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594A - Evaporator and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Evaporator and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594A
KR20030009594A KR1020010044105A KR20010044105A KR20030009594A KR 20030009594 A KR20030009594 A KR 20030009594A KR 1020010044105 A KR1020010044105 A KR 1020010044105A KR 20010044105 A KR20010044105 A KR 20010044105A KR 20030009594 A KR20030009594 A KR 2003000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eat transfer
refrigerant
tube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67248B1 (en
Inventor
시라카타요시노리
이리타니요이치로
히로카와고지
가와다아키히로
세키와타루
아오키스나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4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248B1/en
Publication of KR2003000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PURPOSE: An evaporator and a freezer are provided to improve cooling efficienc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by transferring heat to thermoelectric tubes from the evaporator effectively with reducing bubbles around thermoelectric tubes. CONSTITUTION: A freezer comprises a condenser(10) condensing and liquefying refrigerant, an expansion valve(11) decompressing refrigerant, an evaporator(12) cooling water and evaporating refrigerant, and a compressor(13) compressing and supplying evaporated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Plural thermoelectric tubes(15) are arranged in the evaporator to circulate water to a container(14), and divided into plural tube groups. Tube groups are spac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zigzagged. Deterioration of heat transfer is restricted by reducing bubbles between tube groups, and cooling and heat exchange efficiencies are improved.

Description

증발기 및 냉동기 {EVAPORATOR AND REFRIGERATOR}Evaporator and Freeze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피냉각물[예컨대 물, 브라인(brine) 등]과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피냉각물을 냉각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를 구비하는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for cooling an object to be cool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an object to be cooled (for example, water, brine, etc.) and a refrigerant,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evaporator.

예컨대 빌딩과 같은 대규모 구조물에서는 냉동기에서 냉각한 냉수를 구조물내에 부설한 배관을 통하여 순환시켜, 각 공간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방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in a large-scale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cold water cooled by a freezer is circulated through a pipe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the air is cooled by exchanging heat with air in each space.

냉동기에 구비되는 증발기의 일례를 도 10에 도시한다. 증발기는 냉매가 도입되는 원통형의 용기(1)중에 냉수를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발로 되어 배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전열관(2)은 냉수 입구(3)에 연통하는 송출측 전열관과 냉수 출구(4)에 연통하는 유입측 전열관으로 나누어져 있고, 냉수 입구(3)로부터 유입한 냉수는 용기(1)내의 송출측 전열관을 지나 물 챔버(도시 생략)에 이르러 되돌아가, 다시 용기(1)내의 유입측 전열관을 지나 냉수 출구(4)에서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냉수는 용기(1)에 도입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하여 냉각되고, 다른쪽의 냉매는 냉수에 열을 빼앗겨 비등하여 기화된다.An example of the evaporat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is shown in FIG. The evapo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2 for circulating cold water are bundled in a zigzag shape and piped in a cylindrical container 1 into which a refrigerant is introduced. The heat exchanger tube 2 is divided into an outlet side heat exchanger tube communicating with the cold water inlet 3 and an inlet side heat exchanger tube communicating with the cold water outlet 4, and the col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ld water inlet 3 is discharged in the container 1.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 transfer tube, the water chamber (not shown) is returned, and again passes through the inlet side heat transfer tube in the vessel 1 and flows out of the cold water outlet 4. In this process, the cold water is cool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 and the other refrigerant loses heat to the cold water and boils it to vaporize.

그런데, 종래의 증발기에서는 다수의 전열관이 한개로 묶여진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열관의 주위에서 비등한 냉매가 기포가 되어, 그 위에 위치하는 전열관에 달라붙어 액중을 부상하기 때문에, 상부의 전열관 주위에 액상 냉매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다발의 중앙(코어에 대응하는 부분)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에서의 열전달율이 주위에 배치된 전열관에 비교하여 낮아져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since many heat exchanger tubes are bundled together, the refrigerant boiled around the heat exchanger tub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a container becomes a bubble, and it floats on the heat transfer tube located above and floats the liquid weight,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liquid refrigerant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around the upper heat transfer tube. Therefor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heat transfer rate in the heat exchanger tube arrange | positioned especially near the center (part corresponding to a core) of a bundle becomes low compared with the heat exchanger tube arrange | positioned around.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속에서 비등한 냉매의 기포의 빠짐을 개선함으로써 증발기의 열전달율을 높이고, 또한 이것에 의해서 냉각효율이 높은 냉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improve a heat transfer rate of an evaporator by improving the release of bubbles of refrigerant boiled in a container, thereby providing a refrigerator having high cooling efficienc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의 증발기 및 냉동기를 채용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는 냉매가 도입되는 용기중에 피냉각물을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이 다발로 되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매와 상기 피냉각물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상기 피냉각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이 복수의 관 그룹(tube group)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관 그룹 끼리가 분리이격되어 배치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the evaporator and the freezer of the following structures are employ | adopted. That is,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for circulating the object to be cooled in a container into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bject to be cooled to provide the object. In the evaporator which simultaneously cools and vaporizes the refrigerant, the heat transfer tub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ube groups, and the tube group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 증발기에서는 전열관을 복수의 관 그룹으로 나누고, 관 그룹 끼리를 분리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열관의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관 그룹과 관 그룹 사이를 빠져나가 부상하여, 관 그룹중에 존재하는 기포가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서, 관 그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지므로,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is evaporator, the heat transfer tub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ube groups, and the tube groups are separated and arranged so that air bubbles generated around the heat transfer tube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side escape through the tube group and the tube group, and are present in the tube group. Bubble to say decreases. Thereby, since the bubble which affects the heat exchanger tube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a tube group becomes small, the fall of a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또한, 용기내에 도입되는 액상 냉매는 흐름을 발생하는데, 관 그룹 끼리를 분리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냉매가 흐르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냉매액과 전열관의 접촉이 촉진되어 열전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generates a flow, and the refrigerant flows easily by arranging the pipe groups separately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contact between the refrigerant liquid and the heat transfer tube is promoted, and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그룹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Further, in the evaporator, the plurality of pipe group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액상 냉매가 용기의 하부에서 도입되고 기화하여 상부에서 유출하는 구조의 증발기에서는, 액상 냉매가 용기내에서 위쪽을 향하여 흐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 증발기에 있어서는 관 그룹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위쪽을 향하여 흐르는 냉매액과 전열관의 접촉이 촉진되어 열전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n evapor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refrigerant is introduced at the bottom of the vessel, vaporized, and flows out from the top, the liquid refrigerant tends to flow upward in the vessel. Therefore, in this evaporator, by arranging the tube groups in a zigzag shape, the contact between the refrigerant liquid flowing upward and the heat transfer tube is promoted, and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관 그룹에 상기 전열관이 배치되지 않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evaporator, a gap in which the heat transfer tube is not disposed is formed in the tube group.

이 증발기에서는 관 그룹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관 그룹의 중앙 부근에서의 기포가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관 그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져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is evaporator, by forming a gap in the tube group, bubbles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tube group tend to escape. Thereby, the bubble which affects the heat exchanger tube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a tube group is small, and the fall of a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또한, 상기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이 모든 관 그룹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In the evaporator, the heat transfer tube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ll the tube groups.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내에 도입되는 액상 냉매는 흐름을 발생한다. 그래서 이 증발기에서는 전열관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관 그룹 속에서도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냉매액과 전열관의 접촉이 촉진되어 열전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liquid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vessel generates a flow. Therefore, in the evaporator, the heat transfer tubes are also arranged in a zigzag shape,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easily even in the group of tubes, and the contact between the refrigerant liquid and the heat transfer tubes is promoted, and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이 하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과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다.Further, in the evaporator, heat transfer tubes belonging to the tube group located at the top of the vessel are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heat transfer tubes belonging to the tube group located at the bottom.

이 증발기에서는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의 전열관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상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을 통과할 때, 상기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이 하부의 관 그룹에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어, 상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 사이를 기포가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상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의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is evaporator, when bubbles generated around the heat transfer tubes of the tube group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ssel pass through the tube group located in the upper part, the heat transfer tubes belonging to the tube group are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the lower tube group. Bubbles tend to escape between the heat transfer tubes belonging to the pipe group located at. Thereby, the fall of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pipe group located in the upper part is suppressed.

본 발명에 관한 냉동기는 냉매가 도입되는 용기중에 피냉각물을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이 다발로 되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매와 상기 피냉각물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상기 피냉각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위치하고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와, 액화한 상기 냉매를 상기 증발기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 pipes for distributing the object to be cooled are arranged in a bundle in a container into which a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bject to be cooled to cool the object to be cooled. Simultaneously with the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loc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and liquefy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circulating the liquefied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And an expansion valve for reducing the pressure.

이 냉동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에서의 전열관의 열전달율이 높아지고, 그 결과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므로,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더라도 종래와 동등한 성능, 특히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다.In this refrig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heat transfer tube in the evaporator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ncreased. Thus, even if energy consumption is suppressed, the same performance as conventional, in particular, cooling efficienc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냉동기의 개략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도 2는 증발기의 단면도(도 1의 Ⅱ-Ⅱ 단면),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II-II cross section in FIG. 1),

도 3은 증발기내의 전열관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3 shows an arrangement of heat transfer tubes in an evaporator;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증발기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n evaporator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냉동기에 구비되는 종래의 증발기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evaporat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응축기11 : 팽창 밸브10 condenser 11 expansion valve

12 : 증발기13 : 압축기12 evaporator 13: compressor

14 : 용기15 : 전열관14 container 15 heat transfer tube

16 : 냉매 입구17 : 냉매 출구16: refrigerant inlet 17: refrigerant outlet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 및 냉동기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여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an evaporator and a free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냉동기의 개략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냉동기는 냉각수와 기체상의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냉매를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10)와,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 밸브(11)와, 응축된 냉매와 냉수(피냉각물)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냉수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냉매를 증발, 기화하는 증발기(12)와, 기화된 냉매를 압축한 후에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13)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기중의 증발기(12)에서 제조된 냉수는 빌딩의 공기조절 등에 이용된다.The schematic structure of a refrigerator is shown in FIG. The refrigerator shown in the figure performs a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 condenser 10 for condensing and liquefying the refrigerant, an expansion valve 11 for depressuriz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 condensed refrigerant and cold water (cold cooling). And an evaporator 12 for evaporating and vaporizing the refrigerant, and a compressor 13 for compres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n supplying it to the condenser. The cold water produced by the evaporator 12 in the freezer is used to control the air of the building.

증발기(12)는 냉매가 도입되는 원통형의 용기(14)중에 냉수를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15)이 다발로 되어(도 1에서는 간략하게 도시), 용기(14)의 종방향으로 배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전열관(15)은 냉수 입구(16)에 연통하는 송출측 전열관과 냉수 출구(17)에 연통하는 유입측 전열관으로 나누어져 있고, 냉수 입구(16)에 연통하는 관로와, 냉수 출구(17)에 연통하는 관로에서는 냉수가 흐르는 방향이 다르다.The evaporator 12 has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15 for circulating cold water in a cylindrical vessel 14 into which a refrigerant is introduced (shown briefly in FIG. 1), and is pi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ssel 14. It is. The heat exchanger tube 15 is divided into an outlet side heat exchanger tube communicating with the cold water inlet 16 and an inlet side heat exchanger tube communicating with the cold water outlet 17, a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inlet 16 and a cold water outlet 17. In communicating pipelines, the cold water flows in different directions.

도 2는 증발기(12)의 단면도이다. 전열관(15)은 용기(14)내의 하반부에서 9개의 관 그룹(A 내지 I)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관 그룹(A 내지 I)은 이웃하는 관그룹 끼리 분리이격되고,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관 그룹(A 내지 E)이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밑으로 관 그룹(F 내지 I)이 수평하게 배열됨과 동시에 관 그룹(A 내지 E)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됨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2. The heat exchanger tube 15 is divided into nine tube groups A to I in the lower half of the container 14, and the tube groups A to I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djacent tube groups and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 In detail, the tube groups A to E are arranged horizontally, under which the tube groups F to I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by being horizontally offset with respect to the tube groups A to E. It is.

또한, 모든 관 그룹(A 내지 I)에 있어서 전열관(15)은 100개 정도로 정리되어 있고, 또한 이들 관 그룹(A 내지 I)에서 전열관(15)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하로 다단으로 배열된 전열관(15)이 각 단마다 좌우로 오프셋됨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이 되어 있다.In addition, in all the tube groups A-I, about 100 heat exchanger tubes ar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heat exchanger tubes 15 are arrange | positioned in zigzag form in these tube groups A-I. In this case as well,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ranged in multiple stages up and down are offset from side to side in each stage to form a zigzag arrangement.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전열관(1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직경을 D라고 하면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 간격이 1.15D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diameter of the heat exchanger tube 15 arrange | positioned in the zigzag form is D, the space | interval of adjacent heat exchanger tube 15 comrades will be 1.15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12)에 있어서는, 전열관(15)을 관 그룹(A 내지 I)으로 나누고, 관 그룹 끼리를 분리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각 관 그룹내의 비교적 아래쪽에 전열관(15)의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관 그룹과 관 그룹 사이를 빠져나가 부상하여, 관 그룹중에 존재하는 기포가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서, 관 그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15)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지므로,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e evaporator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divided into tube groups A to I, and the tube group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be arranged so that the surroundings of the heat transfer tube 15 are relatively lower in each tube group. Bubbles from the tube group rise and float between the tube group and the tube group, thereby reducing the bubbles present in the tube group. Thereby, since the bubble which affects the heat exchanger tube 15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a tube group becomes small, the fall of a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또한, 용기(14)내에는 액상 냉매가 하부에서 도입되고 기화하여 상부에서 용기(14)밖으로 유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도입되는 냉매는 용기(14)내에서 위쪽을 향하여 흐르는 경향이 강하지만, 관 그룹 끼리를 분리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냉매와 냉수의 접촉이 촉진되어 열전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is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vaporized to flow out of the container 14 from the top, and the introduced refrigerant tends to flow upward in the container 14, but By arranging the pipe groups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 refrigerant flows easily, and the contac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cold water is promoted, and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mproved.

또한, 관 그룹(A 내지 I)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각 관 그룹(A 내지 I)에서 전열관(15)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위쪽을 향하여 흐르는 냉매액과 전열관의 접촉이 촉진되어 열전달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pipe groups A to I in a zigzag shape, the heat pipes 15 are also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each pipe group A to I,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refrigerant liquid flowing upward and the heat transfer pipe is promoted. Thus,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증발기(12)를 상기 구조로 하면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냉동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vaporator 12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ncreased, whereb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can be increas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열관(15)을 9개의 관 그룹(A 내지 I)으로 나누었지만, 이들은 증발기의 크기나 발휘해야 할 성능에 따라 더 소수의 관 그룹으로 나누거나, 반대로 다수의 관 그룹으로 나누어도 좋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 간격을 1.15D로 설정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조건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pipe 15 is divided into nine tube groups A to I, but they are divided into a smaller number of tube group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vaporator or the performance to be exerted, or vice versa. You may share. In addition, although the space | interval of the heat exchanger tubes 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set to 1.15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can select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 및 냉동기의 제 2 실시예를 도 4 및 5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already demonstrated in the said 1st Example,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4는 증발기(12)의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의 증발기(12)에서는 관 그룹(A 내지 E)에서 전열관(15)이 종횡으로 정렬된 소위 격자형상의 배열로 되어 있다. 또한, 관 그룹(F 내지 I)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로 되어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2.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evaporator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arranged in the tube groups A to E in a so-called lattice arrangement. In addition, the pipe groups F to I have the same zigzag arrange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관 그룹(A 내지 E)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 간격은 1.15D로 설정되고, 전열관(15)끼리의 상하의 간격은 2D 내지 3D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 그룹(F 내지 I)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 간격은 관 그룹(A 내지 E)에서의 전열관(15)의 상하 방향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관 그룹(A 내지 E)에 속하는 전열관(15)은 관 그룹(F 내지 I)에 속하는 전열관(15)과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ace | interval of the heat exchanger tubes 15 which adjo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tube group A-E is set to 1.15D, and the space | interval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at exchanger tube 15 is set to 2D-3D. In addition, the space | interval of the heat exchanger tubes 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pipe | tube group F-I is set narrow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heat-transfer tube 15 in pipe | tube group A-E. In other words,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to the pipe groups A to E are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to the pipe groups F to I.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12)에 있어서는, 관 그룹(F 내지 I)의 전열관(15)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관 그룹(A 내지 E)을 통과할 때, 이들 관 그룹(A 내지 E)에 속하는 전열관(15)이 관 그룹(F 내지 I)에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으므로, 관 그룹(A 내지 E)에 속하는 전열관(15) 사이를 기포가 빠져나가기 쉬워져,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e evaporator 12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bubble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around the heat exchanger tube 15 of the tube group F-I passes through the tube group A-E, these tube groups A-E are connected to it. Since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are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the pipe groups F to I, bubbles are likely to escape between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to the pipe groups A to E, and the decrease in the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증발기(12)에 의해서도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냉동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ansfer rate can also be increased by the evaporator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reb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 그룹(A 내지 E)의 전열관(15)을 격자형상으로 한 후에, 또한 관 그룹(F 내지 I)의 전열관(15)보다 드문드문 배열했지만, 관 그룹(A 내지 E)의 전열관(15)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한 채로 드문드문 배열하더라도 무관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tubes 15 of the tube groups A to E are lattice-shaped, and are arranged in sparse than the heat transfer tubes 15 of the tube groups F to I, but the tube groups A to E A sparse arrangement may be made with any or all of the heat transfer pipes 15) in a zigzag shape.

도 5는 본 실시예의 증발기(12)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관 그룹(A' 내지 L')에 있어서 전열관(15)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vaporator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ube groups A 'to L',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관 그룹(A' 내지 F')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간격은 1.15D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 그룹(G' 내지 L')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열관(15)끼리의 간격은 관 그룹(A' 내지 F')에 있어서의 전열관(15)의 상하 방향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관 그룹(A' 내지 F')에 속하는 전열관(15)은 관 그룹(G' 내지 L')에 속하는 전열관(15)과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다.In the pipe groups A 'to F', the interval between the heat transfer pipes 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t to 1.15D. In the pipe groups G 'to L', the interval between the heat transfer tubes 15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be narrower than the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tubes 15 in the tube groups A 'to F'. It is. In other words,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to the tube groups A 'to F' are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the heat transfer tubes 15 belonging to the tube groups G 'to L'.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열관(15)을 배열한 증발기(12)에 있어서, 관 그룹(A' 내지 F')과 관 그룹(G' 내지 L')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In the evaporator 12 in which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tube groups A 'to F' and the tube groups G 'to L'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상기 구성에 의해서, 관 그룹(G' 내지 L')의 전열관(15)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관 그룹(A' 내지 F')을 통과할 때, 이들 관 그룹(A' 내지 F')에 속하는 전열관(15)이 관 그룹(G' 내지 L')에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으므로, 관 그룹(A' 내지 L')에 속하는 전열관(15) 사이를 기포가 빠져나가기 쉬워져,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냉동기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bubbles generated around the heat transfer tubes 15 of the tube groups G 'to L' pass through the tube groups A 'to F', they belong to these tube groups A 'to F'. Since the heat exchanger tube 15 is sparsely arranged compared with the tube group G'-L ', a bubble is easy to escape between the heat exchanger tubes 15 which belong to a tube group A'-L', and the heat transfer rate falls Is suppressed. Therefore, the heat transfer rate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관 그룹(A' 내지 F')의 전열관(15)을 관 그룹(G' 내지 L')의 전열관(15)보다 드문드문 배열했지만, 관 그룹(A' 내지 L')의 전열관(15)중 어느 하나 또는 전열관(15) 전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채로 드문드문 배열하더라도 양호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transfer tubes 15 of the tube groups A 'to F' are arranged in sparse than the heat transfer tubes 15 of the tube groups G 'to L', but the heat transfer tubes of the tube groups A 'to L' are arranged. A sparse arrangement may be made while any of (15) or the entire heat transfer pipe 15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 및 냉동기의 제 3 실시예를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evaporator 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already demonstrated in each said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6은 증발기(12)의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의 증발기(12)에서는 전열관(15)이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는 4개의 관 그룹(J 내지 M)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관 그룹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종래와 같이 전열관(15)을 지그재그 형상 배열로 한개로 묶은 경우에서 소정의 전열관(15)을 2개 또는 3개씩 번갈아 제외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것을 제거 열(列)(20)이라고 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2.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evaporator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divided into four tube groups J to M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gap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between each tube group. . This space is formed by alternately removing two or three predetermined heat transfer tubes 15 in a case where the heat transfer tubes 15 are bundled together in a zigzag arrangement as in the related art. It is called).

또한, 관 그룹(J 및 M)에는 전열관(15)이 배치되지 않는 간극이 제거 열(2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도, 제거 열(20)과 동일하게 하여 소정의 전열관(15)을 1개 또는 2개씩 번갈아 제외하도록 하여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이것을 보조 제거 열(21)이라고 한다.In the pipe groups J and M, a gap in which the heat transfer pipes 15 are not dispose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emoval rows 20. This gap i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moval column 20 so as to remove one or two predetermined heat transfer tubes 15 alternately, so that this will be referred to as auxiliary removal column 21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12)에서는 제거 열(20) 및 보조 제거 열(21)을 형성함으로써, 관 그룹(J 내지 M)내의 비교적 아래쪽에 전열관(15)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제거 열(20) 또는 보조 제거 열(21)을 빠져나와 부상한다. 이것에 의해서, 관 그룹의 중앙 및 상부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15)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지므로,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In the evaporator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moval heat 20 and the auxiliary removal heat 21 are formed so that bubbles generated around the heat transfer pipe 15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groups J to M are removed. ) Or emerge from the secondary removal column 21. Thereby, since the bubble which affects the heat exchanger tube 15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and upper part vicinity of a tube group becomes small, the fall of a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 및 냉동기의 제 4 실시예를 도 7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evaporator and the free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already demonstrated in each said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7은 증발기(12)의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의 증발기(12)에서는 관 그룹(J, M)에 상기 보조 제거 열(21)과는 달리 상하로 빠져 있지 않은 반보조 제거 열(22)이 보조 제거 열(21)과 동일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vaporator 12.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evaporator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mi-auxiliary removal column 22 which does not fall up and down unlike the auxiliary elimination columns 21 in the tube groups J and M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imination columns 21. It is formed similarly.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발기(12)에서는 반보조 제거 열(22)을 형성함으로써, 관 그룹(J, M)의 중앙 부근에서의 기포가 빠져나가기 쉬워지고, 관 그룹(J, M)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15)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지므로,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이 반보조 제거 열(22)은 관 그룹(J 내지 M)의 어디에 배치하더라도 무관하다.In the evaporator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semi-auxiliary removal heat 22, air bubbles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pipe groups J and M are likely to escape and near the center of the pipe groups J and M. Since the bubble which affects the heat exchanger tube 15 arrange | positioned at is reduced, the fall of a heat transfer rate is suppressed. Further, this semi-auxiliary removal column 22 may be disposed anywhere in the tube groups J to M. FIG.

이하에서는 그 밖의 실시예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Other embodim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도 8은 반보조 제거 열(22)을 관 그룹(J, M)의 하측에 형성한 예이다. 도 9는 보조 제거 열(21)로부터 가지(branch)를 연장하듯이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서 더 작은 보조 제거 열(23)을 형성한 예이다. 이들 각종 배열 패턴은 증발기의 크기나 발휘해야 할 성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8 is an example in which the semi-auxiliary elimination rows 22 are formed below the tube groups J and M.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maller auxiliary removal column 23 is formed obliquely upward as extending a branch from the auxiliary removal column 21. It is preferable that these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are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vaporator and the performance to be exhibited.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열관(15)에는 딤플(dimple) 튜브나 핀 튜브(finned tube), 기타 모든 형태의 관재가 사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dimple tube, a finned tube, or any other type of tube material can be used for the heat transfer tube 15.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냉수가 증발기중을 1회 왕복하는 구조의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증발기는 냉수가 한쪽 방향으로 유통하는 것, 복수회 왕복하는 것, 한쪽으로부터 유입하여 왕복하여 다른쪽에서 유출하는 것 등, 모든 구조의 증발기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old wat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reciprocating once in the evaporator,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 one direction, reciprocating a plurality of times, reciprocating from one side It is a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evaporators of all structures, such as outflow from the other side.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에서는 전열관을 복수의 관 그룹으로 나누고, 관 그룹끼리를 분리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열관의 주위에서 발생한 기포가 관 그룹과 관 그룹 사이를 빠져나가 부상하여, 관 그룹중에 존재하는 기포가 감소하며, 이에 의해 관 그룹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전열관에 영향을 미치는 기포가 적어지기 때문에 열전달율의 저하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the heat transfer tube into a plurality of tube groups, and by separating the tube groups apart from each other, bubbles generated around the heat transfer tube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side escape through the tube group and the tube group and rise, Bubbles present in the group are reduced, whereby the bubbles affecting the heat transfer tubes arranged near the center of the tube group ar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heat transfer rate.

또한, 본 발명의 냉동기에서는 상기 증발기에서의 전열관의 열전달율이 높아지고, 그 결과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므로,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더라도 종래와 동등한 성능, 특히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heat transfer tube in the evaporator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ncreased. Thus, even if energy consumption is suppressed,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the same performance as conventional, in particular, cooling efficiency.

Claims (6)

냉매가 도입되는 용기중에, 피냉각물을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이 다발로 되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매와 상기 피냉각물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상기 피냉각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에 있어서,In the container into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for circulating the object to be cooled are arranged in a bundle.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bject to be cooled. In the vaporizing evaporator, 상기 전열관이 복수의 관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관 그룹 끼리가 분리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eat transfer pip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pe group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groups are arranged separated from each other. 증발기.evapo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관 그룹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plurality of pipe group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증발기.evapo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 그룹에 상기 전열관이 배치되지 않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 gap in which the heat pipes are not disposed is formed in the pipe group. 증발기.evapo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열관이 모든 관 그룹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eat transfer pipe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ll pipe groups 증발기.evapo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이 하부에 위치하는 관 그룹에 속하는 전열관과 비교하여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eat transfer tube belonging to the tube group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is sparsely arranged in comparison with the heat transfer tube belonging to the tube group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증발기.evaporator. 냉동기에 있어서,In the freezer, 냉매가 도입되는 용기중에, 피냉각물을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이 다발로 되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매와 상기 피냉각물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행시켜 상기 피냉각물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상기 냉매를 응축, 액화하는 응축기와, 액화한 상기 냉매를 상기 증발기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n the container into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for circulating the object to be cooled are arranged in a bundle.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bject to be cooled. A vaporizing evaporator,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a condenser for condensing and liquefy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n expansion valve for depressurizing the refrigerant in a process of circulating the liquefied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Characterized by 냉동기.Freezer.
KR10-2001-0044105A 2001-07-23 2001-07-23 Evaporator and refrigerator KR100467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105A KR100467248B1 (en) 2001-07-23 2001-07-23 Evaporator and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105A KR100467248B1 (en) 2001-07-23 2001-07-23 Evaporator and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594A true KR20030009594A (en) 2003-02-05
KR100467248B1 KR100467248B1 (en) 2005-01-24

Family

ID=3741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105A KR100467248B1 (en) 2001-07-23 2001-07-23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24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769B2 (en) * 1991-09-12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bsorptio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248B1 (en)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762B2 (en) Condenser for refrigerating machine
WO2006062638A2 (en) Tubes with elongated cross-section for flooded evaporators and condensers
US7073572B2 (en) Flooded evaporator with various kinds of tubes
JP3445941B2 (en) Multi-stage evaporative absorption type absorption chiller / heater and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air cond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JP3576486B2 (en) Evaporators and refrigerators
CN108351188A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JP3785143B2 (en) Refrigerator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equipment
JP3572234B2 (en) Evaporators and refrigerators
KR20010110353A (en) Condenser and freezer
KR100467248B1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JP2004092928A (en) Condenser and refrigerating machine
JP4451998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07278541A (en) Cooling system
JP4031684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JP2002333236A (en) Evaporat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evaporator
JP2017155994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7449183B (en) Evaporator with a heat exchanger
JP2004092957A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using it
CN210242101U (en) Horizontal shell-and-tube condenser and heat exchange system
KR0131579B1 (en) Cooling apparatus using propane refrigerant gas in natural gas liquidification
GB2314149A (en) Thermosyphon refrigeration apparatus
RU2230264C2 (en) Evaporator
JP2003004396A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ng air conditioner
KR200323236Y1 (en) Cooling Pipe Block for Condenser
CN110260568A (en) A kind of horizontal shell-and-tube cooler and heat-exchan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