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497A -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497A
KR20030004497A KR1020010039999A KR20010039999A KR20030004497A KR 20030004497 A KR20030004497 A KR 20030004497A KR 1020010039999 A KR1020010039999 A KR 1020010039999A KR 20010039999 A KR20010039999 A KR 20010039999A KR 20030004497 A KR20030004497 A KR 2003000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llecting well
water collecting
wire mes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흥수
박동정
Original Assignee
영신종합건설주식회사
박동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종합건설주식회사, 박동정 filed Critical 영신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497A/ko
Publication of KR2003000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49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 배수시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낙엽이나 비닐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기물)의 하수관 유입을 차단시켜 이물질에 의한 막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우수의 월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철망이 고정된 집수정에 있어서,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과 철망이 설치되되, 상기 월류방지벽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약 ∠40。의 기울로 경사짐에 따라, 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수시킴에 있어,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낙엽이나 합성수지등과 같은 폐기물)이 집수정의 철망에 걸려 쌓이게 되어 개구공이 막히게 되더라도 우수가 월류하지 않고 집수정 상면에 2차배수를 위해 설치된 개구공과 철망에 의해 원할하게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의 월류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WATER COLLECTION AREA FOR SEWAGE DISPOSAL}
본 발명은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호우로 인한 우수 배수시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낙엽이나 비닐 및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기물)의 하수관 유입을 차단시켜 이물질에 의한 막힘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우수의 월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6%가 임야로 형성되어 있어, 여건상 시가지(도시)도 임야와 더불어 조성되므로 우기(장마철)시 산이나 고지대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수하기 위한 집수정 시설이 많이 설치되어 진다.
이러한, 집수정은 우수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수시 이물질에 의해 하수관이 막혀 우수가 역류되거나 월류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종래의 집수정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를 따라 흘러내린 우수를 집수하기 위해 전면 양측방으로 가이드벽체(2)가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소정크기의 개구공(4)이 형성되어 철망(6)이 고정되고 상면에는 경첩(8)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10)이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집수정(1)의 배면 후방으로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하수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연통·결합되어 집수정(1)내로 유입된 우수가 배수되며, 상기 개구공(4)에 고정된 철망(6)에 의해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수정에서는 집중호우시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이 철망에 걸려 쌓이게 됨에 따라 개구공이 막혀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월류현상으로 인해 주변 지면으로 유입되어 침수피해(주택이나 상가)를 입게 되는 일이 비일비재(非一非再)하게 발생되며, 또한,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에 의해 집수정의 개구공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 우수가 월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철망에 걸려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줘야 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한, 장마철에는 폭우속에서 이물질을 제거해야 되므로 작업이 난해하고 익사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되는 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수시킴에 있어,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낙엽이나 합성수지등과 같은 폐기물)이 집수정의 철망에 걸려 쌓이게 되어 개구공이 막히게 되더라도 우수가 월류하지 않고 집수정 상면에 2차배수를 위해 설치된 개구공과 철망에 의해 원할하게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의 월류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철망이 고정된 집수정에 있어서,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과 철망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월류방지벽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약 ∠40。의 기울로 경사진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집수정 112:월류방지벽
114:개구공 116:철망
120:수로 122:하수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100)은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11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114)과 철망(116)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월류방지벽(112)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약 ∠40。의 기울로 경사진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전면에 개구공(4)이 형성되고 철망(6)이 고정된 집수정(100)의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11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114)과 철망(116)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월류방지벽(112)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약 ∠40。의 기울로 경사지고, 전면 양측방으로는 가이드벽체(2)가 일체로 연장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우수가 유입되는 수로(120)에 집수정(100)이 매립·설치되되, 배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하수관(122)이 연통·결합되어 상기 집수정(100)으로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집수정(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4)과 이에 설치된 철망(6)에 의해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또한, 철망(4)에 이물질이 쌓여 개구공(4)이 막히게 되면, 우수가 집수정(10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공(114)을 통하여 하수관(122)으로 유입·배출되므로 월류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공(4)이 형성되고 철망(6)이 고정된 집수정(100)의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112)과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114)과 철망(116)을 설치한다.
이때, 집수정(100)은 지정된 장소(주택가나 도로변)에 설치된 수로(122)에 매립·설치된다.
이와 같이, 수로(120)에 매립·설치된 집수정(100)에 의해 여름철 장마기간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양의 우수가 발생되더라도 우수의 역류 및 월류에 의한 침수피해를 원할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로(120)를 따라 유입된 우수는 집수정(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4)을 통하여 집수정(100)내로 유입된 후, 배면에 연통·결합된 하수관(122)을 통하여 배수되되,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은 상기 개구공(4)에 설치된 철망(6)에 의해 걸러지게 되므로 하수관(122)으로는 각종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이물질 적층으로 인한 하수관(122)의 막힘현상이 예방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와 같은 우수 배수시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전면에 설치된 철망(6)에 의해 걸러져 쌓이게 되면, 이물질에 의해 집수정(100)의 개구공(4)이 막히게 되어 원할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수위가 높아져 월류현상이 발생하게 되지만,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4)이 막혀 수로(120)를 따라 유입된 우수는 월류하지 않고 집수정(100)의 상면에 형성된 월류방지벽(112)과 개구공(114)을 통하여 2차 배수되어 정상적으로 하수관(122)을 통해 배수된다.
이때, 상기 집수정(10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공(114)에는 철망(116)이 설치되어지므로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됨은 물론이고, 상기 월류방지벽(112)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약 ∠40。의 기울로 경사져 있으므로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이 철망(116)에 걸러져 쌓이지 않고 경사진 월류방지벽(112)을 따라 후방으로 배출되어 지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수정(100) 상면에 형성된 개구공(114)을 통한 우수 배수시에는 이에 설치된 철망(116)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개구공(114)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월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집수정(100)의 전면과 상면에 우수배수를 위한 개구공(4, 114)과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 수거할 수 있는 철망(6, 116)이 설치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집수정의 개구공(4)이 막혀 우수가 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집수정(100)의 상면에 이물질이 걸려 쌓이게 되더라도 안전하고 간편·용이하게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함에 따라, 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수시킴에 있어, 우수에 혼합된 이물질(낙엽이나 합성수지등과 같은 폐기물)이 집수정의 철망에 걸려 쌓이게 되어 개구공이 막히게 되더라도 우수가 월류하지 않고 집수정 상면에 2차배수를 위해 설치된 개구공과 철망에 의해 원할하게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의 월류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집수정의 관리가 간편·용이하므로 주민의 안전성 보장과 편이를 도모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면에 개구공(4)이 형성되고 철망(6)이 고정된 집수정(100)에 있어서,
    상단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월류방지벽(11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2차 배수를 위한 개구공(114)과 철망(1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용 집수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방지벽(112)의 뒷부분이 외측방으로 ∠40。의 기울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용 집수정.
KR1020010039999A 2001-07-05 2001-07-05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KR20030004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99A KR20030004497A (ko) 2001-07-05 2001-07-05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99A KR20030004497A (ko) 2001-07-05 2001-07-05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308U Division KR200265332Y1 (ko) 2001-07-05 2001-07-05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497A true KR20030004497A (ko) 2003-01-15

Family

ID=2771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999A KR20030004497A (ko) 2001-07-05 2001-07-05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4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5055A (zh) * 2021-04-17 2021-07-27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给排水用过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266U (ko) * 1976-07-19 1978-02-06
JPH01147092A (ja) * 1987-12-03 1989-06-08 Toyota Motor Corp 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5034122A (en) * 1990-07-20 1991-07-23 Wiesemann Enterprises, Inc. Self cleaning static bar grid
KR970051958U (ko) * 1996-02-17 1997-09-08 강무석 하수 집수구용 조립식 블럭
KR200224137Y1 (ko) * 2000-10-26 2001-05-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266U (ko) * 1976-07-19 1978-02-06
JPH01147092A (ja) * 1987-12-03 1989-06-08 Toyota Motor Corp 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5034122A (en) * 1990-07-20 1991-07-23 Wiesemann Enterprises, Inc. Self cleaning static bar grid
KR970051958U (ko) * 1996-02-17 1997-09-08 강무석 하수 집수구용 조립식 블럭
KR200224137Y1 (ko) * 2000-10-26 2001-05-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5055A (zh) * 2021-04-17 2021-07-27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市政给排水用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414B2 (en) Storm water filter for positioning within a storm water inlet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100976851B1 (ko) 집수정
CN211572292U (zh) 一种hdpe雨水斗用防堵机构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0265332Y1 (ko)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0004497A (ko) 하수처리용 집수정 구조
CN212315670U (zh) 一种厂区雨污分流水处理系统
KR200168160Y1 (ko)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N210216674U (zh) 一种海绵城市防堵雨水井
CN210216075U (zh) 一种排水集水为一体的路缘石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CN219451006U (zh) 可防止垃圾进入的道路排水用雨水篦子
KR200268507Y1 (ko) 도로용 집수구
KR200218222Y1 (ko) 우수역류 방지장치
CN212248615U (zh) 依托水动力自动分离初期雨水杂质的雨水口装置
CN213538593U (zh) 一种公路路面边缘排水槽
KR200265885Y1 (ko) 도로의 빗물 집수구용 집수박스
KR200271591Y1 (ko) 도로 인접부위의 배수용 집수거 구조물
KR200248519Y1 (ko) 배수용 집수정의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