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922A -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922A
KR20030012922A KR20030003019A KR20030003019A KR20030012922A KR 20030012922 A KR20030012922 A KR 20030012922A KR 20030003019 A KR20030003019 A KR 20030003019A KR 20030003019 A KR20030003019 A KR 20030003019A KR 20030012922 A KR20030012922 A KR 2003001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terminal
telephone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0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922A/ko
Publication of KR2003001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922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함으로써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저가 호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국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현지의 부가정보 및 현지 환율이 반영된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 및 지역단위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관련된 정보(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제 1∼제 N 멀티 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 및 호접속 대상국가의 전화 단말기에 대해 기링크되어 호접속시도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지역 교환기와; 상기 지역 교환기와 접속되어 공중전화망과 웹망을 접속시키거나, 공중전화망과 위성망을 접속시켜 호접속 데이터 전송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 교환기와; 복수국가의 지상 기지국인 상기 접속 교환기로부터 위성망 영역대의 국가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위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유저는 다양한 국가에 대한 국제전화 통화시 현지 정보가 출력되므로 편리하게 그 정보를 토대로 현지 상황을 인식한 상태에서 통화를 할수 있으며, 현재 투입한 카드 및 현금으로 각국 환율이 반영된 통화 가능시간이 화면 출력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 통화가 불가능한지를 미리 유저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MANY CALLING NATIONS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ING OF A MULTI-FUNCTION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함으로써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저가 호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국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현지의 부가정보 및 현지 환율이 반영된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노변에 각 지역단위별로 다수개 설치되어 대중들이 공중전화 전용카드나 현금을 투입하여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는 공중전화가 설치되어 있는 바, 최근에는 정보 통신분야의 기술적인 발전과 그에 따른 인프라 및 솔루션의 구축으로 인해 인터넷 통신이 대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통신은 대중적으로는 PC방의 개념으로, 각 지역단위별로 LAN망을 구축한 상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PC방은 온라인 게임 등과는 달리 인터넷의 사용시간이 많치 않거나, 노변에서 급하게 전자 메일 등을 확인해야할 경우에는 지역별로 방대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므로 PC방의 위치를 미리 인식하고 있는 않은 상태에서는 PC방을 이용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PC방의 경우에는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한 음성 통화가 불가능하며, 과금시에도 시간 단위로 정산이 이루어지고, 지불수단도 현금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일반 공중전화가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의 열람 및 그 처리를 위하여 원거리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과금 및 특정 계좌로의 전자 결제를 위해 다수의 금융서버(도시는 생략)와 함께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다양한 지불수단을 투입하여 사용요금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바, 예컨대 그 결제수단으로는 각종 전자화폐나 일반 공중전화카드, 교통카드,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현금 등으로 자유로운 사용요금의 지불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PSTN망을 통한 음성 통화에 대한 사용요금과 XDSL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의 사용요금은 각기 다른 사용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실시간 화상통화 서비스가 지원되며, 화상 전자메일의 작성 및 일반 메일의 작성과 그 전송이 가능하므로 노변에서 신속하게 메일 서비스를 이용해야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단말기관리영역(4)이 구비되어 다지역에 분산 배설되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를 관리하는 바, 각각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는 고유의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이 가능하다. 즉, 제 1 가입자(12)가 특정 멀티미디어 공중 단말기에 위치한 상태에 제 2 가입자(14)가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인식하고 있는 경우라면 제 2 가입자(14)는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에 호접속하여 제 1 가입자(12)와 음성 통화 및 화상통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영역(6)이 구비되는 바,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 영역(6)은 상기 제 1 가입자(12)로부터 전송된 특정 데이터를 제 2 가입자(14)측으로 인터페이스 해야할 경우에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인터넷 과금영역(8)이 구비되는 바, 그 인터넷 과금영역(8)은 PSTN망 교환기(16)측으로부터 인터넷 사용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해당 가입자의 인터넷 사용요금을 정산하여 그에 대한 과금을 행하는 영역이다.
또,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2)은 그 내부에 음성통화 과금영역(10)이 제공되는 바, 그 음성통화 과금영역(10)은 PSTN망 교환기(16)측으로부터 음성통화 사용시간 및 연결 지역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가입자의 음성통화 사용요금을 정산하여 그에 대한 과금을 행하는 영역이다.
도 2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은 다지역의 노변에 분산 배설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가 제공되는 바, 그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웹망을 매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관리서버(MPMS)에 접속되어 관리됨으로 인해 인터넷 작업 및 열람이 가능한 각종 데이터를 원거리에 이격된 특정 PC나 서버(S1)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다수의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서버(S1)에 접속하여 그 서버(S1)에 등록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실시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된 정보를 다시 웹망을 매개하여 해당 가입자의 이메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PSTN망을 매개하여 원거리에 이격된 각종 전화단말기(T1)와 음성 통화를 행할 수 있는 바, 이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의 기능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1∼An)는 인터넷 통신과 음성통화시 각기 다른 망을 사용하므로, 상기 웹망을 통한 인터넷 통신도중에 PSTN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공중전화기 부스에 설치되어 가입자가 음성 통화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그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음성 통화와 더불어 화상 통화가 가능하며, 각 단말기마다 고유의 전화번호가 제공되어 외부 제 3자가 특정 지역의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인터넷 서핑 및 이메일 작성과 전송이 가능하며, 특히 화상 및 음성 이메일의 작성 및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한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외부가 사각의 전화 단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면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송수화기(20)가 설치되고, 그 전면 소정부에는 카드 및 주화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2, 24)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전면에 송수화 및 인터넷 통신의 각종 키조작을 위한 키조작버튼(26)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동전 배출구(2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전화 단말기(A)는 그 전면 소정부에 음성 통화를 위한 다이얼버튼 및 인터넷 통신을 위한 각종 정보 출력을 행하는 터치 스크린(30)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통화자의 영상을 스캔하기 위한 웹 카메라(32)가 구비된다.
도 4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는 음성입력부, 카드인식부, 주화투입인식부, 키조작부, 웹카메라, 표시부, 표시구동부, 음성출력부, 음성출력구동부, 데이터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20a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는 음성입력부(예컨대, 송화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b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예컨대, 수화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6은 상기 음성출력부(20b)를 구동시키기위한 음성출력구동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2는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6은 인터넷 통신시 각종 서버의 접속 및 정보열람, 특정 파일의 선택, 다운로드 등 키조작과, 음성 통화시 다이얼버튼 및 통화버튼의 키조작을 위한 키조작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2는 가입자의 동영상을 촬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웹카메라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표시부(30)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그 표시부(30)에서 선택한 각종 키입력신호가 상기 키조작부(26)의 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40은 전화 회로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인터넷 통신 프로그램 및 데이터 변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2는 각종 키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인터넷 통신 및 화상통신, 음성통화를 행하도록 제어하고, 그 상태를 화면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의 화면(30)은 크게 키보드 출력 및 그 키보드를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바, 그 상단 소정부에는 키보드 보기 버튼(50)이 구비되고, 검색 개시를 위한 검색버튼(52)이 구비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는 다종의 언어 지원이 가능한 바,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의 메인 화면(30)에는 언어 변경 또는 선택을 위한 언어변경버튼(54)이 구비되고, 인터넷 사용중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통화버튼(56)이 구비된다. 이때, 인터넷 사용중 상기 음성통화버튼(56)을 클릭하게 되면, 다이얼 입력창(70)이 팝업창의 형태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A)에는 음성통화를 위한 다이얼 호출버튼(60)이 개재된다. 또한, 화면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키(62)가 형성되는 바, 그 방향키(62)는 일반 컴퓨터 화면의 방향키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인 메인 화면(30)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클릭하여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공중 단말기(A1∼An)는 각 단말기 자체의 IP 어드레스와, 그 IP 어드레스 별 단말기 위치정보가 각각 연동되게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멀티 단말기는 일반 공중전화 단말기와 동일하게 현지의 접속 교환기 및 지역 교환기를 매개하여 다국의 전화 단말기와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 단말기는 호접속된 현지의 부가정보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지 시간정보나 환율정보, 현지 전화이용 요금 등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멀티 단말기는 유저가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국제전화를 시도할 경우, 현지 전화요금이 반영된 잔액이 국내 환율로 환산되어 표시되지 않고, 현재 잔액으로 이용 가능한 금액이 별도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어느 정보의 잔액으로 어느 정보의 통화를 할 수 있는 지 사용자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통화중 잔액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화가 끊기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함으로써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저가 호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국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현지의 부가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하고, 국내와 호접속 대상국과의 환율 연산을 통한 잔액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잔액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잔액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통화할 수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2, 3, 4,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 및 그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멀티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멀티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D1∼MDn:멀티단말기, C1∼Cn:현지전화단말기,
LD1, LD2:지역교환기, CD1, CD2:접속교환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 및 지역단위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관련된 정보(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제 1∼제 N 멀티 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 및 호접속 대상국가의 전화 단말기에 대해 기링크되어 호접속시도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지역 교환기와; 상기 지역 교환기와 접속되어 공중전화망과 웹망을 접속시키거나, 공중전화망과 위성망을 접속시켜 호접속 데이터 전송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 교환기와; 복수국가의 지상 기지국인 상기 접속 교환기로부터 위성망 영역대의 국가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위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는 유저가 접속 시도한 국가별 환율정보를 현재 잔액 데이터에 반영하고, 통화 가능시간을 연산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음성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송수화부와; 통화회로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와; 상기 전화망 제어부를 매개하여 전화망에 접속되어 통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DTMF 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 선로 정합부가 포함된 통화회로와;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와;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복조처리를 행하고, 해당 데이터의 수신상태를 체크하는 데이터통신망 제어부와; 국제 전화 국가선택 및 전화번호 키입력을 행하는 키조작부와; 유저가 입력한 국가선택키에 따라 해당 국가에 대한 호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국 호접속 정보DB와; 호접속 대상국가의 환율정보, 시간정보 등의 현지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 현지정보 DB와; 각 국가별 통화요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국 통화요금 DB와; 시간을 타이밍하는 타이머와; 각국의 현지 시간정보, 환율정보, 전화요금 정보 등 현지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키입력부로부터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국가의 현지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잔액 정보를 화면출력하고, 현지 전화요금으로 환산하여 그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연산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노변에 구비된 멀티 단말기가 각 국가별 정보를 데이터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에 유저가 주화 및 카드를 투입하면, 멀티 단말기는 이를 인식하여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의 각종 버튼이 활성화되는 과정과; 최초 입력한 카드 및 현금이 국내 최소 전화통화 가능한 잔액이 아닐 경우라면, 멀티 단말기가 스탠바이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하는 과정과; 버튼이 활성화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가 입력된 키신호를 분석하여 유저가 해외통화를 소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만약, 유저가 국내 통화를 소망하면 멀티 단말기는 국내 통화모드에서 통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과정과; 유저의 국적 선택신호, 지역정보,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가 해당 현지의 각종 정보(환율정보, 날씨, 현지시간, 현지 전화요금 등)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멀티 단말기가 해당 유저의 카드 및 현금의 잔액이 최소통화를 위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충분하지 않는 경우 사용 불가정보를 출력시키고,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과; 잔액이 충분한 경우에는 호접속을 시도하는 과정과; 현지 시간 정보 및 통화 개시시간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가 해당 현지의 환율정보를 통해 해당 유저의 카드나 현금 잔액을 현지 전화요금으로 연산하여 해당 유저의 잔액에 따른 현지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그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함으로써 멀티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저가 호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국가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현지의 부가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각 국가별 부가정보를 멀티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상시 갱신하여 구축하고, 국내와 호접속 대상국과의 환율 연산을 통한 잔액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잔액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잔액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통화할 수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MD1∼MDn)는 그 내부에 각 국가별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영역을 각 국가별로 할당한 상태에서, 기설정 정보의 갱신 상황발생시 해당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간정보 등 갱신이 불필요한 정보는 각 국가의 시차를 반영하여 미리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해당 국가에 호접속을 시도하면 상시 해당 국가의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저장영역을 통해 상시 데이터 갱신을 실행하는 정보는 호접속 대상국가의 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 국내 전화요금 및 현지 전화요금이 반영된 잔액으로 사용가능한 통화시간정보 등이다.
이때,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에는 각국의 환율정보가 등록되어져 있으며, 그 환율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국내 전화요금이 포함된 현지 전화요금을 국내요금으로 변환함으로써 유저의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을 연산한다. 그리고, 유저가 확인 가능하도록 화면에 현재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국제 전화 통화시간 정보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화면에 출력된 통화가능 시간정보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 여유가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 및 지역단위로 분석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연산하여 화면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 및 지역단위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관련된 정보(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를 추출하고 이를 현재 잔액 데이터에 반영 연산하여 해당 잔액으로 통화가능한 시간정보를 화면 출력시키는 제 1∼제 N 멀티 단말기(MD1∼MDn)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MD1∼MDn) 및 호접속 대상국가의 전화 단말기(C1∼Cn)에 대해 기링크되어 호접속시도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지역 교환기(LD1, LD2)가 제공된다. 또, 상기 지역 교환기(LD1, LD2)와 접속되어 공중전화망과 웹망을 접속시켜 호접속 데이터 전송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 교환기(CD1, CD2)가 제공된다.
복수국가의 지상 기지국인 상기 접속 교환기(CD1, CD2)로부터 위성망 영역대의 국가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위성(100)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멀티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그 내부에 각 국가별 정보(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를 저장하고, 그 정보로부터 현재 잔액을 통화 가능한 시간으로 연산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되어져 있다.
이러한 멀티 단말기(MD1∼MDn)는 그 화면(102)에 통합검색을 위한 검색란(104)과 검색버튼(106)이 구비되어져 있고,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란(108)이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그 하부에는 국제전화를 위한 전화통화창(110)이 출력되는 바, 그 전화통화창(110)에는 국적은 선택하는 국적 선택란(112)과, 나머지 지역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입력란(114)과, 전화번호 입력후 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통화버튼(116)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텐-키버튼(118)이 구비되며, 유저가 상기 국적 선택란(112)을 통해 선택한 국적에 대한 각종 정보 즉, 환율정보(124), 시간정보(122), 현지 전화요금 정보(126), 잔액정보(128), 현지 전화요금이 반영된 통화 가능시간정보(130)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창(120)이 구비되어져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멀티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은 그 내부에 송/수화부, 전화망 제어부, 통화회로, 카드인식부, 주화투입 인식부, 데이터통신망 제어부, 키조작부, 표시부, 표시구동부, 다국 호접속정보 DB, 다국 현지정보DB, 다국 통화요금 DB, 제어부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20a, 20b는 음성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송수화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40은 통화회로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42는 상기 전화망 제어부(140)를 매개하여 전화망에 접속되어 통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DTMF 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 선로 정합부가 포함된 통화회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4는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44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복조처리를 행하고, 해당 데이터의 수신상태를 체크하는 데이터통신망 제어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46은 국제 전화 국가선택 및 전화번호 키입력을 행하는 키조작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48은 유저가 입력한 국가선택키에 따라 해당 국가에 대한 호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국 호접속 정보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50은 호접속 대상국가의 환율정보, 시간정보 등의 현지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 현지정보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52는 각 국가별 통화요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국 통화요금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2a는 시간을 타이밍하는 타이머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2'는 각국의 현지 시간정보, 환율정보, 전화요금 정보 등 현지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키입력부로부터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국가의 현지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잔액 정보를 화면출력하고, 현지 전화요금으로 환산하여 그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연산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유저가 주화 및 카드를 투입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이를 인식하여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제 1 단계: ST-1).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의 각종 버튼이 활성화된다(제 3 단계: ST-3). 최초 입력한 카드 및 현금이 국내 최소 전화통화 가능한 잔액이 아닐 경우라면, 멀티 단말기(MD1∼MDn)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된다(제 2 단계: ST-2).
버튼이 활성화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MD1∼MDn)는 입력된 키신호를 분석하여 유저가 해외통화를 소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4 단계: ST-4). 만약, 유저가 국내 통화를 소망하면 멀티 단말기(MD1∼MDn)는 국내 통화모드에서 통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제 5 단계: ST-5).
또한, 유저가 해외통화를 소망하는 키신호가 인가되고, 국적 선택신호, 지역정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제 6 단계: ST-6),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현지의 각종 정보(환율정보, 날씨, 현지시간, 현지 전화요금 등)를 화면 출력시키고, 환율을 연산한다(제 7 단계: ST-7).
그리고,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유저의 카드 및 현금의 잔액이 최소통화를 위해 충분한지를 판단하여(제 8 단계: ST-8), 충분하지 않는 경우 사용 불가정보를 출력시키고,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 잔액이 충분한 경우에는 호접속을 시도하고(제 10 단계: ST-10), 현지 시간 정보 및 통화 개시시간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제 11 단계: ST-11).
통화가 시작되면(제 12 단계: ST-12), 멀티 단말기(MD1∼MDn)는 해당 현지의 환율정보를 통해 해당 유저의 카드나 현금 잔액을 현지 전화요금으로 연산하여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그 정보를 화면 출력시킨다(제 13 단계: ST-13). 그리고, 멀티 단말기(MD1∼MDn)는 유저가 통화 종료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14 단계: ST-14).
따라서, 유저는 다양한 국가에 대한 국제전화 통화시 현지 정보가 출력되므로 편리하게 그 정보를 토대로 현지 상황을 인식한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현재 투입한 카드 및 현금으로 각국 환율이 반영된 통화 가능시간이 화면 출력되게되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 통화가 불가능한지를 미리 유저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은 유저는 다양한 국가에 대한 국제전화 통화시 현지 정보가 출력되므로 편리하게 그 정보를 토대로 현지 상황을 인식한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현재 투입한 카드 및 현금으로 각국 환율이 반영된 통화 가능시간이 화면 출력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된 후 통화가 불가능한지를 미리 유저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 및 지역단위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관련된 정보(환율정보, 날씨정보, 특정 뉴스, 도수당 현지 전화요금)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제 1∼제 N 멀티 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 및 호접속 대상국가의 전화 단말기에 대해 기링크되어 호접속시도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지역 교환기와;
    상기 지역 교환기와 접속되어 공중전화망과 웹망을 접속시키거나, 공중전화망과 위성망을 접속시켜 호접속 데이터 전송 및 음성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 교환기와;
    복수국가의 지상 기지국인 상기 접속 교환기로부터 위성망 영역대의 국가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위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는 유저가 접속 시도한 국가별 환율정보를 현재 잔액 데이터에 반영하고, 통화 가능시간을 연산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N 멀티 단말기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음성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송수화부와; 통화회로와 전화망을 인터페이스하는 전화망 제어부와; 상기 전화망 제어부를 매개하여 전화망에 접속되어 통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DTMF 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 선로 정합부가 포함된 통화회로와; 인터넷 및 음성통화의 사용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지불수단의 하나로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부와; 주화 투입시 투입된 주화의 불량여부와 액수를 인식하기 위한 주화투입인식부와; 각종 정보의 출력 및 통화버튼 표시창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4는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변/복조처리를 행하고, 해당 데이터의 수신상태를 체크하는 데이터통신망 제어부와; 국제 전화 국가선택 및 전화번호 키입력을 행하는 키조작부와; 유저가 입력한 국가선택키에 따라 해당 국가에 대한 호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국 호접속 정보DB와; 호접속 대상국가의 환율정보, 시간정보 등의 현지 정보를 저장하는 다국 현지정보 DB와; 각 국가별 통화요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국 통화요금 DB와; 시간을 타이밍하는 타이머와; 각국의 현지 시간정보, 환율정보, 전화요금 정보 등 현지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키입력부로부터 국제전화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국가의 현지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잔액 정보를 화면출력하고, 현지 전화요금으로 환산하여 그 잔액으로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연산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4. 노변에 구비된 멀티 단말기가 각 국가별 정보를 데이터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에 유저가 주화 및 카드를 투입하면, 멀티 단말기는 이를 인식하여 정보 이용 가능한 잔여 금액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의 각종 버튼이 활성화되는 과정과;
    최초 입력한 카드 및 현금이 국내 최소 전화통화 가능한 잔액이 아닐 경우라면, 멀티 단말기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하는 과정과;
    버튼이 활성화되면, 상기 멀티 단말기가 입력된 키신호를 분석하여 유저가 해외통화를 소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만약, 유저가 국내 통화를 소망하면 멀티 단말기는 국내 통화모드에서 통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과정과;
    유저의 국적 선택신호, 지역정보,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가 해당 현지의 각종 정보(환율정보, 날씨, 현지시간, 현지 전화요금 등)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멀티 단말기가 해당 유저의 카드 및 현금의 잔액이 최소통화를 위해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충분하지 않는 경우 사용 불가정보를 출력시키고,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과; 잔액이 충분한 경우에는 호접속을 시도하는 과정과; 현지 시간 정보 및 통화 개시시간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 단말기가 해당 현지의 환율정보를 통해 해당 유저의 카드나 현금 잔액을현지 전화요금으로 연산하여 해당 유저의 잔액에 따른 현지 통화 가능한 시간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그 정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방법.
KR20030003019A 2003-01-16 2003-01-16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2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3019A KR20030012922A (ko) 2003-01-16 2003-01-16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3019A KR20030012922A (ko) 2003-01-16 2003-01-16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22A true KR20030012922A (ko) 2003-02-12

Family

ID=2773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3019A KR20030012922A (ko) 2003-01-16 2003-01-16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72B1 (ko) * 2006-01-20 2007-08-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수의 입력창을 이용한 국제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72B1 (ko) * 2006-01-20 2007-08-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수의 입력창을 이용한 국제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3035B (zh) 通信网络订阅控制
JP3472309B2 (ja) データカードに対して金額をチャージないし追加チャージする方法
US7945033B2 (en) Prepaid calling time process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e-paid calling time in a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5359643A (en) Telecommunications device with simplified calling procedures
EP1245014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emotely effectuating a transaction service
KR100425915B1 (ko) 멀티미디어 공중단말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12922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다국 전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1134B1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통화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07264B1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메일 및 동영상 메일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3486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쌍방향 지도정보 출력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30014B1 (ko) 웹투폰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7362A (ko) 화상통화 및 착신 기능을 갖는 멀티 단말기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KR100483690B1 (ko) 무선 랜망을 이용한 멀티 단말기 시스템
KR20030012838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및 화상채팅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248114B1 (ko) 제2 및 제3 기간 통신 사업자 및 재판매 사업자에 적합한 시내/시외/국제공중전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멀티미디어형 공중전화 단말기
KR100919361B1 (ko) 로컬 광고 제공기능이 구비된 영상 공중전화 단말기
KR20090002188A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연결 기능 수행 방법 및 비즈니스 모델
JPH08191360A (ja) 無線電話端末の前払い課金方式
KR100432959B1 (ko) 국제 공중전화 서비스 시스템
KR20030010774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인 전용 여행상품 제공시스템및 그 방법
JP3135279U (ja) 即時支払い使用のip電話装置
KR20040045949A (ko) 다기능 공중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방법
KR20020069529A (ko) 공중전화망과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87876Y1 (ko) 카드지불방식 전화 자동접속 장치
KR20030013503A (ko) 단일 포탈 사이트에 대한 pc 쌍방향 접근성을 갖는 멀티단말기 시스템 및 그 웹브라우저 연동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