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829Y1 -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 Google Patents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829Y1
KR200217829Y1 KR2020000028251U KR20000028251U KR200217829Y1 KR 200217829 Y1 KR200217829 Y1 KR 200217829Y1 KR 2020000028251 U KR2020000028251 U KR 2020000028251U KR 20000028251 U KR20000028251 U KR 20000028251U KR 200217829 Y1 KR200217829 Y1 KR 200217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low pass
feed loop
type
band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원
이종헌
황재춘
김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0002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829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에프(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저대역 통과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대역 통과 여파기는 대역 통과 여파기, 또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SMA(Sub miniature)형이나 N형(type N)과 같은 형태의 커넥터가 그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를 이용한 연결방식은 그 연결 부위에서 전송손실과 상호 혼변조 왜곡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단 혹은 양단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급전루프(loop), 및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급전루프간을 절연하기 위해 삽입되어지는 절연체로 구성되어 대역 통과 여파기 또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시 그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전송손실과 상호 혼변조 왜곡을 감소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A low pass filter with a feeding loop}
본 고안은 저대역 통과 여파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대역 통과 여파기와의 연결을 위해 그 일단 또는 양단에 급전루프(feed loop)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송손실(insertion loss)과 상호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이하 IMD)을 감소시킨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무선통신 시스템에 장착되는 대역 통과 여파기의 출력단에는 일반적으로 여파기의 비선형 특성에 기인한 하모닉(harmonic)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저대역 통과 여파기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두 여파기를 연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SMA(Subminiature)형이나 N형(type N)과 같은 형태의 커넥터나 양단에 이러한 커넥터가 연결된 알에프(RF) 케이블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를 이용한 연결방식은 그 연결 접점에서 전송손실과 시스템에 간섭을 야기하는 IMD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대역 통과 여파기와 대역 통과 여파기간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저대역 통과 여파기(11)와 대역 통과 여파기(12)는 커넥터(13, 14)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 1 접점(15)과 제 3 접점(17)은 납땜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두 도체간의 접점이다. 또한, 제 2 접점(16)은 두 도체가 억지끼움과 같은 방법으로 접촉 연결되어 형성된 접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단 혹은 양단에 급전루프를 형성시켜 대역 통과 여파기와 연결시 직접 삽입 연결시킴으로써 전송손실과 IMD를 줄인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를 제공한다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대역 통과 여파기와 대역 통과 여파기간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b는 도 2a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2a 실시예가 대역 통과 여파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저대역 통과 여파기 12. 대역 통과 여파기
13, 14. 커넥터 15. 제 1 접점
16. 제 2 접점 17. 제 3 접점
21. 저대역 통과 여파기 하우징 22. 체결수단
23. 절연체 24. 심선
25. 급전루프 26. 억지끼움 링
31. 대역 통과 여파기 하우징 32. 공동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단 또는 양단은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급전루프(loop); 및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급전루프간의 분리를 위해 삽입되어지는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24)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급전루프(25)를 통해 대역 통과 여파기의 공동(32)으로 전송되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수단(22)은 나사와 같은 수단으로 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31)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21)과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31)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24)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급전루프(25)는 그 일단이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의 공동(32) 내로 신호를 여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루프(25)는 상기 심선(24)으로부터 연장되므로 도 1과는 달리 접점이 하나도 없어 연결 부위에서 생기는 전송손실과 IMD가 크게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22)과 상기 급전루프(25) 사이에 삽입되는 원형의 절연체(23)는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공동과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의 공동를 분리하는 칸막이 역할을 하며, 상기 급전루프(25)와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 하우징(21)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체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23)와 상기 체결수단(22) 사이에 삽입되는 억지끼움 링(26)은 상기 절연체(23)를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 하우징(21)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도 3은 도 2a 실시예가 대역 통과 여파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급전루프(25)를 갖는 저대역 통과 여파기는 상기 대역통과 여파기 하우징(31)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수납공간(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공동(32) 내로 삽입되고 체결수단(22)에 의해 두 여파기는 체결된다.
각종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또는 부품간을 연결하는 연결매체에서는 일반적으로 그 연결매체 자체의 전력손실이나 상기 연결매체의 각 접점에서 IMD가 발생하는데 이들은 시스템에 부하로 작용하거나 간섭을 야기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급전루프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대역 통과 여파기 또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시 그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전송손실과 상호 혼변조 왜곡을 감소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알에프(RF)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단 또는 그 양단이,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수단;
    상기 저대역 통과 여파기의 심선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급전루프(loop); 및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급전루프간을 절연시키기 위해 삽입되어지는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절연체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억지끼움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KR2020000028251U 2000-10-10 2000-10-10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KR200217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51U KR200217829Y1 (ko) 2000-10-10 2000-10-10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51U KR200217829Y1 (ko) 2000-10-10 2000-10-10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829Y1 true KR200217829Y1 (ko) 2001-03-15

Family

ID=7305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51U KR200217829Y1 (ko) 2000-10-10 2000-10-10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550A (en) Line plug connection
US6547595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US7081023B2 (en) Multi-function jack connector
EP0907982A2 (en) Integrated filter
US2002008658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ilt-in electrical devices
KR200217829Y1 (ko) 급전루프형 저대역 통과 여파기
KR20220059799A (ko)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7121U (ko) 통신기기의 rf콘넥터
JP4076183B2 (ja) スイッチ装置−プリント配線板−組合せ
KR20210013383A (ko) 보드간 rf 신호 연결용 rf 동축 커넥터
KR200231576Y1 (ko) 다중 결합기
KR200303740Y1 (ko) 이탈 방지 기능 가지는 동축커넥터
CN212277444U (zh) 具有fpc的插针模组
KR102686971B1 (ko) 커넥터 일체형 밴드패스 필터
KR100382000B1 (ko) 서로 다른 중심주파수를 갖는 필터들을 결합하기 위한스트립라인 합성기
KR100289379B1 (ko) 스루홀에 칩이 설치된 피시비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오디오 코넥터
JPH0345421Y2 (ko)
KR200252393Y1 (ko) 튜너의연결잭구조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JP2008085676A (ja) 受信装置および複合受信装置
KR200173213Y1 (ko) 에프 커넥터의 단자편
KR20230173895A (ko) 커넥터 일체형 밴드패스 필터
JP2003187926A (ja) 同軸コネクタ
JPH0418231Y2 (ko)
KR200299506Y1 (ko) 튜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