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237A -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 Google Patents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237A
KR20030000237A KR1020010035916A KR20010035916A KR20030000237A KR 20030000237 A KR20030000237 A KR 20030000237A KR 1020010035916 A KR1020010035916 A KR 1020010035916A KR 20010035916 A KR20010035916 A KR 20010035916A KR 20030000237 A KR20030000237 A KR 2003000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data
client
recovered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246B1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리
Priority to KR10-2001-003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2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4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for networked environ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지의 복구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지워졌거나 손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저장장치를 소정의 복구프로그램으로 복구하는 단계와, (2) 복구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3) 서버에 접속인가를 받은 다음 상기 서버로 복구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4) 상기 서버내의 당해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소정 저장영역에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5) 복구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된 다음 서버로부터 당해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복구한 각종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시키므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Method for Data Recovery Using the System Comprising Server and Client}
본 발명은 복구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상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장치내의 데이터가 파괴되어 복구프로그램에 의해 복구할 필요가 있을 때, 복구한 데이터를 파괴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영역과동일한 영역에 저장한다면 복구과정에서 정확하게 복구되지 아니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장치로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갖고 있고 당해 하드디스크가 C 드라이브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 복구된 파일의 내용이 하드디스크의 아직 사용되지 않은 공간을 찾아 쓰여지는 파일시스템의 특성상 상기 공간이 지워진 파일이 저장되었던 영역일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복구된 파일을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지워진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에 새롭게 복구된 파일이 쓰여지므로 복구하려는 지워진 파일은 영구삭제되어 복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복구된 데이터를 동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저장장치에 저장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드디스크 및 플로피디스크의 파일이 바이러스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파일을 동일 저장장치에 복구하면 복구된 데이터 및 파일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진 상태로 저장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복구된 파일에 남아 있는 바이러스에 의해 다시 저장장치의 데이터 및 파일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구가 요구되는 컴퓨터(1)의 저장장치 1(3)의 데이터가 파괴되었을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복구프로그램(2)을 통해 저장장치 1에 대한 복구동작을 수행하고 당해 복구결과는 동일 컴퓨터내의 다른 저장장치 2(4) 등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동일 컴퓨터에 2이상의 저장장치를 가지는 경우와는 달리 종래의 단일 저장장치를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1) 플로피디스크를 이용한 데이터 복구방법과, (2) 손상된 저장장치를 떼어내 정상적인 시스템에 추가로 연결하여 복구작업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정상적인 시스템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법만이 가능할 뿐이다.
전자의 방법은 손상된 파일의 크기가 클 경우나 손상된 파일의 수가 많을 경우 복구된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많은 플로피디스켓과 매번 플로피디스켓을 교환해주며 복원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지적된다.
후자의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손상된 저장장치를 컴퓨터 본체(5)에서 저장장치 1(6)을 분리해야 하는 작업과 복구프로그램(8) 및 저장장치 2(9)를 가지는 정상적인 시스템(7)에 추가로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작업은 일반사용자들이 작업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복구방법들이 지니는 적용상의 어려움 및 번거로움을 없애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원상복원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네트워크상에서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서버를 복구된 데이터의 저장서버로 활용하면 데이터의 안전한 복원은 물론 누구든지 간편하게 복구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해 복구가 간편하면서도 누구나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의 복구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개 이상의 저장장치를 가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복구방법
도 2는 종래의 정상적인 시스템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데이터복구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복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의 절차도
도 5(a)는 클라이언트에서 삭제 및/또는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여 그 결과값을 저장할 저장장치를 선정하는 순서도
도 5(b)는 서버가 선택된 경우에 복구용 프로그램이 복구작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c)는 클라이언트에서 복구된 데이터를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d)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e)는 서버에 복원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의 저장장치로 다운로드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f)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복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g)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저장장치로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서버 11: 서버의 저장장치
12: 네트워크 13: 클라이언트
14: 복구용 프로그램 15: 클라이언트의 저장장치
본 발명은 공지의 복구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지워졌거나 손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저장장치를 소정의 복구프로그램으로 복구하는 단계와,
(2) 복구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3) 서버에 접속인가를 받은 다음 상기 서버로 복구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4) 상기 서버내의 당해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소정 저장영역에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5) 복구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된 다음 서버로부터 당해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복구한 각종 데이터를 서버에서 저장시키면 클라이언트가 복구된 파일을 자신의 저장장치에서 저장할 때 야기되는 문제가 없으므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구함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복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의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서버(10) 및 서버내 저장장치(11)와, 공지의 데이터 복구용 프로그램(14)을 구비하며 저장장치(15)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13) 및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합된 시스템구축을 위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네트워크(12)는 통상적으로 인터넷을 의미하지만 그 밖에 LAN을 통한 인트라넷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구축함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10)는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13)에게 소정용량의 데이터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서버의 저장장치(11)는 서버에 계정을 가지는 클라이언트에게 각각 할당된 소정용량의 데이터저장공간이 구비된다.
클라이언트(13)는 통상적인 컴퓨터 등의 단말장치로서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을 것이 요구되며, 적어도 데이터복구를 위한 소정의 복구용 프로그램(14)과 저장장치(15)를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통신용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공지의 모뎀이나 랜카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웹브라우저 및 FTP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들로 이들은 이미 공지의 구성들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복구용 프로그램(14)은 저장장치에서 이미 지워졌거나, 손상된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원래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구동작에 있어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공지의 복구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주)하우리 데이터메딕(DataMedic)제품군, (주)파이널데이터 파이널데이터(FinalData)제품군, Ontrack EasyRecovery 등을 포함)을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다만 복구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기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복구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인언트(13)를 구성하는 저장장치(15)는 클라이언트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단일 드라이브로 구성되는 하드디스크의 형태가 대표적이다.
상기 구성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이 도 4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단계 401은 어떤 원인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장치로부터 지워졌거나 또는 손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저장장치를 소정의 복구프로그램으로 복구하는 단계이다. 복수의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삭제 및/또는 손상된 데이터는 복구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순차적으로 복구가 이루어지고, 복구된 파일 및 폴더는 자신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서버와의 접속을 위해 대기된다.
단계 402는 상기 복구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클라이언트는 공지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며 URL의 입력 또는 하이퍼링크를 통한 접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구용 프로그램의 구동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화면표시부에 저장할 곳을 묻는 별도의 창을 통해 저장장치를 선택하게 하고 복구가 실행된 후 당해 선택된 서버와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미리 프로그램화함이 가능하다.
단계 403은 단계 402에서 서버에 접속이 있은 후 사용자 계정확인을 통해 접속인가를 받은 다음 복구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계정은 서버에서 이루어지며,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접속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자신의 사용자 계정 DB로부터 검색하여 판단한다.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된 경우 서버는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서버의 저장장치에 대한 사용승인을 하고 이어서 클라이언트가 복구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단계 404는 상기 서버의 저장장치내에 당해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소정 저장영역에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복구 데이터는 서버가 당해 클라이언트 계정에 할당한 저장영역의 범위내에서 저장가능하며 저장영역이 부족한 경우 서버에 요청하여 별도의 확장된 저장영역을 부여받을 수도 있고, 불필요한 기 저장 데이터를 정리하여 저장영역을 확보하면 된다.
단계 405는 복구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된 다음 서버로부터 당해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단계 404에서 이미 복구데이터가 전부 서버내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는 필요한경우 언제든지 서버에 접속하여 복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계 401에서 복구한 파일 또는 폴더는 복구완료 후 서버의 저장장치에 저장이 이루어지므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더라도 이미 복구가 완료된 시점이후에 해당하므로 기존 데이터 상에 덮어쓰여지더라도 데이터 손실은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단계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클라이언트에서 삭제 및/또는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여 그 결과값을 저장할 저장장치를 선정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 501에서 복구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502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별도의 창을 통해 클라이언트 모니터에 복구결과를 지정할 저장위치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사용자는 단계 503에서 네트워크상의 특정 서버를 지정한다.
도 5(b)은 서버가 선택된 경우에 복구용 프로그램이 복구작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504에서 복구용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에 드라이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드라이브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505에서 당해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만일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 단계 506에서 저장장치내에 복구할 파티션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을 수행한다(시스템 검사단계). 단계 506의 시스템 검사단계를 거친 후 단계 507에서 드라이브가 발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드라이브가 발견된 경우 단계 5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아니한경우 단계 508에서 저장장치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티션정보를 찾아내는 정밀검사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들로부터 복구할 데이터가 저장되어진 드라이브가 선택되면 단계 509에서 복구할 파일 및 폴더의 검색을 수행하고 단계 510에서 당해 검색결과를 모니터상에 출력한다.
도 5(c)는 클라이언트에서 복구된 데이터를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511에서 클라이언트가 이미 저장장치로서 선택한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다. 단계 512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정당한 사용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계정의 입력이 요구된다. 만일 신규 클라이언트의 경우 단계 513에서 사용자계정을 설정하도록 하여 다시 단계 511로 회귀하고, 사용자계정입력을 완료한 후 단계 514에서 서버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단계 515에서 클라이언트는 복구한 파일 및 폴더를 서버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단계 516에서 복구된 파일의 전송완료여부를 체크하면서 완료될 때까지 단계 515 및 516을 되풀이한다.
도 5(d)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517에서 서버는 자체내의 데몬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탐지한다. 단계 518에서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을 접수한 경우 다음으로 단계 519에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확인은 서버의 사용자 DB를 통해 수행되며,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520에서 사용자의 계정을 설정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증이 종료된 후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되면 단계 521에서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접속승인을 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복구데이터를 확인한다. 복구데이터의 크기가 당해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저장영역의 남은 용량과 비교하여 전송된 파일 및 폴더의 크기가 작으면 단계 523에서 당해 파일 및 폴더를 저장하고 이후 단계 524를 통해 복구데이터의 전송완료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524의 전송완료여부의 판단은 통신상의 오류로 인한 데이터손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용량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었으면 수행을 완료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단계 523을 통해 다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단계 522에서 만일 남은 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서버는 단계 525에서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서버 저장장치내에 저장영역을 확보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도 5(e)는 서버에 복원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의 저장장치로 다운로드받는 순서도이다. 단계 526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내 복원된 파일 및 폴더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이다. 단계 526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된 데이터는 단계 527을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당해 데이터의 용량이 확인된 후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된 경우 종료하고 비정상적인 경우 다시 단계 526을 거치도록 하여 파일 및 폴더를 다운로드하게 한다. 이하 상기 단계 526의 과정을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서 진행되는 과정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f)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복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528에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접속을 요청한다. 단계 529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정당한 사용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계정의 입력이 요구된다. 사용자계정입력을 완료한 후 단계 530에서 서버와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단계 531에서 클라이언트는 복구된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한 후 단계 532를 통해 저장장치로 다운로드받는다.
단계 533의 전송완료여부의 판단은 통신상의 오류로 인한 데이터손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용량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었으면 수행을 완료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단계 531로 돌아가 다시 동일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한다.
도 5(g)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저장장치로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534에서 서버는 자체내의 데몬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탐지한다. 단계 535에서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을 접수한 경우 다음으로 단계 536에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확인은 서버의 사용자 DB를 통해 수행된다. 사용자 인증이 종료된 후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되면 단계 537에서 당해 클라이언트에게 접속승인을 하고 서버는 단계 538에서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 요청한 당해 파일 및 폴더를 전송한다. 단계 539의 전송완료여부의 판단은 통신상의 오류로 인한 데이터손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용량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었으면 수행을 완료하고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단계 538을 통해 다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구된 파일을 네트워크상의 서버에 저장하게 되므로 복구될 데이터가 속하는 저장영역에 복구된 데이터를 재저장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미복구된 파일의 영구삭제의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공지의 복구프로그램을 이용해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삭제 및/또는 손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저장영역을 소정의 복구프로그램으로 복구하는 단계와,
    복구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영역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서버에 접속인가를 받은 다음 상기 서버로 복구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내의 당해 클라이언트에 할당된 소정 저장영역에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복구된 모든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된 다음 서버로부터 당해 복구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 인트라넷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용 프로그램은 복구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기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데이터복구방법.
KR10-2001-0035916A 2001-06-22 2001-06-22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KR10038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16A KR100382246B1 (ko) 2001-06-22 2001-06-22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916A KR100382246B1 (ko) 2001-06-22 2001-06-22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237A true KR20030000237A (ko) 2003-01-06
KR100382246B1 KR100382246B1 (ko) 2003-05-09

Family

ID=2771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916A KR100382246B1 (ko) 2001-06-22 2001-06-22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06B1 (ko) * 2005-02-14 2007-11-02 봉 경 김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KR100818410B1 (ko) * 2005-01-14 2008-04-02 파스톤 테크놀로지 인크. 백업/복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410B1 (ko) * 2005-01-14 2008-04-02 파스톤 테크놀로지 인크. 백업/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0773106B1 (ko) * 2005-02-14 2007-11-02 봉 경 김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2246B1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176B2 (en) Automatic reconnect and reacquisition in a computer investigation system
US98422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then self-repairing corrupt, modified or non-existent files via a communication medium
EP1625524B1 (en) Distributed filesystem network security extension
US7287083B1 (en) Computing environment failover in a branch office environment
US20170186117A1 (en) License management apparatus,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license authentication program
US20060074949A1 (en) Computer system with a terminal that permits offline work
CN101493869B (zh) 用于文件备份的密码保护
US20040122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EP2248058B1 (en) Peer to pee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system for temporarily relocating available software licenses
JP2002533838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でダイナミックなファイルアクセスを行うシステムと方法
JP2000215168A5 (ko)
WO2008005765A2 (en) Network-extended storage
KR20000057127A (ko) 소프트웨어 임대 시스템을 위한 분산컴퓨팅 환경에서의프로그램 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524255A (ja) インターネット基盤の遠隔データ及びファイル復旧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1282729A (ja) ユーザ環境設定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US8850563B2 (en) Portable computer accounts
JP2008176749A (ja) Id貸出装置、id貸出プログラムおよびid貸出方法
KR100382246B1 (ko)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EP2140364A2 (en) Method and system of deleting files from a remote server
JP2002507016A (ja) 広域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ピュータファイルをバックアップ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526153A (ja) ネットワークをベースとする記憶サイト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KR20210049296A (ko)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복구방법
JPH11215120A (ja) 通信装置
JP2002024070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バックアップ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0322383A (ja) ネットワーク情報アクセス装置及び同装置のための情報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