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506Y1 - 튜너 모듈 - Google Patents

튜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506Y1
KR200299506Y1 KR20-2002-0027243U KR20020027243U KR200299506Y1 KR 200299506 Y1 KR200299506 Y1 KR 200299506Y1 KR 20020027243 U KR20020027243 U KR 20020027243U KR 200299506 Y1 KR200299506 Y1 KR 200299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nic product
tuner module
fastening hole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김병련
양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성전자
Priority to KR20-2002-0027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너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은, 내부에 메인회로부를 구비한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회로부에 연결되는 수신회로부를 내장하고 상기 전자제품 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외부의 케이블과 접속되어 그 케이블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회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전자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튜너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각각에, 그 케이스를 상기 전자제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을 이용하면, 전자제품내에 튜너모듈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튜너 모듈{Tuner module}
본 고안은 튜너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 내부에 장착되는 튜너모듈이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튜너모듈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의 소비자는 앰프, VCR, DVD플레이어와 같은 전자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외부의 전체부피는 소형이지만, 기능은 여러 가지를 동시에 구비한 다기능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상기와 같은 전자제품의 본래기능에 FM과 AM수신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의 튜너 등을 추가하게 된다.
이런 경우 메인 회로부에서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제품의 설계단계나 제품의 조립단계, 제품의 테스트단계 그리고, 제품의 고장발생의 경우 수리단계에서 불리한 점이 많이 있게 된다. 즉, 설계단계에는 한번에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기 힘들며, 조립단계와 테스트단계의 경우에는 메인 기판이 복잡하기 때문에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힘들뿐만 아니라, 각 기능의 작동상태를 테스트하기 곤란하며, 마지막으로, 제품의 사용 중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부위의 진단과 수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 각각의 요구되는 기능의 추가를 위해서는 메인회로부와는 별도로 구별되는 튜너모듈로 설계되어 상기 전자제품에 장착되어 지는 것이 선호되어 지고 있다.
상기 튜너모듈은 안테나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들어오는 고주파신호 중에 불필요한 잡음신호는 제거하고 희망 대역의 고주파신호를 선택하여 동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동조시킨 신호는 커넥터를 통해 전자제품의 내부에 있는 메인회로부에 보내지게 된다.
도 1에는 FM수신용 동축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제1입력단자(120)와 AM수신용으로서 2가닥으로 되어 있는 전선이 각각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2입력단자(122)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튜너모듈케이스(1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면(端面)에 설치되어 있고, 제1입력단자(120)와 제2입력단자(122)의 사이에 체결공(130)이 마련되어 있는 종래의 튜너모듈(101)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튜너모듈(101)이 전자제품(200)의 내부에 고정부재(140)와 체결공(1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면, 체결공(130)이 제1·2입력단자(120,122)가 배치되어 있는 길이방향의 일측 단면에 한 개만 구비되어 있어서, 체결공(130)의 위치에 맞추어 전자제품(200)의 외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30)을 통해 고정부재(140)가 튜너모듈(101)에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튜너모듈(101)은 전자제품(200)의 사용중이나 이동중에 도 2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은 방향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이렇게 튜너모듈(101)이 흔들리게 되면, 튜너모듈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부분의 접속이 나빠질 수게 되고, 이러한 것은 결국 전자제품의 고장을 야기 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품 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튜너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튜너모듈의 개략적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튜너모듈이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튜너모듈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이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너모듈 10 ... 케이스
20 ... 제1입력단자 22 ... 제2입력단자
30 ... 제1체결공 32 ... 제2체결공
34 ... 제3체결공 40 ... 고정부재
50 ... 커넥터 200 ... 전자제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은, 내부에 메인회로부를 구비한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회로부에 연결되는 수신회로부를 내장하고 상기 전자제품 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외부의 케이블과 접속되어 그 케이블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회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전자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튜너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각각에, 그 케이스를 상기 전자제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나사부재이며 상기 체결공은 상기 나사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튜너모듈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이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튜너모듈(1)은, DVD, VCR, CDP, 위성수신기, 앰프 등과 같은 전자제품(200)에 FM/AM 신호의 수신을 위해 장착된다.
상기 전자제품(2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제품(200)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메인회로부(300)가 존재한다.
상기 메인회로부(3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제품(200)을 이루고 있는 버튼부, 표시부, 작동부, 저장매체 리더기 등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메인회로부(300)와 여러 구성요소간에 입·출력되는 각종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튜너모듈(1)은 케이스(10)와 제1·2입력단자(20,22)와 커넥터(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회로부(300)와 연결되는 수신회로부(미도시)를 내부에 장착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튜너모듈(1)을 고정부재(40)를 사용하여 전자제품(20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체결공(30)과 제2체결공(32)과 제3체결공(3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체결공(30)은 종래의 경우와 같이 케이스(10)의 일단부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측의 단면(端面)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공(32)과 제3체결공(34)은, 상기 제1체결공(30)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부측의 반대쪽인 타단부측에 마련된다.
상기 제2체결공(32)은 한 쌍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튜너모듈(1)을 전자제품(200)내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재가 위와 아래에서 고정될 때 사용된다.
상기 제3체결공(34)도 한 쌍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튜너모듈(1)이 전자제품(200)의 측벽에 접하여 장착되는 경우에고정부재(40)가 옆에서 삽입되어 고정될 때 사용된다. 이런 경우 한 쌍의 제3체결공(34) 가운데 고정부재(40)가 삽입되는 하나의 체결공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3과 도 4에서는 튜너모듈(1)이 제2체결공(32)과 제3체결공(34) 즉, 모두 4개의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자제품(200)의 종류 및 튜너모듈(1)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이 가운데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두 개, 세 개 또는 4개 모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튜너모듈(1)의 크기와 전자제품(200) 내부의 사정을 고려하여 그 숫자는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는 나사로 하고 상기 제1·2·3체결공(30,32,34)에는 상기 나사와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나사를 태핑(tapping)나사로 사용하면, 태핑나사가 복수의 제1·2·3체결공(30,32,34)에 나사산을 만들며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며 체결되기 때문에, 제1·2·3체결공(30,32,34)에 사전에 나사산을 마련해 두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입력단자(20)와 제2입력단자(22)는, 외부의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과 접속되어 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전파신호를 상기 수신회로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입력단자(20)와 제2입력단자(22)는, 상기 제1체결공(30)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튜너모듈(1)은 전자제품(200)의 일면에 접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스(10)의 좁은 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1입력단자(20)와 제2입력단자(22)는, 전자제품(200)의 외부케이스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2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입력단자(20)는 FM수신용 동축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입력단자이고, 상기 제2입력단자(22)는 AM수신용으로서 2가닥으로 되어 있는 전선이 각각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입력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이러한 입력단자들의 숫자와 종류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전자제품(200)이 필요로 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케이스(10)의 일면에 상기 수신회로부와 연결되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수신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메인회로부(300)로 보내기 위한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튜너모듈(1)이 전자제품(200)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제품(200)내에 전자제품(200)의 메인회로부(300)의 뒤쪽에 길이방향으로 튜너모듈(1)이 설치되는데, 이때, 튜너모듈(1)은,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공(30)과 한 쌍의 제2체결공(32)과 이것들에 대응되게 전자제품(200)의 외부케이스(210)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230)들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부재(4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튜너모듈(1)은, 종래의 튜너모듈(101)이 한쪽 단부측에서만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던 것과 달리,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측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1)은, 상기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 양쪽 모두에, 그 케이스를 상기 전자제품(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제품(200)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너모듈에 의하면, 전자제품내에 튜너모듈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메인회로부를 구비한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회로부에 연결되는 수신회로부를 내장하고 상기 전자제품 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외부의 케이블과 접속되어 그 케이블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회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에 마련되어 전자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튜너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각각에, 그 케이스를 상기 전자제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나사부재이며 상기 체결공은 상기 나사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너모듈.
KR20-2002-0027243U 2002-09-11 2002-09-11 튜너 모듈 KR200299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43U KR200299506Y1 (ko) 2002-09-11 2002-09-11 튜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43U KR200299506Y1 (ko) 2002-09-11 2002-09-11 튜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506Y1 true KR200299506Y1 (ko) 2003-01-03

Family

ID=4939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43U KR200299506Y1 (ko) 2002-09-11 2002-09-11 튜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061B2 (en) Tuner unit having a tuner board within the height limit of a tuner signal connector
US5710999A (en) Radio frequency apparatus
US8760586B2 (en) Tuner module and a receiving apparatus
US7289167B2 (en) Television tuner including distribution connectors
KR100394801B1 (ko)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299506Y1 (ko) 튜너 모듈
US6368152B1 (en) Electronic equipment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terminal connector unit
KR200299505Y1 (ko) 튜너 모듈
KR100905838B1 (ko) 튜너의 콘넥터
US20080273122A1 (en) Reception system
US8406002B2 (en) Low noise block down-converter with integrated feed
JP3558852B2 (ja) コンピュータ用チューナ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177851B1 (en) High-frequency electronic device
JP2008085676A (ja) 受信装置および複合受信装置
EP2874389A1 (en) Connector, tuner module having the same and antenna cable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US20080295136A1 (en) High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JP2005354147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H06334409A (ja) 合成分配器の取付構造
KR200217829Y1 (ko)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JPH05102864A (ja) カード型電子チユーナ
JP2007150574A (ja) 入出力装置、チュー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受信機
KR20210033762A (ko)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튜너 장치
KR20030062504A (ko) 튜너 샤시의 출력 단자 구현 방법
JPS61234126A (ja) 高周波受信・変換装置
JPH05304483A (ja) カード型高周波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