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334A -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334A
KR20030005334A KR1020027014999A KR20027014999A KR20030005334A KR 20030005334 A KR20030005334 A KR 20030005334A KR 1020027014999 A KR1020027014999 A KR 1020027014999A KR 20027014999 A KR20027014999 A KR 20027014999A KR 20030005334 A KR20030005334 A KR 2003000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gnet
adhesive
movable mirror
re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자와히데쿠니
스즈키게이고
마츠우라다미아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07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45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42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4588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94Beam path
    • G06K7/1060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 G06K7/10633Basic scanning using moving elements by oscillation
    • G06K7/10643Activ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독해장치이며, 발광소자(13)와 수광소자(14)를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하여 이루는 레이저모듈(1)과, 가대에 부착한 미러와 이 가대의 양측에 설치한 요동축과 가대의 하면에 부착한 마그넷과,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한 지지주와 끼워 넣어지는 공심의 구동코일로 이루는 가동미러와, 발광소자(13)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미러에 반사시키는 발광렌즈를 하우징 내에 수납하여 구성하고, 독해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수광정밀도의 향상 및 미러의 요동을 확실하게 한 바코드 독해장치를 얻는다.

Description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 제조방법{Bar cord reader movable mirror for bar code rea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종래, 점포나 공장 등의 많은 곳에서는, 디지털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물품에 부착하고, 이것을 광학적으로 조사하여 정보를 독해하는 것으로, 상품의 판매관리나 제품의 생산관리 등을 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바코드는, 바코드에 빛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강약을 광전변환하는 것으로, 그 검출신호의 조합에서 정보를 독해한다.
이런 종류의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의 독해방식을, 도 21에 나타내는 개념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광소자(501)로부터의 빛을 발광렌즈(503)에서 조이고, 이 빛을 스캔미러(가동미러)(505)의 미러(507)에서 반사하고, 바코드(509)에 조사한다. 미러(507)는, 바코드(509)의 전역에 거쳐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요동된다. 미러(507)의 요동은, 미러(507)에 부착한 마그넷(511)을 구동코일(513) 내에 끼워 넣고, 구동코일에 예를 들면 일정주기로 정부의 전류를 흘리는 것으로, 구동코일(513)에 대하여 마그넷(511)을 흡착 또는 반발시킴으로써, 요동 중심축(515)을 지지축으로 하여 행해진다.
한편, 바코드(509)면에 조사한 빛은, 흐트러지게 반사하면서도 바코드의 흑백에 의한 광량변화로써 재차 미러(507)에 복귀하고, 거기서 반사된 빛은 집광렌즈(517)에 의해 집광되고, 수광소자(519)에 의해 광량변화를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독해정밀도 향상을 위한, 수광소자(519)의 전면에는 밴드패스휠터(BPF)(521)를 설치하여 발광주파수 이외의 불필요한 빛의 채광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독해방식을 장치화 한 것으로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코드 독해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501)와 발광렌즈(503)를 하우징(525) 내에 수납한 발광기구(A)와, 수광소자(519)와 수광렌즈(517), BPF(521)를 하우징(527) 내에 수납한 수광기구(B)를 기판(529)에 탑재한다.
각 하우징(525, 527)내에서의 전기적 접속은, 와이어 본딩 등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요동 중심축(515)을 증심으로 가동미러(505)의 미러(507)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발광기구(A), 수광기구(B) 및 가동미러(505)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내에 수납되어서 바코드 독해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바코드 독해장치는, 발광기구(A), 수광기구(B)가 각각 별개의 케이싱에 수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이중 외장구조이기 때문에, 소형화 하기에도 한계가 있고, 한편 소형화를 진행하면 수광정밀도의 저하나 미러 요동의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
특히, 핸디타입의 바코드 독해장치는, 전원 오프시에는 가동미러에 자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동미러가 요동자재로 되고, 관성력에 의해 요동으로 미러가 주변부재에 부딪히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동미러는, 미러를 유리소재에 의해 직사각형태로 형성하고, 미러 단면이 유리소재 그대로 되어 위약하다. 따라서, 바코드 독해장치를 잘못하여 낙하한 경우 등, 특히 큰 충격이 작용했을 때에는, 예리하고 위약한 에지부나 네모퉁이의 각부가 주변부재와 접촉하여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는 대책으로서, 종래의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도 22에 나타내는 보호용 스토퍼부재(531)에 쿠션시트(533) 등의 전용 완충재를 접착하고, 주변부재와 접촉함으로써 미러(507)의 파손을 방지했지만, 별채의 완충재를 접착하기 위해, 소형화·경량화의 장해가 되고, 제조 코스트도 증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소한 보호용 스토퍼부재에 완충재를 접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성도 나빴다.
또, 종래의 바코드 독해장치에서는, 가동미러(505)에 있어서의 미러(507)의 요동 중심축(515) 부분에 판스프링이나 실리콘 등의 탄성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요동 중심축(515)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기구(미러(507)를 포함한다)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고 있다.
바코드 독해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구성부품의 치수 및 무게의 불균일이 생겨, 이 영향으로 장치의 조립완료 시에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도 흐트러지게 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소망의 공진주파수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 미러(507)와 요동 중심축(515)과의 상대위치나 마그넷(511)의 부착 위치 등의 불균일에 의해, 구동코일(513)에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미러(507)의 정지자세(미러 요동시의 중립점)가 흐트러지게 되는 불편도 있었다.
본 발명은, 발광소자에서 출사한 광선을 피조사(被照射)대상으로 주사하는 동시에, 피조사대상으로부터의 복귀광을 수광소자에 입사(入射)시켜서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독해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이용되는 레이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가동미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 기초부(基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하우징 전부(前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 내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하우징 기초부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하우징 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독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레이저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이저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가동미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가동미러의 요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를 탑재한 바코드 독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가동미러의 요부(要部)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a∼도 16d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다른예를 각각 나타내는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접착제의 피착구조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적용되는 가동미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가동미러를 J화살표 방향에서 봤을 때의 일부 파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내는 가동미러를 K방향에서 봤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광독해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바코드 독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제 1의 목적은, 바코드 독해장치의 소형화로의 요청에 충분히 응할 수 있는 동시에, 수광정밀도의 향상 및 미러의 요동을 확실하게 한 바코드 독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전용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타 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미러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로써,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내충격성, 경량화를 향상시켜서, 또한 제조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제조상의 불균일, 즉, 부품의 치수, 중량, 부착 위치 등의 불균일이 있어도,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와 미러의 정지자세를 최적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바코드 독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하여 이루는 레이저모듈과, 가대(架臺)에 부착한 미러와 가대의 양측에 설치한 요동축과 가대의 하면에 부착한 마그넷과,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한 지지주와 지지주가 끼워 넣어지는 공심(空芯)의 구동코일로 이루는 가동미러와,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미러에 반사시키는 발광렌즈를 하우징 내에 수납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모듈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각주의 측면과 정면(頂面)에 부착하여 양 소자를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하는 동시에, 수광소자는 각주의 정면에 넓은 면적의 것으로, 또한 발광소자 측으로 밀어낸 상태로 부착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를 구성하는 가동미러는, 마그넷과 자기적인 공간을 가지는 상태로 지지주의 머리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다리부를 구동코일의 공심내에 끼워 넣고 있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구동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에 접속한 미러를 요동시켜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이 미러에 의해 편향하여 피조사 대상을 주사하고, 또한 이 피조사 대상으로부터의 복귀광을 반사시켜서 수광소자에 입사시키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이며, 직사각형 판상태로 형성한 상기 미러의 반사면과 반대측의 적어도 이면(裏面) 네모퉁이에, 경화 후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각부(角部)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고 있다.
여기서 이용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미러 이면(裏面) 네모퉁이에, 각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접착제를 피착하는 것으로, 쿠션시트 등의 전용의 완충재를 이용하지 않고, 타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미러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고,소형화를 달성하면서,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접착제를 국소적으로 피착하여 방호가 행해지므로, 완충재가 되는 접착제의 양이 필요 최소한으로 끝나고, 바코드 독해장치 전체의 경량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완충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접착제를 공용함으로, 제조 코스트도 삭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이용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접착제를 미러 이면(裏面)의 요동 중심축과 평행한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고 있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서는, 미러 이면(裏面) 네모퉁이의 각부에 가하여, 미러 이면(裏面)의 요동 중심축과 평행한 한 쌍의 에지부, 즉, 요동 양 선단의 에지부도 접착제에 의해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위약하고 더구나, 요동에 의한 변위량이 가장 큰 에지부를 방호 할 수 있고,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이용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접착제를 미러 이면(裏面)의 요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서는, 미러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가하여, 미러 이면(裏面)의 요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에지부, 즉, 요동 양 선단과 요동 중심축과의 사이의 완부(腕部)에 상당하는 에지부도 접착제에 의해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당해 에지부의 주변부재에 접촉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미러 강도도 높여져,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이용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접착제를 미러 이면(裏面)의 전체 둘레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한 것이여도 좋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서는, 미러 이면(裏面) 네모퉁이에 가하여, 미러 이면(裏面)의 전체 둘레의 에지부가 접착제에 의해 덮여진다. 즉, 이면(裏面) 전체의 에지부를 덮고, 주변부재에 접촉함에 의한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동시에, 접착제가 틀형태로 일체가 되고, 미러 강도도 또한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이용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접착제를 미러 이면의 전면에 피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서는, 미러 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가하여, 미러 이면(裏面)의 전면이 접착제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미러 이면(裏面)의 전체에 있어서 주변부재와 접촉함에 의한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동시에, 접착제가 면상에 일체가 되고, 미러 강도도 또한 높아져서, 내충격성이 높아진다. 또, 전면이 덮혀지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비산한 주변부재가 이면(裏面)에 맞음에 의한 파손도 방호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 요동부재나 자성체의 접착도 당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행하고, 미러 방호를 위한 접착제 도포와, 요동부재 등의 고정 설치를 위한 접착제 도포를 한번에 완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이용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는, 접착제를 피복한 미러의 근방에 보호용 스토퍼부재를 설치하고, 미러를 접착제를 거쳐서 보호용 스토퍼부재에 대어서 충격에 의한 미러의 과잉한 요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서는, 미러 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피착한 접착제를 거쳐서, 미러가 보호용 스토퍼 부재에 맞아, 예를 들면 바코드 독해장치를 낙하한 경우의 충격을 접착제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 구조와 같이, 보호용 스토퍼부재에 쿠션시트 등의 전용완충재를 접착 할 필요가 없게 되고, 보호용 스토퍼부재 전체를 콤팩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에 접속한 미러를 요동시켜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이 미러에 의해 편향하여 피조사대상을 주사하고, 또한 이 조사대상으로부터의 복귀광을 반사시켜서 수광소자에 입사시키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방법이며, 미러 이면에 요동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이 미러 이면 또는 이 요동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을 가지며,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동일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제를 미러 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도포한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방법에서는, 요동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미러에 대한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동일의 접착제를 미러 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도포하므로, 종래의 접착제 도포공정의 작업범위 내에서 접착제의 피착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공정을 늘리지 않고, 더구나,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방호용 접착제를 피착한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바코드 독해장치는, 미러를 유지하는 동시에, 요동 축을 중심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된 요동부재와, 요동부재에 접착되는 동시에, 요동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그넷자계를 형성하는 제 1마그넷과, 제 1마그넷이 형성하는 마그넷자계와의 자기적인 흡인 또는 반발작용에 의해 요동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구동부와, 제 1마그넷과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자극간에 자기흡인력을 작용시키는 동시에, 자기흡인력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1방향과 당해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가변하는 제 2방향에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마그넷을 갖춘다.
이 바코드 독해장치에서는, 제 2마그넷을 제 1방향으로 위치변동시켜서 제 1마그넷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크기를 바꿈으로서, 미러 및 요동부재를 포함하는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한다. 또, 제 2마그넷을 제 2방향으로 위치변동시켜서 제 1마그넷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바꿈으로서, 요동구동부를 비구동 상태로 했을 때의 미러의 정지자세가 변화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를 구성하는 제 2마그넷은, 요동구동부를 거쳐서 제 1마그넷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 1마그넷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과 상기 제 1마그넷의 자계 중심축 방향에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마그넷은, 요동구동부를 거쳐서 제 1마그넷이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 1마그넷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과 당해 제 2마그넷의 착(着)자극성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한층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 및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 제조방법의 호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는 레이저모듈과 가동미러와의 구성부재를 하우징 내에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부재에 대하여, 순차 설명한다.
도 1은, 레이저모듈(1)의 사시도이다. 이 레이저모듈(1)은, 히트싱크(11) 상에 각주(12)를 거쳐서 발광소자(13)와 수광소자(14)가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13)는 각주(12)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수광소자(14)는 각주(12)의 정면에 부착되고, 양 소자의 광로는 대략 직교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히트싱크(11)에는 리드핀(15)이 식설(植設)되어 있고, 이 리드핀(15)과 각 소자는 와이어본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가동미러(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가동미러(2)는 가대(21) 상에 미러(22)가 부착되고, 가대(21)의 양측에는 요동축(23, 23)이 설치되어 있다. 가대(21)의 하면에는 마그넷(24)이 고착되어 있다. 마그넷(24)의 하부에는 자성부재료로 되는 지지주(25)가 요동축(23)과 직교하고, 또한 지지주(25)의 머리부가 상기 마그넷(24)과 자기적인 공간을 가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레이저모듈(1)과 가동미러(2)의 외장체가 되는 하우징 기초부(基礎部)(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하우징 기초부(3)는, 예를 들면 수지재로 일체 성형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레이저모듈 수납부(31)와 가동미러 수납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모듈 수납부(31)의 저면에는 레이저모듈(1)의 리드핀(15)을 관입시키기 위한 핀구멍(33)이 뚫어져 있다.
한편, 가동미러 수납부(32)의 양 측연에는 반원형의 축수(34, 34)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가동미러(2)의 지지주(25)를 관장하는 구멍(35)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하우징 기초부(3)의 위쪽에서 덮개를 덮도록 피착되는 하우징 전부(前部)(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하우징 전부(4)도 상기 하우징 기초부(3)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기초부(3)에 대응하여 레이저모듈 수납부(41), 가동미러 수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가동미러 수납부(42)에는 수광렌즈(43)가 끼워 넣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코드 독해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하우징 기초부(3)의 하면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심상태의 구동코일(7)을 부착한 기판(6)을 고정한다. 다음에, 레이저모듈 수납부(31)에 도 1에 나타내는 레이저모듈(1)을, 그 리드핀(15)을 핀구멍(33)에 끼워 넣는 동시에 기판(6)에 접속시킨 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주(25)의 다리부(25a)(도 2참조)를 구멍(35)에 끼워 넣어서 구동 코일(7)의 공심에 배치한다. 다음에 가동미러 수납부(32)내에 가동미러(2)를 떨어뜨려 넣는 동시에 요동축(23, 23)을 축수(34, 34)내에 배치한다. 레이저모듈(1)과 가동미러(2)의 사이에 발광렌즈(5)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초점을 조정하고, 또한 구동코일(7)에 인가하여 마그넷(24)과 지지주(25)의 머리부(25b)(도 12참조)가 이루는 자기적 공간을 조정하는 것으로 미러에 소정의 공진주파수를 부여한다.
이상의 조정 후에 각각을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고, 이 하우징 기초부(3)에 대해 하우징 전부(4)의 레이저모듈 수납부(41), 가동미러 수납부(42)를 각각 하우징 기초부(3)의 레이저모듈(1), 가동미러(2)에 대응시켜서 덮고, 양자를 접착제로 고착한다.
도 7은, 본 독해장치를 하우징 전부(4) 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저부(기판(6)) 측에서 본 본 독해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바코드 독해장치는, 레이저모듈과 가동미러가 각각 개별적인 케이싱에 의해 구획되지 않고, 한 쌍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으로 되고, 전체로서 소형의 독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더구나 레이저모듈, 가동미러 더욱이는 발광렌즈는 하우징 기초부 내의 소정위치에 수납됨으로 조립 정밀도는 물론이고,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독해장치에 있어서, 더욱 독해 정밀도의 향상을 의도한 레이저모듈(1)의 사시도이다. 이 레이저모듈(1)에서는 히트싱크(11)상에 각주(12)를 입설하고, 이 각주(12)의 일측면(12a)에 수광소자(14a)를 부착한 것이다.
즉, 하나의 각주(12)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상태에서 발광소자(13)와 수광소자(14a)를 설치함으로써 히트싱크(11)에 있어서의 리드핀(15)의 배치에 설계상의 여유가 생기고, 그 결과 레이저모듈(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그 한편, 각 소자 특히 수광소자도 작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주(12)의 정면(頂面)보다도 넓은 면적의 수광소자(14a)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광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동시에, 수광감도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그 중, 도면의 예와 같이, 발광소자(13)를 덮는 상태로 밀어낸(차양의 상태) 것으로, 발광소자(13)는 수광의 간섭이나 미광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고, 이것에 의해 독해 정밀도의 향상도 기대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과 같이, 독해장치 자체가 소형화 되면 조립시의 기구조정도 미세한 작업으로 되어 독해 정밀도에도 영향을 준다. 특히 가동미러(2)의 요동에 있어서, 그 요동지지부에 통상 판스프링이나 실리콘 등의 탄성부재가 사용되지만, 각 부재의 치수 및 중량의 불균일에 의해 조립시에 있어서 정해진 미러의 공진주파수가 조립 완료시(출하)에는 어긋난다는 것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독해장치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가동미러(2)를 이용한다. 이 가동미러(2)는 상술과 같이, 가대(21)에 미러(22)가 부착되고, 가대(21)의 양 측면에는 요동축(23, 23)이 설치된다. 또 가대(21)의 하부에는 마그넷(24)이 고정되고, 또한 이 마그넷(24)의 하부에는 페라이트나 퍼멀로이 등의 자성재로 이루는 지지주(25)가 배치된다. 이 지지주(25)의 머리부(25b)와 마그넷(24)과의 사이에는 자기적 공간(h)(도 12참조)이 설치되어 미러(22)의 요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리부(25a)(도 2참조)는, 기판에 마운트 된 공심의 구동코일(7)(도 6 또는 도 8 참조)에 끼워 넣어진다.
이러한 구동코일(7)의 표면과 마그넷(24)의 하면은 후술과 같이 간극(H)을 가진다. 더구나 도 12a와 같이, 요동축(23)의 중심은 마그넷(24)의 S, N자극의 대략 중간선상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코일(7)에 전류를 흘리면, 구동코일(7)의 중심을 통과하는 자계(Y)가 발생한다. 한편, 마그넷(24)에도 자계(X)가 생겨져 있고, 이 X와 Y의 합성자계에 의해 요동축(23)을 중심으로서 모멘트(Z)가 생기고, 지지주(25)의 머리부(25b)와 자기적 공간(h)을 가지고 배치된 미러(22)(가대(21), 마그넷(24))는, 소정의 공진주파수로 요동한다.
특히, 요동축(23)의 중심과 마그넷(24)의 S,N자극의 중간에 엇갈림이 크면 요동도 커지고, 또 구동코일(7)에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요동도 변화한다.
구동코일(7)의 공심에 자성재료로 이루는 지지주(25)가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이 끼워 넣어지는 깊이 즉, 마그넷(24)의 하면과 구동코일(7)의 상면이 이루는 간극(H)(도 12b참조)의 크기에 의해, 요동의 공진주파수는 변화한다. 이 때문에 상기 간극(H)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소망의 공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런 후 접착제 등에 의해 지지주(25)를 구동코일(7) 등에 고정시키면 좋다. 이상에 의해 조립완료 시에도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될뿐 아니라, 간극(H)을 크게 바꾸는 것으로 별개의 공진주파수가 얻어지므로 별종의 독해장치의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 제조방법의 호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를 탑재한 바코드 독해장치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要部) 확대측면도이다.
바코드 독해장치(141)는, 발광소자(501)와 발광렌즈(503)를 하우징(525)내에 수납한 발광기구(A)와, 수광소자(519)와 수광렌즈(517), BPF(521)를 하우징(527)내에 수납한 수광기구(B)를 기판(529)에 탑재한다.
각 하우징(525, 527) 내에서의 전기적 접속은 와이어본딩 등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요동 중심축(515)을 중심으로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가동미러)(143)의 미러(145)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발광기구(A), 수광기구(B) 및 가동미러(143)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내에 수납되어서 바코드 독해장치(141)로서 형성된다.
바코드 독해장치(141)는, 발광소자(501)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가동미러(143)에서 반사하고, 이 가동미러(143)를 요동하는 것으로 피조사대상인 바코드를 주사한다. 가동미러(143)의 요동은, 미러(145)의 부착한 자성체(마그넷)(511)를 구동코일(513) 내에 끼워 넣고, 구동코일(513)에 예를 들면 일정주기로 정부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구동코일(513)에 대해 마그넷(511)을 흡착·반발시켜서, 요동 중심축(515)을 지지축으로 하여 미러(145)를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501)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미러(145)에 의해 편향하여 바코드를 주사하고, 또한 바코드로부터의 복귀광을 반사시켜서 수광소자(519)에 입사시킨다.
미러(145)의 이면(153)에는 요동 중심축(515)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요동부재(축수)(147)를 고정 설치하고 있다. 즉, 미러(145)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한 요동 중심축(515)에, 축수(147)를 거쳐서 요동자재로 되어 있다. 축수(147)는, 도 14에 나타내는 접착제(151)에 의해 미러(145)의 이면(153)에 접착하고 있다. 이 접착제(151)는, 경화 후에,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여기서, 소정의 탄성이란, 미러(145)가 주변부재에 충돌했을 때에,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탄성(쿠션성)이라고 한다. 또, 미러(145)의 이면(153)에 부착하는 마그넷(511)도, 이 접착제(151)에 의해 고정 설치하고 있다.
가동미러(143)는, 미러(145)를 유리소재에 의해서 직사각형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미러(145)의 반사면(155)과 반대측의 이면(153) 네모퉁이에는, 접착제(151)를 도 15에 나타내는 각부(157)를 덮는 것같이 구형태로 하여 피착하고 있다. 미러(145)는, 단면이 유리소재 그대로 되지만, 특히 예리하고 위약한 네모퉁이의 각부(157)가 이 접착제(151)에 의해 방호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미러(145)가 과잉으로 요동하고, 주변부재에 각부(157)가 접촉한 경우라도, 접착제(151)가 충격을 흡수하고, 각부(157)는 파손을 면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미러(145)의 근방에 단면 ⊃자형의 보호용 스토퍼부재(159)를 설치하고 있다. 보호용 스토퍼부재(159)는, 충격 등에 의해 미러(145)가 주사를 위한 소정 요동각도를 넘어서 요동할 때, 단면(159a, 159b)이 접착제(151)를 거쳐서 미러(145)에 닿아서, 미러(145)의 과잉한 요동을 규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용 스토퍼부재(159)는, 미러(145)가 소정 요동각도를 넘어서 요동하였을 때, 미러(145)에 당접하는 구성으로 하지만, 보호용 스토퍼부재(159)는, 미러(145)의 요동각도를 소정 요동각도로 규제하기 위한 규제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가동미러(143)를 제조하는 데는, 미러(145)의 이면(153)에, 요동부재인 축수(147), 마그넷(511)을 고정하기 때문에, 접착제(151)를 도포한다. 이 때, 접착제(151)는, 축수(147), 마그넷(511)의 접합면에 도포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접합제 도포공정에서, 동일한 접착제(151)를 사용하여 미러(145) 이면(153)의 네모퉁이의 각부(157)에 접착제(151)를 구형태로 도포한다. 그 후, 축수(147), 마그넷(511)을 고착한다. 또한, 요동부재 접착부로의 접착제(151)의 도포와, 각부(157)로의 접착제(151)의 도포와는, 각부(157)로의 도포를 먼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부(157)에 도포한 접착제(151)의 양생시간이 길게 되는 한편, 도포 직후의 접착제(151)에 요동부재를 접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가동미러(143)에 의하면, 미러(145)의 이면(153)의 네모퉁이에, 각부(157)를 덮는 것같이 하여 접착제(151)를 피착하는 것으로, 쿠션시트 등의 전용 완충재를 이용하지 않고, 타부품과의 접촉에 의해 미러(145)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접착제(151)를 국소적으로 피착하여 방호를 행할 수 있으므로, 완충재로 되는 접착제(151)의 양이 필요 최소한으로 끝내고, 바코드 독해장치(141) 전체의 경량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용의 완충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접착제(151)를 공용하므로, 제조 코스트도 삭감 할 수 있다.
또, 미러(145) 이면(153)의 네모퉁이의 각부(角部)(157)에 피착한 접착제(151)를 거쳐서, 미러(145)가 보호용 스토퍼부재(159)에 닿고, 예를 들면 바코드 독해장치(141)를 낙하한 경우의 충격을 접착제(151)에 의해 흡수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구조와 같이, 보호용 스토퍼부재에 쿠션시트 등의 전용 완충재를 접착할 필요가 없어지고, 보호용 스토퍼부재(159) 전체를 콤팩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용 스토퍼부재(159)는, 수 ㎜전후의 미세부재이기 때문에, 완충재를 접착하는 것은 곤란한 작업으로 된다. 따라서, 당해 접착작업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은, 조립 작업성의 향상에 크게 공헌하게 된다.
또한, 가동미러(143)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접착제 도포공정의 작업 범위내에서 접착제(151)의 피착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공정을 늘리지 않고, 더구나,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지극히 용이하게 보호용 접착제(151)를 피착한 가동미러(143)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6a∼도 16d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다른 예를 각각 표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접착제의 피착제조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에 나타내는 가동미러(161)는, 접착제(151)를 이면(153)의 요동 중심축(515)과 평행한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고 있다. 이 가동미러(161)에 의하면, 요동 양 선단의 에지부도 접착제(151)에 의해 덮혀지고, 위약하고, 더구나 요동에 의해 변위량이 가장 큰 에지부를 방호 할 수 있고,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6b에 나타내는 가동미러(171)는, 접착제(151)를 이면(153)의 요동 중심축(515)과 직교하는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고 있다. 이 가동미러(171)에 의하면, 요동 양선단과 요동 중심축(515)과의 사이의 완부에 상당하는 에지부도 접착제(151)에 의해 덮혀지고, 당해 에지부의 주변부재에 접촉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미러 강도도 높아지고, 내충격성이 높아진다.
도 16c에 나타내는 가동미러(181)는, 접착제(151)를 이면(153)의 전(全) 둘레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고 있다. 이 가동미러(181)에 의하면, 미러(145) 이면(153)의 전 둘레의 에지부가 접착제(151)에 의해 덮여진다. 즉, 이면(153) 전체의 에지부를 덮고, 주변부재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접착제(151)가 틀형태로 일체로 되고, 미러 강도도 더욱 높아지고, 내충격성이 높아진다.
도 16d에 나타낸 가동미러(191)는, 접착제(151)를 이면(153)의 전면에 피착하고 있다. 이 가동미러(191)에 의하면, 미러(145) 이면(153)의 전체에 있어서 주변부재와 접촉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접착제(151)가 면형태로 일체로 되고, 미러 강도도 또한 높아지고, 내충격성이 높아진다. 또, 전면이 덮혀짐으로, 충격에 의해 파괴·비산한 주변부재가 이면(153)에 닿음으로써 파손도 방호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면(153) 전면에 접착제(151)를 도포함으로, 축수(147)나 마그넷(511)의 접착도 당해 접착제(151)를 이용하여 행하고, 미러 방호를 위한 접착제 도포와, 요동부재의 고정 설치를 위한 접착제 도포를 한번에 완료 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각 다른 예에서는, 접착제(151)를 이면(153)의 각부(157)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접착제(151)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면(155)의 각부(158)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해도 좋다. 이 경우, 미러(145)의 유효면적은 작게 되지만, 이면(153)의 각부(157)와, 반사면(155)의 각부(158)에 가하여, 미러(145)의 단면(145a)도 덮을 수 있도록 되고, 전체의 에지부가 덮일 수 있음으로써, 미러(145)의 내충격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적용되는 가동미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가동미러를 J화살표방향에서 봤을 때의 일부 파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가동미러를 K화살표 방향에서 봤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가동미러(211)는, 크게는 요동부재(212)와, 제 1마그넷(213)과, 구동코일(214)과, 미러(215)와, 제 2마그넷(217)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요동부재(212)는 측면시 대략 삼각형(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요동부재(212)에 평평한 판형의 미러(215)가 일체로 유지되어 있다. 미러(215)는, 요동부재(212)의 경사면(212A)(도 19참조)에,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미러(215)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레이저광 등)을 바코드로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면(215A)을 가지며, 이 반사면(215A)의 방향(경사 각도)을 요동부재(212)의 요동작용에 의해 변화시킴으로써, 당해 반사면(215A)에서 반사시킨 빛을 바코드의 배열방향으로 스캔(주사)하는 것이다.
요동부재(212)의 양측에는, 당해 요동부재(212)의 외측에 동축상에 돌출하는 상태로 요동축(216)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부재(212)는, 그 양측의 요동축(216)을 하우징(218)의 축수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지지함으로써, 당해 요동축(216)을 중심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된 것이다. 하우징(218)은, 가동미러(211)를 수납하는 케이스로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수지의 일체형성에 의해 형성된다. 요동축(216)은, 예를 들면 요동부재(212)를 수지로 일체 형성함에 있어서 당해 요동부재(212)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요동부재(212)에 압입 등에 의해 짜 넣어도 좋다. 부품개수를 삭감한 위에서는 전자의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동부재(212)의 하면(상기 경사면(212A)과 예각을 이루는 면)에는, 제 1마그넷(213)이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장착(고정)되어 있다. 제 1마그넷(213)은, 강(强)자성체를 착자(着磁)하여 얻어지는 영구자석이며, 단면사각형의 봉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마그넷(213)은, 그 긴쪽방향(축방향)의 중간부를 착자극성의 경계부로서, 한쪽단을 N극, 다른 쪽단을 S극으로 한 마그넷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동부재(212)의 저면에 제 1마그넷(213)을 장착함에 있어서, 제 1마그넷(213)의 부착방향은 요동축(216)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것에 따라서 제 1마그넷(213)이 형성하는 마그넷 자계의 방향도 요동축(216)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마그넷(213)의 착(着)자극성의 경계부는, 요동축(216)의 중심(축심)을 통하고, 또한 제 1마그넷(213)이 장착되는 면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가상선상(요동축(216)의 중심에서 요동부재(212)의 저면에 수직으로 내린 가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코일(214)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요동구동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제 1마그넷(213)과의 사이에 간극을 거쳐서 당해 제 1마그넷(213)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코일(214)은, 코일선재를 한방향으로 권선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간극부분에서 제 1마그넷(213)이 형성하는 마그넷 자계와의 자기적인 흡인·반발작용에 의해 요동부재(212)를 요동시키는 기능(요동구동기능)을 다한다. 구동코일(214)에 정부(교류)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전류의 방향에 따른 구동자계가 코일 권선중심을 통과하도록 발생한다. 이 구동자계의 방향은, 제 1마그넷(213)에 의한 마그넷 자계의 방향(도 19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이것과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19의 상하방향)에, 또 요동축(216)의 중심축방향(도 20의 좌우방향)에 대해서도 이것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20의 상하방향)에 설정되어 있다.
제 2마그넷(217)은, 상기 제 1마그넷(213)과 동일하게 강자성체를 착자하여 얻어지는 영구자석이며, 단면사각형의 봉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마그넷(217)은, 구동코일(214)을 거쳐서 제 1마그넷(213)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마그넷(217)의 부착방향은, 상기 제 1마그넷(213)과 동일하게 요동축(216)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것에 따라서 제 2마그넷(217)이 형성하는 마그넷 자계의 방향도 요동축(216)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마그넷(217)의 착자극성의 경계부는, 초기의 설정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마그넷(213)과 동일하게, 요동축(216)의 중심(축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 1마그넷(213)이 장착되는 면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가상선상(요동축(213)의 중심에서 요동부재(212)의 저면에 수직으로 내린 가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제 2마그넷(217)의 자극(N극, S극)은, 제 1마그넷(213)의 자극(N극, S극)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마그넷(213)과 제 2마그넷(217)과의 대향부분에서는 서로 다른 자극간에 자기흡인력이 작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마그넷(217)은, 하우징(218)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219)에 협지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219)는, 구동코일(214)의 공심부를 통하여 외측에 돌출하고, 그 돌출부분에서 제 2마그넷(217)을 양측에서 끼워 넣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상태에 있어서, 제 2마그넷(217)은, 제 1마그넷(213)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도 19, 도 20의 상하방향)과 제 1마그넷(213)의 자계중심축방향(도 19의 좌우방향)에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2마그넷(217)의 위치변동은, 당해 제 2마그넷(217)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19)에 의해 안내된다. 또, 각방향으로의 위치변동에 즈음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조정 치구 등을 이용하여 제 2마그넷(217)의 위치가 조정(미조정)된다.
계속하여, 상기 구성으로 이루는 가동미러(21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요동부재(212)에 부착된 미러(215)의 정지자세는, 제 1마그넷(213)과 제 2마그넷(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코일(214)에 일정주기로 정부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전류의 방향에 따른 구동자계가 구동코일(214)의 중심축 방향에 발생한다. 이 때, 도 19에 있어서 구동코일(214)이 상방향의 구동자계를 발생한 경우는, 이 구동자계에 의해 제 1마그넷(213)의 N극에 자기반발력이 동 S극에 자기흡인력이 각각 작용한다. 이 자기적인 흡인 또는 반발작용에 의해, 요동부재(212)에는, 요동축(21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멘트(Z)가 발생한다. 또, 구동코일(214)에 흐르는 전류의 정부의 반전에 의해 구동자계의 방향이 반전하면, 조금전과 반대방향으로 요동부재(212)를 회전시키도록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요동부재(212)는, 당해 요동부재(212)에 유지된 미러(215)와 함께, 구동코일(214)에 흐르는 전류(교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요동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가동미러(211)에 있어서, 구동코일(214)에 통전하지 않은 상태(비구동상태)에서,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상하방향(제 1방향에 상당)에 위치 변동시키면, 이것에 따라서 제 1마그넷(213)과 제 2마그넷(217)과의 사이의 거리(L)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크기도 변화한다. 즉,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상방향으로 위치 변동시키면,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의 거리(L)가 짧게 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서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입력이 크게 된다. 또,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하방향으로 위치 변동시키면,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의 거리(L)가 길게 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서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이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은, 구동코일(214)으로의 통전에 의해 요동부재(212)를 요동시켰을 때에, 당해 요동부재(212)에 대하여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상하방향으로 위치변동 시켜서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크기를 바꿈으로서, 미러(215)나 요동부재(212)를 포함하는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장치제조공정 중에서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구동코일(214)에 통전하지 않은 상태(비구동상태)에서,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좌우방향(제 2방향에 상당)에 위치변동시키면, 이것에 따라서 제 1마그넷(213)과 제 2마그넷(217)의 자극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제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도 변화한다. 즉,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오른쪽 방향으로 위치변동시키면, 제 1마그넷(213)의 자기위치에 대하여 제 2마그넷(217)의 자극위치가 상대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의 변화에 의해 요동부재(212)가 시계도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왼쪽 방향으로 위치변동시키면, 제 1마그넷(213)의 자극위치에 대하여 제 2마그넷(217)의 자극위치가 상대적으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의 변화에 의해 요동부재(212)가 반시계 도는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은, 구동코일(214)에 통전하지 않은 상태로 미러(215)의 정지자세(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유지력으로 되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제 2마그넷(217)을 도 19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변동시켜서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바꿈으로서, 미러(215)의 정지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제조공정 중에서, 미러(215)의 정지자세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서, 제 2마그넷(217)의 위치변동에 의해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 조정 및 미러(215)의 정지자세 조정이 완료한 단계에서는, 제 2마그넷(217)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한 쌍의 가이드부(219)에 고정된다.
이상의 것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구성부품의 치수나 무게 등의 불균일에 의해, 소망의 공진주파수가 얻어지지않는 경우라도, 조립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제 2마그넷(217)을 제 1방향(도 19의 상하방향)으로 적당히 위치변동시킴으로서, 소망의 공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취급이 상당히 용이한 것으로 된다. 특히, 미러 요동을 위해 자기회로를 효율좋게 동작시키는 위에서는, 요동하는 부재가 가지는 공진주파수와 구동주파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바람직한 조건에 적합하도록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자기회로를 효율좋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공진주파수의 최적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자기회로의 동작효율을 높혀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일한 구성부품을 이용하여 가동미러(211)를 조립한 경우라도, 제 2마그넷(217)의 위치변동에 의해, 다른 공진주파수를 얻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러(215)와 요동축(216)과의 상대위치나 제 1마그넷(213)의 부착 위치 등에 불균일이 있더라도, 조립공정의 최종단계에서 제 2마그넷(217)을 제 2방향(도 19의 좌우방향)으로 적당히 위치변동시킴으로서, 구동코일(214)의 비구동상태에서 미러(215)를 소망의 자세로 정지시키고, 또한 그 정지자세에서 요동부재(212)의 요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마그넷(217)을 제 1마그넷(213)의 자계중심축 방향으로 위치변동시키는 것으로 미러(215)의 정지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 2마그넷(217)을 자신의 착(着)자극성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착자극성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제 2마그넷(217)을 위치변동 가능하게 한 경우라도, 당해 회전방향으로 제 2마그넷(217)을 위치변동시키는 것으로, 제 1, 제 2마그넷(213, 217)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변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하게 미러(215)의 정지자세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독해장치는 케이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레이저모듈, 가동미러를 하우징 내에 수납했기 때문에, 소위 이중외장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레이저모듈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대략 직교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음으로 수발광의 간섭도 없이 소형화된다. 그 위에, 가동미러도 지지주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요동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독해장치는 소형화되어도 독해 정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또 조립조정을 용이하게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에 의하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한 미러의 이면 네모퉁이에, 갱화 후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각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하였으므로, 쿠션시트 등의 전용의 완충재를 이용하지 않고, 타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미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접착제를 국소적으로 피착하여 방호가 행해지므로, 바코드 독해장치 전체의 경량화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용의 완충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접착제를 공용함으로, 제조 코스트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요동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미러에 대한 접착제 도포공정에, 동일한 접착제를 미러이면 네모퉁이의 각부에 도포하므로, 종래의 접착제 도포공정 내에서 접착제의 피착이 행해지고, 새로운 공정을 늘리지 않고, 더구나, 별도의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코드 독해장치에 의하면, 제 2마그넷을 제 1방향으로 위치변동시켜서 제 1마그넷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크기를 바꿈으로서, 미러 및 요동부재를 포함하는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제 2마그넷을 제 2방향으로 위치변동시켜서 제 1마그넷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바꿈으로서, 요동구동부를 비구동상태로 했을 때의 미러의 정지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와 미러의 정지자세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제조상의 불균일(부품의 치수, 중량, 부착위치 등의 불균일)이 있어도, 요동기구의 공진주파수와 미러의 정지자세를 최적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하여 이루는 레이저모듈과,
    가대(架臺)에 부착한 미러와 이 가대의 양 측에 설치한 요동축과 이 가대의 하면에 부착한 마그넷과, 이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한 지지주와 이 지지주가 끼워 넣어지는 공심(空芯)의 구동코일로 이루는 가동미러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집광하여 상기 미러에 반사시키는 발광렌즈를 하우징 내에 수납하여 구성한 바코드 독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모듈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각주의 측면과 정면(頂面)에 부착하여 양 소자를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하는 동시에, 수광소자는 각주(角柱)의 정면보다 넓은 면적의 것으로, 또한 발광소자 측으로 밀어낸 상태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미러는, 상기 마그넷과 자기적인 공간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지지주의 머리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다리부를 구동코일의 공심내에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
  4. 구동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에 접속한 미러를 요동시켜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이 미러에 의해 편향하여 피조사대상을 주사하고, 또한 이 피조사대상으로부터의 복귀광을 반사시켜서 수광소자에 입사시키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이며,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형성한 상기 미러의 반사면과 반대측의 적어도 이면 네모퉁이에, 경화후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각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상기 이면의 요동 중심축과 평행한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상기 이면(裏面)의 요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상기 이면의 전(全)둘레의 에지부를 덮는 것같이 하여 피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상기 이면의 전면(全面)에 피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피착한 미러의 근방에 보호용 스토퍼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미러를 상기 접착제를 거쳐서 이 보호용 스토퍼부재에 대어서 충격에 의한 이 미러의 과잉한 요동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10. 구동코일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에 접속한 미러를 요동시켜서,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이 미러에 의해 편향하여 피조사대상을 주사하고, 또한 이 조사대상으로부터의 복귀광을 반사시켜서 수광소자에 입사시키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방법이며,
    미러 이면(裏面)에 요동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이 미러 이면 또는 이 요동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을 가지며,
    이 접착제 도포공정에서,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 접착제를 미러 이면 네모퉁이의 각부(角部)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의 제조방법.
  11. 미러를 유지하는 동시에, 요동축을 중심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된 요동부재와,
    상기 요동부재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요동축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그넷 자계를 형성하는 제 1마그넷과,
    상기 제 1마그넷이 형성하는 상기 마그넷 자계와의 자기적인 흡인·반발작용에 의해 상기 요동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구동부와,
    상기 제 1마그넷과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자극간에 자기흡인력을 작용시키는 동시에, 당해 자기흡인력의 크기를 가변하는 제 1방향과 당해 자기흡인력의 밸런스를 가변하는 제 2방향에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마그넷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마그넷은, 상기 요동구동부를 거쳐서 상기 제 1마그넷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마그넷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과 상기 제 1마그넷의 자계 중심축방향으로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마그넷은, 상기 요동구동부를 거쳐서 상기 제 1마그넷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마그넷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과 당해 제 2마그넷의 착(着)자극성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에 각각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독해장치.
KR1020027014999A 2001-03-26 2002-03-26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제조방법 KR20030005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7618 2001-03-26
JPJP-P-2001-00087618 2001-03-26
JP2001207296A JP3674549B2 (ja) 2001-07-09 2001-07-09 ビームスキャナ用可動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207296 2001-07-09
JPJP-P-2002-00014258 2002-01-23
JP2002014258A JP3674588B2 (ja) 2002-01-23 2002-01-23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34A true KR20030005334A (ko) 2003-01-17

Family

ID=2734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999A KR20030005334A (ko) 2001-03-26 2002-03-26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7850B2 (ko)
KR (1) KR20030005334A (ko)
CN (1) CN1251125C (ko)
TW (1) TW567339B (ko)
WO (1) WO20020779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089A (zh) * 2018-06-27 2018-09-25 佛山市计客创新科技有限公司 磁力定位魔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7803C (zh) * 2004-04-20 2008-12-31 巨豪实业股份有限公司 条形码读取装置的动态扫描结构
US20060255142A1 (en) * 2005-05-16 2006-11-16 Edward Barka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ock protection
US7726573B2 (en) * 2007-05-25 2010-06-01 Symbol Technologies, Inc. Compact autofocus bar code reader with moving mirror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US9310609B2 (en) 2014-07-25 2016-04-12 Hand Held Products, Inc. Axially reinforced flexible scan element
CN105095821B (zh) * 2015-08-11 2017-12-29 深圳市合杰电子有限公司 一种光学符号扫描器
JP6752350B2 (ja) * 2016-08-04 2020-09-09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F. Hoffmann−La Roche Aktiengesellschaft ラボラトリ試料分配システム及びラボラトリ自動化システム
TWI635445B (zh) * 2017-08-25 2018-09-11 振樺電子股份有限公司 Double steering adjustment device for reading head of barcode reader
JP6651110B1 (ja) * 2019-05-28 2020-02-19 Dolphin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IT202000002155A1 (it) * 2020-02-04 2021-08-04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Dispositivo per l’orientamento sferico di un elemento ottico, in particolare per dirigere un fascio di luce, quale un fascio las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902541D1 (de) * 1988-06-30 1992-12-03 Ver Glaswerke Gmbh Verkehrsspiegel.
JP3044667B2 (ja) * 1990-06-19 2000-05-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学式読取り装置
JP3389270B2 (ja) * 1992-05-15 2003-03-24 シンボル テクノロジ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型バーコード走査装置
JP3467603B2 (ja) * 1994-03-17 2003-11-17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振動ミラー形走査装置
US5280163A (en) * 1992-06-26 1994-01-18 Symbol Technologies, Inc. Drive circuit for resonant motors
US5539192A (en) * 1994-09-26 1996-07-23 Allen-Bradley Company, Inc. Bar code reader mirror oscillator
US5484995A (en) * 1994-09-26 1996-01-16 Allen-Bradley Company, Inc. Pulse drive circuit for bar code reader resonant oscillator
JPH1125243A (ja) * 1997-06-30 1999-01-29 Toshiba Chem Corp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の取り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089A (zh) * 2018-06-27 2018-09-25 佛山市计客创新科技有限公司 磁力定位魔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1509A1 (en) 2005-07-28
CN1251125C (zh) 2006-04-12
CN1462409A (zh) 2003-12-17
WO2002077906A1 (fr) 2002-10-03
US7007850B2 (en) 2006-03-07
TW567339B (en) 200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230B1 (ko) 렌즈 구동장치
CN108873562B (zh)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JP4331597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用モジュール
CN109975942A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US20120002259A1 (en) Molded elastomeric flexural elements for use in a laser scanning assemblies and scan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uning and adjusting the same
KR20170029437A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JP4838754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70032242A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030005334A (ko) 바코드 독해장치와 바코드 독해장치용 가동미러 및 그제조방법
JP2020190651A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EP2481010B1 (en) Molded elastomeric flexural elements for use in a laser scanning assemblies and scan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uning and adjusting the same
JP3568929B2 (ja) 磁気センタリング式走査ミラーを備えたコンパクトな走査モジュール
JP6710419B1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US7265887B2 (en) Two axis low inertia torsional hinged optical device
CN110764072B (zh) 一种双轴承振镜和激光雷达
US20050078346A1 (en) Pivoting mirror with improved magnetic drive
US20090213445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optical reading system provided with the optical scanning device
CN110940989A (zh) 一种振镜和激光雷达
JP4407046B2 (ja) 光スキャナ
JP2020190655A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N111175765B (zh) 一种双轴承振镜和激光雷达
EP1877851A2 (en) Two-sided torsional hinged mirror
CN114355552A (zh) 光学单元
EP1081529A2 (en) Reflective dither spring
JP2005304098A (ja) 磁気駆動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