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438A -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438A
KR20030000438A KR1020010036210A KR20010036210A KR20030000438A KR 20030000438 A KR20030000438 A KR 20030000438A KR 1020010036210 A KR1020010036210 A KR 1020010036210A KR 20010036210 A KR20010036210 A KR 20010036210A KR 20030000438 A KR20030000438 A KR 2003000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ckaging plate
layer
adhesiv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880B1 (ko
Inventor
박재용
김옥희
김관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880B1/ko
Priority to JP2002117965A priority patent/JP2002359071A/ja
Priority to US10/125,642 priority patent/US20020155320A1/en
Priority to CN02116175A priority patent/CN1383351A/zh
Publication of KR2003000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438A/ko
Priority to JP2007075795A priority patent/JP2007200903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가 발광영역까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기판과 접합되는 패키징판과, 기판과 패키징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도포되어 기판과 패키징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실재와, 패키징판 및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실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은 패키징판의 배면에 접착제의 확산 차단홈 및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확산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기판 및 패키징판의 밀착 후 접착제가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패키징판은 접착제의 도포량 및 압력에 대한 재현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가 발광영역까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o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이하 "EL"라 함)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높이고 대화면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EL소자는 현재 각광을 받고있는 LCD 같은 수광 형태의 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음극선관과 같은 수준으로 빠르다는 장점을 같고 있으며, 낮은 직류구동전압, 초 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EL소자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EL과 유기 EL로 대별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이다. 이 EL소자는 전자 및 정공 등의 전하를 이용하여 형광물질을 여기 시킴으로써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EL소자는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우수하다.
이 중 유기 EL소자는 수분 및 산소에 쉽게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EL소자는 도 1과 같이 봉지(Encapsulation)를 위한 패키징판이 부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EL소자는 기판(2)과, 기판(2) 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EL 층(10)과, 접착제(18)에 의해 기판(2)과 접합되어 EL층(10)을 덮도록 부착되는 패키징판(20)을 구비한다.
EL 층(10)은 기판(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6)과, 제2 전극(4) 사이에 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6, 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8)은 제1 전극(6) 및 제2 전극(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EL 층(10)은 제1 전극(6) 및 제2 전극(4)으로부터 유기화합물층(8)에 전자 및 정공이 공급되고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
패키징판(20)은 EL 층(10)이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쉽게 열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접착제(18)를 사용하여 기판(2) 위에 형성된 제1 전극(6)과 제2 전극(4) 및 유기화합물층(8)을 덮게 된다. 기판(2)과 패키징판(20)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이에 따라 패키징판(20)은 EL소자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이나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10)을 보호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패키징판(20)은 흡습제(16)를 충진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오목부(12)와, 흡습제(1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14)으로 구성된다.
오목부(12)는 흡습제(16)가 충진될 수 있도록 EL 층(10)과 대면되는 부분이 평판에서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오목부(12)의 내부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습하기 위해 BaO, CaO 등의 물질이 충진된다. 이러한, 흡습제(1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1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부(1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14)이 부착된다. 반투성막(1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EL 층(10)이 형성된 기판(2)과 패키징판(20)은 접착제(18)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함으로써 합착되게 된다. 접착제(18)는 에폭시와 자외선 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등의 재료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18)는 패키징판(2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후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기판(2)과 패키징판(20)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접착제(18)는 도 2와 같이 패키징판(20)을 누르는 압력과 도포된 접착제의 양 및 점도에 따라 퍼지게 된다. 이 때 위 공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였을 경우, 접착제(18)가 EL층(30)까지 확산되어 유기화합물층(8)과 접촉되거나 원하지 않는 영역까지 퍼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접착제(18)의 물질이 유기화합물층(18)에 닿아 있게 되면 상호 반응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8)이 급격히 열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EL소자는 기판(22)과, 기판(22) 상에 형성된 EL층(30)과, 접착제(38)에 의해 기판(22)과 접합되어 EL층(30)을 덮도록 부착되는평판 형태의 패키징판(40)을 구비한다.
EL 층(30)은 기판(2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26)과, 제2 전극(24) 사이에 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2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26, 2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28)은 제1 전극(26) 및 제2 전극(2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패키징판(40)은 유리 재질로써 평판으로 제작되고, 산소 및 수분 등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제(36)를 충진하기 위한 홈(32)과, 흡습제(3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34)으로 구성된다. 이 패키징판(40)은 EL 층(30)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과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30)을 보호하게 된다.
홈(32)은 흡습제(36)가 충진될 수 있도록 에칭(Etching) 및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등의 공정에 의해 깍아낸 기판(22)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홈(32)의 내부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해 BaO, CaO 등의 흡습제(36)가 충진된다. 흡습제(3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3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3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34)이 부착된다. 반투성막(3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및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EL 층(30)이 형성된 기판(22)과 패키징판(40)은 접착제(38)를 사용하여 실링함으로써 접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제(38)는 에폭시와 자외선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38)는 패키징판(4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후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기판(22)과 패키징판(40)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접착제(38)는 도 4와 같이 패키징판(40)을 누르는 압력과 도포된 접착제의 양 및 점도에 따라 퍼지게 된다. 이 때 위 공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였을 경우, 접착제(38)가 EL층(30)까지 확산되어 유기화합물층(28)과 접촉되거나 원하지 않는 영역까지 퍼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접착제(38)의 물질이 유기화합물층(28)에 닿아 있게 되면 상호 반응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28)이 급격히 열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제가 발광영역까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착제가 발광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착제가 발광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태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키징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착제가 발광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기판상에 형성된 확산 차단홈 및 확산 차단용 돌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기판 및 패키징판에 각각 형성된 확산 차단홈 및 확산 차단용 돌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42,62,82,102,122,124,132,142 : 기판
4,24,44,64,84,104 : 제2 전극
6,26,46,66,86,106 : 제1 전극
8,28,48,68,88,108 : 유기화합물층
10,30,50,70,90,110 : EL 층
12,32,52,72,92,112 : 오목부
14,34,54,74,94,114 : 반투성막
16,36,56,76,96,116 : 흡습제
18,38,58,78,98,118,138,148 : 접착제
20,40,60,80,100,120 : 패키징판
59, 99,125,135B : 확산 차단홈
79, 119,129,139A : 확산 차단용 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기판과 접합되는 패키징판과, 기판과 패키징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도포되어 기판과 패키징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실재와, 패키징판 및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실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확산 차단부재는 패키징판 또는 기판의 중심과 실재 사이에서 소정 넓이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산 차단부재는 패키징판 또는 기판의 중심과 실재 사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패키징판은 평탄한 박판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과, 홈에 충진되어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와, 흡습제의 배면의 전면에 부착된 반투성막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패키징판은 유기발광층과 대면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되도록 평판에서 절곡되는 오목부와, 오목부에 충진되어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와, 흡습제의 배면의 전면에 부착된 반투성막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42)과, 기판(42) 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구동전압 및 전류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EL층(50)과, 접착제(58)에 의해 기판(42)과 접합되어 EL층(50)을 덮도록 부착됨과 아울러 접착제(5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홈(59)이 형성된 패키징판(60)을 구비한다.
EL 층(50)은 기판(4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46)과, 제2 전극(44) 사이에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4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46, 4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48)은 제1 전극(46) 및 제2 전극(4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패키징판(60)은 산소 및 수분 등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제(56)를 충진하기 위한 홈(52)과, 흡습제(5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54)과, 접착제(5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홈(59)을 구비한다.
패키징판(60)은 유리 등의 재질로써 평판으로 제작되고, EL 층(50)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과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50)을 보호하게 된다.
홈(52)은 흡습제(56)가 충진될 수 있도록 에칭(Etching) 및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등의 공정에 의해 깍아낸 기판(42)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홈(52)의 내부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해 BaO, CaO 등의 흡습제(56)가 충진된다. 흡습제(5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5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5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54)이 부착된다. 반투성막(5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및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확산 차단홈(59)은 도 6과 같이 패키징판(60)의 중심부와 접착제(58) 사이에 서 소정 넓이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확산 차단홈(59)은 후술하는 기판(42)과 패키징판(60)의 접착시 접착제(58)가 EL 층(50)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면, 기판(42)과 패키징판(60)은 접착제(58)를 사용하여 밀착시킴으로써 밀봉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제(58)는 열경화성수지, 자외선 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58)는 패키징판(6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후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기판(42)과 패키징판(60)을 밀착시키게 된다. 접착제(58)는 패키징판(60)을 누르는 압력과 도포된 접착제의 양 및 점도에 따라 퍼지게 된다. 이렇게 압력에 의해 EL 층(50)으로 확산되는 접착제(58)는 확산 차단홈(59)에 의해 더 이상 퍼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58)가 EL 층(50)의 유기화합물층(48)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48)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62)과, 기판(62)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구동전압 및 전류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EL층(70)과, 접착제(78)에 의해 기판(62)과 접합되어 EL층(70)을 덮도록 부착됨과 아울러 접착제(78)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용 돌출부(79)가 형성된 패키징판(80)을 구비한다.
EL 층(70)은 기판(6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66)과, 제2 전극(64) 사이에 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6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66, 6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68)은 제1 전극(66) 및 제2 전극(6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패키징판(80)은 산소 및 수분 등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제(76)를 충진하기 위한 홈(72)과, 흡습제(7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74)과, 접착제(7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용 돌출부(79)를 구비한다.
패키징판(80)은 유리등의 재질로써 평판으로 제작되고, EL 층(70)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과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70)을 보호하게 된다.
홈(72)은 흡습제(76)가 충진될 수 있도록 에칭(Etching) 및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등의 공정에 의해 깍아낸 기판(62)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홈(72)의 내부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수하기 위해 BaO, CaO 등의 흡습제(76)가 충진된다. 흡습제(7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7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7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74)이 부착된다. 이 반투성막(7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및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확산 차단용 돌출부(79)는 패키징판(60)의 중심부와 접착제(98) 사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확산 차단용 돌출부(79)는 후술하는 기판(62)과 패키징판(80)의 접착시 접착제(78)가 EL 층(70)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하면, 기판(62)과 패키징판(80)은 접착제(78)를 사용하여 밀착시킴으로써 밀봉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제(78)는 열경화성수지, 자외선 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접착제(78)는 패키징판(80)을 누르는 압력과 도포된 접착제의 양 및 점도에 따라 퍼지게 되고, 이 퍼짐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공정편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일정 영역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 역할을 확산 차단용 돌출부(79)가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에 의해 EL 층(70)으로 확산되는 접착제(78)는 확산 차단용 돌출부(79)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접착제(78)가 EL 층(70)의 유기화합물층(68)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68)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82)과, 기판(82) 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구동전압 및 전류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EL 층(90)과, 접착제(98)에 의해 기판(82)과 접합되어 EL 층(90)을 덮도록 부착됨과 아울러 접착제(98)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홈(99)이 형성된 패키징판(100)을 구비한다.
EL 층(90)은 기판(8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86)과, 제2 전극(84) 사이에 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8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86,8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88)은 제1 전극(86) 및 제2 전극(8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EL 층(90)은 제1 전극(86) 및 제2 전극(84)으로부터 유기화합물층(88)에 전자 및 정공이 공급되고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
패키징판(100)은 EL 층(90)이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쉽게 열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접착제(98)를 사용하여 기판(82) 위에 형성된 제1 전극(86)과 제2 전극(84) 및 유기화합물층(88)을 덮게 된다. 기판(82)과 패키징판(100)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이 패키징판(100)은 EL소자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이나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90)을 보호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패키징판(100)은 흡습제(96)를 충진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오목부(92)와, 흡습제(9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94)과, 접착제(9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홈(99)을 구비한다.
오목부(92)는 흡습제(96)가 충진될 수 있도록 EL 층(90)과 대면되는 부분이 평판에서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오목부(92)의 내부 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습하기 위해 BaO, CaO 등의 물질이 충진된다. 이러한, 흡습제(9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9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부(9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94)이 부착된다. 이 반투성막(9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확산 차단홈(99)은 패키징판(6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98)가 도포되는 영역보다 안쪽에서 소정 넓이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확산 차단홈(99)은 후술하는 기판(82)과 패키징판(100)의 접착시 접착제(98)가 EL 층(90)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면, 기판(82)과 패키징판(100)은 접착제(98)를사용하여 밀착시킴으로써 밀봉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제(98)는 열경화성수지, 자외선 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98)는 패키징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넓이로 도포된 후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기판(82)과 패키징판(100)을 밀착시키게 된다. 접착제(98)는 패키징판(100)을 누르는 압력과 도포된 접착제의 양 및 점도에 따라 퍼지게 된다. 이렇게 압력에 의해 EL 층(90)으로 확산되는 접착제(98)는 확산 차단홈(99)에 의해 더 이상 퍼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98)가 EL 층(90)의 유기화합물층(88)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88)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102)과, 기판(102) 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구동전압 및 전류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EL 층(110)과, 접착제(118)에 의해 기판(102)과 접합되어 EL 층(110)을 덮도록 부착됨과 아울러 접착제(118)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용 돌출부(119)가 형성된 패키징판(120)을 구비한다.
EL 층(110)은 기판(102)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4) 사이에 적층되는 유기화합물층(10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106, 104) 중 적어도 한 전극은 투명하여 발광된 빛이 밖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유기화합물층(108)은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 및 정공을 전송하거나, 이들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생성하고 발광하는 역할을 하는 단층 및 다층 박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EL 층(110)은 제1 전극(106) 및 제2 전극(104)으로부터 유기화합물층(108)에 전자 및 정공이 공급되고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
패키징판(120)은 EL 층(110)이 대기 중의 수분 및 산소에 쉽게 열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접착제(118)를 사용하여 기판(102) 위에 형성된 제1 전극(106)과 제2 전극(104) 및 유기화합물층(108)을 덮게 된다. 기판(102)과 패키징판(120)의 접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이 패키징판(120)은 EL소자의 발광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함과 아울러 외력이나 대기중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EL 층(110)을 보호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패키징판(120)은 흡습제(116)를 충진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오목부(112)와, 흡습제(116)를 지지하기 위한 반투성막(114)과, 접착제(11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용 돌출부(119)를 구비한다.
오목부(112)는 흡습제(116)가 충진될 수 있도록 EL 층(100)과 대면되는 부분이 평판에서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오목부(112)의 내부공간에는 수분 및 산소를 흡습하기 위해 BaO, CaO 등의 물질이 충진된다. 이러한, 흡습제(116)는 분말형태이므로 EL 층(10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부(112)의 배면에는 수분 및 산소 등이 드나들도록 반투성막(114)이 부착된다. 이 반투성막(114)은 테프론, 폴리에스테르, 종이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확산 차단용 돌출부(119)는 패키징판(120)의 중심부와 접착제(118) 사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확산 차단용 돌출부(119)는 후술하는 기판(102)과 패키징판(120)의 접착시 접착제(118)가 EL 층(110)으로 확산되는 것을차단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면, 기판(102)과 패키징판(120)은 접착제(118)를 사용하여 실링함으로써 접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접착제(118)는 에폭시와 자외선 경화성수지 및 저융점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118)는 패키징판(12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후 불활성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기판(102)과 패키징판(120)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 퍼짐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공정편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일정 영역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 역할을 확산 차단용 돌출부(119)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접착제(118)가 EL 층(110)의 유기화합물층(108)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108)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접착제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용 돌출부(129) 및 확산 차단홈(125)은 기판(122, 124)에 형성된다.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접착제(138,148)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 차단용 돌출부(139A, 139B) 및 확산 차단홈(135A, 135B)은 패키징판(140, 150) 및 기판(132, 142)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은 패키징판의 배면에 접착제의 확산 차단홈 및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확산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기판 및 패키징판의 밀착 후 접착제가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또한, 패키징판은 접착제의 도포량 및 압력에 대한 재현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과 접합되는 패키징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패키징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패키징판을 접합시키기 위한 실재와,
    상기 패키징판 및 상기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실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확산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차단부재는 상기 패키징판 또는 상기 기판의 중심과 상기 실재 사이에서 소정 넓이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차단부재는 상기 패키징판 또는 상기 기판의 중심과 상기 실재 사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판은
    평탄한 박판의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충진되어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와,
    상기 흡습제의 배면의 전면에 부착된 반투성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판은
    상기 유기발광층과 대면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되도록 평판에서 절곡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충진되어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와,
    상기 흡습제의 배면의 전면에 부착된 반투성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20010036210A 2001-04-20 2001-06-25 유기발광소자 KR10073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210A KR100733880B1 (ko) 2001-06-25 2001-06-25 유기발광소자
JP2002117965A JP2002359071A (ja) 2001-04-20 2002-04-19 有機発光素子
US10/125,642 US20020155320A1 (en) 2001-04-20 2002-04-19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02116175A CN1383351A (zh) 2001-04-20 2002-04-22 有机电致发光器件
JP2007075795A JP2007200903A (ja) 2001-04-20 2007-03-23 有機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210A KR100733880B1 (ko) 2001-06-25 2001-06-25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438A true KR20030000438A (ko) 2003-01-06
KR100733880B1 KR100733880B1 (ko) 2007-07-02

Family

ID=2771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210A KR100733880B1 (ko) 2001-04-20 2001-06-25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8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745B1 (ko) * 2002-05-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
KR100522689B1 (ko) * 2003-03-14 2005-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KR100666550B1 (ko) * 2004-04-07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0850B1 (ko) * 2005-03-21 2007-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6320B1 (ko) * 2005-03-10 2007-04-13 강원물산 주식회사 포남시장 음식물쓰레기 비료화방법
KR100708650B1 (ko) * 2004-11-1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379179B2 (en) 2009-12-01 2013-02-19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having particular compensating parts for a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sealants
KR101477392B1 (ko) * 2013-05-21 2014-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55B1 (ko) 2010-03-11 2011-1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659269B (zh) * 2015-02-06 2017-05-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封装方法及oled封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066A (ja) * 1995-11-24 1997-06-06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素子
JP4114895B2 (ja) * 1998-07-08 2008-07-09 Tdk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2000100562A (ja) * 1998-09-22 2000-04-0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3377177B2 (ja) * 1998-10-27 2003-02-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有機led表示素子
JP3411864B2 (ja) * 1999-06-11 2003-06-0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2001076866A (ja) * 1999-09-08 2001-03-23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745B1 (ko) * 2002-05-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
KR100522689B1 (ko) * 2003-03-14 2005-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KR100666550B1 (ko) * 2004-04-07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554264B2 (en) 2004-04-07 2009-06-3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substrate having a groove
US7867054B2 (en) 2004-04-07 2011-01-1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08650B1 (ko) * 2004-11-1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6320B1 (ko) * 2005-03-10 2007-04-13 강원물산 주식회사 포남시장 음식물쓰레기 비료화방법
KR100700850B1 (ko) * 2005-03-21 2007-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79179B2 (en) 2009-12-01 2013-02-19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having particular compensating parts for a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sealants
KR101477392B1 (ko) * 2013-05-21 2014-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소자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880B1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5532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204781B2 (ja) 電界発光素子
KR101932361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장치
JP484247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装置
KR100733880B1 (ko) 유기발광소자
KR20050010333A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03001213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봉지방법
JP2006253097A (ja) 自発光パネルおよび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5666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패키징장치
KR20030044659A (ko) 유기 el 소자
CN207765449U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100905331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패널
JP2007080713A (ja)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553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70067506A (ko) 유기 이엘 소자
KR2003002499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527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9626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736578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53463A (ko) 전계발광소자
KR100608887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340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1001994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4995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170835A1 (en) Flat fluorescent lamp,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11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