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663Y1 -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663Y1
KR200298663Y1 KR2020020027237U KR20020027237U KR200298663Y1 KR 200298663 Y1 KR200298663 Y1 KR 200298663Y1 KR 2020020027237 U KR2020020027237 U KR 2020020027237U KR 20020027237 U KR20020027237 U KR 20020027237U KR 200298663 Y1 KR200298663 Y1 KR 200298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leak
trough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홍
Original Assignee
안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계홍 filed Critical 안계홍
Priority to KR2020020027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66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 이음새에 설치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식 누수받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각, 교좌장치, 거더, 교량 상판 및 신축이음을 포함하는 교량에 있어서, 교량 상판의 측면과 신축이음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우수, 눈, 염화칼슘 등에 의한 교좌장치 및 거더의 부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빗물 유도판, 하부 누수홈통 및 집수 파이프를 강화 플라스틱(FRP)로 제작한 누수받이가 설치되는 한편, 판재로 제작된 상부빗물 유도판은, 상부에 90° 각도로 절곡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 체결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의 체결 고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은, U자형 몸체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리 연결홈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 홈을 형성하며, 상기의 누수받이의 집수 파이프는, 절곡되는 타입으로 파이프로 제작하는 한편,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은, U자형 몸체의 상부에 고리 연결홈에 상부빗물 유도판의 체결 고리를 고리 연결홈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체결 볼트로 고정하여 홈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의 파이프 홈에 집수 파이프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인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WATER LEAKAGE SUPPORT STRUCTURE OF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LAB}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이 연결되는 신축이음 구간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그로인해 구조물의 동파 현상 및 부식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의 상부에 거더를 안착시키고, 상기의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 상판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교량 상판의 사이에는 신축이음을 설치하여 교량 상판이 계절적 변화에 의한 팽창및 수축에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신축이음이 설치된 사이에는 다른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는 관계로 하절기 및 동절기에 발생되는 우수와 눈이 하부로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의 신축이음구간의 누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반적인 교량(70)은, 교각 코핑(10)의 상부에 교좌장치(20)를 안착하고, 상기의 교좌장치(20)의 상부에 거더(30)를 안착하며, 상기의 거더(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 상판(40)을 시공하고, 이때 상기의 교량 상판(40)의 사이에 신축이음(50)을 설치하여 교량 상판(40)이 계절적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하여 팽창 및 수축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일반적인 교량 구조물은, 교량 상판과 교량 상판을 설치시 발생되는 틈새에 신축이음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신축이음만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로, 계절적 영향에 따른 우수 및 눈이 교량 상판의 하부로 낙하되어 교각 코핑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 및 거더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의 우수 및 눈, 제설 작업에 사용된 염화칼슘과 물에 의해 교좌장치 및 거더의 부식을 초래하게 된다.
둘째로, 상술한 부식으로 인하여 교좌장치가 원활한 동작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어 교량 구조물 전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겨울철 및 여름철과 같은 때에 교좌장치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교좌장치가 원활한 작동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겨울철에는 동파 현상이 발생되어 교량 구조물의 하자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염화칼슘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부식은 교좌장치의 작동하지 않게되어 교량 상판의 균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본 고안은, 교량 상판 이음새로 누수되는 물을 이음새 하부에 설치되는 누수받이를 이용하여 교량의 하부 집수구로 별도 처리하도록 하여 염화칼슘, 우수 및 눈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을 최대한 방지하고, 누수받이를 상,하부로 분리하도록 제작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부식에 영향이 없는 재질로 누수받이를 제작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교량 이음새에서 발생되는 누수로부터 교좌장치와 거더의 부식을 완전히 방지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의 신축이음구간의 누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의 분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가 설치된 일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교각, 교좌장치, 거더, 교량 상판 및 신축이음을 포함하는 교량에 있어서, 교량 상판의 측면과 신축이음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우수, 눈, 염화칼슘 등에 의한 교좌장치 및 거더의 부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빗물 유도판, 하부 누수홈통 및 집수 파이프를 강화 플라스틱(FRP)로 제작한 누수받이가 설치되는 한편, 판재로 제작된 상부빗물 유도판은, 상부에 90° 각도로 절곡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 체결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의 체결 고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은,U자형 몸체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리 연결홈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 홈을 형성하며, 상기의 누수받이의 집수 파이프는, 절곡되는 타입으로 파이프로 제작하는 한편,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은, U자형 몸체의 상부에 고리 연결홈에 상부빗물 유도판의 체결 고리를 고리 연결홈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체결 볼트로 고정하여 홈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의 파이프 홈에 집수 파이프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인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100)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140)(140')의 이음새에 신축이음(150)이 설치되고, 상기의 교량 상판(140)(140')의 상부 측면과 신축이음(150)의 하부에 연접하여 누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누수받이(200)가 설치된다.
상기의 누수받이(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적재되게 되어, 직접적으로 하부로 우수가 낙하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의 분해 상태도로서, 상기의 누수받이(200)는, 크게 상부빗물 유도판(210), 하부 누수홈통(220) 및 집수 파이프(230)로 구성된다.
상기의 누수받이(200)의 상부빗물 유도판(210)은, 상부에 90° 각도로 절곡되도록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 체결 고리(214)를 형성하며, 상기의 체결 고리(214)에 관통홀(216)을 형성하여 체결 볼트(240)과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은, 판재로 제작되고 수직하게 2개가 1조를 이루는 구조로 다수개가 2열로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이음새 하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은 절곡부(212)가 외부측을 향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누수홈통(220)과 결합된다.
상기의 누수받이(200)의 하부 누수홈통(220)은, U자형 몸체(222)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리 연결홈(224)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 홈(226)을 형성한다.
즉,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은, U자형 몸체(222)의 상부에 고리 연결홈(224)을 형성하여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체결 고리(214)를 고리 연결홈(224)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체결 볼트(240)로 고정한다.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과 하부 누수홈통(220)은, FRP 재질로 제작하여 부식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의 누수받이(200)의 집수 파이프(230)는, 절곡되는 타입으로 원형 파이프 및 사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면상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만을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식 누수받이가 설치된 일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교량(100)에는 교량 상판(140)(140')의 이음새 구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150)의 하부에 연접되도록 누수받이(200)가 설치된다.
상술한 누수받이(200)가 교량(100)의 신축이음(15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시공 순서를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설 교량인 경우에는, 교각이 설치되면 교각(110)의 상부에 교좌장치(120)를 안착하고, 상기의 교좌장치(120)의 상부에 거더(130)를 안착하며, 상기의 거더(1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 상판(140)(140')을 시공하고, 이때 교량 상판에는 아스콘 포장, 아스콘 컷팅 및 깨기 작업을 실시한 후 하부 누수홈통(220)을 지지 부재에 의하여 지지한 상태로 설치하고, 하부 누수홈통(220)의 고리 연결홈(224)에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체결 고리(214)를 관통시킨 뒤 체결 볼트(240)를 체결하여 고정하며, 또한,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의 파이프 홈(226)에 집수 파이프(230)를 연결하고, 누수받이(200)의 직상부에 신축이음(150)을 설치하며, 신축이음(150)을 고정하기 위하여 무수축 콘크리트(160)를 타설한다.
또한, 기존 교량인 경우에는, 신축이음(150)을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160)의 하부를 깨기 작업한 뒤 누수받이(200)를 구성하는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절곡부(212)를 고정하고,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체결 고리(214)에 하부 누수홈통(220)의 고리 연결홈(224)을 결합한 뒤 체결 볼트(240)로 고정하며, 한편,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의 파이프 홈(226)에 집수 파이프(230)를 체결하여 누수받이(20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누수받이(200)는, 신축이음(150)의 틈새로 들어오는 우수, 눈, 염화칼슘 등이 모두 상부빗물 유도판(210)을 통해 하부 누수홈통(220)으로 흘러들어오게 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에 적재되는 우수, 눈, 염화칼슘 등은 파이프 홈(226)에 연결된 집수 파이프(230)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관계로교좌장치와 거더의 부식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과 하부 누수홈통(220)의 하자가 발생시는 체결 볼트(240)를 해체한 후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절곡부(212)가 교량 상판(140)(140')의 측면과 신축이음(1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절곡부(212)에 연접하게 실링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의 상부빗물 유도판(210)과 하부 누수홈통(220)이 체결된 그 밀착면에도 실링재를 사용하여 우수, 눈, 염화칼슘 등이 교량 상판의 이음새를 통해 대용량으로 낙하하는 경우도 틈새로 누설되는 문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의 실링 처리에 대한 부재는 일반적인 개스킷, 고무 실링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는, 교량 상판의 측면과 신축이음의 하부에 연접되게 설치되는 관계로 계절적 영향에 따른 우수 및 눈이 교량 상판의 하부로 낙하되어 교각 코핑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 및 거더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집수 파이프를 통해 하부로 낙하시켜 부식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부식으로 인하여 교좌장치가 원활한 동작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어 교량 구조물 전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어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교각, 교좌장치, 거더, 교량 상판 및 신축이음을 포함하는 교량에 있어서,
    교량 상판(140)(140')의 측면과 신축이음(150)의 하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우수, 눈, 염화칼슘 등에 의한 교좌장치(120) 및 거더(130)의 부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빗물 유도판(210), 하부 누수홈통(220) 및 집수 파이프(230)를 강화 플라스틱(FRP)로 제작한 누수받이(200)가 설치되는 한편,
    판재로 제작된 상부빗물 유도판(210)은, 상부에 90° 각도로 절곡되도록 절곡부(212)를 형성하고, 하부 측면에 체결 고리(214)를 형성하며, 상기의 체결 고리(214)에 관통홀(216)을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은, U자형 몸체(222)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고리 연결홈(224)을 형성하고, 하부면에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 홈(226)을 형성하며,
    상기의 집수 파이프(230)는, 절곡되는 타입으로 파이프로 제작하는 한편,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은, U자형 몸체(222)의 상부에 고리 연결홈(224)에 상부빗물 유도판(210)의 체결 고리(214)를 고리 연결홈(224)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체결 볼트(240)로 고정하여 홈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의 하부 누수홈통(220)의 파이프 홈(226)에 집수 파이프(230)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인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KR2020020027237U 2002-09-11 2002-09-11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KR200298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37U KR200298663Y1 (ko) 2002-09-11 2002-09-11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37U KR200298663Y1 (ko) 2002-09-11 2002-09-11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663Y1 true KR200298663Y1 (ko) 2002-12-26

Family

ID=7308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37U KR200298663Y1 (ko) 2002-09-11 2002-09-11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6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782B1 (ko)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2375815B1 (ko)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6883336B2 (en) Air conditioning condensation drainage system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CN101413292A (zh) 一种伸缩缝排水构造
KR200351735Y1 (ko)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KR200298663Y1 (ko) 교량 상판 이음새의 누수방지용 개폐식 누수받이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661018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KR200184750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N201121369Y (zh) 一种伸缩缝排水构造
CN211573593U (zh) 一种井下巷道顶板集水排水装置
CN209163261U (zh) 屋面落水口防渗漏安装结构
KR200311580Y1 (ko) 교량의 상판 슬래브 신축이음 구간의 빗물 누수받이 구조
CN218713277U (zh) 一种防水防灌地下管沟结构
CN217026666U (zh) 一种用于城市桥梁中央绿化带的排水系统
CN210684935U (zh) 除冰废液收集沟
KR200191485Y1 (ko) 교량상판 신축이음 누수받이
CN221072273U (zh) 用于桥梁伸缩缝的接、排水装置
KR200322142Y1 (ko) 고밀도 합성 라이닝 적층재가 부착된 교량 슬래브 이음새누수받이구조
KR200292695Y1 (ko) 앵커 체결식의 교량 슬래브용 이음부의 누수받이 설치구조
KR200344966Y1 (ko) 교량의 신축이음구간의 배수처리시설
JP7016981B1 (ja) 橋台、橋脚の橋座面の排水システム
KR20120066206A (ko)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