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651A - 내열 플래이트 - Google Patents

내열 플래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651A
KR20030010651A KR1020027016309A KR20027016309A KR20030010651A KR 20030010651 A KR20030010651 A KR 20030010651A KR 1020027016309 A KR1020027016309 A KR 1020027016309A KR 20027016309 A KR20027016309 A KR 20027016309A KR 20030010651 A KR20030010651 A KR 2003001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quid metal
heat
heat resista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삐에르 빠뜨
쟝-마리제.에르.지. 앙드레
꺄를르지.엔. 꼴렝
Original Assignee
로터리 노즐 인터내셔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터리 노즐 인터내셔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로터리 노즐 인터내셔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1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22D41/30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 플래이트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열 플래이트는 특히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며 2개 이상의 영역, 즉
- 액상 금속이 통과할 수 있는 캐스팅 홀(3)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특히 액상 금속이 상기 캐스팅 홀(3)을 통해 흐르면서 닿는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을 견뎌낼 수 있도록 선택된 성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1)과,
- 특히 액상 금속의 흐름을 차단하는데 쓰이며 상기 통과영역(1)을 구성하는 성분과는 달리 액상금속의 흐름을 차단시켰을 때 해당 액상금속의 압박으로 발생하는 열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된 유량을 멈추고 조절하는 하나의 조작영역(2)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역들은 각각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통과영역(1)과 조작영역(2) 사이의 접합은 영역에 따라 미리 틀에 주입되는 혼합물들 즉, 하나 혹은 다수의 통과영역(1)을 구성하는 혼합물과 조작영역(2)을 구성하는 다른 혼합물을 동일 틀내에서 동시 프레싱하여 형성되며, 상기 동시 프레싱이 행해진 이후에는 열처리 강화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열 플래이트{Refractory Plate}
종래의 내열 플래이트는 사용에 따른 손상 형태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도의 파손이 나타났다.
- 캐스팅 홀 부위에서 방사상의 크래킹(cracking)과 입구의 심각한 침식이발견되었다.
- 차단 상태에서 플래이트는 용해된 금속과 수직으로 닿아있어 매우 강한 열충격을 받는다. 이는 표면 아래부분에 기계적 응력을 발생시켜 향후 비늘처럼 벗겨지는 손상을 초래한다.
그 결과 종래의 플래이트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 방사상 크래킹에 대한 저항력
- 침식 및 화학적 부식에 대한 저항력
- 열충격에 대한 저항력
- 비늘처럼 벗겨지는 손상에 대한 저항력
지금까지 플래이트 전 부분이 단일한 성분에 기초한 상태에서는 그 어떤 해결책도 기술적 경제적 측면을 완전하게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주조 판막용 플래이트에 여러 복합 재료가 필요하다는 점이 이미 몇몇 문서에서 언급되었다.
예를 들면, DE-A-1.935.424에서는 높은 공극율(50-60%)과 단열성을 지닌 내열 소재로 둘러싸인 플래이트를 갖춘 차단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EP-0832707에서는 금속제 용기의 유량 조절 장치에 사용되는 내열 플래이트에서 활강 표면의 마모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대안으로 고밀도의 마모층과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으로 구성된 다층 내열체를 기술하고 있다. 이 마모층과 다른 층의 두께 비율은 1:2 내지 1:5로 규정하고 있다.
DE-A-1.937.742에서 기술한 플래이트를 보면 고강도 금속재의 인서트(산화지르코늄 몰리브덴 합성물질)가 탄성 접착제로 플래이트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인서트와 맞물리는 홈을 갖는다. 이 인서트는 열전도율이 높아 용해된 금속의 흐름 차단시 금속이 응고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는 침식에 대한 저항력 면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서트 기술은 DE-A-3.614.730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열팽창을 대비한 틈 역할을 하는 모르타르가 있어서 플래이트의 기본 구조가 산화물 타입의 세라믹으로 된 인서트를 감싸고 받쳐준다.
반면 DE-A-2.719.105에서 세라믹 인서트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콘크리트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의 인서트와 접착 시멘트 혹은 모르타르의 구조에서는 플래이트 본체와 인서트 간의 경계면이 부식, 액상 금속의 침투, 공기 침투 문제 등의 원인이 되어 심각한 약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특히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장치에 사용되며 최소한 2개 이상의 영역, 즉
- 액상 금속이 통과할 수 있는 캐스팅 홀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특히 액상 금속이 상기 캐스팅 홀을 통해 흐르면서 닿는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을 견뎌낼 수 있도록 선택된 성분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
- 특히 액상 금속의 흐름을 차단하는데 쓰이며 상기 통과영역을 구성하는 성분과는 달리 액상금속의 흐름을 차단시켰을 때 해당 액상금속의 압박으로 발생하는 열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된 유량을 멈추고 조절하는 하나의 조작영역,
-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두 영역의 연결부(이 단일 조립체 내에서, 상기 조작영역에 전달되는 움직임은 일정하게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에 전달됨)
로 구성되는 내열 플래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플래이트를 구현한 한 형태로서, 2개의 통과영역이 조작영역에 둘러싸인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플래이트의 또 다른 구현 형태로서, 2개의 통과영역 사이에 조작영역이 접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플래이트의 또 다른 한가지 구현 형태로서, 일정 혼합물의 통과영역이 또 다른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작영역에 둘러싸인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그리고 이 방법을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기존 방식의 특성상 시간이 걸리며 시멘트와 모르타르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만 결국 기대되는 효과를 가져다 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래이트를 구성하는 모든 영역이 동시 제조되어 틈새가 없도록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플래이트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영역들은 각기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영역들을 결합시키는 접합은 동시 프레싱에 의하여 형성된다.동시 프레싱은 영역에 따라 미리 틀에 주입된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의 혼합물과 이와는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작영역의 혼합물을 동일한 틀에서 프레싱하는 것이다. 동시 프레싱 후에는 강화 열처리 작업이 뒤따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과영역은 내열 플래이트의 두께 전체에 걸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열 플래이트는 앞 뒷면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인서트식 플래이트에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내열 플래이트, 특히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는 내열 플래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즉, 상기 플래이트는 일정한 제 1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과 일정한 제 2 성분으로 이루어져 플래이트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조작영역의 적어도 두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들 영역은 플래이트 전체 두께 상에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각 영역의 형상에 맞게, 각 영역의 성분이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에 걸쳐 동일하도록, 먼저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1)의 일정량의 구성물을, 그 후 상기 조작영역(2)의 일정량의 구성물을 틀에 넣는 과정,
- 상기 틀내의 두가지 구성물을 동시 프레싱하여, 플래이트에 요구되는 형태와 밀도를 형성하는 과정,
- 프레싱된 플래이트를 강화 열처리하는 과정
위에서 언급한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이트는 상부 및/혹은 하부가 고정 상태로 또 하부 혹은 중간부분이 비고정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하의 청구항과 첨부된 도면에서 기술된다. 도면은 비한정적으로 플래이트와 그 제조 방법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여러 용어 중, '통과'와 '조작'등의 용어는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 않고, 기술한대로 완성한 형태에서 서로 다른 타입의 부분이라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했을 뿐이다.
도면에서 그림은 다르지만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한 혹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 플래이트는 통과영역(1)(이하 부위(1)이라 함)은 캐스팅 홀(3)이 구비되고, 액상금속과 그 광석 찌꺼기들의 흐름에 견딜 수 있도록 특수 고안된 성분을 갖는다. 용해된 금속의 지속적인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조작영역(2)(이하 본체(2)라 함)은 판으로 흐름을 차단했을 때에 초래되는 열충격을 견뎌내고, 예를 들어 내열 플래이트의 위치 및/혹은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통과영역(1)과 조작영역(2)은 모두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상에 연장된다.
상기 부위(1)는 산화 알루미늄, 뮬라이트(mullite), 산화지르코늄과 그 합성물류 계열에 속하는 최상질의 내열 입자와 흑연, 무연탄, 코크스, 탄소 검정등의 분할 탄소, 산화방지 물질과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다.
부위(1)에 굳게 결속해 있는 본체(2)는 주로 보크사이트, 홍주석, 카이아나이트, 샤모트(chamotte)와 같은 실리카 반토 계통에 속하는 내열 입자 및/혹은 재활용 공정, 특히 같은 주조 내열 플래이트의 재활용 공정에서 나온 내열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이 입자들은 탄소를 함유한 연결재로 둘러싸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부위(1)에서 입자결합을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연결재이다.
또 다른 형태로, 주조 조건과 금속 성질에 따라 부위(1)의 내열 입자는 최상질의 산화마그네슘 및/혹은 첨정석 MgO Al203, 분할 탄소, 산화방지 물질과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다. 본체(2)의 내열 입자는 부위(1)의 내열입자와 같은 계통에 속하나 그에 비해 정교함이 떨어지는 입자들 및/혹은 재처리 공정, 특히 같은 주조 내열 플래이트의 재처리 공정에서 나온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체(2)의 내열 입자들은 탄소를 함유한 연결재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부위(1)에서 입자 결합을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연결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조립체 형태의 내열 플래이트의 제조를 위해서는, 비록 부위(1)와 본체(2)가 각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성이 서로 다르다고 해도, 제조 차원에서 특히, 서로 다른 제조 단계(동시 프레싱, 건조, 가열)에서 동일하게 취급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해당 내열 플래이트의 두 구성부인 부위(1)와 본체(2)가 충분히 부착될 수 있고 단일 조립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특히, 부위(1)와 본체(2)에 적용되는 두 혼합물은 동시 프레싱을 성공시킬 수 있도록 상호 비슷한 압착 및 압축 강도를 지녀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체(2) 를 제작할 때에는 동일한 용도의 플래이트에서 나온 물질의 재처리 공정에서 파생되는 재활용 재료를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위(1)와 본체(2)를 구성하는 내열 입자를 결합시킬 때에도 동일 계통의 탄소 연결재, 즉 같은 열경화성 수지 혹은 유동학 및 열동력 차원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두 종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방식은 (한개 혹은 다수의)부위(1)와 본체(2) 사이의 구조상의 결합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부위(1)와 본체(2)는 처리 도중 서로 다른 화학적 외압 및 열 외압을 받으므로 각각의 외압에 맞는 산화방지물질 혹은 산화방지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이트 구성의 장점은 고도의 공정으로 제작된 산화방지 시스템으로 단지 실제 외력을 받는 부분만을 강화하므로 내열 플래이트의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아울러, 플래이트 전체 외형 및 캐스팅 홀(3)의 위치에 따라서 여러 성분으로 형성되는 플래이트 구성과는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위(1)가 본체(2)에 둘러싸인 형태(도 1) 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위(1)가 본체(2)에 접해있는 형태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캐스팅 홀(3)을 갖는 직선운동 플래이트의 경우 도3에서처럼 부위(1)가 둘러싸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면, 프레싱 작업에서, 그것이 수압압축를 사용한 것이든 마찰 압축를 사용한 것이든, 부위(1)와 본체(2)의 두 혼합물을 틀에 넣을 때 얇지만 단단한 도구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상기 부위(1)와 본체(2)의 경계를 지을 수 있다. 일단 두 혼합물이 각각의 홈에 배치되면 상기 도구를 프레싱 이전에 제거한다. 이는 부위(1)와 본체(2) 간의 경계면에 있어서 두 혼합물은 서로 긴밀하게 겹쳐 접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부위(1)와 본체(2)가 각기 따로 프레싱했을 때 만큼이나 양호한 물리적 성질(밀도와 공극률)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제품에서 일부 채취하여 현미경 검사와 굴곡 테스트를 거친 결과, 역학적으로 가장 약한 부분(경우에 따라 부위(1) 혹은 본체(2))에서 굴곡에 의한 파열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지라도 부위(1)와 본체(2) 사이의 경계면은 약점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요구되는 직경의 캐스팅 홀(3)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레싱에 상기 캐스팅 홀(3) 제조를 위한 심(core)을 이용하는 방식과 프레싱을 통해 제작된 부품의 속을 파내는 방식 두 가지가 가능하다.
심(core)을 이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 부위(1)에 사용되는 고급 혼합물의 양이 적게 들어간다.
- 차후 속을 파내는 작업이 따로 필요치 않으며 이 작업의 부작용으로 표면이 비늘처럼 벗겨지거나 떨어져 나갈 위험이 없다.
- 캐스팅 홀(3)을 이루는 내벽면의 표면 상태가 월등히 우수하며 작동 중 침식에 대한 저항력 면에서 더 유리하다.
일단 형을 뜨는 단계가 끝나면 부품들은 기존의 건조, 공기보호 가열(필요할 경우 차후의 역청침투)과 연마작업을 통해 완성된다.
본 발명은 단지 상기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위의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과영역(1)은 각각의 캐스팅 홀(3)에 주조 시스템과 접해 있는 내열 부품(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접합 및 중심결정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기술한다.
<실시예1 (도1)>
본 실시예는 두개의 캐스팅 홀(3)을 갖는 회전운동 주조 플래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캐스팅 홀(3)은 부위(1)에 하나씩 형성되고, 이 두개의 부위(1)는 본체(2)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부위(1) 제작을 위해 다음의 성분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 백강옥 1-3 mm : 35%
- 백강옥 < 1 mm : 40%
- 산화알루미늄 325 mesh : 15%
- 흑연 < 150 ㎛ : 5%
- 나머지는 열경화성 수지와 기존에 사용되었던 일체의 산화방지물질.
본체(2) 제작을 위해 다음의 성분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 홍주석 1-3 mm : 40%
- 홍주석 < 1 mm : 30%
- 홍주석 < 0.2 mm : 10%
- 고열 처리된calcine 산화알루미늄 325 mesh : 10%
- 흑연 < 150 ㎛ : 3%
- 나머지는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와 기존에 사용되었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산화방지물질.
부위(1)와 본체(2)는 수압압축에서 동시 프레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일 조립체의 플래이트는 상기 부위(1)와 본체(2)를 구성하는 동일평면상의 면들로 구성되는 서로 평행한 주요 면을 포함하게 된다. 건조와 공기보호 가열 작업을 마친 내열 플래이트는 부착상태와 작동 시 움직임 면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인다.
<실시예 2 (도 2)>
본 실시예에서는 부위(1)와 본체(2)의 조립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성분이 사용되지만, 부위(1)는 본체(2)에 접해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 조성에 따른 플래이트 역시 작동이 우수하다.
<실시예 3 (도 3)>
본 실시예에서는 부위(1)가 본체(2)에 둘러싸인 형태로 되어있는 선형 슬라이드 밸브용 내열 플래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위(1)와 본체(2)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들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 형태와 설계는 실시예 1 및 도 1과 같다. 하지만 이번에는 본체의 성분이 플래이트 재처리 공정에서 나온 입자로 구성되며 여기에 흑연 4%, 산화방지제 및 수지로 구성된 탄화 물질이 추가된다.
재활용 입자를 사용하는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플래이트의 부위(1)와 본체(2) 간의 일치 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알루미나산 칼슘 생성을 피해야 하는 특수 철강 주조에 필요한 플래이트로서 부위(1)의 주 성분 중, 골재와 섬세부분(총중량의 90%)은 마그네시아(산화마그네슘)로, 나머지는 흑연 형태의 탄소(5%), 수지 및 산화방지물질로 이루어진 플래이트로 되어 있다.
본체(2)는 재처리 공정에서 나온 마그네슘을 함유한 골재 (총중량의 75%),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고급 산화마그네슘 새 것(15%) 그리고 부위(1)에서 사용한것과 같은 탄소를 함유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주로, 구성성분은 서로 다르지만 도면에서 보이는 그림 방향에 따라 서로 접해 있는 영역의 차원에서 기술되었다.

Claims (15)

  1.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장치에 사용되며 2개 이상의 영역, 즉
    - 액상 금속이 통과할 수 있는 캐스팅 홀(3)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특히 액상 금속이 상기 캐스팅 홀(3)을 통해 흐르면서 닿는 부분에 작용하는 외력을 견뎌낼 수 있도록 선택된 성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1)과,
    - 특히 액상 금속의 흐름을 차단하는데 쓰이며 상기 통과영역(1)을 구성하는 성분과는 달리 액상금속의 흐름을 차단시켰을 때 해당 액상금속의 압박으로 발생하는 열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된 유량을 멈추고 조절하는 하나의 조작영역(2)과, 그리고
    - 하나의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두 영역의 접합
    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역들은 각각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통과영역(1)과 조작영역(2) 사이의 접합은 영역에 따라 미리 틀에 주입되는 혼합물들 즉, 하나 혹은 다수의 통과영역(1)을 구성하는 혼합물과 조작영역(2)을 구성하는 다른 혼합물을 동일 틀내에서 동시 프레싱하여 형성되며, 상기 동시 프레싱이 행해진 이후에는 열처리 강화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과 조작영역(2)은 구조상 서로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에 있는 하나 이상의 캐스팅 홀(3)은 상기 혼합물들을 동시 프레싱한 후 플래이트를 뚫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에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캐스팅 홀은 동시 프레싱 작업을 할때, 심(core)을 사용하여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은 상기 조작영역(2)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싸인 통과영역(1)은 여러 개의 캐스팅 홀(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1)과 조작영역(2)은 상호 접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은 상기 캐스팅 홀(3)에 주조 시스템에 인접한 내열 부품을 위한 접합 및 중심결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의 혼합물은
    - 산화 알루미늄, 뮬라이트(mullite), 산화지르코늄과 그 합성물류 계열에 속하는 최상질의 내열 입자와
    - 흑연, 무연탄, 코크스, 탄소 검정등의 분할 탄소,
    - 산화방지 물질과
    - 열경화성 수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영역(2)의 혼합물은
    - 보크사이트, 홍주석, 카이아나이트, 샤모트(chamotte)와 같은 실리카 반토 계통에 속하는 내열 입자
    - 전체 혹은 일부분이 상기 통과영역(1)에서 사용된 탄소 물질과 동일한 탄소 물질로 결합되어 있으면서 재활용 공정에서 나오는 내열 입자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영역(1)의 혼합물은 최상질의 산화마그네슘 및/혹은 첨정석 MgO Al203, 분할 탄소, 산화방지 물질과 열경화성 수지로 된 내열 입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영역(2)의 혼합물은 상기 통과영역(1)의 내열 입자와같은 계통에 속하나 그에 비해 정교함이 떨어지는 입자들로서,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통과영역(1)에서 입자 결합을 위해 사용된 연결재와 동일한 탄소 연결재로 결합되어 있으며 재활용 공정에서 나온 내열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
  12. - 각 영역의 형상에 맞게, 각 영역의 성분이 플래이트의 전체 두께에 걸쳐 동일하도록, 먼저 하나 이상의 통과 영역(1)의 일정량의 구성물을, 그 후 상기 조작영역(2)의 일정량의 구성물을 틀에 넣는 과정,
    - 상기 틀내의 두가지 구성물을 동시 프레싱하여, 플래이트에 요구되는 형태와 밀도를 형성하는 과정,
    - 프레싱된 플래이트를 강화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영역, 즉
    - 일정한 제 1 성분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과영역(1)과
    - 일정한 제 2 성분으로 이루어져 플래이트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작영역(2)으로 구성되는, 특히 용해된 액상 금속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는 내열 플래이트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 상기 두 구성물의 부가를 분리하기 위하여 틀내를 특정 구역에 간막이를형성하고,
    - 프레싱하기 전에 상기 간막이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의 제조 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싱을 마친 후 상기 플레이트를 뚫어 하나 이상의 캐스팅 홀(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의 제조 방법.
  15. 제 12항 혹은 제 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딩 심(core)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캐스팅 홀(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플래이트의 제조 방법.
KR1020027016309A 2000-05-29 2001-05-28 내열 플래이트 KR20030010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0/0356A BE1013540A3 (fr) 2000-05-29 2000-05-29 Plaque refractaire.
BE2000/0356 2000-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651A true KR20030010651A (ko) 2003-02-05

Family

ID=389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309A KR20030010651A (ko) 2000-05-29 2001-05-28 내열 플래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27780A1 (ko)
EP (1) EP1289695A1 (ko)
JP (1) JP2004515358A (ko)
KR (1) KR20030010651A (ko)
CN (1) CN1431943A (ko)
AU (1) AU2001261931A1 (ko)
BE (1) BE1013540A3 (ko)
BR (1) BR0111243A (ko)
WO (1) WO20010919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1B1 (ko) * 2001-12-21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래들용 알시카질 내화벽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371B2 (en) * 2013-03-21 2017-11-21 Krosakiharima Corporation Refractory material and casting nozzle
CN111883702B (zh) * 2019-05-03 2023-04-18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电池、电池盒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3965A (en) * 1969-06-25 1971-10-19 United States Steel Corp Operating and loading mechanism for slidable gates
GB2065278B (en) * 1979-12-14 1983-10-12 Flogates Ltd Composite moulded refractory articles amd their manufacture
GB2095612B (en) * 1981-04-01 1985-02-06 Thornton James Menzies A stopper for a foundry mould
GB2109099B (en) * 1981-11-05 1985-07-24 Glaverbel Composite refractory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GB8704764D0 (en) * 1987-02-28 1987-04-01 Thor Ceramics Ltd Tubular refractory product
US5335833A (en) * 1992-09-14 1994-08-09 Vesuvius Crucible Company Zirconia graphite slide gate plates
FR2721241B1 (fr) * 1994-06-15 1996-08-14 Vesuvius France Sa Busette de coulée comportant une chemise interne apte à former une couche imperméable au gaz et procédé de mise en Óoeuvre.
JPH11307633A (ja) * 1997-11-17 1999-11-05 Sony Corp 低誘電率膜を有す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963537A1 (en) * 1996-05-16 1999-12-15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mpany Co-molding process for producing refractory materials without firing or coking the refractory
DE19637960C2 (de) * 1996-09-18 1999-08-19 Didier Werke Ag Mehrschichtiger feuerfester Verschleißkör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1B1 (ko) * 2001-12-21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래들용 알시카질 내화벽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5358A (ja) 2004-05-27
BE1013540A3 (fr) 2002-03-05
BR0111243A (pt) 2003-06-03
US20030127780A1 (en) 2003-07-10
CN1431943A (zh) 2003-07-23
WO2001091950A1 (fr) 2001-12-06
EP1289695A1 (fr) 2003-03-12
AU2001261931A1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uthier Engineered materials handbook
CA2515337C (en) Crack-resistant dry refractory
US4323529A (en) Method for making a refractory article
US6893992B2 (en) Crack-resistant insulating dry refractory
US4182466A (en) Wear part for sliding gat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h wear parts and sliding gate with such wear parts
JP4856772B2 (ja) 高炉鋳床樋
KR20030010651A (ko) 내열 플래이트
JM et al. Thermomechanical behaviour of magnesia-carbon refractories
US8172114B2 (en) Refractory material for nozzle for use in continuous casting, and continuous casting nozzle
US6165926A (en) Castable refractory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refractory bodies
CN102941327B (zh) 柔性连铸水口及其制造方法
US4386765A (en) Composite moulded refractory articles
US5007615A (en) Refractory slide gate assembly and method
CN213687864U (zh) 一种高铝耐火砖
JP5134463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の中間層用の耐火物及び連続鋳造用ノズル
US455403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de gate
ITMI950206A1 (it) Massa ceramica refrattaria e suo impiego
RU2429941C1 (ru) Основ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шибера
JP5134464B2 (ja) 連続鋳造に使用するノズル用耐火物及び連続鋳造用ノズル
JP2010036229A (ja) 連続鋳造用ノズル
Katsavou et al. Investigation of the dependence of 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ment-bonded bauxite refractories on their process conditions
KR100411295B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
NZ200451A (en) Hydraulic refractory cementitious formulation
KR840001145B1 (ko) 복합내화제품 제조방법
Laurich-McIntyre Strengths of tabular alumina refractory aggreg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