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0Y1 - 교량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교량용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0Y1
KR200300040Y1 KR20-2002-0029262U KR20020029262U KR200300040Y1 KR 200300040 Y1 KR200300040 Y1 KR 200300040Y1 KR 20020029262 U KR20020029262 U KR 20020029262U KR 200300040 Y1 KR200300040 Y1 KR 200300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ad
bridge
elastic support
st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최규택
Original Assignee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9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에 사용하는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고무패드의 일측하단과 타측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측에 고정되는 상부판과, 하부구조물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하 양측면의 모서리 둘레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탄성받침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교량용 탄성받침{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에 사용하는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구조물에 전달하여 이를 분산시키는 교량받침이 설치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대상인 탄성받침은 상기 교량받침의 일종으로 다른 종류의 교량받침에 비해 차량의 충격하중 및 소음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며, 부식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간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4a,b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받침(100)은 교량의 상부구조물(200)과 하부구조물(3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구조물(200)측에 고정된 상부판(110)과 하부구조물(300)측에 고정된 하부판(120) 및 상기 상,하부판(110)(120)의 사이에 구비된 고무패드(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드(130)는 상부구조물(200)의 하중과 상,하부판(110)(120)과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내측에는 강판등의 보강판(131)가 적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과 이에 고정된 상부판의 수평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고무패드의 일측하단과 타측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극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탄성받침의 기능이 저하되며, 상부판의 수평변위가 반복해서 발생되는 과정에서 고무패드의 위치가 탄성받침의 중심부로부터 점차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교량붕괴의 위험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고무패드의 일측하단과 타측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무패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고무패드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측에 고정되는 상부판과, 하부구조물측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하 양측면의 모서리 둘레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판에는 상기 고무패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고무패드의 돌출턱과 대응하는 경사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단면도.
도 1b는 작동상태도.
도 2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
도 2b는 작동상태도.
도 3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단면도.
도 3b는 작동상태도.
도 4a,b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측면도.
도 4b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받침
10 : 상부판 20 : 하부판
30 : 고무패드
31 : 돌출턱 310 : 경사면
32 : 연장부 33 : 보강판
40 : 스토퍼(stopper) 41 : 경사지지면
2 : 상부구조물
3 : 하부구조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구조물(2)측에 고정되는 상부판(10)과, 하부구조물(3)측에 고정되는 하부판(20)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드(3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1)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는 상,하 양측면의 모서리 둘레로 돌출턱(3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31)의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턱(31)이 상,하부판(10)(20)에 의해 압착되어, 고무패드(30)의 상,하 양측면 모서리와 상기 상,하부판(10)(20)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부구조물(2)에 발생되는 수평변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종래와는 달리 상기 고무패드(30)와 상,하부판(10)(2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판(10)(20)에는 상기 고무패드(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40)가 고정되는데, 상기 스토퍼(40)는 상부구조물(2)의 수평변위가 반복됨에 따라 고무패드(30)가 상,하부판(10)(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와셔볼트로 상기 상,하부판(10)(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고무패드(30)의 돌출턱(310)과 대응하는 경사지지면(4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310)이 압착됨에 따라 측면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분을 수용 및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30)는 측면의 상,하단부로 돌출된 연장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2)의 외측면으로 스토퍼(40)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40)는 볼트로 각각 상,하부판(10)(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32)가 상,하부판(10)(20)에 밀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부구조물(2)에 발생되는 수평변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종래와는 달리 고무패드(30)와 상,하부판(10)(2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고무패드(30)가 상,하부판(10)(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된다.
도 3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드(30)는 그 내측으로 다수의 보강판(33)이 적층되되, 상기 보강판(33)중 상,하측에 위치한 보강판은 그 두께(T)가타 보강판의 두께(t)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판(131)이 얇은 철판으로 구성되어, 상부구조물(200)의 수평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고무패드(130)의 일측하단과 타측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강판(131)중 상,하측에 위치한 보강판의 단부에 영구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고무패드(130)와 상,하부판(110)(12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형성된 간극이 원상복귀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2)의 수평변위가 증가하여 고무패드(30)의 일측하단과 타측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도, 상,하측에 위치한 보강판(33)에 영구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고무패드(30)와 상,하부판(10)(2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수평변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탄성받침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무패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고무패드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교량붕괴등의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교량의 상부구조물(2)측에 고정되는 상부판(10)과, 하부구조물(3)측에 고정되는 하부판(20)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고무패드(30)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1)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는 상,하 양측면의 모서리 둘레로 돌출턱(3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31)의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10)(20)에는 상기 고무패드(30)의 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40)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40)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고무패드(30)의 돌출턱(310)과 대응하는 경사지지면(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는 측면의 상,하단부로 연장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2)의 외측면으로 스토퍼(40)가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40)는 볼트로 각각 상,하부판(10)(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는 그 내측으로 다수의 보강판(33)이 적층되되, 상기 보강판(33)중 상,하측에 위치한 보강판은 그 두께(T)가 타 보강판의 두께(t)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교량용 탄성받침.
KR20-2002-0029262U 2002-09-30 2002-09-30 교량용 탄성받침 KR200300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262U KR200300040Y1 (ko) 2002-09-30 2002-09-30 교량용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262U KR200300040Y1 (ko) 2002-09-30 2002-09-30 교량용 탄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0Y1 true KR200300040Y1 (ko) 2003-01-14

Family

ID=4939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262U KR200300040Y1 (ko) 2002-09-30 2002-09-30 교량용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586B2 (ja)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CN105442440A (zh) 交联式弯梁桥组合伸缩缝
KR200300040Y1 (ko) 교량용 탄성받침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381212Y1 (ko) 부반력 방지를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
JP4233337B2 (ja) すべり支承装置
KR20090081231A (ko) 교량의 협소부 지지용 탄성받침
JP4680877B2 (ja) 水平支承装置
JP4292127B2 (ja) 橋梁用支承装置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0484564B1 (ko) 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1341845B1 (ko)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KR101105642B1 (ko) 일체형 교량받침
KR10196266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 받침
KR200334751Y1 (ko) 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16823Y1 (ko) 탄성패드의 들뜸 및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탄성받침
JP3032364B2 (ja) 構造物用支承構造
KR101667695B1 (ko) 회전형 부반력 제어용 쐐기를 구비한 교량받침
KR200386976Y1 (ko) 교량의 부반력 저항 탄성받침
KR102410271B1 (ko) 교체가 용이한 교량받침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 시공공법
CN216360646U (zh) 桥梁双缝式伸缩缝装置
JP4316297B2 (ja) 橋梁用滑りゴム支承
KR200285855Y1 (ko)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