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628A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28A
KR20030003628A KR1020010039901A KR20010039901A KR20030003628A KR 20030003628 A KR20030003628 A KR 20030003628A KR 1020010039901 A KR1020010039901 A KR 1020010039901A KR 20010039901 A KR20010039901 A KR 20010039901A KR 20030003628 A KR20030003628 A KR 2003000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key
touch screen
mobile phone
communication device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코스텍
Priority to KR102001003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3628A/ko
Publication of KR2003000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부분에 터치 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의 두께를 줄임과 동시에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스크린 및 그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 장착 방법은 IS-95 방식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하고, 본체와 플립으로 구성된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본체와 폴더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폰의 본체 전면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폰 본체 전면에 터치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 장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일반적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영역에 키패드를 없애고 그 자리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의 두께를 줄임과 함께 대화면 구현이 가능하기에 적당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이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최첨단 입력장치로써 터치스크린을 모니터상에 장착한 후 모니터상에 직접 손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윈도우 운영체제)하에서 직관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한 이상적인 장치로써, 컴퓨터 기반 훈련 및 시뮬레이션 응용 분야, 사무 자동화 응용 분야, 교육 응용 분야 및 게임 응용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은 기본적으로 모니터에 부착되는 터치패널(Touch Panel), 컨트롤러, 디바이스 구동부 및 응용(APPLICATION) 소프트웨어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특수 처리된 전극유리(ITO GLASS)와 전극 필름(ITO Film)을 포함한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손 또는 펜 등으로 표면을 접속하면 터치 패널 상에서 접촉되는 위치(예를 들면 X,Y 좌표)를 컨트롤러에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출력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인식 센서로써 모니터(CRT, LCD)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컨트롤러는 A/D 컨버터, CPU 등으로 구성되어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값을 컨버터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고 그 값에 따라 적용기기와 사용자간 프로토콜에 의해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상에 터치패널에서 출력된 값을 지정하고 그 값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해주는 소프트웨어, 즉 터치패널을 적용하는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은 특히 PDA에서는 기본적인 구설요소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용 통신 장치(Mobile phone)에서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이하 휴대폰이라 함)는 예를 들면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또는 PCS 등을 나타낸 것으로, 휴대폰의 외관은 기본적으로 휴대폰의 본체(1)와, 플립(2)으로 구성되며, 휴대폰의 본체(1)에는 문자(Text) 등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소자(LCD)로 이루어진 표시부(3)와, 한글 자/모음 및 숫자 등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 패드(4)와, 안테나(5) 및 배터리(6)가 부착된다. 여기서 플립(2)은 휴대폰 본체(1)의 키패드(4)부분을 보호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이하 휴대폰) 역시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또는 PCS에서의 폴더형 휴대폰을 나타낸 것으로, 폴더형 휴대폰의 외관은 기본적으로 휴대폰 본체(11)와, 폴더(13)로 구성되며, 휴대폰 본체(11)에는 한글 자/모음 및 출자 등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14)와, 안테나(15) 및 배터리(16)가 부착되어 있으며, 폴더(13)에는 문자(Text)등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소자(LCD)로 이루어진 표시부(12)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플립형 및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휴대폰의 문자(출자를 포함한)키, 전원키, 기능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 때문에 휴대폰이 전체 두께가 일정부분 증가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휴대가 불편하였다. 즉 키패드가 휴대폰 본체에서 일정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휴대폰 본체내부로 키패드가 일정두께만큼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는데, 돌출된 경우뿐만 아니라 휴대폰 본체내부에 삽입되어 있더라도 본체의 두께는 일정부분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키패드의 역할이 문자키, 전원키, 기능키만으로 한정되어 있어 기능키를 이용한 다양한 메뉴를 활용하기는 하지만 문자입력 등이 불편하였다.
셋째, 특히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키패드부분이 본체에 함께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부의 크기를 제한하였다.
넷째,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하는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기본적으로 확보되어 있지 않아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기 어렵고, 장착하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용 펜을 별도로 구비해야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키패드 부분에 터치 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의 두께를 줄임과 함께 대화면 구현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 장착 방법은, IS-95 방식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하고, 본체와 플립으로 구성된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본체와 폴더로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폰의 본체 전면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폰 본체 전면에 터치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플립형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키는 문자입력 기능키, 문자보기 기능키, 음성확인 기능키, 전화번호 찾기 기능키, 환경설정 기능키, 전자우편 기능키, 게임 기능키, 인터넷 기능키, 웹서핑 기능키, 전화걸기 기능키, 팩스 전송 기능키 및 방향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IS-95 방식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하고, 본체와 플립으로 구성된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본체와 폴더로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폰은 상기 본체 전면에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 전면상에 터치스크린이 구성되고,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상기 폴더에는 표시부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 전면에는 터치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플립형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키는 문자입력 기능키, 문자보기 기능키, 음성확인 기능키, 전화번호찾기 기능키, 환경설정 기능키, 전자우편 기능키, 게임 기능키, 인터넷 기능키, 웹서핑 기능키, 전화걸기 기능키, 팩스 전송 기능키 및 방향 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31 : 휴대폰 본체 22 : 플립
23, 33 표시부(LCD) 24, 34 : 터치 스크린
25, 35 : 안테나 26, 36 : 배터리
32 : 폴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스크린 및 그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플립형 휴대폰을 나타낸 것으로, IS-95A, IS-95B 및 IS-95C 방식의 통신 서비스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한 플립형 휴대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폰의 외관은 기본적으로 휴대폰의 본체(21)와, 플립(22)으로 구성되며, 휴대폰의 본체(21) 전면에는 문자 등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소자로 이루어진 표시부(23)가 구성되고, 휴대폰 본체(21)의 일측에는 안테나(25)가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본체(21)의 후면에는 배터리(26)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일반적인 플립형 휴대폰의 구성과 유사하다.
이때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폰의 본체(21) 전면에 구성된 표시부(23)의 전면에는 상기 휴대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 기능을 사용자의 터치로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24)이 구성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24)에 구비된 핫키는 문자입력 기능키, 문자보기 기능키, 음성확인 기능키, 전화번호찾기 기능키, 환경설정 기능키, 전자우편 기능키, 게임 기능키, 인터넷 기능키, 웹서핑 기능키, 전화걸기 기능키, 팩스 전송 기능키 및 방향키(예를 들면 화살표 모양) 등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플립형 휴대폰에서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 등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없애고, 플립형 휴대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뉴 기능을 원터치로 해소함과 동시에 문자 입력 등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24)을 구성한 것으로, 이때, 터치 스크린(24)은 메뉴 기능을 원터치로 해소할 수 있는 핫키영역(24a)과, 문자입력 영역(24b) 등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간단한 기능은 핫키영역(24a)의 핫키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구동시키고, 메시지 전송이나, 데이터(문자) 입력시에는 문자 입력 영역(24b)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원터치 구동의 일 예로 전화걸기를 하는 경우, 핫키 영역(24a)에서 전화걸기 기능키를 누르면 문자입력 영역(24b)에 종래의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 등의 키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착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전송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면 전화걸기가 실행된다.
또한 원터치 구동의 다른 예로써 전화번호 입력을 하는 경우, 핫키 영역(24a)에서 전화번호 입력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른 후 문자입력 영역(24b)을 통해 전화번호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람의 이름을 입력시키고 저장키를 누르면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전화번호가 저장된다.
이때 터치스크린(24)은 폐이스트를 사용하여 본체(21)에 부착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폴더형 휴대폰을 나타낸 것으로, IS-95A, IS-95B 및 IS-95C 방식의 통신 서비스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한 휴대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외관은 기본적으로 휴대폰의 본체(31)와, 폴더(33)로 구성되며, 휴대폰의 본체(31)에는 안테나(35)와 배터리(36)가 구성되어 있으며, 폴더(33)에는 문자 들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액정 표시 소자(LCD)로 이루어진 표시부(32)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31) 전면에는 폴더형 휴대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 기능을 사용자의 터치로 구현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34)이 구현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34)에 구비된 핫키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플립형 휴대폰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의 폴더형 휴대폰 역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립형 휴대폰과 같이 메뉴 기능을 원터치로 해소함과 동시에 문자 입력 등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34)을 구성한 것으로,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31)에 구성된 터치 스크린(34) 역시 메뉴 기능을 원터치로 해소할 수 있는 핫키영역(34a)과, 문자입력영역(34b) 등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간단한 기능은 핫키영역(34a)의 핫키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구동시키고, 메시지 전송이나, 데이터(문자) 입력시에는 문자 입력 영역(34b)을 이용한다.
이때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31)에 부착되는 터치스크린(34) 역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의 터치 스크린 장착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터치스크린이 종래의 키패드 역할을 대신하므로 휴대폰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박단소화에 유리하다.
둘째, 문자입력 유리하다.
셋째, 특히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 본체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부착함으로써 LCD로 구성되는 표시부를 대형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넷째,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터치스크린용 펜을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다.

Claims (6)

  1. IS-95 방식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하고, 본체와 플립으로 구성된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본체와 폴더로 폴더형 휴대용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폰은 상기 본체 전면에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 전면상에 터치스크린이 구성되며,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상기 폴더에는 표시부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 전면에는 터치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플립형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는 문자입력 기능키, 문자보기 기능키, 음성확인 기능키, 전화번호찾기 기능키, 환경설정 기능키, 전자우편 기능키, 게임 기능키, 인터넷 기능키, 웹서핑 기능키, 전화걸기 기능키, 팩스 전송 기능키 및 방향키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4. IS-95 방식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IMT-2000)가 가능하고, 본체와 플립으로 구성된 플립형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본체와 폴더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형 휴대폰의 본체 전면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폰 본체 전면에 터치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의 터치스크린 장착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플립형 또는 상기 폴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편리한 기능의 핫키(Function Key)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의 터치스크린 장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는 문자입력 기능키, 문자보기 기능키, 음성확인 기능키, 전화번호 찾기 기능키, 환경설정 기능키, 전자우편 기능키, 게임 기능키, 인터넷 기능키, 웹서핑 기능키, 전화걸기 기능키, 팩스 전송 기능키 및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의 터치스크린 장착 방법.
KR1020010039901A 2001-06-30 2001-06-3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KR20030003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01A KR20030003628A (ko) 2001-06-30 2001-06-3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901A KR20030003628A (ko) 2001-06-30 2001-06-3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28A true KR20030003628A (ko) 2003-01-10

Family

ID=2771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901A KR20030003628A (ko) 2001-06-30 2001-06-3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362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75B1 (ko) * 2005-08-12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 중 메모 작성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83104B1 (ko) * 2006-07-24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5839B1 (ko) * 2008-02-04 2010-10-08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8005500B2 (en) 2005-08-12 2011-08-2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34308B1 (ko) * 2008-08-22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75B1 (ko) * 2005-08-12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 중 메모 작성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US8005500B2 (en) 2005-08-12 2011-08-2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8515487B2 (en) 2005-08-12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83104B1 (ko) * 2006-07-24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85839B1 (ko) * 2008-02-04 2010-10-08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34308B1 (ko) * 2008-08-22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0249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001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US6865400B2 (en) User interfacing device for PDA/wireless terminal
JP2003289359A (ja) 携帯電話機
JP200627936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238130B1 (ko)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 복합무선 단말기와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GB2327558A (en) Two-way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pad-based user interface
KR20030003628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장착 방법
EP178618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speed dial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107194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20030083896A (ko) 휴대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US20030181224A1 (en) Method for dialing a phone number
JP2004179870A (ja) 携帯端末装置
JP5683080B2 (ja) 情報端末装置
KR200193403Y1 (ko) 키패드 부착형 이동통신 단말장치
JP4161561B2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92001B1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실행 방법
WO2002028069A3 (de) Elektronisches gerät zur kommunikation mit einem mobilfunkgerät
KR100467604B1 (ko) 키보드 방식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단말기
GB2338148A (en) Display arrangement for touchpad-based user interface of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73578A (ko) 스마트폰
KR100447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처리 방법
KR200234509Y1 (ko) 전화기 겸용 컴퓨터 키보드
JP2000244623A (ja) 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