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855A -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855A
KR20030003855A KR1020010039699A KR20010039699A KR20030003855A KR 20030003855 A KR20030003855 A KR 20030003855A KR 1020010039699 A KR1020010039699 A KR 1020010039699A KR 20010039699 A KR20010039699 A KR 20010039699A KR 20030003855 A KR20030003855 A KR 2003000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er
bridge
bra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조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현 filed Critical 조세현
Priority to KR102001003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3855A/ko
Publication of KR2003000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테안경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그 무테안경용 렌즈의 양측에 브릿지 및 안경다리를 정확하게 조립키 위한 조립공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몸체의 상부에 렌즈의 고정 및 좌,우 이동이 가능케 한 고정 거치대를 마련하고, 이와는 별도로 브릿지 및 좌우 안경다리를 유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각각의 고정구를 결합형성하며, 그 몸체의 상부에는 작동이 간편하고 어느방향으로든지 움직임이 자유로운 드릴공구를 장착하므로서,
렌즈 및 브릿지, 렌즈 및 안경다리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그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조립공을 이용하여 렌즈에 정확한 조립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크기 및 곡률에 구애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공의 형성시 흔들림이 전혀 없어 불량률을 극히 제한하는 것이며, 보다 매끄러우면서도 정확한 위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렌즈와 브릿지 및 안경다리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므로 흔들림이나 유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assembling hole processing device for frameless glasses lens}
본 발명은 무테안경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그 무테안경용 렌즈의 양측에 브릿지 및 안경다리를 정확하게 조립키 위한 조립공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고정 및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하며 각각의 브릿지 및 안경다리를 유동가능하게 고정하여 보다 정확하면서도 정밀한 조립공의 형성이 가능한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래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안경테와 이에 결합되는 렌즈 및 렌즈가 결합된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로 크게 구성된다.
사람의 시력은 정상시력과 근시 및 난시, 원시 등으로 구분되며, 근시는 눈에 들어오는 평행광선이 망막앞쪽에서 상을 맺어 가까운 곳은 잘보이나 먼곳은 잘보이지 않는 시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안경의 렌즈를 오목렌즈로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시력이 정상적으로 교정되도록 하고 있다.
원시의 경우에는 눈에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 뒤쪽에서 상을 맺어 먼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곳은 잘 보이지 않는 눈의 상태를 말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은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대략 "ㄱ"자형상을한 힌지어셈블리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유테안경과 더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고자 미적요소를 한층 부각시킨 무테안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렌즈의 도수에 따라 그 렌즈의 내외부에는 적정의 곡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곡률을 갖는 한쌍의 렌즈를 별도의 브릿지에 의해 이격되게 고정하고, 고정된 렌즈의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걸이부를 갖는 안경다리를 절첩가능하게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전기한 렌즈와 안경다리 및 렌즈와 브릿지의 연결부에는 각각 체결나사 및 너트, 와셔 등의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그 체결수단에 의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체결수단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브릿지 및 안경다리는 물론 렌즈의 양측에 각각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조립공이 성형된 상태로 제공되는 브릿지 및 안경다리와는 달리 렌즈는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를 가공한 이후에나 조립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가공된 렌즈를 별도의 드릴공구에 의해 그 양측에 브릿지 및 안경다리를 조립키 위한 조립공을 가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렌즈의 조립공 가공방법은 대부분 안경사의 눈짐작에 의해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렌즈 또한 별도의 고정대 및 거치대 없이 바닥이나 간단한 테이블위에 올려 놓고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드릴공구 또한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자칫 조립공이 엉뚱한 곳에 가공될 우려가 있으며, 조립공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틀리게 형성된 경우에는 렌즈의 테두리와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결합이 완전치 못하여 렌즈가 흔들리거나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상부에 렌즈의 고정 및 좌,우 이동이 가능케 한 고정 거치대를 마련하고, 이와는 별도로 브릿지 및 좌우 안경다리를 유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각각의 고정구를 결합형성하며, 그 몸체의 상부에는 작동이 간편하고 어느방향으로든지 움직임이 자유로운 드릴공구를 장착하므로서,
렌즈 및 브릿지, 렌즈 및 안경다리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그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조립공을 이용하여 렌즈에 정확한 조립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크기 및 곡률에 구애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공의 형성시 흔들림이 전혀 없어 불량률을 극히 제한하는 것이며, 렌즈에 가공되는 조립공 또한 1차 가이드공을 먼저 형성하고, 이후 조립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보다 매끄러우면서도 정확한 위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렌즈와 브릿지 및 안경다리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므로 흔들림이나 유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가공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공장치의 렌즈 거치대 좌우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 가공장치의 렌즈 고정대 좌우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 가공장치의 드릴공구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 가공장치의 브릿지 고정구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 가공장치의 안경다리 고정구 작동도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 가공장치에 의한 조립공 가공 공정도로서,
도 7a는 렌즈에 가이드공을 가공키 위한 드릴공구 장착도
도 7b는 드릴공구의 드릴날에 의한 가이드공 가공상태도
도 7c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렌즈에 조립공을 가공키 위한 공정도
도 7d는 렌즈에 조립공이 완전 성형되는 상태의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 가공장치의 렌즈 거치대 작동구조를 보인 타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가공장치의 렌즈 고정구 작동구조를 보인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2,2' : 렌즈거치대
3,3' : 렌드고정대4 : 회전스크류
5 : 이동블럭6 : 회전노브
7 : 고정집게8 : 고정대
9,9' : 스프링10 : 다리집게
11 : 지지대12 : 회전축
13 : 브라켓14,14' : 지지아암
15,15' : 구동모터16,16' : 파지봉
17,17' : 스프링18 : 드릴날
19 : 가이드관20 : 스프링
21 : 드릴날22 : 더브테일
23 : 더브테일홈24,24' : 슬라이드봉
25,25' : 베어링28 : 수평관
29 : 수직관30 : 더브테일
31 : 더브테일홈32,32' : 정역모터
40 : 브릿지42 : 렌즈
43 : 가이드공44 : 결합공
45 : 수거함46 : 조립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렌즈 조립공 가공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공 가공장치의 전면 작동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가공장치의 측면 작동설명도이다.
몸체(1)의 상부에는 렌즈거치대(2)(2') 및 그 렌즈거치대(2)(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렌즈고정대(3)(3')를 각각 형성하고, 렌즈거치대(2)(2')의 하부에는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스크류(4)를 장착하며,
렌즈고정대(3)(3')의 후면에는 이동블럭(5)을 결합형성하여, 몸체(1)에 결합된 회전노브(6)에 의해 전,후 이동되게 하며,
전기한 렌즈거치대(2)(2')의 사이에는 단부에 고정집게(7)가 형성된 각봉상의 고정대(8)를 위치시키되, 고정대(8)는 전후, 좌우 이동 및 회전되게 힌지 결합하며,
렌즈거치대(2)(2')가 위치하는 몸체(1)의 양측부에는 스프링(9)(9')에 의해 상하 및 전후 이동되는 다리집게(10)를 장착하되, 전기한 다리집게(10)는 수평관(28)과 수직관(29)을 중첩되게 결합하되, 각각의 내부에 스프링(9)(9')을 내장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수평관(28)의 단부에는 더브테일(30)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 몸체(1)에는 더브테일홈(31)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다리집게(1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하고,
몸체(1)의 배면에는 별도의 지지대(11) 및 그 지지대(11)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12)에 의해 회전되는 브라켓(13)을 결합하되,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별도의 지지아암(14)(14')에 의해 구동모터(15)(15')가 장착된 파지봉(16)(16')이 상,하 유동되게 하며, 브라켓(13)의 선단 및 지지아암(14)(14')의 단부에는 스프링(17)(17')을 연결하여 탄력 결합하고,
일측 파지봉(16)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모터(15)에는 가이드공(43)을 가공키 위한 드릴날(18)과, 그 드릴날(18)의 주면에서 상하승강하는 가이드관(19) 및 그 가이드관(19)과 구동모터(15)를 탄설하는 스프링(20)을 장착하며,
타측 파지봉(16')의 구동모터(15')에는 브릿지(40)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결합공(44)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드릴날(21)을 장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렌즈거치대(2)(2')의 바닥면은 중앙부가 함몰된 완곡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을 타측보다 낮게 형성하여 곡률을 갖는 렌즈(42)가 수직으로 안치되게 구성하고, 렌즈거치대(2)(2') 및 렌즈고정대(3)(3')의 일측면에는 상광하협상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안치된 렌즈(42)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며,
렌즈고정대(3)(3')의 배면에는 더브테일(22)을 형성하고, 그 이동블럭(5)에는 더브테일홈(23)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한 것이며,
렌즈고정대(3)(3')의 후측에 다수의 슬라이드봉(24)(24')을 형성하고, 렌즈고정대(3)(3')에는 베어링(25)(25')을 부착하여 이에 의해 좌,우 이동되게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또, 전기한 회전스크류(4) 및 회전노브(6)에는 각각 정역모터(32)(32')를 장착하여 전동에 의해 각각 회전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5는 수거함, 46은 조립공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회전스크류(4)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 이동하는 렌즈거치대(2)(2')에 렌즈를 올려 놓고, 도 3의 도시와 같이 몸체(1) 후측의 회전노브(6)를 회전시켜 이에 의해 이동블럭(5) 및 렌즈고정대(3)(3')가 전진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렌즈고정대(3)(3')의 전진작용에 의해 렌즈거치대(2)(2') 상의 렌즈가 완전히 고정되면 다시 회전스크류(4)를 회전시켜 양측 렌즈거치대(2)(2')의 간격을 임시로 조절하여 두는 것이며, 그 회전스크류(4)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스크류(4)가 회전되면 양측의 렌즈거치대(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렌즈거치대(2)(2') 및 렌즈고정대(3)(3')의 일측면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렌즈거치대(2)(2')에 렌즈가 안치된 상태에서 그 렌즈고정구(3)(3')를 전진시켜 렌즈(42)를 고정하게 되면 그 경사각도에 의해 렌즈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견고한 고정은 추후 드릴공구에 의해 렌즈에 조립공을 성형하는 경우 그 진동에 의해 렌즈(42)가 흔들리거나 이탈하는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렌즈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고정집게(7)에 브릿지(40)를 결합하고, 그 브릿지(40)의 고정대(8)를 전후, 좌우 이동하거나 상하 회전시켜 브릿지(40)의 좌,우측과 렌즈(42)의 테두리가 정확하게 위치되게 고정대(8) 및 회전스크류(4)를 회전시켜 브릿지 및 렌즈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정상태가 완료되었으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몸체(1) 상부의 지지대(11)에 장착되어 있는 일측 파지봉(16)을 잡아당겨 그 단부에 고정된 구동모터(15)의 가이드관(19)을 브릿지(40)의 결합공(44)에 삽입하여 그 파지봉(16)을 하부로 압압하면 가이드관(19)은 더이상 하강하지 않으면서도 그 가이드관(19) 내부의 드릴날(18)이 하강하면서 브릿지(40)에 형성된 결합공(44)과 동심상의 가이드공(4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공(43)은 실제 조립나사가 삽입되는 구멍이 아닌 실제 조립나사를 삽입키 위한 조립공(46)을 형성키 위한 임시 가공홀이다.
이렇게 가이드관(19)에 의해 브릿지(40)의 결합공(44)과 정확히 일치되는 가이드공(43)을 양측 렌즈(42)에 모두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은 다리집게(10)를 이용하여 전기한 브릿지(40)에 의한 조립공(46)의 형성방법과 마찬가지로 안경다리와 렌즈(4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안경다리에 형성된 결합공(44)에 가이드관(19)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드릴날(18)을 하강시키면 전기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에 형성된 결합공(44)과 동심상의가이드공(43)이 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다리집게(10)는 몸체(1)에 형성된 더브테일홈(31)에 삽입되는 더브테일(30)이 형성된 수평관(28)과 그 수평관(28)의 내부에 내장되어 수직 입설된 수직관(29)을 구성되는 것이며, 수평관(28)과 수직관(29)의 내부에는 각각 스프링(9)(9')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수직관(29) 및 다리집게(10)가 각각 좌우 및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렌즈(42)의 크기 및 곡률에 따라 보다 정확한 세팅이 가능하여 렌즈(42) 및 안경다리간의 유격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공 형성공정을 그 작업공정에 의해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a의 도시와 같이 렌즈거치대(2)에 렌즈(42)를 올려 놓아 고정시킨 후, 브릿지(40)와 렌즈(42)의 테두리를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 파지봉(16)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15)를 하강시켜 구동모터(15)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관(19)을 브릿지(40)의 결합공(44)에 삽입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그 구동모터(15)를 더욱 하강시키면 가이드관(19)은 하강되지 아니하고 구동모터(15) 및 드릴날(18) 만이 하강하면서 브릿지(4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44)과 정확한 중심을 이루며 도 7b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공(4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공(43)이 형성된 상태에서 지지대(1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13)을 회전시켜 타측의 구동모터(15')를 이용하여 조립공(46)을 형성하는 것인데,
도 7c의 도시와 같이 렌즈(42)에 가이드공(43)이 형성된 상태에서 타측 구동모터(15)를 하강시키면 도 7d의 도시와 같이 미리 형성된 가이드공(43)을 따라 보다 확장된 상태의 조립공(46)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렌즈(42) 및 브릿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공(46)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도시하였으나, 브릿지(40)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렌즈(42)에 가이드공(43)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끝부분이 뾰족한 상태의 드릴날(21)에 의해 브릿지(40)의 가이드 없이도 직접 조립공(46)을 형성하여도 정확한 중심을 갖는 조립공(46)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공정에 의해 브릿지(40) 측의 렌즈 및 안경다리의 조립공(46) 또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문적인 가공업체에 이를 의뢰하거나 고도의 숙련자만이 작업하던 것을 본 발명 가공장치에 의해 누구나 쉽게 작업이 가능하므로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렌즈고정대(3)(3')의 후측에 다수의 베어링(25)(25')을 결합하고 이와 대응 삽입되는 슬라이드봉(24)(24')을 이에 삽입하여 결합하므로서, 전기한 더브테일(22) 및 더브테일홈(23)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한 것을 그 베어링(25)(25')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9의 도시와 같이 회전스크류(4) 및 회전노브(6)에 별도의 정역모터(32)(32')를 장착하여 수작업에 의해 회전하던것을 전동에 의해 자동으로회전되게 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사용이 가능케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는 렌즈 및 브릿지, 렌즈 및 안경다리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그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조립공을 이용하여 렌즈에 정확한 조립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크기 및 곡률에 구애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공의 형성시 흔들림이 전혀 없어 불량률을 극히 제한하는 것이며, 렌즈에 가공되는 조립공 또한 1차 가이드공을 먼저 형성하고, 이후 조립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보다 매끄러우면서도 정확한 위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렌즈와 브릿지 및 안경다리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므로 흔들림이나 유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몸체(1)의 상부에는 렌즈거치대(2)(2') 및 그 렌즈거치대(2)(2')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렌즈고정대(3)(3')를 각각 형성하고, 렌즈거치대(2)(2')의 하부에는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스크류(4)를 장착하며,
    렌즈고정대(3)(3')의 후면에는 이동블럭(5)을 결합형성하여, 몸체(1)에 결합된 회전노브(6)에 의해 전,후 이동되게 하며,
    전기한 렌즈거치대(2)(2')의 사이에는 단부에 고정집게(7)가 형성된 각봉상의 고정대(8)를 위치시키되, 고정대(8)는 전후, 좌우 이동 및 회전되게 힌지 결합하며,
    렌즈거치대(2)(2')가 위치하는 몸체(1)의 양측부에는 스프링(9)(9')에 의해 상하 및 전후 이동되는 다리집게(10)를 장착하되, 전기한 다리집게(10)는 수평관(28)과 수직관(29)을 중첩되게 결합하되, 각각의 내부에 스프링(9)(9')을 내장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수평관(28)의 단부에는 더브테일(30)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 몸체(1)에는 더브테일홈(31)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다리집게(1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하고,
    몸체(1)의 배면에는 별도의 지지대(11) 및 그 지지대(11)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12)에 의해 회전되는 브라켓(13)을 결합하되,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별도의 지지아암(14)(14')에 의해 구동모터(15)(15')가 장착된 파지봉(16)(16')이 상,하 유동되게 하며, 브라켓(13)의 선단 및 지지아암(14)(14')의 단부에는스프링(17)(17')을 연결하여 탄력 결합하고,
    일측 파지봉(16)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모터(15)에는 가이드공(43)을 가공키 위한 드릴날(18)과, 그 드릴날(18)의 주면에서 상하승강하는 가이드관(19) 및 그 가이드관(19)과 구동모터(15)를 탄설하는 스프링(20)을 장착하며,
    타측 파지봉(16')의 구동모터(15')에는 브릿지(40) 및 안경다리에 형성된 결합공(44)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드릴날(21)을 장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렌즈거치대(2)(2')의 바닥면은 중앙부가 함몰된 완곡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을 타측보다 낮게 형성하여 곡률을 갖는 렌즈(42)가 수직으로 안치되게 구성하고, 렌즈거치대(2)(2') 및 렌즈고정대(3)(3')의 일측면에는 상광하협상의 경사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렌즈고정대(3)(3')의 배면에는 더브테일(22)을 형성하고, 그 이동블럭(5)에는 더브테일홈(23)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렌즈고정대(3)(3')의 후측에 다수의 슬라이드봉(24)(24')을 형성하고, 렌즈고정대(3)(3')에는 베어링(25)(25')을 부착하여 이에 의해 좌,우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스크류(4) 및 회전노브(6)에는 각각 정역모터(32)(32')를 장착하여 전동에 의해 각각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KR1020010039699A 2001-07-04 2001-07-04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KR2003000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99A KR20030003855A (ko) 2001-07-04 2001-07-04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99A KR20030003855A (ko) 2001-07-04 2001-07-04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55U Division KR200250236Y1 (ko) 2001-07-04 2001-07-04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855A true KR20030003855A (ko) 2003-01-14

Family

ID=2771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699A KR20030003855A (ko) 2001-07-04 2001-07-04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3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7B1 (ko) * 2005-07-29 2007-08-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데이터의 집계정보관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997A (ja) * 1997-10-01 1999-04-20 Miki:Kk 眼鏡レンズ用穿孔機械
KR200177026Y1 (ko) * 1999-10-18 2000-04-15 류해곤 안경렌즈의 구멍천공장치
JP2000347144A (ja) * 1999-06-07 2000-12-15 Shimizu Megane:Kk めがねレンズ加工用治具およびその支持部材
JP2001013467A (ja) * 1999-04-28 2001-01-19 Vision Megane:Kk メガネのレンズ取付構造
KR200250236Y1 (ko) * 2001-07-04 2001-11-16 조세현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997A (ja) * 1997-10-01 1999-04-20 Miki:Kk 眼鏡レンズ用穿孔機械
JP2001013467A (ja) * 1999-04-28 2001-01-19 Vision Megane:Kk メガネのレンズ取付構造
JP2000347144A (ja) * 1999-06-07 2000-12-15 Shimizu Megane:Kk めがねレンズ加工用治具およびその支持部材
KR200177026Y1 (ko) * 1999-10-18 2000-04-15 류해곤 안경렌즈의 구멍천공장치
KR200250236Y1 (ko) * 2001-07-04 2001-11-16 조세현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7B1 (ko) * 2005-07-29 2007-08-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데이터의 집계정보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0384B1 (en) Optical device for precision work
JP2005510380A (ja) クリップオン・アクセサリ用または眼鏡用レンズを作成する、コンピュータ制御されたフライス盤
KR200250236Y1 (ko)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CN209868188U (zh) 一种光学镜片研磨用固定夹具
KR20030003855A (ko) 무테안경용 렌즈의 조립공 가공장치
US20070004317A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CN211554510U (zh) 一种可调倾角的眼镜
CN208729427U (zh) 多功能镜片开槽机
CN215813583U (zh) 一种用于视力矫正的新型眼镜
KR200280481Y1 (ko)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공 가공장치
CN217345658U (zh) 一种眼镜配件切割的定位结构
CN208601655U (zh) 一种用于眼镜镜桥的打孔装置
CN219504901U (zh) 一种眼镜片切割吸尘装置
CN220362178U (zh) 一种框架对接装置
CN218995816U (zh) 一种可调节的变焦眼镜
CN217787526U (zh) 一种可伸缩式眼镜架
CN212965613U (zh) 双筒望远镜的目距调整结构
CN212169904U (zh) 一种眼镜片夹具
JP4153552B1 (ja) 化粧用眼鏡
CN218471050U (zh) 手术放大镜
CN217365813U (zh) 一种眼科视力测试用调节镜框
JP3044040U (ja) 倍率3段切替眼鏡装着ルーペ
US6488373B1 (en) Clip-on pivoting telescope lens assembly having means for precise placement of the telescope lens in the operative position
CN218767642U (zh) 设有耳后卡位机构的眼镜架
JPH06160782A (ja) 累進焦点レンズ試着用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