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704A -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 Google Patents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704A
KR20030001704A KR1020010036545A KR20010036545A KR20030001704A KR 20030001704 A KR20030001704 A KR 20030001704A KR 1020010036545 A KR1020010036545 A KR 1020010036545A KR 20010036545 A KR20010036545 A KR 20010036545A KR 20030001704 A KR20030001704 A KR 2003000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program information
chann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술
Priority to KR102001003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1704A/ko
Priority to AU2001266417A priority patent/AU2001266417A1/en
Priority to CN01812002A priority patent/CN1439222A/zh
Priority to EP01943959A priority patent/EP1316208A1/en
Priority to PCT/KR2001/001119 priority patent/WO2002001861A1/en
Priority to US10/312,410 priority patent/US20030159146A1/en
Priority to JP2002505506A priority patent/JP2004502354A/ja
Publication of KR2003000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7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방송만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 수신부는 복수의 공중파 TV 방송 채널, 위성 방송 채널, 케이블 TV 방송 채널 등의 다양한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 설정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하고, TV 신호 처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TV 시청을 위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메모리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신호처리부는 방송 신호 수신부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추출 동작을 제어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메모리부로의 저장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근거로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프로그램 안내 정보만을 단순히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TV 및 관련 기기와 독립적 또는 상호 연관된 방식으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BROADCASTING RECEIVING SET WITH A FUNCTION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본 발명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시청 가능한 채널 수가 많은 다채널 환경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방송만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이하 EPG.)는 독립된 채널 또는 캐리어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으로 미국, 유럽 등의 다채널 방송국가에서는 오래 전부터 시행되어온 것이다. 한국도1996년 캐리어를 이용한 방법(KBPS)으로 KBS에서 시행한 바 있으나, 이러한 KBPS 방식은 안내 기능이 내장된 TV로 수상기를 바꿔야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TV를 통해 시청 가능한 방송을 방송 방식과 관련하여 분류해 보면 일단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에 따라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아날로그 방송은 향후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된다. 즉, KBS나 EBS 등의 방송사가 무궁화 위성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험 서비스 중이며, 곧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시험 방송을 거쳐 본 방송으로 서비스될 예정이어서 향후 채널 수가 200개 이상으로 많아질 것이다.
또한 현재 TV를 통해 시청 가능한 방송을 전달 매체와 관련하여 분류해 보면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및 지상파 방송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케이블 방송의 경우는 방송의 내용을 특정하여 약 40여개의 채널을 통하여 서비스하고 있지만 서비스 종류에 따라 채널 수도 매우 많아질 수 있다. 위성 방송의 경우는 현재 확보 가능한 위성의 수가 많지 않으므로 시청 가능한 위성 방송의 수는 많지 않으나, 위성 방송은 국가에 따라 자국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므로 시청 가능한 위성 방송의 수도 날로 늘어갈 것이다.
이러한 다채널 환경으로의 이전에 따라 시청 가능한 채널의 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채널에서 시청 가능한 방송 정보를 시청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방송 정보는 신문 등의 매체를 통한 안내, 전문 채널을 통한 프로그램 안내 또는 인터넷 방송과 연관지을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의 안내 등을 통하여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나, 전달되는 정보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단순 프로그램 정보 이상의 의미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방식만으로는 수백개에 달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프로그램 정보 이상의 의미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채널이 많아지는 경우에도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는 편리한 방법 및 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채널 환경 하에서도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제공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홈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에 송신되는 신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 내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 내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EPG 정보 제공부200 : 방송 수신 세트
300 : 리모콘400 : 컴퓨터
500 : 이동통신단말기810 : RF 수신부
820 : TV 신호 처리부830 : 주파수 조절부
840 : 신호처리부850 : 리모콘 수신부
860 :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870 : USB 제어부
880 : 메모리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는,
하나 이상의 공중파 TV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위성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케이블 TV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로부터 TV 시청을 위한 방송 신호와 채널 설정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TV 시청을 위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TV 신호 처리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추출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근거로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리모콘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키조작을 인식하여 특정 사용자를 체크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특정 사용자별로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는 무선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는 유선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USB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방송 신호 수신부는 상기 공중파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하는 EPG 정보 추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추출을 위한 소정의 주파수 레벨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레벨을 상기 EPG 정보 추출 처리부에 출력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는 예약 프로그램 방송 일정 시간 전에 화면을 통해 알람하고, 동일 화면에서 예약된 채널로의 절환 기능을 수행하는 OSD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에 의하면, 프로그램 안내 정보만을 단순히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 TV 및 관련 기기와 독립적 또는 상호 연관된 방식으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EPG 리모콘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사업자(102, 104), 통신사업자(106), 방송국(114) 및 사용자측 장치(108, 110, 112)를 포함한다.
EPG 리모콘(110) 사용자(108)는 인터넷 사업자(102)가 제공하는 EPG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EPG 리모콘의 번호와 자신의 아이디, 프로그램의 관심분야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122).
인터넷 사업자(10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방송국(114)으로부터 받은 프로그램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별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맞는 프로그램 정보들을 분류하여 보관한다. 이렇게 분류된 사용자에 따른 관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리모콘 번호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통신사업자(106)에게 전달하며(124), 통신사업자는 통신망을 통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송신해 준다(126). 여기서 통신사업자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무선 방식을 통해 제공받는 경우에는 PCS 사업자나 페이저 사업자 등이 운용하는 망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PC 등 유선 방식을 통해 제공받는 경우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를 경유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108)는 텔레비전(112) 시청 중 혹은 시정 전에 LCD창(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이 붙어 있는 EPG 리모콘(110)을 통해서 수많은 채널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 정보들을 보고 쉽게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130).
도 1에 도시된 개념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에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페이저(Pager)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사업자가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입수된 사용자 정보와 입수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 분류한 후 이렇게 사용자마다 분류된 정보를 각 사용자의 리모콘 번호(페이저를 활용한 경우는 페이저 번호)에 따라 통신사업자에게 전달하여 각각의 리모콘에 각 사용자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무선 통신망이 반드시 페이저 망일 필요는 없으며 FM DARC 방식이나 무선 데이터망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당연히 알 수 있다. 특히 무선 데이터망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EPG 리모콘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또는 PDA의 H/W 또는 S/W를 변형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연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 사용자 등록 및 사용자별 관심 분야 등록에 따른 관심 프로그램 정보의 분류를 EPG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하는 대신에 인터넷 사업자는 방송국의 모든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리모콘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분류하여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EPG 리모콘에서 사용자 등록 및 관심 분야 등록에 따른 관심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EPG 리모콘 자체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받은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분류한 후 사용자가 리모콘을 작동시킬 때 분류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을 자동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경우도 역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무선 통신망이 반드시 페이저 망일 필요는 없으며 FM DARC 방식이나 무선 데이터망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선 데이터망을 사용할 경우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또는 PDA를 사용하여 EPG 리모콘이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당연히 알 수 있다.
한편 유무선 전화를 사용한 700 전화서비스 형태로 EPG 서비스가 운영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EPG 사업자가 개설한 700 유료 전화 서비스를 통하여 자신의 리모콘 정보 및 자신이 선호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EPG 사업자가 접수할 수 있으며 그 이후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무선 인터넷 형태, 즉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PDA 등의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EPG 서비스 사업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무선으로 EPG 사업자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리모콘 정보 및 자신의 선호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TV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기존 TV, VTR, 셋탑 박스(Set-Top Box)의 리모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TV(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TV) 자체, VTR, 셋탑 박스(케이블, 위성 또는 디지털 셋탑 박스), 개인 컴퓨터 또는 홈 서버에서 전파 또는 유선망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적외선 또는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리모콘에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EPG 리모콘은 앞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역시 구현될 수 있다는 점과, 아날로그 TV의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역시 KBPS 등의 기존 방식대로 1차 전달되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리모콘에 2차 전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로 기존의 지상파 방송이나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정보만이 아니라 유선 방송 사업자가 운영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유선 방송 사업자는 지역별로 케이블 방송 서비스 운영권을 확보하거나(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 또는 지역별로 난시청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중계 유선 방송 사업자)와 함께 각 유선 방송 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된 채널을 통하여 지상파 방송 또는 그의 녹화 방송이나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을 전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로 EPG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신청시 자신이 시청하려는 TV가 위치되는 자신의 주소(일 실시예로 이러한 정보는 우편번호 등과 같은 정보로 선택될 수 있다) 및 자신이 유선 방송 시청자임을 기존 사용자 정보와 함께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EPG 사업자는 각 지역별 유선 방송 사업자로부터 유선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받아(실시예에 따라서 지상파,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함께 전달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EPG 리모콘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시청자가 유선 방송 사업자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우편번호와 같은 주소 관련 정보 및 EPG 리모콘 번호를 활용하므로써 사용자 취향에 따라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변형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약간의 변형 또는 추가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넷 홈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 EPG 리모콘은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관심에 맞는 프로그램들만 선정하여 보여 주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를 위해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등록하는 단계가 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전 단계에서 필요하며 이는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다.
도 2(a)에 도시된 사용자 등록화면에서는 EPG 리모콘을 통해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아이디나 이름, 비밀번호, 주소, 연락처, EPG 리모콘(일 실시예로 페이저)의 번호, 광고시청여부, 시청하는 매체선택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경우 아이디나 이름은 여러 사람이 하나의 EPG 리모콘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 각 사용자를 구별시켜주는 데 이용된다. 비밀번호는 각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관심 분야, 관심 프로그램 등 EPG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모든 정보를 수정할 때 타인에 의해서 변조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EPG 리모콘 번호(페이저 번호)는 통신사업자가 인터넷 사업자로부터 받은 각 사용자별 관심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이때 하나의 EPG 리모콘을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여러 사용자의 관심 방송 프로그램 정보들을 송신한다.
또한 광고를 시청한다고 선택한 경우 관심 분야와 일치하는 광고 또는 쇼핑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전달해 준다. 사용자가 광고를 보기로 선택한 경우는 일 예로 개별 서비스 요금 등에서 이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으며 방송 채널은 시청자의 취향에 맞는 광고가 채널 선택시 방송되는 경우 채널 이전 과정에서 광고를 방송하는 채널이 먼저 선택된 다음 사용자 취향에 맞는 채널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PG 서비스의 경우 광고 역시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의 타켓 마케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며 EPG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달된 개별 사용자 취향 정보 역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고 부가가치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입력 창을 통하여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거주지역과 시청하는 매체로부터 방송국 채널을 인터넷 사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중파 또는 지상파, 위성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뿐만 아니라 유선 방송 사업자가 운영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해서도 사용자 취향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EPG 리모콘은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 하나의 실시예로 EPG 리모콘이 지역정보 수신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주소 또는 우편번호를 통하여 인터넷 사업자는 사용자의 지역 파악이 가능하고 각 사용자에 맞는 지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백개 이상의 채널 및 각각 채널당 수십 개의 프로그램들 중에서 자신의 취향, 관심에 맞는 프로그램들의 정보만을 고르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프로그램을 직접 지정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 예시한 방식은 EPG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검색창에서 키워드나 방송시간, 방송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등록하거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프로그램 목록이 나와 있는 특정 프로그램 등록화면에서 직접 골라서 등록시키는 방법이다.
다른 방식으로는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 관심을 인터넷 사업자에게 알려주면 인터넷 사업자는 이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골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일 실시예로는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관심분야목록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분야만을 선택하여 등록하고 인터넷 사업자는 방송국에서 받는 프로그램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 분야와 맞는 프로그램들을 골라서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실시예로 인터넷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정해진 몇 가지의 질문을 하고 사용자의 대답들을 통해서 사용자의 취향, 관심을 분석해서 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 또한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에는 도시된 EPG 리모콘은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위한 LCD 창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이며 경우에 따라서 LCD창이 생략될 수 있음 역시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시키거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키, 텔레비전, 비디오, 각종 셋톱박스의 on-off를 위한 키 및 기타 기능을 위한 별도의 키가 다수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리모콘의 전면에는 앞에는 텔레비전, 비디오, 각종 셋톱박스를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적외선 발사부와 배터리의 양을 알 수 있는 LED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은 도 3(b) 및 도 3(c) 또는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 기능 이외의 기존의 리모콘 방식을 역시 사용하거나 보다 더 지능적인 EP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덮개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리모콘이 구현될 수 있음 역시 자명하다.
이러한 경우 EPG 리모콘에 숫자키 등 보다 많은 키가 필요할 경우 키를 2단으로 배열을 하여 많은 키를 좁은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EPG 전용 키 또는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몇 가지 키를 리모콘 외부에 두고 외부 부분을 회전시켜 열거나, 아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열면 안에 숫자키 등 부수적인 키들이 배열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리모콘은 LCD창을 구비하지 않고 간단히 on/off 키, EPG mode on/off 키, 사용자 선택키, 채널 전환키,소리 조절키 등만을 구비한 간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일 실시예로 무선 통신망을 활용한 EPG 리모콘의 블록 구성도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은 RF 수신부(410), 신호 처리부(420), 주파수 조절부(430), 프로그램 정보 및 CPU 프로씨저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40), 방송채널 변경을 위한 IR부(460) 및 기타 입력과 출력에 관`계된 입/출력부(450-456)로 구성된다.
RF 수신부(410)는 RF 수신기(412), 중간 주파수 혼합 및 증폭부(414) 및 정보 추출 처리부(4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420)는 디코더(422), 제어부(CPU,424) 및 안테나 튜닝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조절부(430)는 전압 제어 발진기(432) 및 PLL 처리부(4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440)는 롬(ROM,442), 램(RAM,444), 기타 메모리(446) 및 클럭(CLOCK, 4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R부(460)는 발진부(462), IR호 발광부(464) 및 IR 변환부(4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력부에는 스피커(450), 전원을 인가하고 진동신호를 내는 구동부(452), 표시부(454) 및 조작 스위치부(4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EPG 리모콘을 FM DARC 방식 또는 무선 데이터망을 통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전달받도록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따라서 도 4의 페이저망을 활용한 블록도는 FM DARC 방식의 경우나 적외선 또는 불루투쓰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PDA를 사용한 경우 각각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본 발명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EPG 서비스 운영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에 송신되는 신호 구성도로서, 특히 페이징 구현 방식 중 하나인 POCSAG 방식 신호 포맷을 활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도 5에서 POCSAG 방식만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잘 아는 바와 같이 FLEX 방식 등을 통하여 페이징 신호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신호는 프리앰블과 완전한 코드워드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배치는 한 개의 동기코드워드로 시작될 수 있다. 코드워드들은 한 개의 동기코드워드와 8개의 프래임(각각 2개의 코드워드를 갖는다)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각각의 배치들 내에서 전송되며 각각의 코드워드는 32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b)는 주소코드워드를 도시하며 제 1비트(비트 1)인 식별(ID) 비트는 항상 0으로 설정하여 메시지 코드워드와의 구별될 수 있다. 비트 2-19는 수신기에 할당된 21비트의 식별번호 중 18개의 최상위 비트와 일치하는 주소 비트들이다. 비트 20, 21은 수신기에 할당된 8개의 프래임 중 원하는 프래임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기능 비트이다. 비트 22-31은 패리티 검사비트들이며 마지막 비트는 패리티를 주기 위한 선택이다.
도 5(c)는 메시지 코드워드를 도시하며 비트 1은 항상 1로 시작되고 전체 메시지는 항상 주소 코드워드를 곧바로 뒤따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코드워드는 20개의 메시지 비트(2-21비트)를 가지며, 패리티 검사 비트 및 패리티 비트가 뒤따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d)는 데이터 신호가 메시지 신호일 때 방송 프로그램 정보 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 포맷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하루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서 그에 해당하는 시간의 프로그램 정보들을 일정 시간마다 송신하는 경우 이의 구분을 위한 시간정보가 메시지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EPG 리모콘을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를 구분하는 아이디 혹은 이름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가 오며,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정보들인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그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 시작시간, 종료시각, 그 프로그램이 속한 관심분야, 예약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메시지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정보의 추가, 삭제 역시 가능함이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 내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통상의 대기 상태(단계 S602)에서 현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신호(실시예에 따라서는 예약 기능이 생략될 수 있다)가 포함된프로그램 중 현재 시각이 프로그램 시작시각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604), 일치하는 경우에는 EPG 리모콘에 해당 프로그램의 제목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한다(단계 S606). 또 다른 실시예로 자동으로 텔레비전의 채널을 해당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로 바뀔 수 있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어 무선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호출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 번호가 ROM(442) 내에 기억된 어드레스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10). 단계 610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무선 호출신호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별, 그리고 시간 정보별로 구분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정보를 지우고 새로운 정보를 저장한 후(단계 S612), 최초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하나의 리모콘에 사용자별로 각각 구분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이유는 하나의 리모콘을 복수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고, 또 각각의 사람들의 취향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별도로 각각 저장하여 이용하기 위함이다.
단계 S608에서 무선 호출신호 입력이 아닌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키 입력인지, 채널 선택키 입력인지, 조회키 입력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614, S626, S632). 이 밖에 이 단계에서 필요한 다른 기능키의 입력이 있을 시에는 채널 선택, 사용자 선택, 조회 기능에 추가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키가 입력되면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들을 리모콘의 화면에 표시해주고(단계 S616) 이 중 어떤 사용자를 선정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620, S622).이에 따라 현재의 사용자를 해당 사용자로 바꾸어서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단계 S624), 최초의 대기상태인 단계 S605로 복귀한다. 채널 선택키는 채널번호를 증가시키는 키와 채널번호를 감소시키는 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채널번호를 증가시키는 키를 선택한 경우 현재의 사용자의 관심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하는 채널 중 현재 채널번호보다 큰 다음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채널 선택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628).
반대로 채널번호를 감소시키는 키를 선택한 경우 현재의 사용자의 관심 프로그램 정보를 방송하는 채널 중 현재 채널번호보다 작은 다음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선택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628). 바뀐 채널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현재의 채널을 기억해 두고(단계 S630) 최초의 대기상태인 단계 S605로 복귀한다.
한편 조회키가 입력되면 현재의 사용자의 관심 프로그램들 중에서 지금 방송 중이거나 아직 방송하지 않은 프로그램들의 정보를 표시해 준다(단계 S634). 표시된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방향키를 이용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단계 S636), 해당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혹은 방송될 채널로 바뀔 수 있도록 채널 선택 신호를 송신하고 바뀐 채널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단계 S638), 최초의 대기상태인 단계 S605로 복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PG 리모콘 내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 정보를 리모콘에 송신하고,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관심 분야 등록에 따른 관심 프로그램 선정 과정이 리모콘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한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달리 도 2의 과정이 리모콘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도 6에서 설명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경우 수신된 신호의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사용자 구분이 없이 일단 메모리에 저장된다(단계 S712).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등록키가 입력되면(단계 S740), 새로운 사용자를 입력하는 과정인지(단계 S742), 기존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인지(단계 S748) 또는 기존 사용자의 삭제 과정인지(단계 S756)를 판정한다. 새로운 사용자를 입력하는 과정이면 새로운 사용자를 기존의 사용자와 구분하여 아이디를 부여 또는 입력한다(단계 S744).
새로운 관심 분야를 등록하거나 수신된 모든 프로그램 정보 중 특정 프로그램을 선정하며 동시에 예약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단계 S746). 또한 기존 사용자가 이전에 등록한 관심 분야, 특정 프로그램, 예약여부 등을 수정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단계 S750). 이때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사용자 정보가 수정,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밀번호 등의 보안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 등록되거나 수정된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고(단계 S752), 이에 맞는 관심 프로그램을 CPU(424)에서 선택하고 분류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단계 S754), 최초의 대기상태인 단계 S704로 복귀한다. 기존 사용자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 등을 메모리에서 삭제하고(단계 S756), 최초의 대기상태인 단계 S704로 복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EPG 정보 제공부(100), 방송 수신 세트(200), 리모콘(300),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400) 및 이동통신단말기(500)를 포함한다.
EPG 정보 제공부(100)는 하나 이상의 공중파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위상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케이블 TV 방송 채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편성 정보 및 소개 자료를 저장하고, 컴퓨터(400)나 이동통신단말기(5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취향에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한다.
방송 수신 세트(200)는 TV 시청용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해당 TV 시청용 방송 신호와 함께 채널 설정용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리모콘(300)을 통해 채널 선택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다운 로드된 채널 선택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채널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 해당 채널로의 절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방송 수신 세트는 각종 텔레비전 장치가 될 수도 있고, 텔레비전 장치와 연계되는 셋탑 박스 등이 될 수 있다.
리모콘(300)은 일반적으로 방송 수신 세트(200)에 종속되어,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음량 설정이나 채널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방송 수신 세트에 제공한다. 이때 리모콘은 하나의 방송 수신 세트에 다수개가 종속되어 운영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송 수신 세트에 하나가 종속되어 운영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하나의 방송 수신 세트에 다수개가 종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때 특정 리모콘의 인식을 위한 소정의 코드값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하나의 방송 수신 세트에 하나의 리모콘이 종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때 사용자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 소정의 코드값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400)는 EPG 서비스와 관련된 아이디와 함께, 방송 프로그램의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의 입력 및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종류를 지정하여 채널 선택 정보를 인터넷 백본망을 경유하여 상기 EPG 정보 제공부(100)에 요청하고, 그의 응답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를 다운 로드하며, 다운 로드된 정보를 방송 수신 세트(200)에 제공한다. 이때 다운 로드된 정보의 제공은 소정의 유선 라인인 USB 방식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일종인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제공도리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500)는 EPG 서비스와 관련된 아이디와 함께, 방송 프로그램의 관심분야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의 입력 및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종류를 지정하여 채널 선택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EPG 정보 제공부(100)에 요청하고, 그의 응답 정보를 제공받아 방송 수신 세트(200)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에 제공되는 EPG 정보는 실제로 방송 청취시 이용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프로그램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해당 프로그램 정보는 최종적으로는 방송 수신 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시간 또는 예약에 따른 특정 사용자의 채널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로의 절환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한 방송 수신 세트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200)는 RF 수신부(810), TV 신호 처리부(820), 주파수 조절부(830), 신호처리부(840), 리모콘 수신부(850),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860), USB 제어부(870) 및 메모리부(880)를 포함한다.
RF 수신부(810)는 튜너(812), IF 증폭부(814), EPG 정보 추출 처리부(816)를 포함하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신호로부터 TV 방송 신호와 프로그램 정보를 분리하여 TV 신호 처리부(820) 및 신호 처리부(840)에 각각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안테나에 의해 공중파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신호처리부(840)의 제어되는 튜너(812)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가 선국된다. IF 증폭부(814)는 대체로 크로마 IC 내지 메인 IC를 구성하는 것으로 튜너(812)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TV 신호처리부(820) 및 EPG 정보 추출 처리부(816)에 출력한다.
EPG 정보 추출 처리부(816)는 신호 처리부(840)의 제어를 근거로 공중파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송출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신호 처리부(840)에 출력한다.
TV 신호 처리부(820)는 P/S 분리부(821), 음성 검파부(822), 음성 처리부(823), 음성 증폭부(824), 영상 검파부(825), 영상 처리부(826), OSD 발생부(827), 믹서(828) 및 디스플레이 구동부(829)로 이루어져, 텔레비젼 방송 시청을 위한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P/S 분리부(821)는 표면 탄성파 필터를 포함하여 IF 증폭부(814)에 의해 분리된 중간주파수를 음성중간주파수와 영상중간주파수로 각각 분리하여 음성검파부(822) 및 영상검파부(825)에 각각 출력한다.
음성검파부(822)는 음성중간주파수로부터 음성신호를 검파하고, 음성처리부(823)는 그 검파된 음성신호를 신호처리부(8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볼륨(volume) 등의 음성처리를 수행하고, 음성증폭부(824)에서 그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영상검파부(825)는 영상중간주파수로부터 영상신호를 검파하고, 영상 처리부(826)에서 그 검파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8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칼라(color), 틴트(tin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등의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R,G,B 및 휘도 신호를 출력하고, 믹서(828)에서 상기 R,G,B 및 휘도 신호(Y)와 OSD 발생부(827)로부터 발생되는 R', G', B' 및 OSD 블랭킹 신호(Y')를 믹싱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구동부(829)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측에 OSD 발생부(827)로부터의 소정의 OSD 패턴 데이터와 함께 영상을 표시한다.
주파수 조절부(830)는 PLL 처리부(832) 및 전압 제어 발진부(834)로 이루어져, 신호처리부(8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프로그램 정보 추출을 위한 소정의 주파수 레벨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레벨을 EPG 정보 추출 처리부(816)에 출력한다.
신호처리부(840)는 디코더(842), A/D 및 D/A 변환부(844), 안테나 튜닝부(846) 및 제어부(848)로 이루어져, RF 수신부(810)를 통해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 신호의 채널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공중파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주파수 조절부(830)에 출력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메모리부(88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848)는 리모콘 수신부(85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프로그램 정보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 주파수 조절부(830)에 EPG 프로그램 정보 추출을 위한 명령을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공중파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가 추출되어 디코더(842)를 경유하여 입력됨에 따라 이를 A/D 및 D/A 변환부(844)를 통해 디지털 변환하여 메모리부(880)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의 취향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848)는 리모콘 수신부(85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량 조절 신호, 채널 설정 요청 신호, 프로그램 정보 저장 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848)는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860)를 경유하여 무선 전송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동작을 수행하며, 외부의 컴퓨터 등과 물리적으로 연결 가능한 USB 제어부(87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동작을 수행한다.
리모콘 수신부(850)는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제공되는 적외선 신호를 코드로 변환하여 제어부(848)에 출력한다. 이때 적외선 신호는 시청자가 음량 조절, 채널 절환 등을 요청할 때 그 각각의 동작에 적응하는 신호이다.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860)는 근거리, 바람직하게는 대략 10미터 이내의 근거리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칩을 내장하여 무선 연결된 컴퓨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이 제어 신호를 제어부(848)에 제공한다.
USB 제어부(870)는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848)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취향과 연동되는 프로그램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880)는 ROM(882), RAM(884), 기타 메모리(886) 및 클럭 저장부(888)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향과 연동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프로그램 정보는 공중파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프로그램 정보 중 사용자의 취향에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일 수도 있고,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취향에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일 수도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된 유선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취향에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유선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이 혼재하는 다채널 환경 하에서도 EPG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하여 TV 시청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채널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로 방송 청취시 이용되는 방송 신호에 EPG 정보를 포함시켜 EPG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고,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EPG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EPG 정보를 방송 수신 세트에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방송 시청자의 채널 설정 환경을 다각화할 수 있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공중파 TV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위성 방송 채널, 하나 이상의 케이블 TV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로부터 TV 시청을 위한 방송 신호와 채널 설정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TV 시청을 위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TV 신호 처리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추출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의 저장을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채널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근거로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세트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리모콘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키조작을 인식하여 특정 사용자를 체크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특정 사용자별로 적응하는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유선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신호의 입출력과 방송 채널 선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출력하는 USB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는,
    상기 공중파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하는 EPG 정보 추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7. 제5항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추출을 위한 소정의 주파수 레벨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파수 레벨을 상기 EPG 정보 추출 처리부에 출력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세트는,
    예약 프로그램 방송 일정 시간 전에 화면을 통해 알람하고, 동일 화면에서 예약된 채널로의 절환 기능을 수행하는 OSD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KR1020010036545A 2000-06-29 2001-06-26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KR20030001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45A KR20030001704A (ko) 2001-06-26 2001-06-26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AU2001266417A AU2001266417A1 (en) 2000-06-29 2001-06-28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CN01812002A CN1439222A (zh) 2000-06-29 2001-06-28 远程控制器、具有电子节目引导功能的广播接收机和服务系统及方法
EP01943959A EP1316208A1 (en) 2000-06-29 2001-06-28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PCT/KR2001/001119 WO2002001861A1 (en) 2000-06-29 2001-06-28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10/312,410 US20030159146A1 (en) 2000-06-29 2001-06-28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JP2002505506A JP2004502354A (ja) 2000-06-29 2001-06-28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機能を有するリモコン及び放送受信セットとこれを利用した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45A KR20030001704A (ko) 2001-06-26 2001-06-26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704A true KR20030001704A (ko) 2003-01-08

Family

ID=277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545A KR20030001704A (ko) 2000-06-29 2001-06-26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170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51A (ko) * 2003-01-2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정보 기록 관리방법
KR100597399B1 (ko) * 2004-01-12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관리 방법
KR100617309B1 (ko) * 2004-06-12 2006-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g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epg를 제공받는 단말기및 epg 표시방법
KR100750471B1 (ko) * 2006-05-08 2007-08-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100770831B1 (ko) * 2006-09-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방송가이드정보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0787978B1 (ko) * 2006-09-2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선호 방송프로그램 선정 방법 및 장치
KR101294778B1 (ko) * 2006-03-31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895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선호 프로그램 선택방법
KR970032070A (ko) * 1995-11-10 1997-06-26 구자홍 케이비피에스 (kbps) 신호를 이용한 방송시간대에 따른 프로그램 성격별 채널 검색방법
KR19980015445A (ko) * 1996-08-21 1998-05-25 김광호 티브이(tv)프로그램 장르별 검색 장치 및 방법
KR19980057268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텔레비전의 kbps데이터를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KR19980058001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텔레비젼의 선택 프로그램 선국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070A (ko) * 1995-11-10 1997-06-26 구자홍 케이비피에스 (kbps) 신호를 이용한 방송시간대에 따른 프로그램 성격별 채널 검색방법
KR970031895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선호 프로그램 선택방법
KR19980015445A (ko) * 1996-08-21 1998-05-25 김광호 티브이(tv)프로그램 장르별 검색 장치 및 방법
KR19980057268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텔레비전의 kbps데이터를 이용한 예약시청방법
KR19980058001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텔레비젼의 선택 프로그램 선국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51A (ko) * 2003-01-2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정보 기록 관리방법
KR100597399B1 (ko) * 2004-01-12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관리 방법
KR100617309B1 (ko) * 2004-06-12 2006-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pg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epg를 제공받는 단말기및 epg 표시방법
KR101294778B1 (ko) * 2006-03-31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0750471B1 (ko) * 2006-05-08 2007-08-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100770831B1 (ko) * 2006-09-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방송가이드정보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0787978B1 (ko) * 2006-09-2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선호 방송프로그램 선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2354A (ja) 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機能を有するリモコン及び放送受信セットとこれを利用した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6577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US7788693B2 (en) Method of broadcasting data for programming a receiver
US63178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minding a user of a receiver that a broadcast is on a data stream
US64387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elevision programs based on the past selection history of an identified user
US7302224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rebroadcasting electronic content within local area network
CN1708911B (zh) 经接收用户接口导航、预览及选择宽波段频道的方法和设备
EP14860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ersonal commercials channel
EP1263220A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KR10072497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3000170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세트
EP1301033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CN101006724A (zh) 在移动终端上通过直接输入频道观看dmb节目的方法和装置
US20050010948A1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setting method thereof
KR2002000401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022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324663A (ja) 放送鉄塔選択方法、放送鉄塔選択プログラム及び放送受信装置
KR2005005275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050834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텔레비전 시청 제한 시스템
WO2001089118A1 (en) Enhancement of broadcast signals through automatic signal detection and providing of services through data networks and devices
EP0681775B1 (en) Automatic tuning radio/tv using filtered seek
KR20020026708A (ko) 티브이의 데이터 방송 소팅장치 및 방법
KR20060105939A (ko) 경보방송용 텔레비전 시스템과 dmb용 수신기
JP2002300483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