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14Y1 -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14Y1
KR200298814Y1 KR2020020029103U KR20020029103U KR200298814Y1 KR 200298814 Y1 KR200298814 Y1 KR 200298814Y1 KR 2020020029103 U KR2020020029103 U KR 2020020029103U KR 20020029103 U KR20020029103 U KR 20020029103U KR 200298814 Y1 KR200298814 Y1 KR 200298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afety valve
spring
bus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욱
Original Assignee
이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욱 filed Critical 이계욱
Priority to KR2020020029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14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스톱퍼가 구비된 실린더(20); 중앙의 제1스프링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된 그리퍼업(22)과 그리퍼(23) 및 타측의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는 플랜지(25); 일측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고, 타측은 제1하우징 토출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9); 중앙에 제3통공이 형성된 부시(30); 일측에는 샤프트와 타측에는 부시의 제3통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봉(51);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가이드와 포지셔너의 사이에 구비된 제3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핸들(7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농약 또는 물 등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분무 살포함에 있어 별도의 보조인원의 필요없이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때 이를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압력상승 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밀성 향상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power sprayer safety valve of improvement construction}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약 또는 물 등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분무 살포함에 있어 별도의 보조인원의 필요없이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때 이를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압력상승 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밀성 향상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881호(등록번호 제231339호)를 개량 고안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안전밸브(safety valve)는 기기나 관 등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압력을 한정하는 밸브로,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유체를 내뿜어 압력을 설정 압력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안전밸브는 종래도 있으나, 종래의 기술은 터보기능과 같은 압력 상승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의 스틸볼은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스페이서의 구멍과 접촉면적이 적어 작은 압력에도 쉽게 구멍이 오픈되고 이로 인해 상기 구멍을 통해 압력이 빠져나가 손실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반대편의 토출구로 많은 양의 액체가 토출되지 못하여 압력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반대편의 스틸볼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회수구로 많은 양의 액체가 토출되지 못하여 압력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피스톤식밸브의 내부에서 액체의 흐름을 적절히 제어하거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 나아가서 종래에는 슬라이딩로드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술적 구성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농약 또는 물 등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분무 살포함에 있어 별도의 보조인원의 필요없이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때 이를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압력상승 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살포의 중단시 자동으로 전기와 엔진의 구동을 차단하여 에너지의 절약과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정밀성 향상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호 조립된 안전밸브를 분사펌프에 부착하여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액체를 내뿜어 압력을 설정 압력 이하로 조절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스톱퍼가 구비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며, 중앙의 제1스프링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된 그리퍼업과 그리퍼 및 타측의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는 플랜지; 일측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고, 타측은 제1하우징 토출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3통공이 형성된 부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샤프트와 타측에는 부시의 제3통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봉;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며,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가이드와 포지셔너의 사이에 구비된 제3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핸들;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를 나타낸 단면도로,
(a)는 체크봉이 부시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액체가 그리퍼업
을 일측으로 밀어 토출구로 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체크봉이 부시와 상호 이격되어 액체가 부시를 통과하여 회수
구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4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실린더의 평면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완충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를 분사펌프에 부착하여 사
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밸브 2: 분사펌프
10: 제1하우징 20: 실린더
22: 그리퍼업 23: 그리퍼
25: 플랜지 30: 부시
40: 제2하우징 50: 샤프트
51: 체크봉 52: 완충기
60: 포지셔너 70: 핸들
본 고안에 적용된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부호 10은 제1하우징으로, 이 제1하우징(10)의 내부 중공부를 중심으로 하측으로는 유입구(11)와 타측으로는 토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부호 40은 제2하우징으로, 이 제2하우징(40)의 정면에는 회수구(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40)이 상호 조립된 안전밸브(1)를 분사펌프(2)에 부착하여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액체를 내뿜어 압력을 설정 압력 이하로 조절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부에는 실린더(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실린더(20)의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통공(21)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스톱퍼(27)가 끼워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0)의 내부에는 제1스프링(28)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제1스프링(28)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볼트(24)에 의해 그리퍼업(griper-up)(22)과 그리퍼(griper)(23)가 상호 체결 설치되고 타측에는 플랜지(25)가 상기 스톱퍼(27)에 맞닿게 설치된다.
본 고안은 또한 일측은 상기 실린더(20)의 내측 스톱퍼(27)에 맞닿아 설치되고 타측은 제1하우징(10) 토출구(12)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9)이 구비된다.
부호 30은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40)의 사이에 설치되는 부시로, 이 부시(30)는 중앙에 제3통공(31)이 형성됨은 물론 이 제3통공(31)이 형성된 일측에는 후술하는 체크봉(51)의 일측 경사면이 맞닿게 모따기부(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0)의 내부 일측에는 샤프트(50)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 샤프트(50)의 일측에는 부시(30)의 제3통공(31)을 개폐시키는 체크봉(51)이 구비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체크봉(51)이 물의 압력에도 마모가 없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52a)이 형성된 완충기(52)가 구비되며,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완충기(52)가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40)의 일측에는 핸들(70)이 체결되는 것으로, 이 핸들(70)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가이드(62)와 포지셔너(60)의 사이에 구비된 제3스프링(61)의 탄력을 조절하게 구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80은 오링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된 안전밸브(1)를 분사펌프(2)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유입구(11)는 분사펌프(2)에 연결하는 동시에 토출구(12)는 도면상 미 도시한 분무호스 및 살포노즐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3 의 (a)는 액체가 토출구(12)를 통해 분무호스로 분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 의 (b)는 액체가 회수구(41)로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의 (a)와 같은 상태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액체가 유입구(11)를 통해 제1통공(21)과 실린더(20)의 내부 그리고 제2통공(26)을 통해 토출구(12)로 빠져나가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 상기 액체가 유입됨에 따라 볼트(24)와 함께 체결된 그리퍼업(22)과 그리퍼(23)는 유입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그리퍼업(22)과 그리퍼(23)가 일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막혀있던 실린더(20)의 내부가 개방되고 액체는 이 틈새를 통해 제2통공(26)과 토출구(1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액체의 유입에 따른 압력에 의해서는 실린더(20)·그리퍼업(22)·그리퍼(23)·플랜지(25)가 일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제1스프링(28)과 제2스프링(29)도 압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품들이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대편의 샤프트(50)와 체크봉(51)도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여 체크봉(51)이 부시(30)의 제3통공(31)을 막게된다. 이때 상기 체크봉(51)의 일측 경사면은 제3통공(31)의 일측면에 형성된 모따기부(32)에 긴밀히 밀착됨으로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액체가 제3통공(31)을 통해서는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된 다수의 오링(80)은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으로, 특히 그리퍼업(22)과 그리퍼(23)의 사이에 구비된 오링(80)은 실린더(2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일측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5)는 제2통공(26)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으로 인해 실린더(20) 내부로 유입된 액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한 것임은 물론 액체 흐름의 부하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압력을 어느정도 차단하여 완충작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과압력 없이 정상적으로 분무기의 살포가 계속되는 동안은 제3스프링(61)의 미는 힘이 제1,2스프링(28)(29)보다 항상 강하여 체크봉(51)은 부시(30)에 밀착되어 제3통로(31)를 막아주고 있지만, 만일 살포의 중지를 위해 살포노즐의 콕크를 잠그는 경우나 토출구(12)가 막힘으로써 액체의 압력이 제3스프링(62)의 미는 힘보다 크게되는 과압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체크봉(51)과 샤프트(50)가 제3스프링(61)을 압축시키면서 부시(30)로부터 이격되어 액체가 회수구(41)로 빠져나가게 되어 압력이 완화되는 것이다.
즉, 도 3 의 (b)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작동된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부품들이 모두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액체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3통공(31)을 통해 회수구(41)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샤프트(50)의 일측에 구비된 완충기(52)는 샤프트(50)가 타측으로 밀려나는 과정에서 제2하우징(40)에 충돌하더라도 요홈(52a)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질의 완충기(52)가 충격을 흡수하여 부품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완화시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약 또는 물 등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분무 살포함에 있어 별도의 보조인원의 필요없이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할 때 이를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압력상승 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살포의 중단시 자동으로 전기와 엔진의 구동을 차단하여 에너지의 절약과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정밀성 향상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호 조립된 안전밸브를 분사펌프에 부착하여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액체를 내뿜어 압력을 설정 압력 이하로 조절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스톱퍼가 구비된 실린더(20);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며, 중앙의 제1스프링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된 그리퍼업(22)과 그리퍼(23) 및 타측의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는 플랜지(25);
    일측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 스톱퍼에 맞닿아 설치되고, 타측은 제1하우징 토출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9);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제3통공이 형성된 부시(30);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샤프트와 타측에는 부시의 제3통공을 개폐시키는 체크봉(51);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며,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가이드와 포지셔너의 사이에 구비된 제3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핸들(7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부시(30)의 제3통공이 형성된 일측에는 체크봉의 일측 경사면이 맞닿게 모따기부(32)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완충기(5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체크봉(51)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KR2020020029103U 2002-09-28 2002-09-28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KR200298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03U KR200298814Y1 (ko) 2002-09-28 2002-09-28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103U KR200298814Y1 (ko) 2002-09-28 2002-09-28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14Y1 true KR200298814Y1 (ko) 2002-12-27

Family

ID=7307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103U KR200298814Y1 (ko) 2002-09-28 2002-09-28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800A (ko) * 2019-07-23 2021-02-02 박종학 농약 분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800A (ko) * 2019-07-23 2021-02-02 박종학 농약 분무장치
KR102259144B1 (ko) 2019-07-23 2021-05-31 박종학 농약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454B1 (en) Flow control valve
CN110345033B (zh) 用于泵的旋转活塞
US8800823B2 (en) Trigger sprayer and valve system
KR200298814Y1 (ko)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개량구조
CN211631486U (zh)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CN201262254Y (zh) 自力缓闭式止回阀
CN202790713U (zh) 消声止回阀
CN207152933U (zh) 一种高压喷雾枪
KR10123818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CN210135315U (zh) 一种多喷孔型水利控制阀
RU2250405C1 (ru)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с плоским тарельчатым затвором модульного исполнения для встроенного монтажа
EP0670979A1 (en) Shock absorbing means for flow control devices
CN201537343U (zh) 一种消防水炮的水力自摆控制系统
KR200298681Y1 (ko) 동력 분무기용 자동 감압안전밸브
CN208750076U (zh) 一种可缓冲流体冲击的单向活门
CN210178937U (zh) 压力平衡式双控喷水阀
CN215465322U (zh) 一种高压清洗喷枪的泄压装置
CN112218527A (zh) 接头组件、压力式喷洒系统及可移动平台
KR20100007172U (ko) 동력분무기용 안전밸브의 더불형 개량구조
CN209510790U (zh) 一种液压传动系统的进油机构
KR200494747Y1 (ko) 실린더 체크 타입의 강판 냉각용 분사노즐
CN219841092U (zh) 一种可用于增压泵的单向阀及其增压泵
RU2789294C1 (ru)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реверсивный
US6021810A (en) Inlet check valve
CN217056467U (zh) 单向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123

Effective date: 2007092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031

Effective date: 200711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29

Effective date: 200801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116

Effective date: 2008032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428

Effective date: 2008070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20

Effective date: 200903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10

Effective date: 200903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424

Effective date: 20091209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24

Effective date: 20091209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08

Effective date: 2010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