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930A -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930A
KR20030005930A KR1020010041422A KR20010041422A KR20030005930A KR 20030005930 A KR20030005930 A KR 20030005930A KR 1020010041422 A KR1020010041422 A KR 1020010041422A KR 20010041422 A KR20010041422 A KR 20010041422A KR 20030005930 A KR20030005930 A KR 2003000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olefin
stabilizer
hydrophilic
master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92B1 (ko
Inventor
황우창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초 성장 억제, 토양 산성화 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판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비해 내후성이 우수하여 다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친수처리가 되어 있어 액비처리가 용이한 특성을 지닌 새로운 폴리올레핀계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폴리올레핀칩을 주원료로 하고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 배치 칩을 상기 주원료와 사출기에 넣어 용융혼합 후 이를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방사 구금을 통해 방사, 냉각 및 연신 공정을 거쳐 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이를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을 시켜 부직포를 제작한 다음 부직포 표면에 친수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법을 개시하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판본드 부직포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니기 때문에 잡초 성장 억제 등의 목적으로 농업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Producing method of spunbond having hydrophilic and excellent weather-resisting property}
본 발명은 잡초 성장 억제 및 토양 산성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판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후성이 우수하여 다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친수성을 지녀 액비처리가 용이한 특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초 및 제초방법으로서는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고사시키거나 수작업에 의한 제초가 일반적인 방법이였다. 그러나,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토양의 오염이나 토양에 생존하여 작물성장에 이로운 미생물까지 죽게 되어 토양의 황폐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 방법은 과다한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호에서는 태양광을 차단하면서 보온성 있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를 토양의 상부에 덮어 씌워 잡초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는 UV 안정제가 함유되지 않았을경우에는 태양광에 노출시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분자간 사슬이 파괴되어 부직포의 강도가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쉽게 찢어져 잡초들이 부직포를 뚫고 나오므로 잡초 성장 억제 효과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에서 같이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대부분 소수성으로 비가 오면 침투하지 못하고 흘러내려 생육하고자 하는 식물이나 과수의 성장 시 필요한 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고 또한 식물이나 과수의 성장을 위한 액비처리시 피복 포를 벗기고 액비를 처리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태양광 자외선에 의한 잡초성장억제용 부직포의 열화문제를 해결하여 장기간 사용을 가능케 하고 소수성 부직포에 친수성 부여 처리를 통하여 액비처리가 용이하도록 한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의 특성을 지닌 잡초 성장 억제용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칩을 주원료로 하고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배치 칩을 주원료인 폴리올레핀 칩과 사출기(Extruder)에 넣어 용융혼합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 냉각 및 연신공정을 거쳐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필라멘트를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을 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에 친수제를 도포하여 부직포에 친수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후성과 친수성이 우수한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의 주원료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칩을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칩으로는 용융지수가 25∼60g/10분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UV 안정제를 폴리올레핀에 함유시킨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주원료인 폴리올레핀 칩과 용융혼합시켜 사용한다. 이때 마스터 배치 칩은 UV 안정제가 대략 10∼20중량% 함유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 마스터배치 칩은 주원료에 대해 대략 2∼15중량%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실로(silo)에 저장된 주원료는 원료계량을 하는 도싱(dosing)으로 이송되어 일정량씩 사출기에 공급되고, 또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배치 칩도 다른 도싱으로 이송되어 일정량씩 사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혼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련된 용융물은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방사구금을 통하여 방사되어 필라멘트화되며, 방사된 필라멘트는 챔버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고화되고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연신 공정을 거친 필라멘트들은 컨베이어 벨트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되어 웹을 형성하며 형성된 웹은 역학적 특성 및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칼렌더 방식 등을 사용해 열적으로 결합시키게 되며, 이때 부직포의 일면이나 양면에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이 본딩율이 10∼19%인 엠보스롤면이고 다른쪽은 표면이 매끄러운 롤로 구성된 면으로 된 칼렌더롤을 사용해 일면에 엠보싱이 되어 있는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부여되는 칼렌더 압력은 60∼80dyne/㎝, 온도는 130∼170℃ 범위로 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얻어진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친수제를 부직포 표면에 도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친수액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들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때 도포량은 부직포의 픽업(Pick-up)율이 대략 20%이상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 UV 안정제 역시 폴리올레핀에 적용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히드록시 벤조페놀계, 아크릴로 니트릴 치환체 등이 있다. 이때 UV 안정제의 사용량은 전체 폴리올레핀 사용량 대비 0.02∼3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때 최종 제품의 물성 및 특성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인장강신도 :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ASTM D1682-64법에 의해 시료폭 5cm, 시료장 7.5cm의 시료편을 인장속도 30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내후성: Weater-O-mether설비를 이용(Light source :Xenon Arc, Black Panel Temp: 63℃, 상대습도 : 50%, 조사량 : 0.35W/㎡, Cycle : Spray18min/Light 102min) 하여 1800hr 조사 후의 강도변화를 측정하였다.
°흡수속도: EDANA 150. 3-96 NONWOVEN COVERSTOCK LIQUID STRIKE-THROUGH TIME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께 : Dial gaug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데니아 : 현미경을 이용하여 필라멘트의 직경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1]
부직포의 주원료로 용융지수(MFR)가 35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96중량부 투입하고, UV 안정제인 Chimassorb944가 15wt%가 함유된 마스터 칩 4중량부를 투입하여 사출기에서 용융 혼련시킨 후 방사구금을 통해 필라멘트를 형성시키고 냉각공기에 의한 고형화 및 연신을 시킨 후, 상기 필라멘트들을 연속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웹을 형성시킨 후, 엠보스롤이 150℃이고, S-롤이 153℃이며 압력이 65dyne/cm인 조건에서 용융압착에 의한 열접착으로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액상의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계면활성제를 Pick-up율이 30% 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품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60GSM인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잡초 성장 방지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 칩을 6중량부 투입하고,블랙(black)색상을 내기 위해 블랙 마스터 칩을 3 중량부 투입하였으며, 생산 제품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70GSM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UV 안정제 마스터 배치 칩을 1중량부 투입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60GSM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친수처리가공을 하기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60GSM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UV 안정제 마스터 칩을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에 친수처리가공을 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60GSM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된 부직포의 생산조건, 물성 및 내후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도 확인되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잡초 성장 방지 및 강도, 신도가 우수한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UV 안정제 함유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오래도록 사용가능하며, 또한 부직포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했기 때문에 액비처리가 용이한 등의 장점을 지닌다.

Claims (4)

  1. 용융지수가 25∼60g/10분 인 폴리올레핀 칩을 주원료로 하고 UV 안정제가 함유된 마스터배치 칩을 주원료인 폴리올레핀 대비 2∼15 중량% 되도록 하여 각각 사출기에 넣고 용융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다수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한 후 냉각 및 연신 공정을 거쳐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라멘트로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을 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부직포에 친수제를 도포하여 부직포에 친수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UV 안정제는 전체 폴레핀 사용량 대비 0.02∼3중량%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친수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계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010041422A 2001-07-11 2001-07-11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10069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422A KR100694192B1 (ko) 2001-07-11 2001-07-11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422A KR100694192B1 (ko) 2001-07-11 2001-07-11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930A true KR20030005930A (ko) 2003-01-23
KR100694192B1 KR100694192B1 (ko) 2007-03-14

Family

ID=2771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422A KR100694192B1 (ko) 2001-07-11 2001-07-11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1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073B1 (ko) * 2005-11-24 2006-11-2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65438B1 (ko) * 2007-04-19 2008-10-2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3850B1 (ko) * 2002-07-03 2008-12-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CN105951306A (zh) * 2016-06-29 2016-09-21 武汉纺织大学 一种可吸附有害气体纺粘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WO2019147091A1 (ko) * 2018-01-26 2019-08-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6005365A (zh) * 2023-03-27 2023-04-25 江苏鑫峰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防霉抗菌无纺布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205B1 (ko) 2008-11-21 2011-10-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부직포
KR102079226B1 (ko) * 2018-04-18 2020-0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멀칭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642A (ja) * 1992-01-17 1993-07-27 Sumitomo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KR20050104865A (ko) * 2004-04-30 2005-11-03 한국부직포테크(주) 잡초방제용 농업용 녹색부직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850B1 (ko) * 2002-07-03 2008-12-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재역류방지성이 우수한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100649073B1 (ko) * 2005-11-24 2006-11-2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65438B1 (ko) * 2007-04-19 2008-10-2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N105951306A (zh) * 2016-06-29 2016-09-21 武汉纺织大学 一种可吸附有害气体纺粘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WO2019147091A1 (ko) * 2018-01-26 2019-08-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6005365A (zh) * 2023-03-27 2023-04-25 江苏鑫峰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防霉抗菌无纺布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192B1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4693A (zh) 一种抗菌隔菌smms复合无纺布
KR100694192B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US5985776A (en) Nonwoven based on polymers derived from lactic acid, process for manufacture and use of such a nonwoven
AU201434597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nt receptacle as well as a plant receptacle
CN1559176A (zh) 环保型麻地膜及其制造工艺
JPH08246320A (ja) 乳酸に由来した重合体に基づく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不織布の使用
CN108248168A (zh) 一种抗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
DE69824825T2 (de) Kunststofffolie zur landwirschaftlichen verwendung mit besonderen antibeschlag- und antinebeleigenschaften
KR100742962B1 (ko) 멀칭용 다층 구조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 방법
CN101191275A (zh) 覆盖用多层结构聚丙烯纺粘无纺布以及其制造方法
KR200256067Y1 (ko)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수성을 지닌 스판본드 부직포
KR101778415B1 (ko) 농업용 피복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78812B1 (ko) 강도와 공기 투과성이 개선된 이성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438B1 (ko)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3251B1 (ko) 반영구적인 미생물 억제능을 갖는 인체에 무해한 필터
KR101747520B1 (ko) 벼 육묘용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211B1 (ko) 생분해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농업용 물품 및 농업용 방법
JP4717673B2 (ja) 吸水・保水シート
KR20030091205A (ko) 잔디보호용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제조방법
KR20080061761A (ko)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KR101226453B1 (ko) 항균 특성을 가진 폴리올레핀 섬유,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 부직포, 및 위생용품
KR100364156B1 (ko) 폴리에스테르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14657709A (zh) 一种防草布的制备方法及产品
KR20050104865A (ko) 잡초방제용 농업용 녹색부직포
Siwek et al. Evaluation of two degradable mulches in sweet pepper greenhouse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