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269A -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269A
KR20030007269A KR1020020069505A KR20020069505A KR20030007269A KR 20030007269 A KR20030007269 A KR 20030007269A KR 1020020069505 A KR1020020069505 A KR 1020020069505A KR 20020069505 A KR20020069505 A KR 20020069505A KR 20030007269 A KR20030007269 A KR 20030007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unit
outpu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900B1 (ko
Inventor
이대진
Original Assignee
이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진 filed Critical 이대진
Priority to KR10-2002-006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했을 때, 그 이상신호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하는데 있어, 기존 전기설계방식의 적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여 통신기능 및 부가적인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제 변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람신호 처리시스템{Light signal column system}
본 발명은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예; 엔진룸, 선실, 갑판, 연료공급룸 등)에서 이상신호(예; 엔진정지, 화재, 가스누출, 누수 등)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하는데 있어, 전기설계방식의 적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Light Signal Column)은 선박의 운항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알람신호(EMERGENCY alarm, FIRE alarm, CO2 alarm, DEAD MAN alarm 등)를 종합적으로 모아 선박내의 작업자나 거주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이는 안전한 선박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상신호(Abnormal Signal)를 출력하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와,
선박내의 특정장소(예; 조타실)에 설치하되, 상기 외부 시스템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이상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도록 접점의 스위칭동작을 하는 메인(Main) 스위칭부(20)와,
선박내의 주요 장소에 각각 설치하되,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로부터 분기되어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연동의 접점 스위칭동작을 하는 서브(Sub) 스위칭 부(30)와,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의 표면 또는 외부에 설치하되,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의 접점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내부를 살펴보면, 메인 스위칭 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릴레이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에는 마그네트 제어방식으로 외부 감지장치(10)에 의해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입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다수의 입력 접점스위치(S1,S2,…,Sn)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릴레이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에는 마그네트 제어방식으로 메인 스위칭 부(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출력 접점의 스위칭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다수의 출력 접점스위치(S1-1,S1-2,…,Sn-n)를 가지고 있다.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외부 시스템 감지장치(1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선을 통해 각각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으로 배선되어 있고,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서브 스위칭 부(30)도 각각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으로 배선된전기적인 접속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메인 스위칭 부(20)와 다수의 서브 스위칭 부(30)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출력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는 전선을 통해 각각 개별적인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서브 스위칭 부(30)와 알람장치(40)는 또한 전선을 통해 각각 직렬로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들 알람장치(40)는 서브 스위칭 표면에 바로 부착될 수도 있고 또한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내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색상을 가지는 회전조명(rotating light)과 알람램프(alarm lamp) 등을 포함하는 시각장치( Visualable Device) 또는, 다양한 음색의 경고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이렌(siren) 및 에어 혼(air horn)과 전자 혼(electric horn) 등을 포함하는 청각장치(Audible Device)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은 메인 스위칭 부(20)와 서브 스위칭 부(30)내의 입출력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가 마그네트 접점을 이용한 전기접속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바, 입력 접점스위치(S1,S2,- ,Sn)의 개수에 출력접점 스위치(S1-1,S1-2,- , Sn-n)를 1:1로 대응시켜서 접속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입력 증가에 따른 전선(케이블)의 증설이 불가피하며, 이는 작업공수와 유지공수 및 전선(케이블)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종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은 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입력의 접점스위치(S1,S2,…,Sn)에 대한 출력사양으로 알람신호의 발생패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의 접점스위치(S1-1,S1-2,…,Sn-n)에 대한 변경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선의 접속을 다시 재결선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종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S1,S2,…,Sn)(S1-1,S1-2,…,Sn-n)를 절연하는 기능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이로인하여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선박에는 작업자나 거주자의 안전유무를 주기적으로 알려 작업자나 거주자의 사고여부를 통보하는 기능(일명 DMA; Dead Man Alarm)이 있는데, 이러한 DMA 기능은 작업자나 거주자가 맞추어 놓은 시간(예; 30분마다)안에 디엠알 스위치(DMR; Dead Man Reset)를 조작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DMA기능의 경우, 종래의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은 자체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갖추지 않음으로 해서, 선박 내에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부착, 또한 그 시스템과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간의 결선이 필요하였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림은 물론, 타임 처리 시스템이나 전선 (케이블)비용을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통신방식을 통해 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함으로서, 기존 전기설계방식인 마그네트 접속에 의한 1:1의 접점스위칭 방식의 단점을 보완함은 물론 전기 시스템에 CPU 처리방식을 적용, 전기 설계방식의 유용성 결여를 해결하여, 본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비용 절감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생각한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를 절연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손상부위에 대한 변경만을 진행시키도록 하여 종래 에서와 같이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시스템 내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내장함으로써 DMA기능을 위한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그에 따른 전선(CABLE)의 연결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내장된 타임 처리 시스템에 알람 시스템의 출력을 딜레이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증진과 함께 시스템의 설치 및 공수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알람신호 메인 스위칭 부의 상세도.
도 3은 종래 알람신호 서브 스위칭 부의 상세도.
도 4는 종래 메인 스위칭 부와 서브 스위칭 부의 연결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스위칭 부와 서브 스위칭 부의 연결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메인 제어장치의 내부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서브 제어장치의 내부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지장치 40; 알람장치
50; 메인 제어장치 51; 제 1 키 입력 부
52; 제 1 디스플레이 부 53; 제 1 메모리 부
54; 이상신호 분석 부 55; 타이머 부
56; 메인 알람 제어 부 60; 서브 제어 장치
61; 제 2 키 입력부 62; 제 2 디스플레이 부
63; 제 2 메모리 부 64; 신호 판독 부
65; 서브 알람 제어 부 66; 신호 래치 부
70; 절연 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알람 신호 처리시스템의 연결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메인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 CPU 처리방식을 적용한 서브 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 이다.
도 6 과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감지장치(10),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하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40)를 포함하는 통상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와 접속되어 이상신호를 수신한 후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알람신호 발생용 통신 제어신호와 출력을 딜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50)와,
선박내의 주요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알람장치(40)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되,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로부터 출력된 통신제어신호에 따라 알람장치(40)의 알람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그 알람신호의 출력사양을 세팅 및 변경시키는 서브 제어장치(60) 및,
상기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에 설치되어 과부하나 쇼크 및 데미지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때 전원 분리를 통해 알람시스템의 교체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연장치(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는,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 기능의 시간을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키 입력 부(51),
상기 키 입력 부(51)를 통한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의 타임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부(52),
선박내의 각종 사고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신호와 딜레이 설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부(53),
감지장치(10)로부터 입력된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메인 알람 제어 부(56)로 전해주는 이상신호 분석 부(54),
설정된 딜레이 시간에 따라 출력을 지연, DMA 기능 등 시스템의 각종 시간관리를 하는 타이머 부(55),
상기 이상신호 분석 부(54)로부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제 1 메모리 부(53)에 제 1 키 입력 부(51)로 저장된 딜레이 시간을 체크, 딜레이 시간이 경과하면 그 결과에 따른 통신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서브 제어장치(60)로 출력하는 메인 알람 제어 부(5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서브 제어장치(60)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키 입력 부(61)
상기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열람 가능하도록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부(62),
알람 유형별 세팅된 출력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부(63),
메인 제어장치(50)로부터 통신으로 제어신호가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하는 신호판독 부(64),
상기 신호판독 부(64)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제 2 메모리 부(63)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신호 래치 부(66)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보내주는 서브 알람 제어 부(65),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래치하여 해당하는 알람장치(40)로 출력하는 신호 래치 부(6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메인 제어장치(50)를 통해 서브 제어 장치(60)로의 출력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을 사용자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여 둔다.
즉,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에는 제 1 키 입력 부(51), 제 1 메모리 부(53), 타이머 부(55), 제 1 디스플레이 부(52)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제 1 키 입력 부(51)를 통해 선박내의 거주자나 작업자에게 통보되는 알람신호의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기능을 설정 및 변경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메인 알람제어 부(56)는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타이머 부(55)에 의해 작업자나 거주자에게 통보되는 알람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킴은 물론,DMA 기능을 실행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메모리 부(53)에는 출력 딜레이와 DMA 기능 설정 및 변경을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부(52)에서는 이 설정 및 변경사양을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선박내 주요 장소에 각각 설치된 서브 제어 장치(60)를 통해 알람장치(40)로의 출력을 알람 유형별로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여 둔다.
즉, 상기 서브 제어 장치(60)에는 제 2 키 입력 부(61), 제 2 메모리 부(63),제 2 디스플레이 부(62)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해 알람 유형별 출력 사양을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설정 및 변경하는 키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메모리 부(63)에서 설정 정보를 저장시킴으로써 서브 알람 제어 부(65)의 출력에 관여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부(62)에서는 제 2 키 입력 부(61)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메인 제어 장치와 서브 제어 장치의 세팅이 끝난 후,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된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에 따른 이상신호가 감지될 때, 상기 감지신호는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된 메인 제어 장치(50)로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메인 제어장치(50)내에 설치된 이상신호 분석 부(54)에서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감지된 이상신호를 분석(어떤 감지 장치인가?)하여 메인 알람 제어 부(56)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 알람 제어 부(56)에서는 제 1 메모리 부(53)에 저장된 출력 딜레이 시간 및 DMA 기능을 검색하여 그 결과에 따른 딜레이 시간이나 DMA기능의 시간동안 타이머 부(55)를 통해서 지연시킨 후 통신 제어신호를 서브 제어 장치(60)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50)와 서브 제어 장치(60)간의 통신제어 신호로써 출력하게 만듦으로서 통신기능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면, 상기 서브 제어장치(60)내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브 알람 제어 부(65)에 의해 제어되는 바,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의 제어에 따라 신호 판독 부(64)는 입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한다.
이때, 상기 서브 알람 제어 부(65)는 신호 판독 부(64)로부터 판독된 알람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메모리 부(63)에 저장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신호 래치 부(66)로 보내준다. 상기 신호 래치 부(66)에서는 입력된 출력신호를 래치 시킨 후 이를 해당하는 알람장치(4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알람장치(40)는 입력되는 알람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10)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의 세팅된 출력사양 즉, 선박내의 사고종류에 따라 설정된 알람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나 거주자가 선박내의 사고종류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내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의 색상을가지는 회전조명과 알람램프 등을 포함하는 시각장치 또는, 다양한 음색의 경고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사이렌 및 에어 혼과 전자 혼 등을 포함하는 청각장치로 그 설치가 이루어져 있는 바,
사용자는 그 알람장치의 출력사양을 서브 제어장치(60)를 통해 임의로 세팅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알람장치(40)는 선박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 서브 제어장치(60)의 제어를 받아 세팅 및 변경된 사항에 해당하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에는 절연장치(70)를 구성 하였는 바,
상기 절연장치(70)는 과부하나 쇼크 및 데미지 등으로 알람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할 때 메인 제어장치(50)와 서브 제어장치(60)의 입력 단의 절연장치 만을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을 정상 가동하게 하였다.
더불어,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내에 타이머 부(55)를 내장함으로써 외부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별도 장착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음으로 해서 그에 따른 전선(케이블)결선 등의 작업공수를 없앨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제어 장치(50)내의 타이머 부가 작업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타임을 세다가 DMR 스위치 입력여부를 체크, 타임을 다시 세거나 아니면 DEAD MAN ALARM 신호를 알아서 주므로 외부에 타임 처리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박의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은 운항중인 선박의 주요 장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때 그 이상신호를 통신 방식으로(단 2케이블)작업자나 거주자가 위치하는 알람장치로 전송함으로서, 일반적인 방식(전기설계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상신호의 수에 따라 전선(케이블)을 증설해야 하는 작업공수와 유지공수 및 케이블 비용의 낭비를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또한 CPU를 내장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의 체제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제 변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입력과 출력의 접점스위치를 절연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알람신호 처리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쇼크 데미지 등이 가해져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손상부위에 대한 변경만을 진행시키도록 하여 종래 에서와 같이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전체를 교체하는데 따른 폐단을 해소하고, 더불어 알람시스템 내에 타이머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해서 그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 시킴은 물론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의 절감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선박의 주요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사고나 기타 기계고장이 발생할 때 그에따른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에 따라 선박내의 사고여부를 작업자나 거주자가 인지하도록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장치를 포함하는 통상의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내의 특정장소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외부 시스템의 감지장치와 접속되어 이상신호를 수신한 후 이상신호에 대응하는 알람신호 발생용 통신 제어신호와 출력을 딜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와,
    선박내의 주요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알람장치와 개별적으로 접속하되, 상기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통신 제어신호에 따라 알람장치의 알람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그 알람신호의 출력사양을 세팅 및 변경시키는 서브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와 서브장치 또는 서브장치와 서브장치 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알람 신호 케이블은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두 케이블 통신만으로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 서브제어 장치의 입력단에는,
    과부하나 쇼크 데미지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때 전원 분리를 통해 알람시스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절연장치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신호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장치는,
    출력 딜레이 시간과 DMA기능의 타임을 세팅하는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키 입력부,
    제 1 키 입력부를 통한 딜레이 타임과 DMA 기능의 타임 정보를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
    선박내의 각종 사고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신호와 딜레이 설정 시간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된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메인 알람 제어부로 전해주는 이상신호 분석부,
    이상신호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제 1 메모리부에 제 1 키입력부로 저장된 딜레이 시간을 체크, 딜레이 시간이 경과하면 그 결과에 따른 통신제어 신호를 생성, 서브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메인 알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에는,
    DMA(DEAD MAN ALARM)기능을 별도의 타임 처리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내에서 DMA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타임 처리 시스템을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알람 신호 처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장치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세팅, 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키 입력부,
    제 2 키 입력부를 통한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을 열람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부,
    알람 유형별 세팅된 출력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통신 제어신호가 출력될 때 그 출력되는 통신 제어신호가 어떤 종류의 알람 제어신호인지를 판독하는 신호판독부,
    신호판독부 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제 2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알람 유형별 출력사양 정보에 따라 신호 래치부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보내주는 서브 알람 제어부,
    서브 알람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래치하여 해당하는 알람 장치로 출력하는 신호 래치부를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처리 시스템.
KR10-2002-0069505A 2002-11-11 2002-11-11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KR10047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ko) 2002-11-11 2002-11-11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ko) 2002-11-11 2002-11-11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99U Division KR200304288Y1 (ko) 2002-11-11 2002-11-11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69A true KR20030007269A (ko) 2003-01-23
KR100470900B1 KR100470900B1 (ko) 2005-03-08

Family

ID=277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05A KR100470900B1 (ko) 2002-11-11 2002-11-11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9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57B1 (ko) * 2006-12-28 2008-07-29 (주)포스텍 선박보조기관용 디젤엔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WO2011056269A1 (en) * 2009-10-28 2011-05-12 Velado Nicholas F Nautic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052541B1 (ko) * 2008-11-14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확장 경보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87A (ja) * 1983-07-05 1985-01-24 Mitsubishi Heavy Ind Ltd 操船・警告信号自動発生装置
KR940006826B1 (ko) * 1991-12-10 1994-07-28 현대중전기 주식회사 선박자동화 제어용 통신모듈
KR100394767B1 (ko) * 2001-02-07 2003-08-19 김이곤 대기오염자동감시체제의 지능형 상태판정방법 및 그의 시스템
JP2002320701A (ja) * 2001-04-25 2002-11-05 Meidensha Corp ダイブコンピュ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57B1 (ko) * 2006-12-28 2008-07-29 (주)포스텍 선박보조기관용 디젤엔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시스템
KR101052541B1 (ko) * 2008-11-14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확장 경보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WO2011056269A1 (en) * 2009-10-28 2011-05-12 Velado Nicholas F Nautic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531316B2 (en) 2009-10-28 2013-09-10 Nicholas F. Velado Nautic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900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69B1 (ko) IoT기반 통합관리형 수배전반 시스템
KR200384041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KR102034894B1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CN102396301A (zh) 用于控制电气设备单元的系统
WO2021086002A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0783503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KR102449104B1 (ko) 소화장치 연동 표시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함
KR100825359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KR100470900B1 (ko)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JP3395032B2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40143872A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304288Y1 (ko)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KR101005089B1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80115451A (ko)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TWI524621B (zh) 電源管理系統及其控制方法
JP4363230B2 (ja) 受配電設備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KR100626737B1 (ko) 디젤발전 분산제어시스템용 원격단말장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이중화 제어장치
KR100783505B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JPH05300615A (ja) 受配電設備の制御装置
JP2000333324A (ja) 監視制御装置
KR102205262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알람 경보시스템
JP2010016537A (ja) 防犯システム用増設入出力装置
KR200426630Y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915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526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428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526

Effective date: 200702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828

Effective date: 200702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06

Effective date: 2007110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03

Effective date: 2007110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06

Effective date: 2007110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05

Effective date: 2007110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127

Effective date: 20080214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7

Effective date: 200802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220

Effective date: 200804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