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497A -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 Google Patents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497A
KR20030013497A KR1020030002596A KR20030002596A KR20030013497A KR 20030013497 A KR20030013497 A KR 20030013497A KR 1020030002596 A KR1020030002596 A KR 1020030002596A KR 20030002596 A KR20030002596 A KR 20030002596A KR 20030013497 A KR20030013497 A KR 2003001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ody portion
pipe
coupled
trip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977B1 (ko
Inventor
송기종
Original Assignee
송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종 filed Critical 송기종
Priority to KR10-2003-000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9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중지지력이 강해 변형이 적으며 유연성 및 탄력성이 좋아 금이 쉽게 가지 않는 3중벽관을 다른 하수관과의 연결시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삽입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플랜지를 연결하여 관과 관을 결합함으로서 결합력이 뛰어나 누수가 방지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PE와 EVA(에틸렌 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및 강철핀(7)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된 2중벽관(8)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용수철(5)이나 용접철망을 감은 후 PE을 융착접합시켜 제1 3중벽관(1) 및 제2 3중벽관(2)을 제조하고, 상기 제1 3중벽관(1)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1플랜지(3)와, 상기 제2 3중벽관(2)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2플랜지(4)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A threefolded-drain pipe which was combined by Flange}
본 발명은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E와 EVA 및 강철핀을 혼합 후 압출 성형하여 2중벽관을 제조하고, 상기 2중벽관에 다시 용수철이나 용접철망을 감은 후 PE를 융착접착하여 제조된 3중벽관과, 상기 3중벽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돌출부와 삽입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강철핀과 용수철 및 용접철망에 의해 하중에 대한 변형이 적고 지지력이 뛰어나며, 유연성이 뛰어나 동절기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플랜지의 내부에 다수개의 삽입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결합시 삽입홈과 돌출부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됨으로서 관의 접합시에 플랜지의 결착력이 좋아 물의 누수를 방지하고 관의 접합이 간단하여 노무자의 피로가 덜하여 노무비가 절감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아연도금강판을 소재로 하는 파형강관과 PE소재의 이중벽관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이중벽관은 시공시 이중벽관의 관결합을 위해 결합부위에 해당되는 두개의 이중벽관의 양단에 플랜지를 결합한 뒤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플랜지는 내부에 원형의 돌출부와 삽입홈이 없고 단순히 접합면을 맞대어 볼트로 조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질시 접합면으로 누수가 되거나 절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하수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연결되어지는 2개관의 연결부에 열선이 깔린 접합시트를 감은 후 접합시트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융착되도록 하였으나 상기의 방법은 전기 융착기를 시공현장에 준비하고 있거나 자가 발전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전기가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시공현장이 우천이나 다습한 곳 또는 영하의 날씨 등 기후의 심한 경우에는 감전의 위험성이 많고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작업공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PE만으로 하수관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하수관에 하중에 강하지 못하여 변형이 쉽게 생기고, 유연성이 적어 특히 동절기 작업시 관을 운반시나 관에 충격이 가해질시에 크랙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PE와 EVA(에틸렌 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및 강철핀을 혼합하여 2중벽관을 제조하고, 상기 2중벽관에 다시 용수철이나 용접철망을 감은 후 PE를 융착접착함으로서 강철핀과 용수철 및 용접철망에 의해 하중에 대한 변형이 적고 지지력이 뛰어나며, 유연성이 좋아 동절기에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상기 3중벽관에 결합되는 플랜지의내부에 다수개의 삽입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삽입홈과 돌출부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로서 플랜지 결착력이 좋아 물의 누수가 없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노무자의 피로가 덜하고 노무비가 절감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을 제공함을 목적을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하여 PE(Polyethylene;폴리에틸렌)와,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및 강철핀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된 하수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용수철이나 용접철망을 감아 PE을 융착접합시킨 제1 3중벽관 및 제2 3중벽관과, 상기 제1 3중벽관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2 3중벽관에 끝단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2중벽관에 용수철을 감은 상태도,
도 2 은 본 발명의 결합전 일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3 는 본 발명의 결합전 타측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4 은 본 발명의 결합후의 정면도,
도 5 는 도 4의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3중벽관 (2) : 제2 3중벽관
(3) : 제1플랜지 (4) : 제2플랜지
(5) : 용수철 (6) : 고무패킹
(7) : 강철핀 (8) : 2중벽관
(9) : 볼트 (10) : 너트
(11) : 볼트결합부 (12) : 볼트홀
(13) : 제1삽입홈 (14) : 삽입걸림턱
(15) : 제1돌출부 (16) : 제2돌출부
(17) : 패킹홈 (18)(18′) : 몸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2중벽관에 용수철을 감은 상태도로서, PE와 EVA(에틸렌 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에 길이 1.5mm ~ 2mm, 두께 0.5mm ~ 1.0mm 의 강철핀(7)을 혼합하여 압출성형으로 2중벽관(8)을 제조하고, 상기 2중벽관(8)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용수철(5)을 감은 후 PE을 융착접합시켜 3중벽관을 제조하고 상기 용수철(5)을 용접철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2 은 본 발명의 결합전 일측에서 바라본 입체도이고, 도 3 는 본 발명의결합전 타측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며, 도 4 은 본 발명의 결합후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A-A의 단면도로서, 일정한 라인을 따라 배관되는 제1 3중벽관(1) 및 제2 3중벽관(2)과, 상기 제1 3중벽관(1)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제2 3중벽관(2)과 연결시켜주는 제1플랜지(3)와, 상기 제2 3중벽관(2)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제1 3중벽관(1)을 연결시켜주는 제2플랜지(4)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3)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경에 다수개의 볼트결합부(11)가 돌출된 몸체부(18)와, 상기 몸체부(18)에서 반경방향으로 제1삽입홈(13) 및 삽입걸림턱(14)이 몸체부(18)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4)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3)의 몸체부(18)와 대응되며 내부에 고무패킹(6)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외경에 제1플랜지(3)의 볼트결합부(1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볼트결합부(11)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부(18′)와, 상기 몸체부(18′)에서 반경방향으로 제1돌출부(15) 및 제2돌출부(16)가 연속되어 몸체부(18′)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플랜지(3)에 형성된 원형의 제1삽입홈(13)에 제2플랜지의(4)의 제1돌출부(15)가 삽입되고, 삽입걸림턱(14)에 제2플랜지(4)의 제2돌출부(16)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플랜지(3) 및 제2플랜지(4)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결합부(11)의 볼트홀(12)을 통해 볼트(9)를 삽입하여 너트(10)로 조여 고정시킴으로서몸체부 (18′)의 패킹홈(17)에 삽입된 고무패킹(6)이 압착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플랜지의 결합시 플랜지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삽입홈이 2중으로 겹쳐짐으로서 플랜지의 결착력이 좋아 누수를 방지하고, PE, EVA, 강철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압출성형하고 외주면에 용수철이나 용접철망을 감아 다시PE를 융착접착한 3중벽관을 배관하기 때문에 동절기 배관작업시 유연성이 좋아 쉽게 금이 가지 않으며, 외부충격 및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변형이 적고 지지력이 뛰어나며 플랜지의 조립이 간편하여 노무비가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하수관을 결합함에 있어서,
    PE와 EVA 및 강철핀(7)을 혼합하여 압출성형된 2중벽관(8)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용수철(5)을 감아 PE을 융착접합시킨 제1 3중벽관(1) 및 제2 3중벽관(2)과, 상기 제1 3중벽관(1)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1플랜지(3)와, 상기 제2 3중벽관(2)의 일측단에 결합된 제2플랜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3)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경에 다수개의 볼트결합부(11)가 돌출된 몸체부(18)와, 상기 몸 체부(18)에서 반경방향으로 제1삽입홈(13) 및 삽입걸림턱(14)이 몸체부(18)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랜지(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플랜지(3)의 몸체부(18)와 대응되며 내부에 형성된 패킹홈(17)에 고무패킹(6)이 삽입되고, 외경으로는 제1플랜지(3)의 볼트결합부(1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볼트결합부(11)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부(18′)와, 상기 몸체부(18′)에서 반경방향으로 제1돌출부(15) 및 제2돌출부(16)가 연속되어 몸체부(18′)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3)에 형성된 원형의 제1삽입홈(13)에 제2플랜지의(4)의 제1돌출부(15)가 삽입되고, 삽입걸림턱(14)에 제2플랜지(4)의 제2돌출부(16)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플랜지(3) 및 제2플랜지(4)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결합부(11)의 볼트홀(12)을 통해 볼트(9)를 삽입하여 너트(10)로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몸체부(18′)의 패킹홈(17)에 삽입된 고무패킹(6)이 압착되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2003-0002596A 2003-01-15 2003-01-15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053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96A KR100531977B1 (ko) 2003-01-15 2003-01-15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596A KR100531977B1 (ko) 2003-01-15 2003-01-15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497A true KR20030013497A (ko) 2003-02-14
KR100531977B1 KR100531977B1 (ko) 2005-11-30

Family

ID=2773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596A KR100531977B1 (ko) 2003-01-15 2003-01-15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42B1 (ko) * 2011-02-22 2011-04-04 최홍 관체 연결 장치
KR101887500B1 (ko) * 2017-11-14 2018-08-10 마선일 Xlpe 생산용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파이프라인
CN108980109A (zh) * 2018-08-29 2018-12-11 安徽中鼎胶管制品有限公司 一种快速装配涡轮增压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607B1 (ko) * 2005-12-13 2012-12-31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장치의 유체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42B1 (ko) * 2011-02-22 2011-04-04 최홍 관체 연결 장치
KR101887500B1 (ko) * 2017-11-14 2018-08-10 마선일 Xlpe 생산용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파이프라인
CN108980109A (zh) * 2018-08-29 2018-12-11 安徽中鼎胶管制品有限公司 一种快速装配涡轮增压管
CN108980109B (zh) * 2018-08-29 2024-04-12 安徽特思通管路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装配涡轮增压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1977B1 (ko)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2532A (zh) 聚乙烯塑钢缠绕排水管卡箍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CN212273294U (zh) 一种双壁整体式钢波纹管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CN217108574U (zh) 一种耐压性好的钢带增强管
CN214947189U (zh) 具有防脱落功能的管材连接装置
CN213839864U (zh) 一种防止连接处爆裂的pe给水管
CN111486276A (zh) 一种双壁整体式钢波纹管及其制作工艺
CN210372529U (zh) 哈夫节辅助防脱装置
CN215763782U (zh) 一种燃气长输管道防泄漏装置
KR101136912B1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64596B1 (ko) 금속 리브관 연결장치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CN210890452U (zh) 波纹管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CN215173168U (zh) 一种给排水pe管材高效连接结构
KR200389206Y1 (ko) 연결구가 양단에 구성된 관
CN216479418U (zh) 一种耐高温塑料管
CN219432658U (zh) 一种高强度的焊管
KR20140116768A (ko) 파이프형 플랜지
CN213655930U (zh) 一种带有连接头的聚乙烯hdpe钢带增强螺旋波纹管
CN215568763U (zh) 一种刚柔过盈配合的承插自密封管的连接结构
CN216078788U (zh) 一种承插式结构壁缠绕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