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838A -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838A
KR20030012838A KR1020020087960A KR20020087960A KR20030012838A KR 20030012838 A KR20030012838 A KR 20030012838A KR 1020020087960 A KR1020020087960 A KR 1020020087960A KR 20020087960 A KR20020087960 A KR 20020087960A KR 20030012838 A KR20030012838 A KR 2003001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terminal
imag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838A/ko
Publication of KR2003001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83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가지며, 화상 캡쳐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웹 네크워크를 가지고, 화상 캡쳐 및 문자 송수신 알고리즘이 구축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전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실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원격지에 위치된 컴퓨터 단말기와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와도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대방이 화상채팅 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노변에 설치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PICTURE-TELEPHONE CALL PICTURE-CHATTING SYSTEM USING OF A MULTI-FUNCTION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가지며, 화상 캡쳐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웹 네크워크를 가지고, 화상 캡쳐 및 문자 송수신 알고리즘이 구축된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노변에 각 지역단위별로 다수개 설치되어 대중들이 공중전화 전용카드나 현금을 투입하여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는 공중전화가 설치되어 있는 바, 최근에는 정보 통신분야의 기술적인 발전과 그에 따른 인프라 및 솔루션의 구축으로 인해 인터넷 통신이 대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통신은 대중적으로는 PC방의 개념으로, 각 지역단위별로 LAN망을 구축한 상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PC방은 온라인 게임 등과는 달리 인터넷의 사용시간이 많치 않거나, 노변에서 급하게 전자 메일 등을 확인해야할 경우에는 지역별로 방대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므로 PC방의 위치를 미리 인식하고 있는 않은 상태에서는 PC방을 이용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PC방의 경우에는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한 음성 통화가 불가능하며, 과금시에도 시간 단위로 정산이 이루어지고, 지불수단도 현금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일반 공중전화가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의 열람 및 그 처리를 위하여 원거리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과금 및 특정 계좌로의 전자 결제를 위해 다수의 금융서버(도시는 생략)와 함께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다양한 지불수단을 투입하여 사용요금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바, 예컨대 그 결제수단으로는 각종 전자화폐나 일반 공중전화카드, 교통카드,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현금 등으로 자유로운 사용요금의 지불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PSTN망을 통한 음성 통화에 대한 사용요금과 XDSL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의 사용요금은 각기 다른 사용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실시간 화상통화 서비스가 지원되며, 화상 전자메일의 작성 및 일반 메일의 작성과 그 전송이 가능하므로 노변에서 신속하게 메일 서비스를 이용해야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단말기 관리영역(4)이 구비되어 다지역에 분산 배설되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를 관리하는 바, 각각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는 고유의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이 가능하다. 즉, 제 1 가입자(12)가 특정 멀티미디어 공중 단말기에 위치한 상태에 제 2 가입자(14)가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인식하고 있는 경우라면 제 2 가입자(14)는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에 호접속하여 제 1 가입자(12)와 음성 통화 및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영역(6)이 구비되는 바,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 영역(6)은 상기 제 1 가입자(12)로부터 전송된 특정 데이터를 제 2 가입자(14)측으로 인터페이스 해야할 경우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인터넷 과금영역(8)이 구비되는 바, 그 인터넷 과금영역(8)은 PSTN망 교환기(16)측으로부터 인터넷 사용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해당 가입자의 인터넷 사용요금을 정산하여 그에 대한 과금을 행하는 영역이다.
또,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음성통화 과금영역(10)이 제공되는 바, 그 음성통화 과금영역(10)은 PSTN망 교환기(16)측으로부터 음성통화 사용시간 및 연결 지역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가입자의 음성통화 사용요금을 정산하여 그에 대한 과금을 행하는 영역이다.
도 2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은 다지역의 노변에 분산 배설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가 제공되는 바,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웹망을 매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관리서버(MPMS)에 접속되어 관리됨으로 인해 인터넷 작업 및 열람이 가능한 각종 데이터를 원거리에 이격된 특정 PC나 서버(S1)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다수의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서버(S1)에 접속하여 그 서버(S1)에 등록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실시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정보를 다시 웹망을 매개하여 해당 가입자의 이메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PSTN망을 매개하여 원거리에 이격된 각종 전화단말기(T1)와 음성 통화를 행할 수 있는 바, 이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의 기능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인터넷 통신과 음성통화시 각기 다른 망을 사용하므로, 상기 웹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도중에 PSTN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공중전화기 부스에 설치되어 가입자가 음성 통화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그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음성 통화와 더불어 화상 통화가 가능하며, 각 단말기마다 고유의 전화번호가 제공되어 외부 제 3자가 특정 지역의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인터넷 서핑 및 이메일 작성과 전송이 가능하며, 특히 화상 및 음성 이메일의 작성 및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한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외부가 사각의 전화 단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면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송수화기(20)가 설치되고, 그 전면 소정부에는 카드 및 주화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2, 24)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전면에 송수화 및 인터넷 통신의 각종 키조작을 위한 키조작버튼(26)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동전 배출구(2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전면 소정부에 음성 통화를 위한 다이얼버튼 및 인터넷 통신을 위한 각종 정보 출력을 행하는 터치 스크린(30)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통화자의 영상을 스캔하기 위한 웹 카메라(32)가 구비된다.
도 4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는 음성입력부, 카드인식부, 주화투입인식부, 키조작부, 웹카메라, 표시부, 표시구동부, 음성출력부, 음성출력구동부, 데이터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20a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음성입력부(예컨대,송화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b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예컨대, 수화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6은 상기 음성출력부(2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음성출력구동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2는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인터넷 통신시 각종 서버의 접속 및 정보열람, 특정 파일의 선택, 다운로드 등 키조작과, 음성 통화시 다이얼버튼 및 통화버튼의 키조작을 위한 키조작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2는 가입자의 동영상을 촬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웹카메라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표시부(30)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그 표시부(30)에서 선택한 각종 키입력신호가 상기 키조작부(26)의 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40은 전화 회로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인터넷 통신 프로그램 및 데이터 변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2는 각종 키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인터넷 통신 및 화상통신, 음성통화를 행하도록제어하고, 그 상태를 화면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의 화면(30)은 크게 키보드 출력 및 그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바, 그 상단 소정부에는 키보드 보기 버튼(50)이 구비되고, 검색 개시를 위한 검색버튼(52)이 구비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는 다종의 언어 지원이 가능한 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의 메인 화면(30)에는 언어 변경 또는 선택을 위한 언어변경버튼(54)이 구비되고, 인터넷 사용중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통화버튼(56)이 구비된다. 이때, 인터넷 사용중 상기 음성통화버튼(56)을 클릭하게 되면, 다이얼 입력창(70)이 팝업창의 형태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에는 음성통화를 위한 다이얼 호출버튼(60)이 개재된다. 또한, 화면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키(62)가 형성되는 바, 그 방향키(62)는 일반 컴퓨터 화면의 방향키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인 메인 화면(30)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클릭하여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공중 단말기(A1∼An)는 각 단말기 자체의 IP 어드레스와, 그 IP 어드레스 별 단말기 위치정보가 각각 연동되게 저장되어져 있다.
현재, 웹상에서 특정 지역을 입력하면 해당 지역에서 특정 업종에 대한 전화번호 및 그 약도가 출력되는 서비스가 실행중이긴 하나, 이러한 전화번호 및 약도서비스는 상당히 방대한 단위의 지역 정보가 출력되므로 그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쿠폰 정보 등을 업주가 개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지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 출력서비스만이 가능하므로, 자동 전화 연결 등의 서비스는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갖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가지며, 화상 캡쳐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웹 네크워크를 가지고, 화상 캡쳐 및 문자 송수신 알고리즘이 구축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2, 3, 4,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 및 그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D1∼MDn:멀티단말기, A1∼An:컴퓨터단말기,
100:교환기, 200:접속중계기,
300:중계기, 400:기지국,
M1∼Mn:모바일 단말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PSTN 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각종 웹 검색이 가능하고, 웹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캡쳐가 가능하여 화상 통화 및화상 채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이 구비된 다수의 멀티 단말기와; 복수개의 상기 멀티 단말기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기와; 화상 카메라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 및 웹폰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된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채팅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화상캡쳐를 행하면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와 화상데이터의 동기화 및 시분할처리, 각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유선망과 무선망을 접속시켜 음성 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중계하는 접속 중계기와; 상기 접속 중계기에 대해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 및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그 내부에 음성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화상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통화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더 포함되어 유무선망을 통한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 단말기는 그 내부에 각 멀티 단말기 및 컴퓨터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무선 이동통신망 및 데이터통신망, PSTN망을 통한 음성 데이터, 화상데이터, 문자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통신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와;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와;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와; 인터넷 통신시 각종 서버의 접속 및 정보열람, 특정 파일의 선택, 다운로드 등 키조작과, 음성 통화시 다이얼버튼 및 통화버튼의 키조작, 전화번호 및 지도검색, 다이렉트 콜 서비스를 위한 키조작을 행하는 키조작부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상기 멀티 단말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웹카메라와; 각 멀티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전화통화 알고리즘이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와; 화상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문자 데이터의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채팅 알고리즘과;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음성데이터의 동기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화상통화 알고리즘과; 각종 키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인터넷 통신 및 화상통신, 화상채팅을 행하도록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제어하고, 그 상태를 화면 표시되게 제어하며, 입력된 문자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음성데이터와 동기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저가 멀티 단말기를 통해, 화상통화, 화상채팅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화상통화 선택에 따라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는 과정과; 입력된 입력데이터와 동기화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화상채팅 선택에 따라 유저에게 다수의 화상채팅 URL을 출력시키는 과정과; 유저가 선택한 화상채팅 URL에 접속하는 과정과;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는 과정과; 유저가 입력한 문자데이터를 화상데이터와 동기화처리하여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은 멀티 단말기(MD1∼MDn)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MD1∼MDn)는 멀티 태스킹 구조(Multi-Tasking Structure)를 갖도록 구성되며, 웹검색 메뉴에 적용되는 데이터통신에 무관하게 PSTN망을 통한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MD1∼MDn)는 웹카메라를 통한 화상 캡쳐와 그 화상데이터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도중,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MD1∼MDn)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일반 검색은 물론이고, PSTN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와 동시에 웹검색, 화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네크워크를 가지며, 화상 캡쳐와 동시에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웹 네크워크를 가지고, 화상 캡쳐 및 문자 송/수신 알고리즘이구축되어 음성통화와 동시에 화상채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MD1∼MDn)의 내부에 화상채팅을 위한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으므로 유저는 그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화상채팅을 실행하거나, 웹검색을 통해 검색된 다수의 화상채팅 사이트에 억세스하여 화상 채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를 이용하여 화상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M1∼Mn)와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원격지에 위치된 다른 멀티 단말기(MD1∼MDn)와 화상 통화 및 화상채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된 유저의 컴퓨터 단말기(A1∼An)와 웹폰을 통해 화상통화를 행하거나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MD1∼MDn)는 원격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M1∼Mn)와 화상통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는 PSTN 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각종 웹 검색이 가능하고, 웹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캡쳐가 가능하여 화상 통화 및 화상 채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이 구비된 다수의 멀티 단말기(MD1∼MDn)와; 복수개의 멀티 단말기(MD1∼MDn)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기(10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상채팅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화상캡쳐를 행하면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와 화상데이터의 동기화 및 시분할처리를 행하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은 화상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M1∼Mn)와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는 바, 그 구성은 PSTN 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각종 웹 검색이 가능하고, 웹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캡쳐가 가능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이 구비된 다수의 멀티 단말기(MD1∼MDn)와; 유선망과 무선망을 접속시켜 음성 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중계하는 접속 중계기(200)와; 상기 접속 중계기(200)에 대해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300) 및 모바일 단말기(M1∼Mn)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400)과; 그 내부에 음성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화상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통화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M1∼Mn)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은 화상 카메라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 및 웹폰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된 컴퓨터 단말기(A1∼An)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각종 웹 검색이 가능하고, 웹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캡쳐가 가능하여 화상 통화 및 화상 채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이 구비된 멀티 단말기(MD1∼MDn)로 구성된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MD1∼MDn)의 전면부 화면(102)에는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통합 검색을 실행하는 창(10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창(104)에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어 입력란이 구비된다. 또한, 그 통합 검색창(104)의 하단에는 유저의 진위를 인증하기 위한 ID 및 패스워드 입력란(106)이 구비되어져 있다.
ID 및 패스워드 입력란(106)의 하부에는 일반 전화통화를 행하기 위한 일반 전화버튼(110) 및 화상채팅을 행하기 위한 화상채팅 버튼(112), 화상전화를 행하기 위한 화상전화 버튼(114)이 각각 구비된다.
도 7b는 유저가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메인 화면(102)에서 화상 채팅버튼(112) 및 화상 전화버튼(114)을 선택할 때 각각 출력되는 팝업창(120)(130)을 도시한 것으로, 화상 채팅화면(120)에는 상대방의 멀티 단말기(MD1∼MDn)의 상단에 구비된 화상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화상이 출력되는 화상출력란(122)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문자입력창(126)에 입력한 문자가 출력되는 문자 출력창(124)이 구비된다.
화상전화 화면(130)에는 입력한 상대 전화번호가 출력되는 출력란(132)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 상대방의 멀티 단말기(MD1∼MDn)의 상단에 구비된 화상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화상이 출력되는 화상출력란(134)이 구비되며,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창(136)이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및 화상채팅 시스템에 적용된 멀티 단말기(MD1∼MDn)는 각 멀티 단말기(MD1∼MDn) 및 컴퓨터 단말기(A1∼An), 모바일 단말기(M1∼Mn)와 연결된 무선 이동통신망 및 데이터통신망, PSTN망을 통한 음성 데이터, 화상데이터, 문자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통신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a, 20b는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2는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인터넷 통신시 각종 서버의 접속 및 정보열람, 특정 파일의 선택, 다운로드 등 키조작과, 음성 통화시 다이얼버튼 및 통화버튼의 키조작, 전화번호 및 지도검색, 다이렉트 콜 서비스를 위한 키조작을 행하는 키조작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8은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상단에 구비되어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웹카메라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2는 각 멀티 단말기(MD1∼MDn)의 위치정보 및 전화통화 알고리즘이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4는 화상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문자 데이터의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06은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음성데이터의 동기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화상통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2'는 각종 키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인터넷 통신 및 화상통신, 화상채팅을 행하도록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제어하고, 그 상태를 화면 표시되게 제어하며, 입력된 문자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음성데이터와 동기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유저가 주화 및 카드를 투입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이를 인식하여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제 1 단계: ST-1).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각종 버튼이 활성화된다(제 2 단계: ST-2).
버튼이 활성화되어 유저가 일반 검색을 선택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검색포탈에 억세스한다. 유저가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검색을 실행한다.
한편, 유저가 일반 통화를 선택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PSTN 망에 접속하고, 유저가 통화대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호접속을 시도하여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유저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저가 화상통화를 선택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PSTN 망에 접속하고, 유저의 화상을 화상카메라로 캡쳐하며 통화대상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호접속을 시도하여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양방의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화상데이터를 그 음성데이터와 동기화 처리한 상태로 송/수신한다.
또, 유저가 화상채팅을 선택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데이터통신망에 억세스하여 다수의 화상채팅 URL을 출력시킨다. 유저가 그 화상채팅 URL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URL에 접속을 시도하고, 유저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화상을 캡쳐한다. 그리고, 유저가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문자데이터가 화상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 처리한 상태에서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에 설치된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별도의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통하여 URL을 입력하지 않고 즉시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유저가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가입 회원인 경우에는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각 멀티 단말기(MD1∼MDn)에 기설치된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전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실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원격지에 위치된 컴퓨터 단말기와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와도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대방이 화상채팅 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노변에 설치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PSTN 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멀티 태스킹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각종 웹 검색이 가능하고, 웹카메라가 구비되어 화상 캡쳐가 가능하여 화상 통화 및 화상 채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이 구비된 다수의 멀티 단말기와;
    복수개의 상기 멀티 단말기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기와;
    화상 카메라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화상채팅 알고리즘 및 웹폰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된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채팅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화상캡쳐를 행하면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와 화상데이터의 동기화 및 시분할처리, 각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망과 무선망을 접속시켜 음성 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중계하는 접속 중계기와; 상기 접속 중계기에 대해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 및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매개하여 음성 및 화상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그 내부에 음성 송수신부가 구비되고, 화상카메라가구비되어 화상통화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더 포함되어 유무선망을 통한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단말기는 그 내부에 각 멀티 단말기 및 컴퓨터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된 무선 이동통신망 및 데이터통신망, PSTN망을 통한 음성 데이터, 화상데이터, 문자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통신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와;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와;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와; 인터넷 통신시 각종 서버의 접속 및 정보열람, 특정 파일의 선택, 다운로드 등 키조작과, 음성 통화시 다이얼버튼 및 통화버튼의 키조작, 전화번호 및 지도검색, 다이렉트 콜 서비스를 위한 키조작을 행하는 키조작부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상기 멀티 단말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웹카메라와; 각 멀티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전화통화 알고리즘이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와; 화상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문자 데이터의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채팅 알고리즘과;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및 화상/음성데이터의 동기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화상통화 알고리즘과; 각종 키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인터넷 통신 및 화상통신, 화상채팅을 행하도록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알고리즘을 제어하고, 그 상태를 화면 표시되게 제어하며, 입력된 문자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음성데이터와 동기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5. 유저가 멀티 단말기를 통해, 화상통화, 화상채팅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화상통화 선택에 따라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는 과정과;
    입력된 입력데이터와 동기화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화상채팅 선택에 따라 유저에게 다수의 화상채팅 URL을 출력시키는 과정과;
    유저가 선택한 화상채팅 URL에 접속하는 과정과;
    유저의 화상을 캡쳐하는 과정과;
    유저가 입력한 문자데이터를 화상데이터와 동기화처리하여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방법.
KR1020020087960A 2002-12-31 2002-12-31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0012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960A KR20030012838A (ko) 2002-12-31 2002-12-31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960A KR20030012838A (ko) 2002-12-31 2002-12-31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838A true KR20030012838A (ko) 2003-02-12

Family

ID=2773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960A KR20030012838A (ko) 2002-12-31 2002-12-31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15B1 (ko) * 2007-04-26 201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채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15B1 (ko) * 2007-04-26 2014-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채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785C2 (ru) Интерфейсы услуг для телефонии
CN101543035B (zh) 通信网络订阅控制
KR20120040880A (ko) 휴대단말기의 지로요금 결제 장치 및 방법
JP2005259129A (ja) モバイル充電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877405B2 (ja) リングデータを用いたars連動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30040665A1 (en) Automatic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data network
KR20030011744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KR100425915B1 (ko)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12838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83690B1 (ko) 무선 랜망을 이용한 멀티 단말기 시스템
KR100507264B1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메일 및 동영상 메일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1134B1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통화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0007362A (ko) 화상통화 및 착신 기능을 갖는 멀티 단말기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WO2004049226A1 (en) Advertising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30013486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쌍방향 지도정보 출력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0012922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4477A (ko) 실시간 문자 송수신 및 사서함 기능을 가지는 전용단말기
KR20030013503A (ko) 단일 포탈 사이트에 대한 pc 쌍방향 접근성을 갖는 멀티단말기 시스템 및 그 웹브라우저 연동 제어방법
KR100357245B1 (ko) 광고를 이용한 무료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090002188A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연결 기능 수행 방법 및 비즈니스 모델
KR100248114B1 (ko) 제2 및 제3 기간 통신 사업자 및 재판매 사업자에 적합한 시내/시외/국제공중전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멀티미디어형 공중전화 단말기
KR20020048567A (ko) 공중전화를 통한 발신자 정보 전송 방법
KR20000013472A (ko) 인터넷겸용 공중전화기
KR100354446B1 (ko) 디지털 전화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20040045949A (ko) 다기능 공중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