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484A -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484A
KR20030011484A KR1020010046973A KR20010046973A KR20030011484A KR 20030011484 A KR20030011484 A KR 20030011484A KR 1020010046973 A KR1020010046973 A KR 1020010046973A KR 20010046973 A KR20010046973 A KR 20010046973A KR 20030011484 A KR20030011484 A KR 2003001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plate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804B1 (ko
Inventor
윤영섭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8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는 각각 별도로 가공된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사판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제1사판부재의 구면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2사판부재의 구면의 내주면에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고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에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 사이에 구형 슬리이브를 배치시켜 둔 상태에서 그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를 상호 결합시켜서 사판을 구성하도록 하면 그 과정에서 구형 슬리이브가 아무런 저항 없이 쉽게 사판에 조립되게 된다.

Description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Swash plate assembly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사용되는 사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의구동축과 사판 사이에 결합되는 구형 슬리이브의 결합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시스템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압축기의 일례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압축기(1)는 소위 가변용량형 압축기로서, 구동축(2)과, 그 구동축(2)에 고정된 플레이트(3)와, 사판 조립체(4)와, 구동축(2)의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실린더실(11)과, 그 각 실린더실(11)에 수용된 피스톤(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3)에는 선단부에 장공(32)을 가지는 연결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사판 조립체(4)는 사판(41)과 구형 슬리이브(45)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기 사판(41)은, 상기 플레이트(3)의 연결부(31)에 형성된 장공(32)에 그 장공(3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411)를 통해서, 플레이트(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사판(41)은 상기 구형 슬리이브(45)를 사이에 두고 구동축(2)에 경사진 상태로 끼워지며 그 테두리부에 상기 각 피스톤(5)이 한 쌍의 반구형 베어링부재(6)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압축기(1)에 있어서, 구동축(2)이 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축(2)에 고정된 플레이트(3)와 그 플레이트(3)에 연결된 사판(41)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판(41)이 회전하면, 사판(41)의 경사방향이 바뀌게 되며 그에 따라 사판(41)의 테두리부에 베어링부재(6)를 통해 결합된 피스톤(5)은 실린더실(11) 내에서 왕복이동되면서 그 실린더실(11) 내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형 슬리이브(45)는 구동축(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형 슬리이브(45)가 상기 사판(41)에 대해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구형 슬리이브(45)와 사판(41)의 상호 결합되는 면 즉, 구형 슬리이브(45)의 외주면 및 사판(41)의 내주면은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랭크실(상기 사판(41)이 위치된 부분) 내의 압력과 상기 실린더실(11) 내의 압력의 차이 등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411)가 장공(31)내에서 이동됨과 동시에 구형 슬리이브(45)가 사판(41)과 구름접촉하는 상태로 구동축(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사판(41)의 경사각도가 달라지게 되며 그 결과, 피스톤(5)의 스트로크가 바뀌면서 압축기(1)의 용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형 슬리이브(45)와 사판(41)의 상호 결합되는 면이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판(41)에 결합된 구형 슬리이브(45)가 그 사판(4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41)의 양측면 쪽에서의 내주면의 반경(r1)은 구형 슬리이브(45)의 곡률반경(r0)보다 작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 사판 조립체(4)에 있어서는 사판(41)의 내주면 즉, 구형 슬리이브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이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판 조립체(4)를 구성하기 위한 작업 즉, 구형 슬리이브(45)의 곡률반경(r0)보다 작은 내경(r1)의 구멍을 통해 사판(41) 내의 공간으로 구형 슬리이브(45)를 끼워 넣기 위한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판과 구형 슬리이브의 조립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판 조립체를 채용한 압축기의 일례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판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 조립체를 채용한 압축기의 일례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판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판 조립체의 개략적 분리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압축기 2...구동축
5...피스톤 8...사판 조립체
80...사판 81...제1사판부재
82...제2사판부재 85...구형 슬리이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는, 압축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그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테두리부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피스톤들이 결합되는 사판과, 상기 구동축과 사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사판에 접촉되는 외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구형 슬리이브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사판은: 구면의 내주면을 가지는 제1사판부재; 및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구면의 내주면을 가지며, 그 내주면의 곡률중심을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곡률중심에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제1사판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사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며, 상기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 조립체를 채용한 압축기의 일례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판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판 조립체(8)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사판 조립체(4)와 마찬가지로, 압축기(100)의 구동축(2)에 설치되는 사판(80)과, 그 사판(80)과 구동축(2) 사이에 개재된 구형 슬리이브(8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사판(80)이 압축기(100)의 구동축(2)에 고정된 플레이트(3)와 연결되어 그 구동축(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된 점, 그 사판(80)의 테두리부에는 실린더실(11) 내의 냉매의 압축을 위한 피스톤(5)들이 결합되는 점과, 구형 슬리이브(85)와 사판(80)의 상호 결합면 즉 구형 슬리이브(85)의 외주면과 사판(80)의 내주면이 모두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등도 종래 사판 조립체(8)와 다를 바 없다. 도 3에서의 참조번호 32는 플레이트의 연결부(31)의 선단에 형성된 장공이며, 참조번호 821은 상기 장공(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이고, 참조번호 6은 사판(80)과 각 피스톤(5) 사이에 개재된 반구형의 베어링부재이다. 이 장공(32), 결합돌기(821), 베어링부재(6) 등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종래 압축기(1)에서 동일한 부재명칭을 갖는 부재들과 각각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사판 조립체(4)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사판 조립체(8)에 있어서는 사판(80)이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즉, 사판(80)은, 베어링부재(6)들을 통해 피스톤(5)과 결합되는 제1사판부재(81)와, 이 제1사판부재(81)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그 제1사판부재(81)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장공(821)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3)에 연결되는 제2사판부재(8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는 각각 구면으로 된 내주면(813, 823; 도 5 참조)을 가진다. 이러한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의 곡률반경(R1)과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의 곡률반경(R2)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사판부재(81)에는 암나사부(8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사판부재(82)에는 수나사부(825)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암나사부(815)와 수나사부(825)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의 곡률중심(C1)은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의 곡률중심(C2)과 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과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은 하나의 구면 상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큰 직경(D1)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은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큰 직경(D2)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의 가장 큰 직경(D1)과 제2사판부재(82)의 내주면(823)의 가장 큰 직경(D2)은 서로 동일하며 그 직경들(D1,D2)은 각각 제1사판부재(81)의 내주면(813)의 곡률반경(R1)의 2배인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직경(D1)과 직경(D2)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 사이에 구형 슬리이브(85)를 위치시켜 둔 상태에서 제1사판부재(81)를 제2사판부재(82)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접근시키면, 암나사부(815)와 수나사부(825)를 통해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사판(8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가 나사결합되면서 접근되는 과정에서 구형 슬리이브(85)의 일측단은 제1사판부재(81)에 그 내경이 가장 큰 부분으로부터 아무런 저항 없이 삽입되게 되며, 구형 슬리이브(85)의 타측단도 제2사판부재(82)에 그 내경이 가장 큰 부분으로부터 아무런 저항 없이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구형 슬리이브(85)는 양단이 각각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사판(80)과 구형 슬리이브(85)의 조립이 행해지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사판 조립체(8)에 있어서는 구형 슬리이브(85)를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 사이에 배치시켜 두고 그 제1사판부재(81)와 제2사판부재(82)를 상호 나사 결합시키기만 하면, 사판(80)의 조립 및 그 사판(80)과 구형 슬리이브(85)의 조립이 행해지게 되므로, 사판 조립체(8)의 전체적인 조립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사판부재(81)에 암나사부(815)가 형성되고 제2사판부재(82)에 수나사부(825)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상기 제1사판부재(81)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제2사판부재(82)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그 나사부들에 의해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에 나사부들을 형성하여 그 나사부들을 통해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대신에, 압입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결합방법에 의해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레이트(3)의 연결부(31)에 장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사판(80)에는 그 장공(3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821)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부분은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연결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사판에는 그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된 구성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사판과 플레이트가 상술한 결합돌기와 장공에 의해 연결되는 대신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는 각각 별도로 가공된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사판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제1사판부재의 구면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2사판부재의 구면의 내주면에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고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에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 사이에 구형 슬리이브를 배치시켜 둔 상태에서 그 제1사판부재와 제2사판부재를 상호 결합시켜서 사판을 구성하도록 하면 그 과정에서 구형 슬리이브가 아무런 저항 없이 쉽게 사판에 조립되게 된다.

Claims (1)

  1. 압축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그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테두리부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피스톤들이 결합되는 사판과, 상기 구동축과 사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사판에 접촉되는 외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구형 슬리이브를 포함하는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사판은:
    구면의 내주면을 가지는 제1사판부재; 및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구면의 내주면을 가지며, 그 내주면의 곡률중심을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곡률중심에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제1사판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2사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며, 상기 제2사판부재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1사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장 인접된 부분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KR1020010046973A 2001-08-03 2001-08-03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KR10073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973A KR100734804B1 (ko) 2001-08-03 2001-08-03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973A KR100734804B1 (ko) 2001-08-03 2001-08-03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484A true KR20030011484A (ko) 2003-02-11
KR100734804B1 KR100734804B1 (ko) 2007-07-03

Family

ID=2771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973A KR100734804B1 (ko) 2001-08-03 2001-08-03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8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670B2 (ja) * 1991-11-29 2000-07-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型揺動斜板式圧縮機
JP3609237B2 (ja) * 1997-06-16 2005-01-12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KR100222357B1 (ko) * 1997-08-16 1999-10-01 오오 노 하루 오 경사판 압축기용 피스톤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804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490B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driven by a linear motor
US5503038A (en) Free floating multiple eccentric device
JPH03242472A (ja) アキシヤルピストンポンプ装置
US8313310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US5292233A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S6238881A (ja) 回転するピストンを備えたピストンポンプ
KR100734804B1 (ko) 압축기용 사판 조립체
JP2002310061A (ja) 斜板式油圧作動装置および静油圧式無段変速機
US6557454B2 (en) Compressor pistons
US9046089B2 (en) Wobble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8997631B2 (en) Wobble plate-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10148180A (ja) 圧縮機におけるハウジングの連結構造
US20110070104A1 (en) Wobble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11247759A (ja) 圧縮機及び圧縮機のピストン組付方法
EP2525096A1 (en) Compressor
US6250648B1 (en) Gasket for sealing a refrigerant compressor
JPH1037848A (ja) アキシャルピストン型液圧装置
JP2006207500A (ja) リン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変容量圧縮機
US20110079139A1 (en) Wobble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180051682A1 (en) Wobble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521039Y2 (ja) 揺動シリンダ
JPH0531271Y2 (ko)
JP2508059B2 (ja) ピストンポンプまたはモ−タ
JPH01211668A (ja) 2シリンダー密閉型電動圧縮機
JPH0658178U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