주면(IS)과 외주면(OS)이 평활한 원통형으로서 그 관벽은 원형의 소형 파이프(2)가 서로 인접하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나선상으로 감겨지고 이들 소형 파이프(2) 사이의 간격부에 I자 빔(3)이 채워져서 전체적으로 이중벽을 이루는 평활관을 구성하고있다.
도2에 의해서 도1과 같은 구조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장치를 살펴보건대 종래 이중벽 평활관 제조장치는 액상의 합성수지(P)를 가열하면서 수지 저장통(4)으로 압송하는 합성수지 압송기(5)와, 수지 저장통(4)의 압출공(6)에 삽입되어 압출공을 통해서 빠져나온 용융 상태의 합성수지(P)를 중공의 소형 파이프(2)로 성형 및 냉각시키는 성형냉각 가이드(7)와, 드럼(8)의 외주연부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구동모터(9)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소형 파이프(2)가 연속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롤러(10)와, 소형 파이프(2)가 이루는 나선관의 내,외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수지 저장통(4)으로부터 공급된 합성수지(P)를 소형 파이프(2) 사이의 간극에 주입하는 합성수지 주입노즐(11)(11a)과, 상기 나선관의 내,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주입된 합성수지를 압착함으로써 간극 부분이 I자 빔(3)을 이루도록 하는 압착롤러(12)(12a)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2의 장치를 이용하여 도1의 이중벽 평활관을 제조하는 관체 제조방법을 도3에 의해서 살펴보면, 먼저 (가)에서와 같이 수지 저장통(4)의 압출공(5)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소형 파이프(2)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대략 J자 형태의 봉으로 이루어진 냉각성형 가이드에 의해 드럼(8)의 외주면으로 진입됨과 아울러 회전롤러(10)의 회전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드럼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감기게 된다.
이어서, 도3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8)에 감겨진 소형 파이프(2) 사이의 간극에는 그 상부 및 하부로부터 합성수지 주입노즐(11)(11a)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합성수지가 주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다음, 도3의 (다)에서와 같이 소형 파이프(2) 사이의 간극에 채워진 수지는 나선관의 상,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는 압착롤러(12)(12a)에 의해서 평탄화가 이루어져 I자 빔(3)의 형상으로 변형된 후 냉각이 이루어져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1)으로의 성형이 완료된다.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 제조방법은 나선형 소형 파이프 사이의 간극을 메꾸기 위해 내,외측에 별도의 수지 주입용 노즐을 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간극의 상하 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수지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중간부까지 수지가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나선형 소형관 사이의 연결접착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소형 파이프 사이의 간극에 채워진 수지에 대하여 압착롤러를 이용한 I자 빔의 평탄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관벽의 내주면은 물론 외주면의 표면이 요철면을 이룸에 따라 품질특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관벽이 단순히 중공의 소형 파이프 두께에 해당하는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특히 높은 내압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는 부적절하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I자 빔에 의해 소형 파이프의 측면만이 접착되어질 뿐 상,하면은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되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때에 접착부의 분리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아울러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압출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중공 사각단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를 관체 성형장치의 드럼으로 진입시킴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 역시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여 이들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이 서로 연결접착되면서 회전드럼에 안내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내,외주면이 평활하면서 관벽에 중공부가 나선상으로 연속형성된 이중벽 구조의 관체가 성형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기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된 중공사각 단면의 소형 파이프가 드럼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권회되도록 하여 드럼 외주면상의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 외측면과 연결용 플랜지간의 연속적인 연결접착에 의해 드럼의 외경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이중벽 평활관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대상(帶狀)의 연결용 부재를 공급하여 상기 이중벽 평활관의 외주면에 피복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이중벽 평활관의 내,외층의 관벽두께 증대에 의한 보강효과를 달성함과 아울러 소형 파이프 사이의 접착면 확대에 의한 접착력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압출기 및 드럼등을 그대로 활용하여 이중벽 평활관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 이중벽 평활관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2의 (가), (나)는 종래 이중벽 평활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3의 (가) 내지 (다)는 도2의 장치를 이용한 이중벽 평활관이 제조되는 단계별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수행에 사용되는 이중벽 평활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방법에 따른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에 따른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에 따른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에 따른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보인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일실시예 제조방법은, 중공 사각단면을 구비하며 저면의 적어도 일측으로 수평의 연결용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된 소형 파이프를 압출하여 관체 성형기의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파이프의 드럼측으로의 진입과 병행하여 소형 파이프와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드럼상에서 면접촉하도록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이송로중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이후에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대상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가열된 접촉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그 접촉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권회 이송되는 성형 관체의 내,외 표면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내,외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용 부재는 소형 파이프의 플랜지 구조에 대응하여 여러 형태의 단면구조를 취할 수 있는 데, 그 구체적인 예로는 소형 파이프가 저면의 양측으로 그 소형 파이프 폭의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연결용 플랜지를 갖도록 압출되어 나오는 경우라면 연결용 부재는 상기 소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구조를갖되 단지 플랜지가 상면 양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다시 말하면 소형 파이프를 뒤집어 놓은 단면 형태를 갖도록 하거나, 단순한 일자형의 띠형태로 압출되도록 할 수 있다.
소형 파이프가 저면 양 외측으로 수평의 플랜지가 연장형성되고 연결용 플랜지 역시 이와 동일한 단면 형태로서 플랜지 형성위치만이 상면인 점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플랜지는 양 부재의 측벽부가 서로 접착되어짐과 아울러 소형 파이프의 플랜지가 연결용 부재의 저면에 접착되고 연결용 플랜지가 소형 파이프의 상면에 접착되어 이중관벽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소형 파이프가 저면 양 외측으로 수평의 플랜지가 연장형성되고 연결용 부재가 단순한 띠상의 평판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경우에는 소형 파이프가 드럼의 외주면에서 저면의 플랜지 단부만이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와 접착된 상태로 나선상으로 권회됨과 병행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소형 파이프의 상면 사이에 평대형 연결용 부재가 양 소형 파이프 상면의 절반씩을 커버하는 식으로 피복접착됨으로써 이중벽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소형 파이프가 저면 일측에만 플랜지가 연장형성된 경우에는 평대형의 연결용 플랜지가 사용되는 데, 이때에는 소형 파이프는 인접하는 파이프와의 사이에서 측벽부가 직접연결 접착됨과 아울러 저면의 플랜지가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의 저면에 접착되어 이중벽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의 접착부 상면으로 평대형의 연결용 부재가 피복되어 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성형관체의 최외층부는 내면의 경우 플랜지면으로되고 표면의 경우에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로 표면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형 파이프를 상,하면 어디에도 플랜지가 없는 단순한 중공 사각형으로 압출되도록 해서 관체 성형기의 드럼에 연속적으로 감겨지도록 하고, 드럼상에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소형 파이프의 접착부 상면 및 하면에 평대형의 연결용 부재를 공급하여 소형 파이프의 내,외면에 연결용 플랜지가 피복 접착되어진 이중벽 평활관이 제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바탕으로 한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 제조방법의 수행에 사용되는 관체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하면의 양 외측으로 연결용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압출되어 나오는 소형 파이프와 이와 동일한 단면으로서 상,하면이 뒤집어진 형태를 갖는 연결용 부재가 드럼의 외주면에서 상호 연결접착되어 이중벽 평활관으로 성형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출기(20)의 압출공을 통해서 하면의 양측으로 수평의 플랜지(21a)가 일체로 형성된 소형 파이프(21)가 연속적으로 압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압출기(20)는 관체 성형기의 드럼(22) 일측부에 설치되고 압출기(20)로부터 드럼(22)의 외주면을 향해서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 중공단면을 구비하며 내부에는 냉각수 공급관(23a)이 내장되어진 대략 "J"자 형태를 띠는 냉각성형 가이드(23)가 압출기(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4에서 냉각성형 가이드(23)의 외측 단부에 표시된 화살표중 wi는 냉각수 유입방향을 wo는 냉각수 유출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압출기(20)의 압출공으로부터 압출되어 나오는 소형 파이프(21)는 냉각성형 가이드(23)에 안내되어 냉각에 의한 성형이 진행되면서 드럼(22)의 외주면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나선상으로 권회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소형 파이프(21)의 압출 및 드럼(22)측으로의 이송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20')로부터 압출되어지는 상면에 플랜지(24a)가 구비된 중공사각의 연결용 부재(24)는 그 내부의 냉각성형 가이드(25)에 안내되어 역시 드럼(22)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럼(22)의 외주면으로 진입하게 되는 소형 파이프(21)와 중공 사각의 연결용 부재(24)는 드럼의 외주면으로 진입하여 나선상으로 권회되는 과정에서 양 부재의 외측벽부가 서로 만나게 되는 데, 이는 상기 양 냉각성형 가이드(23)(25)의 설치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에 의해 달성된다.
각기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성형 가이드(23)(25)에 의해서 안내되어 드럼(22)의 외주면으로 향하는 소형 파이프(21)와 중공 사각의 연결용 부재(24)는 냉각성형 가이드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사각단면부의 내면으로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서서히 고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데,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주된 재질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PE)의 경우 열전달계수가 그리 높지 않고 또한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의 관벽 두께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함에 따라드럼의 외주면에 도달한 상태의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외표면은 완전히 고화된 상태가 아닌 반용융 상태 내지는 연화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소형 파이프(21) 및 연결용 부재(24)의 압출속도 및 이들 부재와 드럼간의 거리 그리고 드럼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소형 파이프의 수평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등의 설계조건을 최적화하게 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가열수단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양 부재간의 자체 잠열을 이용한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관체 성형기 설치 장소의 온도변화 등에 따라 상기의 최적화된 설계조건을 유지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마련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연결용 부재(24) 이송구간에 가열장치(H)를 설치하여 접착 대상면의 표면을 가열시키고 있다.
물론, 상기 가열장치(H)는 소형 파이프(21)의 진입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 부재 모두에 대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가열장치(H)의 구체적인 예로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가열 방식 또는 세라믹 히터 등과 같은 히터를 이용한 가열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접촉되기 전에 그 접촉 대상면에 가열에 의한 연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폴리에틸렌 재질 특성상 별도의 접착재가 없이도 그 접촉면에 약간의 압착력만이 가해지더라도 그 접촉부는 서로 완전히 접착되어 한 몸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접착 대상면에 가열을 행하는 방식 이외에 소형 파이프(21)나 연결용부재(24)중 적어도 어느 한 부재의 접착 대상면에 대해 그 이송과정에서 접착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가열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이도 양 부재의 완전한 연결접착을 통한 이중벽 평활관의 성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형 파이프(21)나 연결용 부재(24)의 성형은 상기 냉각성형 가이드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에 기존에 알려진 진공성형 방식을 적용하여 압출기의 압출공으로부터 빠져나온 후 곧바로 진공성형장치를 거치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에 이은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적어도 어느 한 부재의 접착 대상면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진 상태로 드럼(22)의 외주면으로 진입하게 되는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플랜지(24)는 도5에서와 같이 이들 두 부재의 측벽부가 서로 접착되어짐과 병행하여 어느 한 부재의 플랜지가 다른 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을 피복한 상태로 접착되어 이중벽 평활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간의 측벽부 사이의 접착은 이들 부재를 드럼(22)으로 안내하는 냉각성형 가이드(23)(25)의 원호상으로 절곡된 외측부분이 서로 인접하여 접근되도록 설치되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플랜지(24)는 그 측벽부와 플랜지부의 접착 대상면이 서로 접착되기 위해서는 그 접착면에 어느 정도의 압착력이 가해져야 하는 데, 이러한 접착구동 압착력은 냉각성형 가이드(23)(25)와 드럼(22)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경사상 회전롤러(22a)의 회전에 의해 드럼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이송 구동력이 압착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의 접착을 위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접착 대상면에 압착력이 가해질 때 이들 두 부재의 원래 형상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으나, 이러한 변형은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의 내주면에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냉각성형 가이드(23)(25)에 의해서 방지되어 진다.
소형 파이프(21)와 연결용 부재(24)가 그 접착대상면에서 접착이 완료되어 드럼(22)의 외주면을 타고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드럼의 외측단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중벽 성형관체(P)는 그 내,외주면에 밀착접촉된 상태로 설치된 압착롤러(26a)(26b)에 의해 내,외표면이 평활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내,외 표면이 평활한 상태로 된 이중벽 성형관체(P)는 회전이송하면서 드럼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냉각이 완료되어 이중벽 평활관으로의 제작이 완료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길이의 단관으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작이 완료된다.
다음,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을 보인 것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의 소형 파이프(31)는 도5의 소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형태를 구비하나 연결용 부재는 일정한 폭을 갖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34)로서 도4의 드럼(22)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감겨지는 소형 파이프(31) 사이의 간격부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평대형 연결용 부재(24)의 폭은 양 측부가 서로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31)의 상면폭중 절반에 걸쳐 피복접착될 수 있는 크기로 압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소형 파이프(31)의 압출 및 냉각성형 가이드에 안내되어 드럼 외주면으로 감겨지는 과정은 전번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34)가 소형 파이프(31) 사이의 상면에 피복접착되는 과정에서 연화된 상태의 평대형 연결용 부재(34)가 접착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 파이프(31) 사이의 간격부 내에 냉각수 공급관(35a)이 내장된 냉각성형 가이드(35)를 위치시켜 공중에 뜨게될 평대형 연결용 부재(34)의 저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소형 파이프(31)와 평대형 연결용 부재(34)의 접착이 이루어진 후의 후속공정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다음, 도7은 저면 일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형성된 플랜지(41a)를 갖는 소형 파이프(41)를 압출하여 이를 드럼의 외주면상에 연속적으로 감아돌려 이중벽 관체를 성형함과 동시에 서로 연결접착된 소형 파이프(41)의 상면에 평대형 연결용 부재(44)를 피복접착하는 방식으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41a)는 소형 파이프(41)의 관벽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그 폭은 대략 소형 파이프의 폭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단턱면의 상면 높이는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41)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8은 플랜지를 갖지 않는 통상의 소형 파이프(51)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이를 드럼 외주면상에서 나선상으로 감아돌려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 사이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서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면으로 각각 평대형 연결용 부재(54)를 접착시켜 소형 파이프(51)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평대형 연결용 부재(54)가 피복 접착되어진 이중벽 평활관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소형 파이프들이 연속적으로 연결접착되어 이중벽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용 부재 및 플랜지에 의해서 이중벽관의 상면 및 저면중 적어도 한면에 별도의 강화피복층이 부가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서 종래의 이중벽 평활관에 비해 보다 높은 내압강도를 나타내어 지중에 매설 시공 후 주위로부터 강한 토압이나 외력이 작용하여도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소형 파이프 사이를 연결접착하는 접착면으로서의 외측벽부 이외에 상면 및 하면중 적어도 일면이 접착면을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착면의 확대가 이루어짐에 기인하여 연결부 접착력 강화에 의한 관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나선관 제조설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경제적이고, 또한 내주면 및 외주면이 매끄러운 평활면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수관으로의 매설시공 후 관내를 흐르는 유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이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5)

  1. 중공 사각단면을 구비하며 저면의 적어도 일측으로 수평의 연결용 플랜지가 일체로 연장된 소형 파이프를 압출하여 관체 성형기의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파이프의 드럼측으로의 진입과 병행하여 소형 파이프와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드럼상에서 면접촉하도록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이송로중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이후에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대상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가열된 접촉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그 접촉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권회 이송되는 성형 관체의 내,외 표면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내,외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파이프는 저면의 양측으로 그 소형 파이프 폭의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된 채로 압출되어 드럼상에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의 플랜지 단부가 접촉하는 상태로 권회되고, 연결용 부재는 상기 소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구조를 갖되 단지 플랜지가 상면 양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단면구조로 압출되어 드럼 외주면상의 소형 파이프 사이의 간격부에 연결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파이프는 저면의 양측으로 그 소형 파이프 폭의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 연결용 플랜지가 구비된 채로 압출되어 드럼상에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의 플랜지 단부가 접촉하는 상태로 권회되고, 연결용 부재는 드럼 외주면에 권회되는 소형 파이프 사이의 간격 이상의 폭을 갖는 평대형으로 압출되어 소형 파이프 사이의 간격부 상면에 연결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파이프는 저면 일측에만 플랜지가 단턱지게 연장형성되어 드럼상에서 인접하는 소형 파이프간에 측벽부가 직접 접착되며, 연결용 부재는 평대형으로 압출되어 소형 파이프 연결관체의 상면에 피복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5. 중공 사각단면의 소형 파이프를 압출하여 관체 성형기의 드럼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 파이프의 드럼측으로의 진입과 병행하여 소형 파이프의 상, 하면에 드럼상에서 면접촉하도록 평대형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이송로중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이후에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대상면중 적어도 어느 일면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가열된 접촉면을 갖는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가 그 접촉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와 연결용 부재의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권회 이송되는 성형 관체의 내,외 표면을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내,외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2001-0049141A 2001-08-14 2001-08-14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042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41A KR100422901B1 (ko) 2001-08-14 2001-08-14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141A KR100422901B1 (ko) 2001-08-14 2001-08-14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087A true KR20030015087A (ko) 2003-02-20
KR100422901B1 KR100422901B1 (ko) 2004-03-12

Family

ID=2771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141A KR100422901B1 (ko) 2001-08-14 2001-08-14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9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38B1 (ko) * 2005-06-16 2007-01-12 (주) 제일산업 나선형 다중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012351B1 (ko) * 2009-04-24 2011-02-09 전대우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숯액자
KR101370838B1 (ko) * 2013-05-22 2014-03-07 주식회사 프라코 합성수지 벽관 성형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 벽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61B1 (ko) 2009-02-25 2009-07-08 벽진산업 주식회사 내, 외경과 십자형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5814A5 (de) * 1992-07-02 1995-10-13 Fischer Georg Rohrleitung Verfahren zum Verschweissen von rohrförmigen Teilen und ein Schweisselemen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864200B2 (ja) * 1994-07-25 2006-12-27 金尾 茂樹 合成樹脂管
KR19990004028U (ko) * 1998-10-15 1999-01-25 이정안 합성수지제 이중벽 평활관 제조장치
KR100352997B1 (ko) * 2000-04-17 2002-09-18 우명남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38B1 (ko) * 2005-06-16 2007-01-12 (주) 제일산업 나선형 다중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012351B1 (ko) * 2009-04-24 2011-02-09 전대우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숯액자
KR101370838B1 (ko) * 2013-05-22 2014-03-07 주식회사 프라코 합성수지 벽관 성형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 벽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901B1 (ko)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501B2 (en) Flexible tubing with embedded helical conductors and method of making
US10077857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CN105128323A (zh) 复合增强缠绕式压力管及其成型方法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KR200255575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JP6485762B1 (ja) 金属又は合成繊維の線材補強の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方法
KR0136249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CN209991020U (zh) 异形带材及缠绕型内肋波纹管及其生产的专用装置
EP0868281B1 (en) Apparatus for shaping and cooling corrugated plastic pipes
KR100460701B1 (ko) 이중 프로파일관을 이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이중벽관
KR100565538B1 (ko)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057634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JPS58185234A (ja) 断熱導管の製造方法
KR100343957B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제조방법 및 장치
JP3045577B2 (ja) 凹凸付ホースの連続製造方法
CN112856057B (zh) 一种连续纤维玻纤板箍筋管复合弧顶三角形波纹管道
KR200364327Y1 (ko) 합성수지제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장치
JP2001004073A (ja) 螺旋複合管とその製造方法
US10077856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KR100573318B1 (ko) 적층 프로파일관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KR20120025862A (ko) 조립식 합성수지관용 필라멘트 와인딩으로 제조되는 이중 복합관과 그 제조방법
RU227193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и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