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026A -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026A
KR20030005026A KR1020020038582A KR20020038582A KR20030005026A KR 20030005026 A KR20030005026 A KR 20030005026A KR 1020020038582 A KR1020020038582 A KR 1020020038582A KR 20020038582 A KR20020038582 A KR 20020038582A KR 20030005026 A KR20030005026 A KR 2003000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upport
holographic stereogram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279B1 (ko
Inventor
아시자키고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86Particular reconstruction light ; Beam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5Support holding the holographic record
    • G03H2227/06Support including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입사 각도를 변위시켜서 재생 상을 반복 관찰한다. 화상 재생 장치는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각종 전기 회로를 갖는 전원부, 발광 다이오드 등을 갖는 광원부, 이 광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로 대별된다. 화상 재생 장치는 광원부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ILLU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olographic stereogram)에 노광(露光)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 및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조사(照射)하는 화상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1년 7월 5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01-24298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발명의 일부로서 참조되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예를 들면, 피사체를 다른 관찰 점에서 순차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다수의 화상을 원화로서, 이들을 1매의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에 직사각형 또는 도트형의 요소 홀로그램으로서 순차 노광 기록함으로써 제작된다.
예를 들면, 횡 방향으로만 시차 정보를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200)를 횡 방향의 상이한 관찰점으로부터 순차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원화(原畵)(201a∼201e)를 소정의 광학 시스템을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의 표시기에 순차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변조한 물체 광과 참조 광의 간섭에 의해서 생기는 간섭 줄무늬를 직사각형의 요소 홀로그램으로서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202)에 순차 노광 기록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횡 방향의 상이한 관찰점으로부터 순차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정보가 직사각형의 요소 홀로그램으로서 횡 방향으로 순차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이것이 있는 위치로부터 한 쪽의눈으로 본 경우에는 각 요소 홀로그램의 일부분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의 집합체가 2차원 화상으로서 식별되고, 또 이 위치와는 상이한 다른 위치로부터 한 쪽의 눈으로 본 경우에는 각 요소 홀로그램의 다른 일부분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의 집합체가 다른 2차원 화상으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관찰자가 이것을 양 눈으로 본 경우에는 좌우 눈의 시차(parallax)에 의해 노광 기록 화상이 3차원 화상으로서 인식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예를 들면, 「Akira Shirakura, Nobuhiro Kihara and Shigeyuki Raba, "Instant holographic portrait printing system", Proceeding of SPIE, Vol.3293, pp. 246-253, Jan. 1998)」이나「키하라, 시라쿠라, 바바: "고속 홀로그램 화상 프린트 시스템", 3차원 화상 컨퍼런스 1998, 1998년 7월」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여 시차 화상열(parallax image series)을 생성하는 촬영 장치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와 같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또는 홀로그램을 인쇄물로서 출력하는 인쇄 장치를 조합한 프린터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프린터 시스템은 피사체의 촬영으로부터 촬영 결과의 인쇄까지의 서비스를 동일 장소에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재생 상을 재생할 때는 기록 시에 이용한 참조 광에 의해서 정해지는 재생 광이 필요로 된다. 이 재생 광의 광원으로는 기록 때와 같이 레이저광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른바레인보우 홀로그램이나 립맨(Lippman) 홀로그램 등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코히어런트(coherent) 광원을 이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할로겐램프 등의 인코히어런트(incoherent) 백색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관찰자에 대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홀로그램에서는 재생 광으로서, 예를 들면 태양광과 같은 평행 광에 의한 조명이나, 할로겐램프에 의한 스포트라이트 등과 같은 대략 점 광원 상태 또는 대략 평행간 상태의 조명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재생 광의 발산 각도에 관해서는 기록 시에 이용한 참조 광의 상태에 가까운 상태인 편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재생 광의 광원의 종별이나 광학적인 배치에서 정도의 제한이 더해진다.
그리고,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는, 재생 광이 조명되는 것에 의해, 기록 시의 물체 광의 파형이 재생된다. 관찰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양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입체 영상 등의 3차원 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시계열(series of time-sequential)의 화상이 순차 기록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지한 3차원 상만이 아니라, 시계열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관찰자가 재생 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시차 방향으로 이동, 즉 시점 이동해야 했다. 이로 인해,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육안으로 확인되는 재생 상이 관찰자의 자의적인 생각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된다. 특히,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복수의 3차원 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나 시계열 영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처럼,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킴에 따라 재생 상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관찰자의 자의적인 생각에 의해서 재생 상의 변화에 편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재생 광의 입사 각도를 기록 시에 정해진 참조 광의 입사 각도로부터 변위시킴으로써,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킨 상태와 대략 근사한 상태로 되어, 3차원 상이나 시계열 영상 등의 재생 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1-142382호 공보에서는 홀로그램에 대하여 소정의 입사 각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화상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특허공개 제2001-142382호 공보에서는 광원의 이동 기구로서 레버 및 스프링, 그리고 스프링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댐퍼로 이루어지는 기구가 예시되어 있다.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를 이동시키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레버가 초기 상태에 되돌아가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레버의 이동에 따라 광원이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화상 재생 장치는 광원이 초기 상태에서 멀어지고, 다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는 1회 왕복동 이동 동작을 행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관찰자가 재생 상을 반복 관찰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레버의 이동 동작을 반복하여 행할 필요가 있고 조작이 번거로웠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반복 레버를 이동 동작시킴으로써, 기구의 파손이나 소모가 생기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간편한 구조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입사 각도를 변위시켜 재생 상을 반복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olographic stereogram)을 제작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의 광학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의 광학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B)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의 광학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화상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초기 상태에서의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놓을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C)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놓을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광원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및 지지부의 회전축의 공간적 배치에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로서, 이상적인 재생 광의 입사 각도와 관찰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광원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및 지지부의 회전축의 공간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로서, 재생 광의 입사 각도가 참조 광의 입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 뿐 아니라, 그 근방의 각도로 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광원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및 지지부의 회전축과의 공간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면도로서, 관찰 각도가 일정할 뿐 아니라, 그 근방의 각도로 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을 설치한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평활화 회로 및 정전류 회로로서의 정전류 다이오드를 설치한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직렬로 1개의 정전류 다이오드를 접속한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개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직렬로 1개의 정전류 다이오드를 접속한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직렬로 전해 콘덴서를 접속한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단자 레귤레이터 및 가변 저항을 이용하는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정전류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정전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또한 지지부의 요동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화상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요동 검지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 화상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광원부에서의 단안정 멀티진동기(monostable multivibrator)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요동 검지부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펄스 신호와, 광원부에서의 단안정 멀티진동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또한 지지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화상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에 대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지지부의 회전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화상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에 대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지지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화상 재생 장치의 정면도이며, (B)는 화상 재생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일반적인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킨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조명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조사하는 화상 조명 장치로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조명 장치는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킨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수단을 광원 수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광원 수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3차원 화상 정보나 시계열 영상 정보 등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이다. 이 화상 재생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재생 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재생 장치는 이른바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광원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킴에 따라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킨다, 또는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광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이러한 진자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광원과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예를 들면 수 밀리와트 이하의 저소비 전력으로 진자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함으로써 동작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화상 재생 장치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재생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상 재생 장치의 설명에 앞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홀로그래픽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는 직사각형의 복수의 요소 홀로그램을 하나의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에 노광 기록함으로써, 횡 방향의 시차 정보를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는 도트형의 복수의 요소 홀로그램을 하나의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에 노광 기록함으로써,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시차 정보를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할 수도 있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감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광 기록하는 것이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노광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11),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용 컴퓨터(12),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용 광학 시스템을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를 구비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최소한 화상 처리용 컴퓨터(14) 및 기억 장치(15)를 가지고, 예를 들면 다안식 카메라나 이동식 카메라 등을 가지는 시차 화상열 촬상 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시차 정보를 포함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D1)나 화상 데이터 생성용 컴퓨터(2)에 의해서 생성된 시차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화상 데이터(D2) 등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시차 화상 데이터열(D3)을 생성한다.
또, 촬상 화상 데이터(D1)는 예를 들면 다안식 카메라에 의한 동시 촬영 또는 이동식 카메라에 의한 연속 촬영에 의해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 데이터이며, 촬상 화상 데이터(D1)를 구성하는 각 화상 데이터 사이에는 시차 정보가 포함된다.또, 컴퓨터 화상 데이터(D2)는 예를 들면 CAD(Computer Aided Design)나 CG(Computer Graphics)로서 작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이며, 컴퓨터 화상 데이터(D2)를 구성하는 각 화상 데이터 사이에는 시차 정보가 포함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이들 촬상 화상 데이터(D1) 및/ 또는 컴퓨터 화상 데이터(D2)에 기초하는 시차 화상 데이터열(D3)에 대하여, 화상 처리용 컴퓨터(14)에 의해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용의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를 생성한다.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는 예를 들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15)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요소 홀로그램 화상을 노광 기록할 때에, 기억장치(15)에 저장된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로부터 1화상만큼의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를 순차 판독하고, 이들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를 제어용 컴퓨터(12)에 공급한다.
제어용 컴퓨터(12)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로부터 공급된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에 기초하는 요소 표시 화상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의 일부에 설치된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직사각형의 요소 홀로그램으로서 순차 노광 기록시킨다. 이때, 제어용 컴퓨터(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의 각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판(광학 정반)에 배치 지지됨과 동시에 이 지지 기판을 도시하지 않은 댐퍼 등을 통해 장치 하우징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용 광학 시스템으로서, 입사 광학 시스템, 물체 광학 시스템 및 참조 광학 시스템을 가진다. 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감광재인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 하우징은 최소한 광학 시스템의 차광성(遮光性)을 유지한 구조로 되어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 광학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21), 레이저 광원(21)으로부터의 레이저광(L1)의 광 축 상에 배치되어 레이저광(L1)을 후단으로 입사 또는 차단하는 셔터 기구(22), 레이저광(L1)을 물체 광(L2)과 참조 광(L3)으로 분할하는 하프 미러(half mirror)(23)를 가진다.
레이저 광원(21)은 예를 들면 단일 파장이며 간섭성이 좋은 레이저광(L1)을 출사하는 반도체 여기(勵起) YAG 레이저 장치, 수냉 아르곤 이온 레이저 장치 또는 수냉 크립톤(krypton) 레이저 장치 등의 레이저 장치로 구성된다.
셔터 기구(22)는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의 출력 타이밍에 대응하여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1)에 의해서 개폐 동작되어, 레이저광(L1)을 후단의 광학 시스템으로 입사된다, 또는 레이저광(L1)의 후단의 광학 시스템에의 입사를 차단한다.
하프 미러(23)는 입사된 레이저광(L1)을 투과 광과 반사광으로 분할한다. 레이저광(L1)은 투과 광이지만 상술한 물체 광(L2)으로서 이용되는 한편, 반사광이 참조 광(L3)으로서 이용된다. 이들 물체 광(L2)과 참조 광(L3)은 각각 후단에 설치된 물체 광학 시스템 또는 참조 광학 시스템에 입사된다.
또, 입사 광학 시스템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레이저광(L1)의 진행 방향을 적절히 변화시키고, 물체 광(L2)과 참조 광(L3)의 광로(光路)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미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셔터 기구(22)는 예를 들면, 셔터 편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음향 광학 변조기(Acousto-Optic Modulation; AOM)를 이용한 전자 셔터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즉, 셔터 기구(22)는 레이저광(L1)을 차단 및 투과 가능하게 하는 개폐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 광학 시스템으로서 미러(24), 공간 필터(25), 콜리메이터 렌즈(26), 투영 렌즈(27), 원통 렌즈(28) 및 마스크(29) 등의 광학 부품을 가지고, 이들 각 광학 부품을 광 축을 따라 그 입력 측으로부터 순차 배열시키고 있다.
미러(24)는 하프 미러(23)를 투과한 물체 광(L2)을 반사한다. 미러(24)에 의해서 반사된 물체 광(L2)은 공간 필터(25)로 입사된다.
공간 필터(25)는 예를 들면 볼록 렌즈와 핀 홀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미러(24)에 의해서 반사된 물체 광(L2)을 후술하는 투과형 액정 표시기(30)의 표시면 폭에 대응하여 등방적(等方的)으로 확대시킨다.
콜리메이터 렌즈(26)는 공간 필터(25)에 의해서 확대된 물체 광(L2)을 평행광화하여 투과형 액정 표시기(30)로 도광한다.
투영 렌즈(27)는 물체 광(L2)을 약간 확산시키고, 원통 렌즈(28)로 투영한다. 이 투영 렌즈(27)는 물체 광(L2)을 약간 확산시킴으로써, 제작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화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원통 렌즈(28)는 평행광화된 물체 광(L2)을 횡 방향에 대하여 집광한다.
마스크(29)는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원통 렌즈(28)에 의해서 집광된 물체 광(L2)중 개구부를 통과한 것을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로 입사시킨다.
또, 물체 광학 시스템에는 콜리메이터 렌즈(26)와 투영 렌즈(27) 사이에 위치하고 투과형 액정 표시기(30)가 배치되어 있다. 투과형 액정 표시기(30)에는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공급된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에 따라, 요소 홀로그램 화상이 순차 표시된다. 또, 제어용 컴퓨터(12)는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의 출력 타이밍에 대응하여, 구동 신호(C2)를 후술하는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의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에 공급하고, 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의 이송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물체 광학 시스템에서는 입사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분할되어 입사되는 가느다란 빔형인 물체 광(L2)이 공간 필터(25)에 의해서 확대됨과 동시에 콜리메이터 렌즈(26)에 입사함으로써 평행 광이 된다. 또한, 물체 광학 시스템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26)를 통해 투과형 액정 표시기(20)에 입사된 물체 광(L2)이 투과형 액정 표시기(30)에 표시된 요소 홀로그램 화상에 따라서 화상 변조됨과 동시에, 투영 렌즈(27)를 통해 원통 렌즈(28)로 입사된다. 그리고, 물체 광학 시스템은 셔터 기구(22)가 개방 동작되어 있는 사이 화상 변조된 물체 광(L2)을 마스크(29)의 개구부를 통해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입사되어, 요소 홀로그램 화상에 대응하여 이것을 노광 기록한다.
또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참조 광학 시스템으로서, 공간 필터(31), 콜리메이터 렌즈(32) 및 미러(33)를 가지고, 이들 각 광학 부품을 광 축을 따라 그 입력 측으로부터 순차 배열시키고 있다.
공간 필터(31)는 상술한 물체 광학 시스템에서의 공간 필터(25)와는 달리, 예를 들면 원통 렌즈와 슬릿이 조합되어 구성되고, 하프 미러(23)에 의해서 반사 분할된 참조 광(L3)을 소정의 폭, 구체적으로는 투과형 액정 표시기(30)의 표시면 폭에 대응하여 1차원 방향으로 확대시킨다.
콜리메이터 렌즈(32)는 공간 필터(31)에 의해서 확대된 참조 광(L3)을 평행광화한다.
미러(33)는 참조 광(L3)을 반사시켜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의 후방으로 도광하여 입사시킨다.
이러한 광학 시스템을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하프 미러(23)에 의해서 분할된 물체 광(L2)이 통과하는 광학 시스템인 물체 광학 시스템과, 참조 광(L3)이 통과하는 광학 시스템인 참조 광학 시스템의 광로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부(13)는 물체 광(L2)과 참조 광(L3)과의 간섭성이 향상되어, 보다 선명한 재생 상이 얻어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도 2의 (B)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1요소 홀로그램만큼 간헐 이송하는기록 매체 이송 기구(34)를 구비한다.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는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C2)에 따라,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간헐적으로 주행 구동한다. 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의 동작에 연동하여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C1)에 따라, 상술한 셔터 기구(22)가 동작되어 레이저광(L1)의 광로를 개방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1요소 화상만큼의 노광 기록 종료마다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1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한 구동 신호(C2)가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에 대하여 공급됨으로써,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1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한 양만 주행로를 따라 주행 구동시키고, 마스크(29)의 개구부에 미노광 부위를 대응시켜 정지시킨다. 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의 주행 동작에 따라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생긴 진동이 빠르게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는 기다란 스트립형의 감광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체가 차광 상태에 유지된 필름 카트리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 롤에 감겨져 있다.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는 이 필름 카트리지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에 장전되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의 내부에 조출되어,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에 의해서 주행로를 주행 구동시키게 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이 상태로 셔터 기구(22)가 개방 동작되어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하여 그 표리면에서 화상 변조된 물체광(L2)과 참조 광(L3)을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입사시키고, 요소 홀로그램 화상에 대응한 간섭 줄무늬를 노광 기록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1요소 화상의 노광 기록이 종료하면 제어용 컴퓨터(12)로부터 기록 매체 이송 기구(34)에 대하여 구동 신호(C2)가 공급되고,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빠르게 소정량만 주행 구동시켜 정지시킨다.
또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정착 처리부에 의해,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한 자외선의 조사 처리와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한 소정의 온도에서의 가열 처리로 이루어지는 정착 처리를 행하고,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하여 노광 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정착시킨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정착 처리가 실시된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마다 소정의 크기로 순차 오려 내고, 1매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서 외부에 배출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는 이하 이러한 순차 동작을 행함으로써, 기다란 스트립형의 홀로그램용 기록 매체(3)에 대하여,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순차 노광 기록하고, 1매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이 노광 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한다.
다음에,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10)에 의해서 제작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3차원 화상 정보나 시계열 영상 정보 등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킴에 따라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 및 (B)에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50)는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각종 전기 회로를 구비하는 전원인 전원부(51),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을 구비하는 광원 수단인 광원부(52), 광원부(52)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인 지지부(53),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로 대별된다.
전원부(51)에는 화상 재생 장치(50)의 기반(55)의 내부에 전지 등의 전원(56)이나 광원부(52) 및 지지부(53)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전기 회로가 설치된다. 또, 전원부(51)에는 전원의 ON/OFF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57)가 설치된다.
광원부(52)는 후술하는 지지부(53)에서의 연결 암(60)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고, 전원부(5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력에 따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했을 때에 이용한 소정의 파장의 광을 재생 광으로서 출사한다. 예를 들면, 광원부(5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대략 점 광원을 선형으로 정렬시키거나, 소정의 광학 시스템에 의해서 선형 광으로 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대략 평행 광을 조사한다. 이 때, 광원부(52)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제작 시에 이용한 참조 광의 입사 각도와 동일의 입사 각도로 재생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광원부(52)는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재생하는 데 대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복수 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3)는 기반(55)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지지 축(5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3의 (A)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59), 회전 부재(59)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부재(59)의 일단에 장착되는 연결 암(60), 회전 부재(59)의 타단에 장착되는 카운터밸런스용 추(61)를 구비한다. 지지부(53)는 전원부(5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력에 따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3)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회전 부재(59)가 정역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광원부(52)가 선단에 장착된 연결 암(60)을 도 4의 (B)에서 화살표 c 및 도 4의 (C)에서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약 90°정도의 요동 각도로 반복적으로 요동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62)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62)는 도 3의 (B)에 측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55)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장착된다. 이 때, 유지 부재(62)는 그 주면(主面)에 대한 상술한 광원부(52)로부터 출사되는 재생 광의 입사 각도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제작 시에 이용한 참조 광의 입사 각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장착된다. 관찰자는 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어 디스플레이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관찰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외관을 이루는 화상 재생 장치(50)는 지지부(53)가 지지 축(5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광원부(52)가 반복적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화상 재생 장치(5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화상 재생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화상 재생 장치(50)에서의 광원부(52),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지지부(53)의 회전축의 공간적 배치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 대하여 조사되는 재생 광의 입사 각도 α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의 제작 시에 이용한 참조 광의 입사 각도와 동일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관찰자 OB의 시점 방향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가 이루는 각도인 관찰 각도 θ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의 제작 시에 이용한 물체 광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인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는 그 주면이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적인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 제한된 거리만큼 이격된 광원부(52)로부터 출사되는 재생 광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 도달할 때까지 등방적으로 확대된다. 그 결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 대한 재생 광의 입사 각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 광의 입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 α일뿐 아니라, 그 근방의 각도 α±δα가 된다. 따라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는 광원부(52)가 점 광원인 경우에는 관찰 각도 θ가 일정하여도, 점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재생 광의 입사 각도의 편차가 생김에 따라 재생 광에 대한 회절 효율이 변화되어,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 재생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밝기에 공간적인 편차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찰 각도 θ도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근방의 각도 θ±δθ로 관찰된다. 이 경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의 제작 시에 이용한 물체 광의 상태에도 의존하지만,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 재생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밝기에 공간적인 편차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50)는 광원부(52)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 대하여 대략 평행 광을 조사하도록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대략 점 광원을 선형으로 정렬시키거나, 소정의 광학 시스템에 의한 선형 광원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화상 재생 장치(5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의 주면 상에서의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영역에 입사 각도 α와 그 근방의 각도로 재생 광을 입사시킬 수 있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서 재생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밝기를 평균화할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50)는 광원부(52)로서 복수의 점 광원을 선형으로 정렬시키는 경우에는 각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재생 광의 발산 각도가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상 재생 장치(50)는 상술한 각도 α가 작은 점 광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재생 장치(50)는 이러한 점 광원을 이용하는 것에 따라 최적의 입사 각도 α에 가까운 입사 각도의 재생 광만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HS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어 회절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복수의 점 광원을 선형으로 정렬시키거나, 소정의 광학 시스템에 의한 선형 광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이른바 립맨 홀로그램이나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시차 정보를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지만, 특히 횡 방향 또는 종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으로 시차 정보를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해 현저한 것이다.
다음에, 화상 재생 장치(50)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대해, 도 8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광원부(52)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50)는 지지부(53)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최소한 2점 이상의 지지 점(631, 632)을 구비하고, 이들 지지 점(631, 632)을 통해 전원부(51)로부터 광원부(52)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화상 재생 장치(50)는 지지 점(631, 632)을 전극으로서 이용하여 광원부(52)에 전력을 공급한다.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광원부(52)로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발광 다이오드는 전류 값에 의해서 발광 강도가 변화되지만, 통상, 소정의 전압 치 이상을 초과하면, 전류 값이 급격히 커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는 전압을 제어할 때에 불안정한 점등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전류 값을 제어함으로써 발광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전류 제어를 실현하는 화상 재생 장치(5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부(52)로서, 발광 다이오드(641, 642)의 각각 대하여 직렬로 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651, 652)을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화상 재생 장치(50)는 가변 저항(651, 652)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641, 642)에 흐르는 전류 량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지지 점(631, 632)을 전극으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지지 점(631, 632)의 표면에 상처나 먼지 등이 부착된 경우에는 지지 점(631, 632)의 동작 및 접촉 저항이 변화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화상 재생 장치(50)는, 발광 다이오드(641, 642)에 흐르는 전류 량이 변화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발광 다이오드(641, 642)가 불안정하게 점멸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5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641, 642)에 대하여 병렬로 평활화 수단인 평활화 회로(66)를 설치하고, 발광다이오드(641, 642)에 흐르는 전류 량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도면에서는 평활화 회로(66)로서 전해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많은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나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2차 전지나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등일 수도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50)는 지지부(53)에서의 전극을 정부(正負) 반전시킨 경우의 대처로서 다이오드 브리지(67)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재생 장치(50)에서는 평활화 회로(66)로서 전해 콘덴서 등의 전하 축적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방전 시의 양단 전압이 서서히 저하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641, 642)에 흐르는 전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먼저 도 8에 나타낸 가변 저항(651, 652) 등의 제한 저항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641, 642)의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정전류 다이오드(Current Regulate Diode; CRD)(681, 682) 등의 정전류 수단인 정전류 회로를 설치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화상 재생 장치(50)에 적용 가능한 정전류 회로로는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LED에 대하여 직렬로 정전류 다이오드 CRD를 접속한 것이 고려된다. 또, 정전류 회로로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 LED를 직렬로 접속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배의 전압을 공급가능한 전원 PS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정전류 회로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발광 다이오드 LED에 대하여 직렬로 전해 콘덴서 FET를 접속한 것이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자 레귤레이터 RG 및 가변 저항 R을 이용하는 것, 또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TR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화상 재생 장치(50)는 광원부(52)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킴에 따라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간편한 구조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킬 수 있다.
다음에, 화상 재생 장치(50)를 개량하고, 지지부(53)의 요동에 따라서 광원부(52)를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50)의 구성에 지지부(53)의 요동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상 재생 장치(50)와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의 (A) 및 (B)에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70)는 상술한 전원부(51), 광원부(52), 지지부(53),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 이외에,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요동 검지 수단인 요동 검지부(71)를 구비한다.
요동 검지부(71)는 초기 상태인 지지부(53)에서의 회전 부재(59)의 장축의 연장 축 상에 위치하여, 전원부(51)의 기반(55) 상에 탑재된다. 요동 검지부(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53)가 요동하는 것에 의하는 자기의 변화에 따라서, 광원부(52)에 대한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외관을 이루는 화상 재생 장치(70)는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여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52)를 제어한다.
이 화상 재생 장치(70)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대해,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광원부(52)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70)는 지지부(53)의 일부에 영구 자석(72)을 설치하고 있다.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지지부(53)가 이 도면의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데 따른, 영구 자석(72)에 의한 자계가 변화된다. 화상 재생 장치(70)는 이 영구 자석(72)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검지함으로써,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재생 장치(70)는 요동 검지부(71)로서, 자기에 반응하는 리드 스위치(73)를 이용한다.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영구 자석(72)이 리드 스위치(73)에 가까이 가면, 이 리드 스위치(73)가 ON이 된다.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리드 스위치(73)가 ON이 되면, 광원부(52)로 펄스 신호를 하나만 공급한다. 또,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방법으로는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단,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방법으로는 지지부(53)의 요동에 감쇠를 부여하기 어려운 비접촉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화상 재생 장치(70)는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방법으로서, 자석과 코일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와 같이 광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초음파에 의한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광원부(52)에 예를 들면 집적 회로"74HC4538"을 이용한 단안정 멀티진동기(monostable multivibrator)(74)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요동 검지부(7l)에서 광원부(52)에 대하여 펄스 신호가 공급되면, 이 펄스 신호를 트리거로서, 소정의 시간만큼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점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검지부(71)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신호 PI가 단안정 멀티진동기(74)에서의 집적 회로"74HC4538"의 단자 A에 입력되면, 단안정 멀티진동기(74)에서의 콘덴서 C의 정전 용량 Cx와 저항 R의 저항치 Rx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 0.7·Cx·Rx)를 가지고 집적 회로 "74HC4538"의 단자 Q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 PO가 지속된다. 그리고,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시정수 tw만큼 경과하면,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멸등시킬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지지부(53)가 요동하고 있는 동안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검지부(71)로부터 광원부(52)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복수의 펄스 신호 PI가 공급된다. 그리고,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지지부(53)의 요동이 대략 정지함으로써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요동 상태가 검지 불능이 되면 리드 스위치(73)가 OFF로 된다. 이 경우,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검지부(71)로부터 광원부(52)에 대하여 공급된 최후의 펄스 신호 PI에서 시정수 tw만큼 경과 후에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멸등시킨다. 즉,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요동 검지부(71)로부터 광원부(52)에 대하여 공급된 각펄스 신호 PI마다, 시정수 tw를 가지고 펄스 신호 PO가 지속되지만, 펄스 신호 PO가 로우 레벨이 되기 전에, 다음 펄스 신호 PI가 광원부(52)에 대하여 공급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최후의 펄스 신호 PI가 광원부(52)에 대하여 공급된 시점에서 시정수 tw만큼 경과 후에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멸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 재생 장치(70)는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52)를 제어함으로써, 관찰자가 지지부(53)에 접촉하여 요동시킴에 따라서 광원부(52)를 점등시키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및/또는 지지부(53)의 요동이 대략 정지함으로써 요동 상태가 검지 불능이 된 경우에, 광원부(52)를 멸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70)는 관찰자가 광원부(52)의 점등 또는 소등의 전환을 할 필요가 없고, 관찰자에게 있어서 우수한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소비하는 전류 값이 약 20mA 정도인 데 대하여, 단안정 멀티진동기(74)가 소비하는 전류 값은 수백 ㎂ 정도이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으로 이러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70)에서 요동 검지부(71) 및 광원부(52)의 회로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 검지부(71)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일정 시간 지속하는 것인지 또는 단속적인 것인지에 따라서, 또는 지지부(53)의 요동이 검지 불능이 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의 경과 후에 광원부(52)를 멸등시키는 것인지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재생 장치(70)에서는 단안정멀티진동기(74)를 이용하는 대신에,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시퀀서(sequencer) 등에 의할 수도 있다.
다음에, 화상 재생 장치(70)를 개량하고, 지지부(53)의 요동을 관찰자의 동작에 의해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요동을 개시하거나(자기 기동), 외부로부터의 기동에 의해서 요동하고, 요동 상태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속시킬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70)의 구성에 추가로, 지지부(5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화상 재생 장치(70)와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0의 (A) 및 (B)에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80)는 상술한 전원부(51), 광원부(52), 지지부(53),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 요동 검지부(71) 이외에, 지지부(53)를 요동 구동시키기 위한 요동 구동 수단인 요동 구동부(81)를 구비한다.
요동 구동부(81)는 지지부(53)를 요동 구동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메트로놈(metronome) 등과 동일한 기술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요동 구동부(8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일 등을 구비하고, 지지부(53)의 하단 측에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고, 지지부(53)의 요동을 자기 기동시키거나, 요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킨다.
이러한 외관을 이루는 화상 재생 장치(80)는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지지부(53)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52) 및 요동 구동부(81)를 제어하고, 지지부(5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화상 재생 장치(80)에서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대해,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광원부(52)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80)는 전원부(51)에 상술한 집적 회로 "74HC4538"을 이용한 단안정 멀티진동기(82)를 설치함과 동시에, 요동 구동부(81)에도 단안정 멀티진동기(83)를 설치하고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70)와 같이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출력되는 요동 상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펄스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소정의 시간만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점등시킬 수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단안정 멀티진동기(82)에서의 콘덴서 C1의 정전 용량 Cx1과 저항 R1의 저항치 Rx1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1(= 0.7·Cx1·Rx1)을 가지고 집적 회로"74HC4538"의 단자 Q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지속된다. 그리고,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지지부(53)의 요동 상태가 검지 불능이 된 후, 시정수 tw1만큼 경과하면, 발광 다이오드(641, 642)를 멸등시킬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요동 검지부(71)에 의해서 출력되는 요동 상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펄스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지지부(53)를 요동 구동시킬 수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단안정 멀티진동기(83)에서의 콘덴서 C2의 정전 용량 Cx2와 저항 R2의 저항치 Rx2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2(=0.7·Cx2·Rx2)를 가지고 집적 회로 "74HC4538"의 단자 Q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지속된다. 이 때,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전원부(51)에서의 단안정 멀티진동기(8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단안정 멀티진동기(83)에서의 집적회로"74HC4538"의 단자 B에 공급하고, 단자 A에 공급되는 트리거로서의 펄스 신호의 마스크 신호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단안정 멀티진동기(82, 83) 각각의 시정수 사이에 tw1>tw2의 관계가 성립하면, 단안정 멀티진동기(83)는 지지부(53)의 요동 개시 시에만 트리거를 수취하고, 시정수 tw1의 경과 후까지는 다음 트리거를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지지부(53)의 요동 개시 후, 최소한 시정수 tw2의 기간은 지지부(53)의 요동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지지부(53) 및 요동 구동부(81)로서, 일본특허 제29372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자기 발전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지지부(53)의 일부에 영구 자석(84)을 설치함과 동시에, 요동 구동부(81)로서, 자주 발진(free-running oscillation) 회로(85)에 코일(86)을 접속한 것을 설치하고 있다.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자주 발진 회로(85)에 통전함으로써 코일(86)에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지지부(53)의 일부에설치된 영구 자석(84)에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고, 지지부(53)의 요동을 자기 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80)에서는 지지부(53)의 요동 개시 후, 최소한 시정수 tw2의 경과 전에, 장애 등에 따라 요동이 정지하여 버린 경우라도 자기 기동 작용에 의해서 요동을 재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재생 장치(80)는 요동 구동부(81)를 설치함으로써, 지지부(53)의 요동을 관찰자의 동작에 의해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요동을 개시할 수 있어, 요동 상태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속시킬 수 있어, 저소비 전력으로 관찰자에게 있어서 우수한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50, 70, 80)는 각각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킴에 따라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화상 재생 장치로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광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A) 및 (B)에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90)는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각종 전기 회로를 구비하는 전원인 전원부(91), 발광 다이오드 등을 구비하는 광원 수단인 광원부(92), 광원부(92)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인 지지부(93),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수단인 회전 검지부(95)로 대별된다. 즉, 화상 재생 장치(90)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70)에 대응하는 것이며, 요동 검지부(71)대신 회전 검지부(95)를 구비하는 것이다.
전원부(91)에는 상술한 전원부(51)와 같이 화상 재생 장치(90)의 기반(96)의 내부에 전지 등의 전원(97)이나 광원부(92) 및 지지부(93)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전기 회로가 설치된다. 또, 전원부(91)에는 전원의 ON/OFF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98)가 설치된다.
광원부(92)는 상술한 광원부(52)와 같이 지지부(93)의 연결 암(100)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고, 전원부(9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력에 따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했을 때에 이용한 소정의 파장의 광을 재생 광으로서 출사한다. 광원부(52)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대략 점 광원을 선형으로 정렬시키거나, 소정의 광학 시스템에 의해서 선형 광으로 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대략 평행 광을 조사한다.
지지부(93)는 기반(96)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99), 지주(99)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설되는 연결 암(100), 연결 암(100)에 장착되고 또한 지지 축(10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22의 (B)에서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102), 지지 축(101)의 하단에 장착되는 카운터밸런스용 추(103)를 구비한다. 지지부(93)는 전원부(9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력에 따라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93)는 후술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의 주면이 정면 방향으로 향한 상태인 초기 상태로부터, 회전 부재(102)가정역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뒤틀려 회전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킨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는 상술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54)와 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104)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104)는 상술한 유지 부재(62)와는 달리, 도 22의 (B)에 측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55)에 대한 각도를 직각으로 하여 장착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는 지지부(53)가 회전함으로써 회전한다. 관찰자는 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부(94)에 유지되어 디스플레이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관찰하는 것이 된다
회전 검지부(95)는 상술한 요동 검지부(71)와 같이 전원부(91)의 기반(96) 상에 탑재된다. 회전 검지부(9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93)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는 자기의 변화에 따라서 광원부(92)에 대한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외관을 이루는 화상 재생 장치(90)는 지지부(93)가 지지 축(10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가 반복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화상 재생 장치(9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에 유지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90)는 회전 검지부(95)에 의해서 지지부(93)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92)를 제어한다.
화상 재생 장치(90)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대해,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광원부(92)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90)는 광원부(92)로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051, 1052), 이들 발광 다이오드(1051, 1052)의 각각 대하여 직렬로 정전류 다이오드(1061, 1062) 등의 정전류 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90)는 지지부(93)의 일부에 영구 자석(107)을 설치하고 있다. 화상 재생 장치(90)에서는 지지부(93)가 도면의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영구 자석(107)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회전 검지부(95)에 의해서 검지함으로써 지지부(93)의 회전 상태를 검지한다.
즉, 화상 재생 장치(90)에서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70)와 같이 회전 검지부(95)로서, 자기에 반응하는 리드 스위치(108)를 이용하여 영구 자석(107)이 리드 스위치(108)에 가까이 가면, 이 리드 스위치(108)가 ON으로 전환됨으로써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광원부(92)로 공급한다.
그리고, 화상 재생 장치(90)에서는 전원부(91)에 설치된 단안정 멀티진동기(109)에서의 집적회로 "74HC4538"의 단자 A에 회전 검지부(95)로부터 공급되는 펄스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소정의 시간, 즉, 단안정 멀티진동기(109)에서의 콘덴서 C의 정전 용량 Cx와 저항 R의 저항치 Rx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0.7·Cx·Rx)만큼 발광 다이오드(1051, 1052)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재생 장치(90)에서는 시정수 tw만큼 경과하면 발광 다이오드(1051, 1052)를 멸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재생 장치(9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광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간편한 구조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킬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90)는 회전 검지부(95)에 의해서 지지부(93)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92)를 제어함으로써, 관찰자가 지지부(93)에 접촉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광원부(92)를 점등시키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및/또는 지지부(93)의 회전이 대략 정지함으로써 회전 상태가 검지 불능이 된 경우에 광원부(92)를 멸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90)는 관찰자가 광원부(92)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전환할 필요가 없고, 저소비 전력으로 관찰자에게 있어서 우수한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화상 재생 장치(90)를 개량하고,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80)와 같이 지지부(93)의 회전을 관찰자의 동작에 의해서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회전을 개시하거나 외부에서의 기동에 의해서 회전하여, 회전 상태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속시킬 수 있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 화상 재생 장치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90)의 구성에 추가로, 지지부(93)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이하에서는 화상 재생 장치(90)와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4의 (A) 및 (B)에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110)는 상술한 전원부(91), 광원부(92), 지지부(93),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94), 회전 검지부(95) 이외에, 지지부(93)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인 회전 구동부(111)를 구비한다.
회전 구동부(111)는 지지부(93)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며, 지지부(93)에서의 하단 측에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고, 지지부(93)의 회전을 자기 기동시키거나, 회전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킨다.
이러한 외관을 이루는 화상 재생 장치(110)는 회전 검지부(95)에 의해서 지지부(93)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라 광원부(92) 및 회전 구동부(111)를 제어하고 지지부(93)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상 재생 장치(110)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에 대해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광원부(92)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화상 재생 장치(110)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80)와 같이 전원부(91)에 집적 회로 "74HC4538"을 이용한 단안정 멀티진동기(112)를 설치함과 동시에, 회전 구동부(111)에도 단안정 멀티진동기(7113)를 설치하고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상술한 화상 재생 장치(80)와 같이 단안정 멀티진동기(112)의 콘덴서 C1의 정전 용량 Cx1과 저항 R1의 저항치 Rx1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1(=0.7·Cx1·Rx1)을 가지고 집적 회로 "74HC4538"의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지속된다. 그리고,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지지부(93)의 회전 상태가 검지 불능이 된 후, 시정수 tw1만큼 경과하면 발광 다이오드(1051, 1052)를 멸등시킬 수 있다.
또,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회전 검지부(96)에 의해서 출력되는 회전 상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펄스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지지부(93)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화상 재생 장치(11O)에서는 단안정 멀티진동기(113)에서의 콘덴서 C2의 정전 용량 Cx2와 저항 R2의 저항치 Rx2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 tw2(=0.7·Cx2·Rx2)를 가지고 집적 회로 "74HC4538"의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지속된다. 이에 따라,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지지부(93)의 회전 개시 후, 최소한 시정수 tw2의 기간은 지지부(93)의 회전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지지부(93)의 일부에 영구 자석(114)을 설치함과 동시에, 회전 구동부(111)로서 자주 발진 회로(115)에 코일(116)을 접속한 것을 설치하고 있다.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자주 발진 회로(115)에 통전함으로써 코일(116)에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지지부(93)의 일부에 설치된 영구 자석(114)에 전자력을 작용시키고, 지지부(93)의 회전을 자기 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110)에서는 지지부(93)의 회전 개시 후, 최소한 시정수 tw2의 경과 전에, 장애 등에 따라 회전이 정지하여 버린 경우라도 자기 기동 작용에 의해서 회전을 재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재생 장치(110)는 회전 구동부(111)를 설치함으로써, 자발적으로 회전을 개시할 수 있어, 회전 상태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속시킬 수 있어, 저소비 전력으로 관찰자에게 우수한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화상 재생 장치는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광원을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킴에 따라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거나, 뒤틀림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광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광원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킬 수 있어,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간편한 구조 및 저소비 전력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재생 장치는 관찰자의 번거로움을 간소화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어 높은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아니라 홀로그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 장치에 의해서 제작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화상 재생 장치에 의해서 재생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제작된 홀로그램을 화상 재생 장치에서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디스플레이부에 유지하여 관찰하는 것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3차원 화상 정보나 시계열 영상 정보가 노광 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단순한 2차원 화상 정보가 노광 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화상 재생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재생 광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원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재생 광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주면 상을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광원 및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양자 모두를 고정으로 하고, 고정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재생 광을 거울 등을 이용하여 반사시켜 고정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 도광할 때에, 이 거울 등을 회전시킴에 따라 재생 광의 입사 각도를 변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광원 수단과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킬 수 있어,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간편한 구조 및 저소비 전력으로 홀로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조명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조사하는 화상 조명 장치로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조명 장치는 광원 수단을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고,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광원 수단과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킬 수 있어,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간편한 구조 및 저소비 전력으로 홀로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키는 것이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이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수단, 최소한 광원 수단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광원 수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수단을 광원 수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광원 수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광원 수단과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을 소정의 시간 지속시킬 수 있어, 관찰자가 시점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간편한 구조 및 저소비 전력으로 홀로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반복 관찰시킬 수 있다.

Claims (51)

  1.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olographic stereogram)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적어도 상기 광원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그리고
    상기 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상기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점 광원이 선형으로 정렬되어 있는 화상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 광원 각각은 출사하는 상기 재생 광의 발산 각도가 작도록 배열되는화상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형 광원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최소한 2점 이상의 지지 점을 가지고,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화상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제어하는 평활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요동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검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에 의한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화상 재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점등되는 화상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점등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멸등하는 화상 재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을 요동 구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요동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지속시키는 화상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을 정지하는 화상 재생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을 자기 기동시키는 화상 재생 장치.
  18.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조사하는 화상 조명 장치로서,
    상기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적어도 상기 광원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그리고
    상기 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상기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광원을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요동시키는 지지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조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점 광원이 선형으로 정렬되어 있는 화상 조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 광원은 출사하는 상기 재생 광의 발산 각도가 작은 화상 조명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형 광원을 포함하는 화상 조명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최소한 2점 이상의 지지 점을 가지고,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화상 조명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제어하는 평활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조명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전류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조명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요동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조명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검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에 의한 자계의 변화에 따라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화상 조명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점등되는 화상 조명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점등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멸등하는 화상 조명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을 요동 구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조명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검지하는 요동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화상 조명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상태를 지속시키는 화상 조명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지지 수단의 요동을 정지하는 화상 조명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조명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을 자기 기동시키는 화상 조명 장치.
  35.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노광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광을 출사하는 광원,
    적어도 상기 광원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그리고
    상기 광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유지된 상기 홀로그램 또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상기 재생 광의 조사 위치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상기 광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키는 지지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점 광원이 선형으로 정렬되어 있는 화상 재생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점 광원은 출사하는 상기 재생 광의 발산 각도가 작은 화상 재생 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형 광원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최소한 2점 이상의 지지 점을 가지고,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화상재생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제어하는 평활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 점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에 의한 자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화상 재생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점등되는 화상 재생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점등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멸등하는 화상 재생 장치.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재생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소정의 시간만큼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 상태를 지속시키는 화상 재생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지지 수단의 회전을 정지하는 화상 재생 장치.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화상 재생 장치.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을 자기 기동시키는 화상 재생 장치.
KR1020020038582A 2001-07-05 2002-07-04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KR100889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2987 2001-07-05
JP2001242987A JP3722028B2 (ja) 2001-07-05 2001-07-05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026A true KR20030005026A (ko) 2003-01-15
KR100889279B1 KR100889279B1 (ko) 2009-03-17

Family

ID=1907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582A KR100889279B1 (ko) 2001-07-05 2002-07-04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56434B2 (ko)
JP (1) JP3722028B2 (ko)
KR (1) KR100889279B1 (ko)
MY (1) MY122921A (ko)
SG (1) SG102687A1 (ko)
TW (1) TWI265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22798A (en) * 2003-04-29 2004-11-01 Ind Tech Res Inst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JP2005078966A (ja) * 2003-09-01 2005-03-24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光源装置の製造方法、投射型表示装置
JP4775552B2 (ja) * 2005-11-25 2011-09-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読取装置
JP5184369B2 (ja) 2005-12-22 2013-04-17 シーリアル テクノロジー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ビデオホログラム用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コンテンツのマルチモード表示方法及びマルチモード表示装置
WO2008066519A1 (en) * 2006-11-28 2008-06-05 Wilkinson Joseph N Hologram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2018324A (ja) * 2010-07-08 2012-01-26 Sony Corp 多視点画像記録媒体および真贋判定方法
JP5286405B2 (ja) * 2011-03-02 2013-09-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スキャナおよび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5884367B2 (ja) * 2011-09-27 201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US9915921B2 (en) * 2012-08-17 2018-03-13 Artience Lab Inc. 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dium
CN106940486B (zh) * 2017-04-25 2022-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JP7012954B2 (ja) * 2017-10-04 2022-02-15 株式会社アーティエンス・ラボ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1649A (en) * 1970-05-21 1972-07-12 Atomic Energy Authority U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ography
WO1987007737A1 (en) * 1986-06-12 1987-12-17 Waits Gregory D Computer driven moving hologram
US5570207A (en) * 1994-06-28 1996-10-29 Chang; Mao-Chi Holographic image identification system
AU2970495A (en) * 1994-07-19 1996-02-16 Hologram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Imag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king same
GB9713658D0 (en) * 1997-06-28 1997-09-03 Travis Adrian R L View-sequential holographic display
JP2001142382A (ja) * 1999-11-12 2001-05-25 Sony Corp 画像再生装置、ホログラム作成方法、ホログラム並びにホログラムシート
CA2289999C (en) * 1999-11-12 2005-01-11 Go Simon Sunatori Holographic statue proj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2028B2 (ja) 2005-11-30
US20030007129A1 (en) 2003-01-09
JP2003021998A (ja) 2003-01-24
TWI265386B (en) 2006-11-01
MY122921A (en) 2006-05-31
KR100889279B1 (ko) 2009-03-17
SG102687A1 (en) 2004-03-26
US6856434B2 (en) 200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79B1 (ko) 화상 재생 장치 및 화상 조명 장치
JP4351995B2 (ja) 高解像度画像投射
JP4827202B2 (ja) スペックルノイズを低減した画像投影スクリーン
JP6581700B2 (ja) プロジェクタ
JP5540991B2 (ja) 光学装置および表示装置
BRPI0712851A2 (pt) arranjo para e mÉtodo de projeÇço de uma imagem com mapeamento de pixel
US9829612B1 (en) Diffraction grating based 3-D display
US10095093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JP2008539464A (ja) ラスタパターンにおけるスキャンラインアラインメント
JP4766708B2 (ja) 低減されたスペックルノイズを有する画像投影
KR20120037209A (ko) 홀로그래피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8541193A (ja) 画素の対称性、特に画像投影装置に対して画素の対称性を上げる装置および方法
CN101529331A (zh) 在电光阅读器和图像投影仪中监控扫描镜运动
JP5790040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6781619B1 (en) Parallax image string pickup apparatus
CN101467106A (zh) 使用以非偏振光操作的液晶显示设备的全息显示器
JP2009109937A (ja) プロジェクタ
CN1266556C (zh) 图象再现设备以及图象照射设备
JP2001272635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05098884A (ja) 三次元形状計測装置
TWI714503B (zh) 顯示裝置
JPH1184992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製装置
KR102429874B1 (ko)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법
JP2000137292A (ja) 画像投影装置
JP2019023730A (ja) ホログラフィック光学素子の作製装置及び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