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583A -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583A
KR20030002583A KR1020010038249A KR20010038249A KR20030002583A KR 20030002583 A KR20030002583 A KR 20030002583A KR 1020010038249 A KR1020010038249 A KR 1020010038249A KR 20010038249 A KR20010038249 A KR 20010038249A KR 20030002583 A KR20030002583 A KR 2003000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housing
eccentric
shaft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974B1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2001-003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9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8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with rotary or vibrato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 중심에 두 개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되고 상부 중심 내측에 자동차의 시거잭에 결합되어 통전되는 와이어의 수납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상부 중심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은 개방된 작동함체를 갖는 하우징과, 내측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체결되는 편심공이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동판을 갖는 편심베어링과, 상단에는 길게 돌출되어 구동모터측으로 편심베어링이 결합되는 장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회동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내측에 텐션부가 결합되는 걸레지지대와, 하우징의 작동함체 일측에 걸레의 일단이 감겨져 지지되는 권취롤을 갖는 단속축과, 단속축과 동일선상 타측 하우징에 지지되어 단속축에 감겨진 걸레 타단이 텐션부의 하단에 걸쳐져 다시 걸레의 타단이 감겨지는 권취롤을 갖는 단속축 및 하우징의 하단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걸레지지대의 승강회동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와이어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Potable car polish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방식으로 자동차 표면에 걸레를 강하게 밀착시켜도 부하가 최소화되어 작동이 가능하며, 광택작업 도중 오염된 걸레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고, 광택작업시 왁스가 튈 염려가 없어 작업복 없이 작업이 가능케 하며, 광택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고장시 수리가 손쉽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운전자가 간단하고 손쉽게 광택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된 자동차의 표면에는 먼지나 오물이 묻게되고 이런 먼지나 오물이 자동차의 표면에 묻으면 세차장에서 비눗물 등으로 세차하게 되는데 이렇게자주 세차할 경우에는 많은 환경오염과 소용되는 비용이 적지 않기 때문에 많은 자동차 운전자들은 자동차의 표면을 왁스나 광택제로 코팅하고 있다.
이렇게 왁스칠이나 코팅된 자동차의 표면은 운전자가 털이개로 가볍게 털어 주면 표면에 묻어있던 오물이나 먼지는 간단히 제거된다.
이렇게 자동차의 표면에 왁스나 광택제를 코팅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광택원료를 자동차의 표면 다수 곳에 조금씩 묻힌 다음 운전자가 걸레로 여러 번 문질러서 광택을 내던가 아니면,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걸레원반으로 여러 번 자동차의 표면을 광택원료로 문질러 광택을 발생시켰다.
이런 자동차 표면의 광택작업을 운전자가 걸레로 손수 광택작업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무척 힘이 드는 고된 작업이기 때문에, 보통은 모터에 의해 걸레원반을 회동시켜서 광택을 발생시키는 작업을 카센타 등에 의뢰하여 수행하고 있다. 그로 인해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운전자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광택작업을 하려면 먼저 자동차 표면에 왁스를 바르고 광택기로 문질러 광택을 내는데 왁스가 발라진 표면을 광택기로 문지르면 왁스의 알코올이 날아가고 왁스의 잔 찌꺼기가 표면에 남게된다.
이때, 필히 광택기를 꽉 눌러 자동차 표면과 광택기 걸레를 밀착시켜 강력하게 문질러 주어야 왁스 찌꺼기가 제거되면서 광택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는 원판을 걸레로 감싸서 회전방식으로 작동되므로 자동차의 표면에 걸레를 밀착시키면 부하가 많이 걸려 작동이멈춰 더 이상 광택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회전방식에 의한 광택작업시에는 회전판의 원심력에 의해 왁스가 옷으로 튀기 때문에 반드시 작업복을 입고 작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모터에 의해 걸레원반을 회동시켜서 광택원료를 자동차의 표면에 도포하는 광택작업은 광택작업으로 더러워진 걸레원반을 자주 갈아주어야 되기 때문에 많은 번거로움과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걸레원반의 회동력이 큰 최외측부는 광택이 손쉽게 나지만 회동력이 작은 최내측부는 광택이 잘 나지 않기 때문에 광택을 내는 작업자는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걸레원반을 둥글게 큰 원으로 돌리면서 광택작업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광택작업이 힘들고 고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이 많아 고장시 수리가 어렵고 걸레원반의 재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방식으로 자동차 표면에 걸레를 강하게 밀착시켜도 최소의 부하로 작동이 가능하고, 광택작업 도중 오염된 걸레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광택작업시 왁스가 튈 염려가 없어 작업복 없이 작업이 가능케 하고, 광택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고장시 수리가 손쉽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운전자가 간단하고 손쉽게 광택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에 있어서;
내측 중심에 두 개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가 고정되고 상부 중심 내측에 자동차의 시거잭에 결합되어 통전되는 와이어의 수납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상부 중심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은 개방된 작동함체를 갖는 하우징과;
내측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체결되는 편심공이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동판을 갖는 편심베어링과;
상단에는 길게 돌출되어 구동모터측으로 편심베어링이 결합되는 장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회동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내측에 텐션부가 결합되는 걸레지지대와;
하우징의 작동함체 일측에 걸레의 일단이 감겨져 지지되는 권취롤을 갖는 단속축
단속축과 동일선상 타측 하우징에 지지되어 단속축에 감겨진 걸레 타단이 텐션부의 하단에 걸쳐져 다시 걸레의 타단이 감겨지는 권취롤을 갖는 단속축 및
하우징의 하단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걸레지지대의 승강회동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와이어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단속축은 일단은 사각모양으로 내측으로 회동요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선단에 걸림내턱이 형성된 삽입요부를 갖는 작동버튼과;
일단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버튼의 걸림내턱에 회동 걸림되는 걸림외턱이 형성되어 작동버튼의 삽입요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지지축 및
지지축과 작동버튼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축에서 작동버튼을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하우징의 손잡이의 일측단에는 분사노즐이 하측으로 향하게 설치된 누름펌프가 형성되고 손잡이 내측에는 액상의 광택제가 충진되는 충진통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최상위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우측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최하위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좌측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최하위에 위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걸레지지대가 최상위에 위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시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일 실시예로 단속축 타단의 지지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편심베어링의 다른 실시예로, 편심베어링 최상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 편심베어링의 또 다른 실시예로, 편심베어링 최상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작동함체
13 : 수납부 14 : 뚜껑
15 : 와이어 17 : 지지돌기
18 : 요홈 19 : 단속스프링
20 : 손잡이 22 : 누름펌프
23 : 분사노즐 24 : 충진통
25 : 광택제 30 : 구동모터
32, 32a : 구동축 40,40a,140,240 : 편심베어링
41,141,241 : 편심회동판 42,142,242 : 편심공
50 : 걸레지지대 52 : 텐션부
54,54a,154,254 : 승강회동대 55,55a,155,255 : 장홈
60, 60a : 단속축 61, 61a : 작동버튼
62 : 삽입요부 63 : 걸림내턱
64, 64a : 회동요부 65, 65a : 권취롤
66 : 지지축 67 : 걸림외턱
68 : 탄발스프링 69 : 걸림턱
70 : 텐션와이어 80 : 걸레
90 : 전원스위치 143 : 볼
243 : 회동볼 256 : 가이드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 도 2a는 걸레지지대가 최상위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것이며, 도 2b는 걸레지지대가 우측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2c는 걸레지지대가 최하위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것이며, 도 2d는 걸레지지대가 좌측에 위치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는 손잡이(20)를 갖는 하우징(10)과 승강회동대(54)(54a)를 갖는 걸레지지대(50)와 단속축(60)(60')과 걸레(80)로 대별된다.
하우징(10)은 재질이 합성수지로, 상부에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이리 저리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작동함체(11) 중심에는 구동축(32)(32a)을 갖는 구동모터(30)가 고정되고, 구동모터(30)의 좌·우측에는권취롤(65)(65a)을 갖는 단속축(60)(60a)이 각각 축고정된다.
하우징(10)의 상부 중심 내측에는 자동차의 시거잭(도시않음)에 넣어 통전시키는 와이어(15)를 보관하는 수납부(13)가 형성되어 뚜껑(14)에 의해 개폐된다.
손잡이(20) 좌측단에는 누름펌프(22)가 돌출되고 누름펌프(22)는 광택제(25)가 충진된 충진통(24) 선단에 체결된다. 손잡이(20) 일측단에는 전원스위치(90)가 형성된다.
하우징(10) 작동함체(11)의 하단 양측에는 걸레지지대(50)의 승강회동대(54)(54a)를 관통한 텐션와이어(70)가 고정된다. 텐션와이어(70)로는 낚싯줄과 같이 탄력적이고 가벼우면서 강도가 강한 것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로, 도 3a는 걸레지지대가 최하위에 위치된 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3b는 걸레지지대가 최상위에 위치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걸레지지대(50)는 재질이 합성수지로, 하우징(10)에 중심측에 고정된 구동모터(30) 구동축(32)(32a)의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좌·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단면에 위치된 걸레(80)의 저면을 자동차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하단면에는 스폰지와 같이 텐션을 갖는 텐션부(52)가 결합된다.
걸레지지대(50)는 중심부에서 양분되어 나눌 수 있도록 제조하여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고, 걸레지지대(50) 상부에 일체로 구성된 승강회동대(54)(54a) 중에서 일측을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걸레지지대(50)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승강회동대(54)(54a)가 형성되는데, 승강회동대(54)(54a)의 상단부에는 구동모터(30)방향 상하측으로 길게 장홈(55)(55a)이 각각 형성된다.
장홈(55)(55a) 내에는 편심베어링(40)(40a)이 각각 위치되는데, 편심베어링(40)(40a)의 중심측에는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32a)이 고정되는 편심공(42)이 형성되는데, 편심공(42)은 편심회동판(41)의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0) 작동함체(11) 일측에는 걸레(80)의 일측 선단이 많이 감겨진 권취롤(65)을 갖는 단속축(60)이 축고정되고, 동일선상의 타측에는 걸레(80)의 타측 선단부가 고정된 권취롤(65a)을 갖는 단속축(60a)이 축으로 고정된다.
두 개의 단속축(60)(60a) 사이의 걸레지지대(50) 하단부에는 텐션부(52)가 형성되어 걸레(80)를 하부로 일정 탄력으로 밀게 된다.
텐션부(52)는 일정한 자체 탄력을 가진 재질로, 특히 스폰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한 판체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시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속축의 작동버튼 작동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 일 실시예로 단속축 타단의 지지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종단면도이다.
단속축(60)(60a)은 지지축(66)과 작동버튼(61)과 탄발스프링(68)으로 구성되는데, 지지축(66)은 일단이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에 걸림외턱(67)이 형성된다.
작동버튼(61)은 지지축(66)의 걸림외턱(67)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내턱(63)이 내측선단에 형성된 삽입요부(62)를 일측단에 형성하고 타측단은 사각면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회동요부(64)가 형성된다.
탄발스프링(68)은 작동버튼(61)의 선단과 지지축(66)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축(66)에서 작동버튼(61)을 탄발시킨다.
단속축(60a)의 타단은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지지돌기(17)에 끼워져 회동되는데, 지지돌기(17)의 일측에는 판스프링인 단속스프링(19)이 축중심에 고정되고 단속스프링(19) 하단에는 요홈(18)이 형성되며 단속스프링(19)의 대향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69)이 형성되어 단속축(60a)의 지지축(66)을 일측방향으로만 회동시킨다.
권취롤(65)(65a)은 카메라의 필름을 잡아 고정시키는 것과 같이 걸레(80)의 일단을 잡아 고정시키도록 일측을 절취하여 장홈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판체로 형성하여 일측은 단속축(60)(60a)에 권취되고 타측은 걸레(80)의 선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 편심베어링의 다른 실시예로, 도 7a는 편심베어링 최상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로, 다른 실시예인 편심베어링(140)은 일측단에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이 체결되는 편심공(142)이 편심회동판(141)에 편심되게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다수개의 볼(14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회동대(154)의 상단부 장홈(155)내에서 일정한 괘적으로 회동되게 구성시킨다.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이 회동되면 구동축(32)을 중심으로 편심베어링(140)은 승강회동대(154)의 장홈(155)내에서 회동되고 편심베어링(140)의 회동에 따라 승강회동대(154)는 하우징(10)내에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유동된다.
도 8은 본 발명 편심베어링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a는 편심베어링 최상위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정면도로, 또 다른 실시예인 편심베어링(140)은 타원형 형상으로 일측단에는 회동볼(243)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에는 편심공(242)이 형성되어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이 편심회동판(241)의 편심공(242)에 체결된다.
편심회동판(241) 일측단에 회동볼(243)이 형성된 편심베어링(240)은 승강회동대(254) 상단에 형성된 장홈(255) 내에 위치되어 편심베어링(240)의 회동볼(243)이 장홈(255) 내주연 중심측에 요부로 형성된 가이드홈(256)내에 안착되어 회동됨으로써 편심베어링(240)은 구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구동축(32)을 중심으로 장홈(255) 내측의 가이드홈(256)에 회동볼(243)이 안착되어 회동되는 편심베어링(240)은 승강회동대(254) 하단의 텐션와이어(70)에 의해 일측단의 회동볼(243)이 항상 장홈(255)의 가이드홈(256)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편심베어링(240)의 회동시 편심회동판(241)이 승강회동대(254)의 장홈(255)상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동차의 표면에 광택을 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 광택기를 꺼내 하우징(10) 상단 중심측의 수납부(13) 뚜껑(14)을 열고 와이어(15)를 꺼내 시거잭(도시않음)에 눌러 통전시킨 후 스위치(90)를 켜면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32a)은 각각 동반 회동된다.
사용자가 스위치(90)를 켜기 전에 먼저, 손잡이(20)의 상부 측단에서 돌출된 누름펌프(22)를 누르면 손잡이(20) 내측의 충진통(24)에 충진된 광택제(25)는 분사노즐(23)을 통해 자동차의 표면에 적당량 분사시킨다.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32a)이 회동되면 구동축(32)(32a)이 각각 체결된 편심베어링(40)(40a)의 편심회동판(41)은 구동축(32)(32a)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편심베어링(40)(40a)의 편심회동판(41)이 회동하면 편심회동판(41)은 편심베어링(40)(40a)을 편심되게 회동시키게 되고, 편심되게 회동되는 편심베어링(40)(40a)은 걸레지지대(50)의 승강회동대(54)(54a) 상단의 장홈(55)(55a)내에서 각각 편심되게 회동하면서 걸레지지대(50)를 상하, 좌우방향으로 편심되게 회동시킨다.
편심베어링(40)(40a)과 접촉되어 마찰열이 일어나는 승강회동대(54)(54a)의 장홈(55)(55a)은 마찰열에 강한 메탈부시라는 별도의 재질로 형성시켜 내구력을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회동대(54)(54a)의 장홈(55)(55a)상에 오일을 공급하는 별도의 오일공급수단(도시않음)을 구비하여 일정시간마다 오일을 장홈(55)(55a)상에 투입함으로써 편심베어링(40)(40a)의 마찰열을 크게 감소시켜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고 내구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편심베어링(40)(40a)이 회동되면 걸레지지대(50)의 승강회동대(54)(54a)는 구동축(32)(32a)을 중심으로 4mm 정도 벗어나게 편심된 상태에서 회동되면서 승강회동대(54)(54a)를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승강회동대(54)(54a)는 상하방향으로 2mm, 좌우방향으로 8mm의 폭을 갖고 진동하면서 회동된다.
이렇게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32a)에 체결된 편심베어링(40)(40a)에 의해 승강회동대(54)(54a)의 일측이 결합된 걸레지지대(50)는 하우징(10)의 작동함체(11) 내에서 상하로 2mm, 좌우방향으로 8mm의 폭으로 진동하면서 움직이면서 자동차의 표면에 떨어진 광택제(25)가 묻게 된다.
걸레지지대(50)의 걸레(80) 하단면에 묻은 광택제(25)는 자동차의 표면에서 상하, 좌우로 빠르게 표면을 문지르게 되어 결국 자동차의 표면에는 광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광택작업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진동 광택기를 광택제(25)가 묻은 자동차의 표면에만 대고 있으면, 진동 광택기가 스스로가 상하, 좌우로 빠르게 진동하면서 텐션부(52) 하단의 걸레(70) 하단면으로 자동차 표면을 빠르게 문지르며 광택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잡고 본 발명 진동 광택기의 하우징(10)의 텐션부(52)를 자동차의 표면에 얹혀 놓고 약간의 힘으로 누르기만 하면 된다.
이런 광택작업으로 걸레지지대(50)의 텐션부(52) 하단의 걸레(80) 하단면이 더러워져서 자동차 표면에 광택 발생이 더디게 되면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좌측면에서 약간 돌출된 단속축(60)(60a) 중에서 걸레(80)가 많이 감긴 단속축(60)의 작동버튼(61)을 눌러서 지지축(66)의 걸림외턱(67)과 작동버튼(61)의 걸림내턱(63)을 분리하면 단속축(60)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런 다음 타측의 단속축(60a)의 작동버튼(61a)의 회동요부(64a)에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넣어 회동시키면 된다.
하단면이 더러워진 걸레(80)는 타측 단속축(60a)의 권취롤(65a)에 감겨져 보관되고 하단면이 깨끗한 걸레(80)가 다른 단속축(60)의 권취롤(65)에서 계속 풀려져 텐션부(52)의 하단에 위치된다.
이때, 느슨해진 걸레(80)를 탄력있게 하려면 단속축(60)의 작동버튼(61)을 놓고 타측의 단속축(60a)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적당한 탄력으로 조절하면 된다.
이렇게, 깨끗한 걸레(80)의 하단면이 텐션부(523)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시 자동차 표면의 광택작업을 하면 된다.
계속되는 광택작업으로 걸레(80)의 한 면이 모두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일측면을 열어 더러워진 걸레(80)를 가진 권취롤(65a)과 단속축(60a)을 걸레(80)가 다 풀린 권취롤(65)과 단속축(60) 방향에 각각 끼운 후 걸레(80)의 선단이 해리된 권취롤(65)에 걸레(80)의 선단을 끼워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걸레(80)의 선단이 끼워 고정된 권취롤(65)을 단속축(60a)에 끼워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버튼(61)(61a)을 누르고 또한 돌려서 걸레(80)의 깨끗한 부위인 하단면이 자동차의 표면에 닿도록 텐션부(52)에 밀착시키면 걸레(80)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사용하게 되어 걸레(80)의 2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표면에 강력하게 밀착시켜도 광택작업이 가능케 되고 광택작업 도중 오염된 걸레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조작이 쉽고 간단하여 특히 여성운전자들도 사용이 용이하고, 진동방식이기 때문에 미세한 진동으로 광택을 내기 때문에 왁스가 튀지 않아 작업복을 입을 필요가 없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광택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고장시 수리가 손쉽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운전자가 간단하고 손쉽게 광택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에 있어서;
    내측 중심에 두 개의 구동축(32)(32a)을 갖는 구동모터(30)가 고정되고 상부 중심 내측에 자동차의 시거잭에 결합되어 통전되는 와이어(15)의 수납부(13)가 뚜껑(14)에 의해 개폐되며 상부 중심측에 손잡이(20)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은 개방된 작동함체(11)를 갖는 하우징(10)과;
    내측에 구동모터(30)의 구동축(32)(32a)이 체결되는 편심공(42)이 중심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회동판(41)을 갖는 편심베어링(40)(40a)과;
    상단에는 길게 돌출되어 구동모터(30)측으로 편심베어링(40)(40a)이 결합되는 장홈(55)(55a)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회동대(54)(54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내측에 텐션부(52)가 결합되는 걸레지지대(50)와;
    하우징(10)의 작동함체(11) 일측에 걸레(80)의 일단이 감겨져 지지되는 권취롤(65)을 갖는 단속축(60)과;
    단속축(60)과 동일선상 타측 하우징(10)에 지지되어 단속축(60)에 감겨진 걸레(80) 타단이 텐션부(52)의 하단에 걸쳐져 다시 걸레(80)의 타단이 감겨지는 권취롤(65a)을 갖는 단속축(60a) 및
    하우징(10)의 하단 내측 양측에 고정되어 걸레지지대(50)의 승강회동대(54)(54a)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와이어(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속축(60)은 일단은 사각모양으로 내측으로 회동요부(64)가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선단에 걸림내턱(63)이 형성된 삽입요부(62)를 갖는 작동버튼(61)과;
    일단은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버튼(61)의 걸림내턱(63)에 회동 걸림되는 걸림외턱(67)이 형성되어 작동버튼(61)의 삽입요부(62)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지지축(66) 및
    지지축(66)과 작동버튼(61)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축(66)에서 작동버튼(61)을 탄발시키는 탄발스프링(6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손잡이(20)의 일측단에는 분사노즐(23)이 하측으로 향하게 설치된 누름펌프(22)가 형성되고 손잡이(20) 내측에는 액상의 광택제(25)가 충진되는 충진통(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KR10-2001-0038249A 2001-06-29 2001-06-29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KR10038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49A KR100386974B1 (ko) 2001-06-29 2001-06-29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49A KR100386974B1 (ko) 2001-06-29 2001-06-29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583A true KR20030002583A (ko) 2003-01-09
KR100386974B1 KR100386974B1 (ko) 2003-06-09

Family

ID=2771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249A KR100386974B1 (ko) 2001-06-29 2001-06-29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19B1 (ko) * 2013-07-26 2015-01-06 구대회 차량용 걸레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0184A (nl) * 1990-01-24 1991-08-16 Reinhoud Bv Wisinrichting met continue werking.
JPH07204563A (ja) * 1994-01-24 1995-08-08 Yamaguchi Kogyo:Kk 塗装面の塗膜に付着した塵を除去するクリーナー
KR200241590Y1 (ko) * 2001-05-17 2001-10-15 김영권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19B1 (ko) * 2013-07-26 2015-01-06 구대회 차량용 걸레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974B1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122A (en) Automatic golf ball washer caddy
US5797407A (en) Automated nail polish remover
KR100386974B1 (ko)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KR200241590Y1 (ko) 휴대용 자동차 광택기
JP6722054B2 (ja) 床面洗浄機
US5769099A (en) Automated nail polish remover
JP3011689B2 (ja) 染み抜き機
US5446939A (en) Shoe cleaning cylindrical brush
US6199238B1 (en) Machine for cleaning compact disc
KR20200000134U (ko) 차량 광택제 도포 장치
JPH1132971A (ja) 衣服の汚れ落とし器
CA2616170C (en) Device for the care of footwear
KR20030026535A (ko) 세척 광택기와 그 걸레 카트리지
KR20070055114A (ko) 스팀 청소기
RU122007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водом
KR200329269Y1 (ko) 볼 세척장치용 세척액 저장용기의 구조
JPH03104757A (ja) 多機能クリーナ
JP3020090U (ja) 靴磨器
KR200356007Y1 (ko) 전동 구두솔
CN209499638U (zh) 平板拖把清洗桶
CN2201055Y (zh) 两用擦鞋器
KR200248078Y1 (ko) 일회용 소제 겸용 왁스 도포구
KR200399242Y1 (ko) 휴대용 자동구두 닦는 기기
KR20080079547A (ko) 휴대용 세차기
KR100269085B1 (ko) 당구공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