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11Y1 -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 Google Patents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11Y1
KR200298111Y1 KR2020020027771U KR20020027771U KR200298111Y1 KR 200298111 Y1 KR200298111 Y1 KR 200298111Y1 KR 2020020027771 U KR2020020027771 U KR 2020020027771U KR 20020027771 U KR20020027771 U KR 20020027771U KR 200298111 Y1 KR200298111 Y1 KR 200298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racket
fluid
branch
main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202002002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11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유류, 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주공급관에서 분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T분기관을 주공급관에 설치할 때 설치 편의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공급관에 분기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하부 브라켓을 두께를 극소화시켜 분기관의 전체 부피를 절감시키고 결합 시 하부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금속 재질로 제작됨과 아울러 반원형 부분(1)에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수의 비드(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반원형 부분(1)의 양단으로 연장된 부분에 나사공(4)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LOWER BRACKET FOR APPARATUS DIVIDING FLUID}
본 고안은 유체 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유류, 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주공급관에서 분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T분기관을 주공급관에 설치할 때 설치 편의성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물 등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은 여러 부분으로 갈라지도록 하기 위해 분기관을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한 분기관은 T자형 또는 엘보우형 분기관을 주공급관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주공급관에서 분기될 위치를 선정한 후 주공급관을 절단하고, 상기한 절단부분에 분기관을 나사결합 등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주공급관을 절단하고 여기에 분기관을 나사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면 주공급관의 절단 위치 선정도 어렵고 절단 작업이 불편하기 때문에 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체 분기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분기구(50)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반원형 상부 브라켓(51)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한 개구부를 간헐 차폐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상부캡(53)과, 상기한 상부 브라켓(51)과 함께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주공급관(A)을 감싸도록 구성된 반원형의 하부 브라켓(54)과, 상기한 상, 하부 브라켓(51, 54)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55)을 연결하여 이를 주공급관(A)에 고정시키는 볼트(56) 및 너트(57)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몸체 및 하부 브라켓(54)은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얻기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기 장치는 먼저 주공급관(A)에서 분기할 위치를 선정한 후 상기한 몸체를 배치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54)을 결합시켜 정확하게 분기관이 위치될 장소를 설정하게 된다.
분기관 즉, 몸체와 하부 브라켓(54)의 위치가 정확히 설정되고 고정되면, 상기한 몸체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주공급관(A)을 천공하고 상부캡(53)으로 이를 차폐하게 된다.
주공급관(A)이 천공되고 상부캡(53)으로 상부의 개구부가 차폐되면 주공급관(A)을 흐르는 유체는 몸체의 분기구(50)로 흐르게 됨으로써, 정확하고 손쉽게 분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주공급관에 몸체와 하부 브라켓을 결합시킨 후 몸체를 통해 주공급관을 천공하여 분기를 하게 되면, 상기한 하부 브라켓을 몸체에 결합시킬 때 볼트와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하부 브라켓을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게 됨으로써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 파손 또는 구부러짐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두께가 두껍도록 성형하게 되는 바, 하부 브라켓이 두껍기 때문에 이를 주공급관에 밀착시키고 몸체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하부 브라켓을 두껍게 성형하게 되면 주공급관에 결합하였을 때 매우 많이 돌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 볼트에 의해 파이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재인 판상 와셔(W)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공급관에 분기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하부 브라켓을 두께를 극소화시켜 분기관의 전체 부피를 절감시키고 결합 시 하부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금속 재질로 제작됨과 아울러 반원형 부분에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반원형 부분의 양단으로 연장된 부분에 나사공을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반적인 유체 분기 장치용 T분기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하부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상응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반원형 부분 2, 2': 비드
3, 3': 양단 플랜지 4: 나사공
5: 하부 브라켓 6: 돌출부
7: 나사산 A: 주공급관
W: 판상 와셔
도 1과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와 A-A 선 및 B-B 선 단면도로서, 플라스틱에 비해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SUS)로 제작됨과 아울러 드로잉 공정 등을 통해 반원형 부분(1)에 다수의 비드(2)가 형성됨과 아울러 반원형 부분(1)에서 꺽여 연장된 양단 플랜지(3)에 나사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비드(2)는 하부 브라켓(5)이 수직 방향 하중을 받을 때 이를 견디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반원형 부분(1)에서 수평 형상인 양단 플랜지(3)로 꺾인 부분을 지지하여 꺾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나사공(4)은 하부 브라켓(5)이 얇은 재질이기 때문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부(6)를 형성시킨 후, 나사산(7)을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시켜서 볼트(56)가 견고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종래의 하부 브라켓(54)에 비해 매우 얇게 제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드(2)가 수직 방향의 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하고, 너트(57)가 없어도 볼트(56)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을 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단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주공급관(A)에 분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를 분기 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주공급관(A)에 몸체를 밀착시키게 된다.
몸체가 밀착되면 상부 브라켓(51)이 주공급관(A)의 상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바, 이 상태에서 그 저면에 하부 브라켓(5)을 밀착시킴과 아울러 볼트(56)로 상, 하부 브라켓(51, 5)을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상부 브라켓(51)에서 볼트(56)를 삽입하면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의 나사공(4)에 볼트(56)가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상, 하부 브라켓(51, 5)이 나사결합되면 분기 위치를 다시 정확하게 확인한 후, 상기한 몸체의 상부캡(53)을 풀고 몸체를 통해 주공급관(A)에 구멍을 뚫게 된다.
주공급관(A)에 구멍이 뚫어지게 되면 다시 상부캡(53)을 닫은 상태에서 볼트(56)를 다시 한번 조여 상, 하부 브라켓(51, 5)이 견고하게 조여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상, 하부 브라켓(51, 5)을 볼트(56)로 조이게 되면,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이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나사 구멍이 파손되는 것에 대비하여 별도의 와셔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볼트(56)만 조이게 되면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의 나사공(4)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종래 너트(57)를 다른 공구로 잡고 볼트(56)를 조이는 것에 비해 매우 간편하게 볼트 조임 작업(분기관 고정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을 볼트(56)로 조일 때 또는 조인 후에 분기관에 하중이 인가되면 상기한 비드(2)가 수직 방향의 하중을 견디게 되는 바,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의 하중에 대한 강성이 대폭 향상된다.
즉, 판상으로 하부 브라켓(54)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반원형 부분(1)에 비드(2)를 형성시킴으로써, 대폭 향상된 수직 방향 강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부분(1)과 양단 플랜지(3') 사이의 꺾인 부분을 지지하도록 그 부분에만 비드(2')를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한 하부 브라켓(5')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반원형 부분(1')이 지지할 수 있는 수직 하중은 보다 작아지게 된다.
즉, 상기한 비드(2')가 반원형 부분(1')과 양단 플랜지(3')의 꺾인 부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볼트(56)를 과다한 힘으로 조여도 상기한 꺾인 부분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드가 골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2")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T형 분기관을 주공급관에 연결할 때 연결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관 자체의 두께도 줄일 수 있고, 하부 브라켓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금속 재질로 제작됨과 아울러 반원형 부분에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반원형 부분의 양단으로 연장된 부분에 나사공을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사공은 볼트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나사결합되도록 일측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나사산을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3. 금속 재질로 제작됨과 아울러 반원형 부분과 양단 사이의 꺾인 부분에 형성되어 구부러지는 힘을 받을 때 이를 지지하도록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KR2020020027771U 2002-09-16 2002-09-16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KR200298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71U KR200298111Y1 (ko) 2002-09-16 2002-09-16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71U KR200298111Y1 (ko) 2002-09-16 2002-09-16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11Y1 true KR200298111Y1 (ko) 2002-12-12

Family

ID=7307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71U KR200298111Y1 (ko) 2002-09-16 2002-09-16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CA2523447A1 (en) Faucet quick install nut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200409569Y1 (ko)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KR200298111Y1 (ko) 유체 분기 장치용 하부 브라켓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EP2387647B1 (en) Drain valve assembly
US20170022675A1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JP3673726B2 (ja) 給水湯管の配管構造用セット部品
CA2189103C (en) Plastic valve with inlet conduit extension
KR101287503B1 (ko) 혼합수전 체결장치
KR200347034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0404361Y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용 연결밴드 구조
KR200159689Y1 (ko) 분기 지관 소켓 부착장치
JP2002276859A (ja) 配管支持具および配管支持構造
KR100786701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결합구조
JPH10219946A (ja) 竪 樋
CN219866386U (zh) 一种面盆龙头
KR200282511Y1 (ko) 분배기 없는 급수급탕 싱크수전 고정장치
KR200394793Y1 (ko) 착탈식 고정부재
JP3106372U (ja) 配管分岐装置
KR20050076061A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0136251Y1 (ko) 브라켓이 설치된 파이프 연결용 유니언
JP3782592B2 (ja) 建物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H08145026A (ja) フック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