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37Y1 - 의자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37Y1
KR200298237Y1 KR2020020027741U KR20020027741U KR200298237Y1 KR 200298237 Y1 KR200298237 Y1 KR 200298237Y1 KR 2020020027741 U KR2020020027741 U KR 2020020027741U KR 20020027741 U KR20020027741 U KR 20020027741U KR 200298237 Y1 KR200298237 Y1 KR 200298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chair
backrest
panel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근
Original Assignee
박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근 filed Critical 박종근
Priority to KR202002002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3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작 코스트가 절감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그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내부패널(10)과, 이 내부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직물재의 커버(2)에 의해 감싸져 이 내부패널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0)와, 상기 내부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마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패널(30)를 포함하는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30)의 전방에는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결합공(12)과 끼움결합되는 탄성걸림편(52)이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the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작 코스트가 절감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용 등받이는 시트부 후방에 수직설치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대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의자용 등받이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용 등받이는 그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헤드레스트(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공(14)이 형성된 내부패널(10)과, 이 내부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직물재로 이루어진 커버(2)에 의해 감싸져 이 커버(2)에 의해 내부패널(10)과 겹합되는 쿠션부재(20)와, 상기 내부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마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패널(30)과, 상기 볼트공(14)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헤드레스트(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부패널(30)의 전방에는 상기 내부패널(10) 결합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이 결합공(12)에 걸려지도록 다수개의 탄성 걸림편(52)이 구비된 걸림부재(50)를 나사(4)에 의해 별도로 결합하여 이 걸림부재(50)에 의해 외부패널(30)과 내부패널(10)이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4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지지바(42)의 하단에는 이 한쌍의 지지바(42)를 서로 연결하는 고정브라켓트(44)가 용접에 의해 별도로 결합되고 이 고정브라켓트(44)에 의해 상기 내부패널(10)의 볼트공(14)에 나사결합되어 이 헤드레스트(40)가 내부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의자용 등받이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헤드레스트(40)의 고정브라켓트(44)를 상기 내부패널(10)의 상단 볼트공(14)에 밀착시켜 볼트결합시킨 다음 쿠션부재(20)를 직물재의 커버(2)로 감싸서 이 커버(2)의 둘레부를 내부패널(10)의 배면 둘레부에 위치시켜 접착제나 타카핀으로 고정시킨 후 외부패널(30)을 내부패널(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의자용 등받이는 상기 걸림부재(50)를 별도로 성형하고, 이 걸림부재(50)를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나사(4)를 이용하여 외부패널(30)에 다수개 고정하게 되므로, 제작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40)를 내부패널(10)에 연결시키기 위해 이 헤드레스트(4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지지바(42)에 별도의 고정브라켓트(44)를 일일이 용접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공정을 줄여 제작 코스트가 절감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한새로운 구조의 의자용 등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자용 등받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커버 4. 나사
10. 내부패널 20. 쿠션부재
30. 외부패널 40. 헤드레스트
50. 걸림부재 60. 지지보스
본 고안에 따르면, 그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내부패널(10)과, 이 내부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직물재의 커버(2)에 의해 감싸져 이 내부패널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0)와, 상기 내부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마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패널(30)를 포함하는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30)의 전방에는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결합공(12)과 끼움결합되는 탄성걸림편(52)이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패널(10)의 상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62)이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지지보스(6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지지보스(60)에는 헤드레스트(40)로부터 하향연장된 한쌍의 지지바(42)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헤드레스트(40)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의자용 등받이는 그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내부패널(10)과, 이 내부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직물재의 커버(2)에 의해 감싸져 이 내부패널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0)와, 상기 내부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마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패널(30)과, 상기 내부패널(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등받이의 상부로 돌출설치되며 하측으로 하향연장된 한쌍의 지지바(42)가 구비된 헤드레스트(4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외부패널(30)의 전방에는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탄성걸림편(52)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이 탄성걸림편(52)은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끼움결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이 탄성걸림편(52)에 의해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끼움결합되어 외부패널(30)를 내부패널(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패널(10)의 상단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62)이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지지보스(60)가 돌출형성되어, 헤드레스트(40)의 지지바(42)가 상기 지지보스(6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6은 상기 내부패널(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의자의 시트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외부패널(30)에 탄성걸림편(52)을 일체로 성형하여, 이 탄성걸림편(52)에 의해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결합하여 외부패널(30)을 내부패널(10)에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걸림부재를 내부패널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일일이 나사에 의해 결합하지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코스트가 절감된다.
또한, 헤드레스트(40)로부터 하향연장된 한쌍의 지지바(42)를 내부패널(10)의 지지보스(60)에 끼움결합하기만 하면 헤드레스트(40)가 등받이 상부에 간편하게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헤드레스트(40)의 지지바(42) 하단에 별도의 고정브라켓트를 용접하고 이 브라켓트를 다시 내부패널(10)에 볼트체결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패널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패널에 탄성걸림편을 일체로 성형하여, 이 탄성걸림편에 의해 간편하게 내부패널과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걸림부재를 일일이 나사에 의해 결합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코스트가 절감된다. 또한, 내부패널의 상부에 지지보스를 형성하여 이 지지보스에 헤드레스트로부터 하향연장된 지지바를 간편하게 끼움결합하기만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결합된다.

Claims (2)

  1. 그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된 내부패널(10)과, 이 내부패널(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직물재의 커버(2)에 의해 감싸져 이 내부패널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0)와, 상기 내부패널(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마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패널(30)를 포함하는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30)의 전방에는 상기 내부패널(10)의 결합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결합공(12)과 끼움결합되는 탄성걸림편(52)이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널(10)의 상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62)이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지지보스(6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지지보스(60)에는 헤드레스트(40)로부터 하향연장된 한쌍의 지지바(42)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헤드레스트(40)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KR2020020027741U 2002-09-16 2002-09-16 의자용 등받이 KR200298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41U KR200298237Y1 (ko) 2002-09-16 2002-09-16 의자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41U KR200298237Y1 (ko) 2002-09-16 2002-09-16 의자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37Y1 true KR200298237Y1 (ko) 2002-12-20

Family

ID=7307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41U KR200298237Y1 (ko) 2002-09-16 2002-09-16 의자용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3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47B1 (ko) 2007-01-08 2008-02-1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101852110B1 (ko) * 2017-10-18 2018-04-25 (주) 파트라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KR102282232B1 (ko) 2021-01-29 2021-07-27 (주) 파트라 의자용 풀봉제 등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220120182A (ko) * 2021-02-23 2022-08-30 이상윤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47B1 (ko) 2007-01-08 2008-02-1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101852110B1 (ko) * 2017-10-18 2018-04-25 (주) 파트라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KR102282232B1 (ko) 2021-01-29 2021-07-27 (주) 파트라 의자용 풀봉제 등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220120182A (ko) * 2021-02-23 2022-08-30 이상윤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KR102634660B1 (ko) * 2021-02-23 2024-02-06 이상윤 좌변기용 등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454B2 (en) Backrest of the chair and adaptation device for the same
US20080036267A1 (en) Backrest attachment device
US8777321B2 (en) Stretching structure of chair upholstery material
JP2009112360A (ja) 椅子の背凭れ
JP2019073047A (ja) 車両のシート
KR200298237Y1 (ko) 의자용 등받이
US6196632B1 (en) Chair, especially an office chair
WO1991003192A1 (en) Concealed flexible backrest frame assembly for a chair
US20030137169A1 (en) Saddle assembly having a cushioning device
JP2009172125A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の取付装置
KR102000947B1 (ko) 보조헤드레스트
JP5259993B2 (ja) 椅子
JP2002225601A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支持構造
JP2013100001A (ja) 下帯カバー付き車両用シート
KR200487165Y1 (ko)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
KR20170001117U (ko) 뒤보기가 가능한 경량형 카시트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JP4109442B2 (ja) 椅子の背凭れ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US10870380B2 (en) Integral single-frame two-way headrest with U-shaped single rod
JP2013070849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0340427Y1 (ko) 의자 등받이 연결구조
JP5767010B2 (ja) 椅子
KR200144204Y1 (ko) 의자용 팔걸이
KR200428390Y1 (ko) 의자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