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224Y1 -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9224Y1 KR200299224Y1 KR2019980012837U KR19980012837U KR200299224Y1 KR 200299224 Y1 KR200299224 Y1 KR 200299224Y1 KR 2019980012837 U KR2019980012837 U KR 2019980012837U KR 19980012837 U KR19980012837 U KR 19980012837U KR 200299224 Y1 KR200299224 Y1 KR 2002992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container
- storage
- container
- discharge
- mete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갱이등의 분체 저장물의 저장을 위한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저장용기는 분체상태의 저장물이 담아지고, 몸체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구성되어 나사결합식으로 형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체내에 상기 상부체와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저장공간과 연통하며 저장물의 계량배출을 위한 계량실을 갖는 계량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내에는 그 상부체 상면으로 상단 일부분이 관출되고 하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계량용기의 계량실 직상부에 인접하여서, 그 계량실내에 계량된 저장물만을 배출해내는 배출관과; 상기 상부체에는 별도 제조되어 상기 상부체의 외주위를 감싸으며 나사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내의 계량용기 계량실을 이용해 배출할 저장물을 계량하고, 이렇게 계량된 계량실의 저장물이 저장용기를 거꾸로 세우는 것으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
Description
본 고안은 알갱이나 분말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조미료 또는, 그 이외 분체상태의 저장물을 저장하고, 그 저장물의 배출량을 가변적으로 조절시키며 계량 배출시킬 수 있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알갱이나 분말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분체, 예를 들어 조미료 또는 그 이외 분체상태의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저장용기는 대략 저장통에 분체상태의 저장물을 담아 보관시키고, 이렇게 저장된 분체상태의 내용물은 별도의 배출관을 통해 계량 배출해내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저장용기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저장물의 계량이 일정하지 않고 따라서, 조미료의 경우 간조절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 이러한 저장용기에서는 대략 배출관이 저장용기의 뚜껑부분에서 연장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저장용기내에 저장물이 채워진상태에서 뚜껑을 닫게되어 배출관내로 저장물이 채워올라오고, 이렇게 배출관내에 채워진 저장물로 최초 배출시에서는 계량 배출이 불가하다.
또한 이러한 저장용기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먼저 저장용기내에 저장물을 투입한후 뚜껑을 닫게되는데, 이때 뚜껑에 연장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이 저장물을 뚫고 들어가야하므로서 그 뚜껑의 복개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편은 저장용기의 사용성이 저하되고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장용기의 몸체를 상,하부체로 분리구성하고, 저장물을 상부체의 개구된 바닥을 통하여투입되게 하여 그 저장물의 투입작업을 간편케한 계량배출에 적합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계량용기의 계량실의 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하여 저장물의 배출량을 임의적으로 조절시키며 계량배출시키게한 계량배출에 적합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알갱이등의 분체 저장물의 저장을 위한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저장용기는 분체상태의 저장물이 담아지고, 몸체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구성되어 나사결합식으로 형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체내에 상기 상부체와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저장공간과 연통하며 저장물의 계량배출을 위한 계량실을 갖는 계량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내에는 그 상부체 상면으로 상단 일부분이 관출되고 하단은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계량용기의 계량실 직상부에 인접하여서, 그 계량실내에 계량된 저장물만을 배출해내는 배출관과; 상기 상부체에는 별도 제조되어 상기 상부체의 외주위를 감싸으며 나사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내의 계량용기 계량실을 이용해 배출할 저장물을 계량하고, 이렇게 계량된 계량실의 저장물이 저장용기를 거꾸로 세우는 것으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
도 1은 본 고안 분체 저장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분체 저장용기의 계량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분체 저장용기 계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분체 저장용기내에 저장을 위한 분체를 투입시키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 분체 저장용기내의 분체를 계량배출해내는 모습을 보인 설명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체 12 :하부체
13 :배출관 14 :계량용기
16 :계량실 17 :유로
18 :뚜껑 14A :조절판
20 :체적블럭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알갱이등 과립상태의 분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분체의 저장물을 계량배출해내는저장용기이다.
본 고안 저장용기는 대략 중공의 용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때 그 용기의 형상은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 저장용기는 도 1에서와 같이 그 몸체가 상부체(10)와 하부체(12)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이렇게 분리구성된 상,하부체(10),(12)는 그 상,하부체(10)(12) 각각에 구비되는 암,수의 나사결합부(12A),(10A)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부체(1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이렇게 구성되는 것은 저장물을 투입하기 위한 구조이다. 더 상세하게는 저장용기내에 저장물의 투입방법은 상부체를 거꾸로 세운상태에서 상부체(1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저장물을 투입시키게 된다.
또 하부체(12)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10)는 그 상면(11)이 주벽과 일체로 설치되어 밀폐되어 있고, 이렇게 설치되는 상면(11)에 저장용기내의 저장물 배출을 위한 배출관(13)이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하부체(12)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10)의 숫나사결합부(10A)내측으로는 별도 제조되는 호퍼형상의 계량용기(14)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계량용기(14)는 상기 상,하부체(12)의 결합에 지장을 주지 않는 크기를 가지고 하부체(12)내에 내장되는데, 이 계량용기(14)의 중앙에는 배출을 위한 저장물을 체적으로 계량하는 계량실(16)이 구성된다. 이때 계량용기(14)의 계량실(16) 직상부에는 상기 배출관(13)의 하단부가 인접되어 상기 저장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이 계량실(16)에 직접적으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계량용기(14)의 바닥 중앙부에 계량용기(14) 주벽을 적당한 깊이로 파내어 계량용기의 주벽으로부터 계량실(16)에 연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한 유로(17)을 통하여 저장물이 흘러들어가게 하고, 이렇게 유로(17)을 통하여 계량실(16)에 흘러들어가는 저장물은 계량실(16)을 바닥으로부터 채워올라오다 유로(17) 선상에 그 저장물의 높이가 위치하면 저장물의 유입이 정지되며 배출할 저장물량을 계량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체(10) 상면(11)에 일체로 설치되는 배출관(13)의 상단은 그 상면(11) 외향으로 일부가 관출되어 있고, 이렇게 상면(11)으로 관출된 배출관(13)의 상단은 상부체(10)의 상면(11)에 별도로 제조되어 복개되는 뚜껑(18)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뚜껑(18)과 배출관(13)의 사이에는 밀폐부재(19)을 개재하여 저장용기내의 기밀을 유지케 한다.
도 2에는 계량실(16)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계량실(16)의 체적을 가변할 수 있게한 것이다. 즉 계량실(16)의 조절판(16A)이 별도 제조되어 나사결합식으로 끼워맞춤결합되게하여서 드라이버등을 이용해 조절판(16A)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그 바닥면(14A)이 승강되어 계량실(16)의 체적을 가변되게 하여서 저장물의 배출량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하였다.
도 3에는 계량실(1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계량실(16)내에 별도로 제조되는 체적블럭(20)을 삽입하여 계량실(16)의 체적을 가변시키게 하여서 저장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게하였다. 이러한 체적블럭(20)은 적어도 하나이상 체적이 다른 수개의 블럭을 교체시키면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 저장용기의 사용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4의 경우는 사용할 저장물을 저장용기에 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상부체(10)와 하부체(12)로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저장용기에서 상부체(10)로부터 하부체(12)와, 그리고 계량용기(14)를 분리해낸 상태에서 상부체(10)을 거꾸로 세우고, 이렇게 거꾸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체(1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저장할 물을 적당량 투입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물의 투입을 완료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체(10)의 숫나사결합부(10A) 내외측을 이용해 먼저 계량용기(14)를 결합한후 하부체(12)를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되어 저장용기의 형합이 완료되면 사용하게 되는데, 도 1에서와같이 저장용기가 정상적으로 세워진상태에서 저장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은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계량용기(14)의 계량실(16)내로 흘러들어가 배출할 저장물의 1회분 량을 계량한다.
그리고 이렇게 계량실(16)에 배출할 저장물의 계량이 완료이 되면 저장용기를 도 5에서와 같이 거꾸로 세워 계량실(16)내의 저장물이 배출관(13)을 통하여 배출해낸다.
또 다음 사용을 위해 저장용기를 똑바로 세우면 상기에서와 같이 1회분의 저장물이 계량되어 배출을 대기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계량실(16)의 체적을 가변시키며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있으므로, 조미료의 경우 사용자 구미에 맞추어 원하는 조미료를 계량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서 본 고안은 저장용기를 상하부체로 분리구성하여 저장물의 투입이 간편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배출할 저장물의 계량을 임의적이고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하여 배출량을 자유로이 조절하고, 따라서 사용성은 물론 제품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 용기내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배출관을 가지며, 저장물을 구배면으로 이룬 용기 바닥의 중앙에 요입형으로 갖춘 계량실에 모집시킨후 용기를 거꾸로 세우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저장물이 계량 배출되도록한 저장용기로서,상기 저장용기가 서로 나사결합식으로 형합되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성되고;상기 저장용기의 상,하부체 사이에 개재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체와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저장공간과 유로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배출관이 합치되고 계량실을 갖는 계량용기;상기 계량실에 그 실내의 체적을 가변시키면서 배출량을 조절시키게하는 조절요소; 및상기 상부체에는 별도 제조되어 상기 상부체의 외주위를 감싸으며 나사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체적이 가변되는 계량실을 이용해 저장물을 임의적이고 자유로이 계량배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요소는 상기 계량실의 바닥부에 별도 나사결합되어 승강조절이 가능한 조절판인 것을 포함하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요소는 상기 계량실내에 다양한 크기로 제시되어 교체식으로 내장되며 계량실의 체적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체적블록인 것을 포함하는 계량배출에 적합한 분체 저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2837U KR200299224Y1 (ko) | 1998-07-13 | 1998-07-13 |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2837U KR200299224Y1 (ko) | 1998-07-13 | 1998-07-13 |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2867U KR20000002867U (ko) | 2000-02-15 |
KR200299224Y1 true KR200299224Y1 (ko) | 2003-08-21 |
Family
ID=4932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2837U KR200299224Y1 (ko) | 1998-07-13 | 1998-07-13 |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922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80359A1 (ko) * | 2013-11-30 | 2015-06-04 | 김용운 | 개폐가 용이하고 계량기능을 구비한 주방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5879B1 (ko) * | 2001-08-28 | 2008-07-14 | 정문헌 | 조미료 용기 |
-
1998
- 1998-07-13 KR KR2019980012837U patent/KR2002992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80359A1 (ko) * | 2013-11-30 | 2015-06-04 | 김용운 | 개폐가 용이하고 계량기능을 구비한 주방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2867U (ko) | 2000-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80071A (en) | Measuring device for powder products | |
US5556011A (en) | Measuring container | |
CN106864979B (zh) | 一种定量瓶盖 | |
KR200299224Y1 (ko) | 계량배출에적합한분체저장용기 | |
EP0510016A1 (en) | LIQUID DOSING DEVICE. | |
US11105671B2 (en) |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 |
ITMI940622A1 (it) | Erogatore per dosare due prodotti liquidi o in pasta nella proporzione voluta | |
US4969585A (en)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 |
KR200274791Y1 (ko) | 계량용 포장용기 | |
JP2006151461A (ja) | 定量吐出容器 | |
KR101989618B1 (ko) |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 |
AU2001231870A1 (en) | Dosing and distributing device for products in powder form and similar | |
KR20160058507A (ko) |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 |
JP2024006833A (ja) | 計量容器 | |
JP7393906B2 (ja) | 液体計量具 | |
US3927807A (en) | Dispenser for flowable particulate material | |
KR20240040381A (ko) | 액상용기에 결합되는 커버와 계량캡의 밀폐구조 | |
KR200182853Y1 (ko) |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 |
KR200182849Y1 (ko) |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 |
JP5212792B2 (ja) | 定量吐出容器 | |
KR930001057Y1 (ko) | 계량용기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용기 | |
JP2004028946A (ja) | 計量容器 | |
KR200300441Y1 (ko) | 압출용기 | |
JPH08198347A (ja) | 粉粒体計量容器 | |
KR20070096204A (ko) | 모래시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