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898A -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898A
KR20030014898A KR1020010048791A KR20010048791A KR20030014898A KR 20030014898 A KR20030014898 A KR 20030014898A KR 1020010048791 A KR1020010048791 A KR 1020010048791A KR 20010048791 A KR20010048791 A KR 20010048791A KR 20030014898 A KR20030014898 A KR 2003001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ame data
block
information
pictur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938B1 (ko
Inventor
안종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938B1/ko
Priority to US10/191,530 priority patent/US20030031377A1/en
Publication of KR2003001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논리회로가 간단하면서도 시스템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이 개시된다.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딩부, 및 디코딩부로부터 복호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프레임데이터 및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논리회로가 간단할 뿐만아니라, 디코더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 a 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display having a apparatus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본 발명은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및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단위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및 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영상부호화 표준은 블록단위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있다.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 부호화하는 부호화 시스템에서, 블록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부호화등의 블록 부호화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기반 영상부호화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가 압축율이 큰 경우에 원래의 영상에는 존재하지 않던 블록모양의 선이 발생하는 블록화현상(blocking artifacts)이다.
방대한 양의 영상정보를 제한된 대역을 가지는 전송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기 위해서는 영상데이터의 압축은 필수적이다. 영상데이터의 압축은 영상신호가 가지고 있는 정보중에 일부분을 버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블록기반 부호화에서는 이러한 압축과정, 즉 일부분의 영상정보(고주파정보)를 버리는 과정이 각 블록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블록경계에서 불연속이 발생하여 원래의 영상신호에는 존재하지 않던 블록형태가 시각적으로 지각된다.
이와 같은 블록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그 중의 한가지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블록현상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디지털 영상신호(X)는 저역통과필터(101)를 통과하고감산기(102)에서 입력디지털 영상신호(X)와 감산되어 고대역신호(103)와 저대역신호(104)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고대역신호(103) 부분에 블록현상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대역신호(103)를 미디언 필터(105)로 평활하고, 이것을 디지털 필터회로(106, 107, 108)를 통과시켜서 가산기(109)에서 저대역신호(104)와 가산함으로써 블록현상이 제거된 영상신호(Y)를 얻는다. 이때, 블록현상이 많은 곳과 적은 곳을 구분하여 적응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로직부(110)에서 압축도를 나타내는 양자화 레벨의 크기(Qs)에 따라 필터의 특성(K)을 조절해 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블록현상 제거기술들은 많이 압축된 영상인가 혹은 적게 압축된 영상인가를 판별하는 장치와, 이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디지털 필터링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블록현상 제거장치는 복잡한 논리회로와 디지털 필터링을 위한 곱셈기, 덧셈기 등의 연산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논리회로를 간단히하여 시스템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4은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블록화현상 제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인코더 203 : 디코딩부
205 : 후처리부 301 : 송/수신부
303 :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305 : 표시부
307 : 제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제거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복호된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압축속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상기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속성정보는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복호된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후처리로부터 후처리된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에 따르면,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방법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단계로부터 복호된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상기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압축속성정보는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비트레이트정보를 기 설정된 최저임계치 및 최대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대임계치보다 크면 후처리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저임계치보다 작으면 민필터링 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저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최대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픽쳐모드정보가 I픽쳐모드, P픽쳐모드, B픽쳐모드 중의 어느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픽쳐모드가 I픽쳐모드이면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픽쳐모드가 P픽쳐모드 및 B픽쳐모드 중의 어느 하나이면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으면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블록의 움직임의 변경이 소정치보다 작으면 이전 프레임데이터의 후처리된 값과 동일한 값으로 후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논리회로가 간단하고 계산량이 적은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인코더(201), 디코딩부(203), 후처리부(205), 및 메모리(207)를 구비한다.
인코더(201)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비트레이트 제어하여 부호화한다. 블록기반 부호화에서 영상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중에 일부분을 버리는 영상데이터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영상데이터의 압축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규격으로 채용되어 있는 쌍방향 예측 부호화방식이 사용된다. 이 쌍방향 예측 부호화방식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및 쌍방향 예측 부호화의 세가지 타입의 부호화가 행해진다. 각 부호화 형태에 의한 영상은 각각 I픽쳐(Intra coded Picture), P픽쳐(Predictive coded Picture), B픽쳐(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Picture)라고 불린다.
또한,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영상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에서는 압축 부호화 후의 데이터량(비트량)을 전송로의 전송용량 이하로 억제하면서, 화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영상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에 '통계다중'이라는 방법을 적용한다. 통계다중은 소정의 전송용량의 전송로에 대하여, 보다 많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각 프로그램이 전송 레이트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통계다중에서는 예를 들면, 전송 레이트가 감소하더라도 화질의 열화가 눈에 띄지 않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 인코더(201)는 TM5(Test Model Editing Committe: "Test Model 5" :ISO/IEC JTC/SC292/WG11/NO400(Apr. 1993))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영상을 GOP(Group of Picture) 단위로 비트레이트 제어하여 인코딩한다. 즉, 비트레이트는GOP의 도중에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코더(201)는 GOP의 단위로 비트레이트 제어를 하는 대신에, 프레임 단위로 개개에 목표 부호량을 정하여 인코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디코딩부(203)는 디코더(203a) 및 메모리(203b)를 구비한다.
디코더(203a)는 인코더(201)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한다. 디코더(203a)는 예를 들어, MPEG 포맷에 따라 복호화를 실행한다. 인코더(201)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더(203a)에 의해 역VLC(Variable Length Coding)처리, 역양자화처리, 역DCT처리 및 움직임 보상처리되어 복호된다.
메모리(203b)는 디코더(203a)로부터 복호화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압축속성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압축속성정보는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픽쳐모드정보는 세가지 타입의 복호화 정보 즉, I픽쳐, P픽쳐, 및 B픽쳐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후처리부(205)는 디코더(203)로부터는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207)로부터는 비트레이트정보 및 각 프레임화상의 픽쳐타입(Picture type) 즉 I픽쳐, P픽쳐, 및 B픽쳐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블록래스터(Block raster) 변환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블록래스터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CRT(Cathode 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의 영역에 관계된 용어이다. CRT에서 블록래스터는 TV 브라운관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전자빔을 좌에서 우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스캐닝하는 수평 주사선의 연속을 말한다. LCD에서의 블록래스터(보통그리드라고 불린다)는 CRT와는 다르게 스캔되며, 이미지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나타난다. LCD에서 래스터는 보통 모니터 크기에 맞추어지는데, 만약 저해상도가 사용되면(예를 들어 800×600에 맞추어진 LCD에 640×480 해상도를 설정한 경우 등), 이미지는 오직 화면의 일부에만 표시된다. 이와는 반대로 고해상도가 사용되면(예를 들어 800×600에 맞추어진 LCD에 1,024×768 해상도를 설정한 경우 등), 이미지는 화면에서 나타낼 수 있는 부분을 넘어서기 때문에,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스크롤링이 필요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블록화현상 제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인코더(201)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비트레이트 제어하여 부호화한다(S301). 인코더(201)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는 디코딩부(203)로 전송된다. 디코딩부(203)의 디코더(203a)는 인코더(201)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한다(S303). 디코딩과정에서 생성된 비트레이트정보 및 각 프레임데이터의 픽쳐모드정보가 추출되어 메모리(203b))에 저장된다(S305).
후처리부(205)는 디코더(203a)로부터는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203b)로부터는 비트레이트정보 및 각 프레임화상의 픽쳐모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블록래스터 변환처리를 행한다. 이때, 후처리부(205)는 메모리(203b)로부터 수신된 비트레이트정보에 따라 후처리과정을 달리한다.
즉, 비트레이트정보를 기 설정된 최저임계치 및 최대임계치와 비교하여 비트레이트정보가 최소임계치보다 작으면(S307),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를 민(Mean)필터링을 적용하여 후처리한다(S309). 여기서, 민필터링은 데이터의 평균값을 취하는 방법으로 여기서는 일반적인 방법과는 다르게 적용된다. 즉, n번째와 n+1번째 값이 블록의 경계면일 경우 필터링 후의 값은 다음과 같다. 만약 x(n-1) < x(n+2)이면 Y(n) = x(n-1) + {x(n+2) - x(n-1)}*1/3, Y(n+1) = x(n-1) + {x(n-1) - x(n+2)}*2/3이고, x(n-1) > x(n+1)이면 Y(n) = x(n-1) - {x(n+2) - x(n-1)}*1/3, Y(n+1) = x(n-1) - {x(n-1) - x(n+2)}*2/3이 된다. 민필터링을 적용하는 이유는 비트레이트정보가 최소임계치보다 작으면, 영상데이터의 왜곡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복잡한 알고리즘 보다는 간단한 민필터링으로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임계치 이상이면(S307), 후처리부(205)는 다시 비트레이트정보가 최대임계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311). 비트레이트정보가 최대임계치보다 크면,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후처리를 하지 않고 디코딩된 프레임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S313). 그 이유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블록화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후처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최저임계치 및 최대임계치는 반복실험에 의해 얻어진 값으로서 제조과정에서 기 설정되어 후처리부(205)에 구비된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다.
비트레이트정보가 최대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픽쳐모드를 판단한다. 프레임데이터의 픽쳐모드가 P픽쳐모드 또는 B픽쳐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315),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7). 프레임데이터의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으면,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후처리를 수행한다(S319).
프레임데이터의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된 경우가 아니면,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이전 프레임데이터에 대한 후처리값과 동일한 값으로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후처리를 수행한다(S321).
후처리부(205)가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픽쳐모드를 판단하여(S323) I픽쳐모드로 판단한 경우에는, 후처리부(205)는 대응되는 프레임데이터의 후처리를 수행한다(S319). I픽쳐모드도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후처리부(205)는 디코딩부(203)의 메모리(203b)로부터 다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제공받아 상술한 방법으로 후처리진행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에 의한 블록화현상 제거방법은 종료된다.
여기서,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수행하는 후처리에 대한 방법으로는 저역필터링 방법, 중복변환 방법, POCS(Projection Onto Convex Sets) 방법, 변환계수의 최적추정 방법 등이 있다.
저역필터링 방법은, 블록경계의 불연속성이 국부적으로 계단파와 유사한 파형을 갖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파수영역에서 고주파성분이 많이 발생됨을 의미하고 따라서 이 고주파성분을 저역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블록화현상을 줄인다.
중복변환 방법은, 부호화 및 복호화시 블록간의 약간의 중복을 허용함으로써 블록경계에서의 불연속성을 줄인다. POCS 방법은 원래의 영상의 원만한 특성과 계수범위에 관한 사전 지식을 후처리에 활용하여 반복적으로 복호영상을컨벡스세트(Convex Set)에 투사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는다.
변화계수의 최적추정 방법은, 블록화현상이 기본적으로 변환계수의 양자화 에러가 과다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각 블록마다 이웃하는 블록과의 경계에서 불연속성이 최소화되도록 복호화된 변환계수들을 약간씩 수정한다.
여기서, 후처리부(205)가 후처리에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 중 어느것을 써도 무방하다.
이로써,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논리회로가 간단하면서도 시스템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송/수신부(301),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 표시부(305), 및 제어부(307)를 구비한다.
송/수신부(301)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주변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는 도 2의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부(305)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로부터 블록화현상이 제거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블록화현상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송/수신부(301)로부터 직접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부(307)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컨트롤러를 말한다. 제어부(307)는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가 블록화현상이 제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송/수신부(301),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 및 표시부(305)를 제어한다.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송/수신부(301)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는 제어부(307)에 의하여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로 전송된다.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3)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데이터의 프레임데이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한다. 블록화현상이 제거된 프레임데이터는 제어부(307)에 의해 제어되어 표시부(305)로 전송된다.제어부(307)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프레임데이터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307)를 거치는 일 없이 표시부(305)로 전송한다. 블록화현상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판단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로써,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주변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보다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화현상 제거장치는 논리회로가 간단하면서도 시스템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코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후처리에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따라 적절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복호된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압축속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상기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속성정보는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4.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복호된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후처리로부터 후처리된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압축속성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상기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속성정보는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에 발생되는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현상 제거방법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단계로부터 복호된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상기 프레임데이터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의 압축속성정보를 추출하여 블록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속성정보는 상기 프레임데이터 각각에 대한 비트레이트정보 및 픽쳐모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비트레이트정보를 기 설정된 최저임계치 및 최대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대임계치보다 크면 후처리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저임계치보다 작으면 민필터링 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비트레이트정보가 상기 최저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최대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픽쳐모드정보가 I픽쳐모드, P픽쳐모드, B픽쳐모드 중의 어느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픽쳐모드가 I픽쳐모드이면,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픽쳐모드가 P픽쳐모드 및 B픽쳐모드 중의 어느 하나이면,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의 움직임이 소정치 이상 변경되었으면,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단계는,
    상기 블록의 움직임의 변경이 소정치보다 작으면, 이전 프레임데이터의 후처리된 값과 동일한 값으로 후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현상 제거방법.
KR10-2001-0048791A 2001-08-13 2001-08-13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KR10052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91A KR100522938B1 (ko) 2001-08-13 2001-08-13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US10/191,530 US20030031377A1 (en) 2001-08-13 2002-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lock artifacts, and displaying device having the sam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91A KR100522938B1 (ko) 2001-08-13 2001-08-13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98A true KR20030014898A (ko) 2003-02-20
KR100522938B1 KR100522938B1 (ko) 2005-10-24

Family

ID=1971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791A KR100522938B1 (ko) 2001-08-13 2001-08-13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31377A1 (ko)
KR (1) KR100522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70B1 (ko) * 2004-09-29 2007-05-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0772402B1 (ko) * 2005-09-15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영역에서의 내용 적응성 블로킹 아티팩트 제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27302C2 (ru) * 2002-10-30 2008-06-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Маркировка водяным знаком сигнала с переменным расходом битов
EP1766987A1 (en) * 2004-05-27 2007-03-28 Vividas Technologies Pty Ltd Adaptive decoding of video data
US7899258B2 (en) * 2005-08-12 2011-03-01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convert images into high-quality compressed documents
US7783117B2 (en) * 2005-08-12 2010-08-24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background and foreground images for document compression
US7787541B2 (en) * 2005-10-05 2010-08-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pre-filter control with subjective noise detector for video compression
JP4747917B2 (ja) * 2006-04-03 2011-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897371B2 (en) * 2006-04-04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Video decoding in a receiver
US7894689B2 (en) * 2007-05-31 2011-02-2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st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6605B2 (ja) * 1993-08-20 2002-02-12 株式会社東芝 画像信号受信装置
JPH10164578A (ja) * 1996-11-29 1998-06-19 Kyocera Corp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JPH10257502A (ja) * 1997-03-17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層画像符号化方法、階層画像多重化方法、階層画像復号方法及び装置
KR100243225B1 (ko) * 1997-07-16 2000-02-01 윤종용 블록화효과 및 링잉잡음 감소를 위한 신호적응필터링방법 및신호적응필터
JPH1146362A (ja) * 1997-07-28 1999-02-16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再生装置
US6058210A (en) * 1997-09-15 2000-05-02 Xerox Corporation Using encoding cost data for segmentation of compressed image sequences
KR100269125B1 (ko) * 1997-10-25 2000-10-16 윤덕용 양자화효과감소를위한영상데이터후처리방법및장치
US6810086B1 (en) * 2001-06-05 2004-10-26 At&T Corp. System and method of filtering noi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70B1 (ko) * 2004-09-29 2007-05-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0772402B1 (ko) * 2005-09-15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영역에서의 내용 적응성 블로킹 아티팩트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31377A1 (en) 2003-02-13
KR100522938B1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3377A (en) Method for quantizing intra-block DC transform coefficients using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CN1121121C (zh) 视频信号解码装置中所使用的后处理方法
EP0663773B1 (en) Variable length coder using two VLC tables
KR100203710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JP3814321B2 (ja) 量子化パラメータ決定装置及び方法
JP3678481B2 (ja) 映像データ後処理方法
US20030095603A1 (en) Reduced-complexity video decoding using larger pixel-grid motion compensation
EP0680219B1 (en) Improved post-processing method for use in an image signal decoding system
US7343045B2 (en) Image information compression device
JP3819461B2 (ja) 映像データ後処理方法
US68652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blocky picture” effect in MPEG decoded images
EP0680217B1 (en)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blocking effects
KR100522938B1 (ko) 블록화현상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블록화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JP2002515705A (ja) ビデオデコーダのコストを低減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59464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quantization errors of a decoded video image by using an adaptive filter
JPH08102940A (ja) 動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970003100B1 (ko) 적응적으로 강제 인트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영상 부호화 방법
JPH06268997A (ja) 動画像圧縮装置
JPH07336684A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9233475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1056646A (ja) 映像信号復号化装置
JP2001245298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100203676B1 (ko)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JP2006157084A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212823B1 (ko) 블록화 현상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