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73Y1 -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73Y1
KR200298073Y1 KR2020020026697U KR20020026697U KR200298073Y1 KR 200298073 Y1 KR200298073 Y1 KR 200298073Y1 KR 2020020026697 U KR2020020026697 U KR 2020020026697U KR 20020026697 U KR20020026697 U KR 20020026697U KR 200298073 Y1 KR200298073 Y1 KR 200298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huck
foam
ti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2020020026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7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내.외부 폼(Form)의 간격을 두기 위해 내.외부 폼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부 폼의 간격과 위치를 정렬하는 세팅 시간과 타설 후 해체 시간을 단축 시키고, 콘크리트 내.외부 폼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킴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두께 및 벽구조물의 표면의 평행도를 고르게 하여 시공 품질이 향상되고, 작업성을 개선하고 작업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 폼 결속장치는, 일단이 볼트로 가공되어 있고 타단은 내부 폼에 결합되는 타이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체결하기 위하여 내경이 타이볼트의 볼트와 결합 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된 척을 단부상에 구비하고, 그 척으로 부터 연장된 로드 및 볼트머리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장착되는 척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척볼트의 척의 맞물림과 분해 결합을 위해 외부 폼 판넬 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타이볼트와 척볼트의 결합과 탈거를 안내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작업성, 시공성, 벽구조물의 고품질화, 작업 안전성 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The binding device of Inner form and Out Form for Concrete Ti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형성하는 내.외부 폼(Form)의 간격을 두기 위해 내.외부 폼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외부 폼의 간격과 위치를 정렬하는 세팅 시간과 타설 후 해체 시간을 단축 시키고, 콘크리트 내.외부 폼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킴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두께 및 벽구조물의 표면의 평행도를 고르게 하여 시공 품질이 향상되고, 작업성을 개선하고 작업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임의의 두께를 가지는 벽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은 내.외부 거푸집을 일정한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그 간격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기간 양생기간을 거쳐 구조물로 형성하는 것이다.
벽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재인 거푸집은 주로 목재를 이용하였는데, 목재는 현장에서 운반과 가공성 그리고 배열에 따른 시공상 용이한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벽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구조재료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목재로 제작된 거푸집은 사용중 파손이 많고 재활용성이 떨어지며 하중에 대한 변형이 커서 최근에는 목재 판넬 대신에 스틸 강판 폼을 구조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스틸 강판 폼은 목재에 비해 하중이 커서 운반성이 떨어지지만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장비의 운용이 확대되어 목재 보다는 사전 규격 제작으로 대량 공급을 통한 현장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스틸 강판 폼(Form)을 콘크리트 벽구조물 형성용 거푸집(Form)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스틸 강판을 콘크리트 벽구조물 형성용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낱장의 스틸 강판 폼(10)의 구조를 예로 나타낸 것으로, 주요부분은 콘크리트 벽구조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스틸 강판 판넬(11)과, 스틸 강판 판넬(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틸 강판 판넬(11)의 외벽을 보강하는 보강빔(12)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빔(12)의 설치 형태나 구조는 일정치 않다.
콘크리트 벽구조물 형성을 위한 거푸집으로 스틸 강판 폼(10) 또는 목재 판넬을 이용하는 경우 모두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판넬 외벽에는 적당한 지지프레임을 부설한다.
한편, 스틸 강판 폼 또는 목재 판넬을 이용하여 일정한 콘크리트 타설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외부 거푸집 사이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내.외부 거푸집의 분리나 공간 변형 및 유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결속체가 필요하다.
도 2는 목재로 제작된 내.외부 거푸집(13)(14)을 결속체로 결속한 구조로서, 내.외부 거푸집(13)(14) 결속체로서 철근(15)을 적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적용된 철근(15)은 내부 거푸집(13)에 철근(15)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고, 내부 거푸집(13)과 일정한 간격을 두어 외부 거푸집(14)을 관통시켜 마찬가지로 철근 끝을 구부려놓아 내.외부 거푸집(13)(14)을 결속한 구조이다.
도 3은 스틸 강판 구조재인 내.외부 폼(20)(21)을 타이볼트(Tie)형 결속체로 결속한 구조로서, 목재 거푸집 결속체로서 사용되었던 철근으로는 내.외부 폼(20)(21)의 결속이 어려워 막대형의 타이볼트(16)를 적용하여 내.외부 폼(20)(21)을 결속하였다.
여기서, 막대형 타이볼트(16)의 한쪽 끝은 쉽게 구부러 지고 절단될 수 있는 절단팁(17)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쪽 단부는 타이볼트(16)를 외부에서 당겨 조일 수 있게 볼트머리(18) 나사산이 가공되어, 너트(19)나 클립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형태로서, 이같은 막대형 타이볼트(16)를 적용한 내.외부 폼(20)(21)의 결속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타이볼트(16)를 내부 폼(20)의 바깥에서 절단팁(17)의 절단선 위치까지 내부 폼(20)에 마련된 슬롯 홈(22)을 통해 끼운다.
그리고 내부 폼(20)의 슬롯 홈(22)을 통해 관통된 타이볼트(16)의 단부를 내부 폼(20)의 이면에서 구부려 빠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타이볼트(16)의 절단팁(17)을 내부 폼(20)에 장착하는 경우 내.외부 폼(20)(21)의 슬롯 홈(22)을 나란히 정렬시켜 놓은 경우 타이볼트(16)의 절단팁(17)을 외부 폼(21)을 통해서 장착할 수도 있다.
즉, 내.외부폼(20)(21)의 슬롯 홈(22)을 사전에 정렬이 가능한 경우이면 외부에서 타이볼트(16)를 장착할 수 있다.
타이볼트(16)의 절단팁(17)을 구부려서 내부 폼(20)에 장착되면 이 내부폼(20)과 외부 폼(21)의 간격 'L1'을 고려하면서 타이볼트(16)를 외부 폼(21)에 고정하여 내부 폼(20)과 외부 폼(21)을 결속한다.
내.외부 폼(20)(21)의 결속은 타이볼트(16)의 끝 볼트머리(18)에 너트(19)를 장착하고 공구로 너트(19)를 회전시켜 회전 토크에 의해 내.외부 폼(20)(21)의 간격 'L1'을 조절하면서 결속한다.
여기서, 외부 폼(21)의 안쪽 방향으로 삽입되는 별도의 콘캡(Cone Cap)을 적용하는 경우, 타이볼트(16)의 볼트머리(18)의 외부 돌출 길이를 줄이고 너트(19)의 회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타이볼트(16)를 통해 내.외부 폼(20)(21)을 결속하고, 그 내,외부 폼(20)(21)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외부 폼(20)(21)을 해체 인양 하여 벽구조물을 완성하는데, 내.외부 폼(20)(21)의 해체의 경우 타이볼트(16)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19)를 콘캡(23)을 통해 풀고 반대쪽 절단팁(17)을 절단하여 내.외부 폼(20)(21)을 해체 인양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외부 폼(20)(21) 결속에 적용되는 결속체는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내.외부 폼(20)(21)의 결속을 위한 세팅 시간이 길다. 즉, 벽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평방미터의 스틸 강판 내.외부 폼(20)(21) 결속에는 100~150개의 타이볼트(16) 및 그 이상의 부속부품이 필요한 데, 타이볼트(16)의 결속 방식이 회전 조임 방식이기 때문에 타이볼트(16) 설치 위치 마다 너트(19)를 장착하여 조여야 하는 세팅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둘째, 콘크리트 타설 후 내.외부 폼(20)(21)의 해체 인양이 까다롭다. 즉, 내.외부 폼(20)(21)의 해체를 위해서는 이를 고정하고 있는 타이볼트(16)를 먼저 풀어야 하지만 그 갯수도 많고 결속된 너트(19)를 한 개씩 풀어서 분해해야 하므로 해체가 어렵다. 또한 콘캡(23)을 적용한 경우 별도로 콘캡(23)의 해체 작업도 추가된다.
셋째, 콘크리트 양생 후 벽구조물의 외관에 웨이브(Wave)가 형성되어 벽구조물의 외관 품질과 완성도가 떨어진다. 즉, 내.외부 폼(20)(21)을 결속하는 타이볼트(16)가 너트(19)를 장착하여 내.외부 폼(20)(21)에 당김 압력을 가하여 결속, 내.외부 폼(20)(21)을 세팅하는 감각적 조임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조적으로 균일한 토오크에 의한 일정한 조임작업이 어렵다. 따라서, 타이볼트(16)의 조임 정도가 위치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이는 전체 내.외부 폼(20)(21)의 간격을 변화시켜 벽구조물의 고른 평탄도를 유지시키기 못하는 원인이 되며, 그 차이가 커지면 벽구조물의 전체 두께도 위마다 다르게 나타나 구조물의 국부적 결함으로 발전되어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된다.
넷째, 내.외부 폼(20)(21)의 세팅이 완료된 뒤 타이볼트(16)의 돌출길이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즉, 현장 및 작업 여건에 따라 내.외부 폼(20)(21)의 밖으로 타이볼트(16)의 볼트머리(18) 부분이 길게 돌출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행자나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통로 확보에 장애를 준다.
그 밖에 내.외부 폼(20)(21)의 결속과 해체를 위해 소모되는 부속부품, 예를들면 나비와셔, 주물너트, 콘볼트 등을 필요할 때 마다 현장에서 찾아서 적용하는방식이므로, 이들 부속부품들은 작업중 낙하 가능성이 있고 또한 발판에 보관중 보행 안전사고 등의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내.외부 폼 결속을 위한 종래의 결속구조는 타이를 내.외부 폼에 장착하여 조임력으로 내.외부 폼을 세팅하였으므로, 내.외부 폼의 결속을 위한 세팅 시간이 길어 작업성과 시공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내.외부 폼의 해체를 위해서 결속의 역순으로 내.외부 폼을 결속하고 있는 타이를 해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었고 별도로 콘의 해체 작업도 있으므로 시공 원가부담이 적지 않은 것이다.
또한, 양생후 시공품질은 벽구조물의 외관에 웨이브가 형성되어 외관 품질과 완성도가 떨어지고, 더 나아가 특정 부분의 내.외부 폼 간격 변화가 클 경우 벽구조물의 전체 두께 변형과 결함으로 발전되어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안전한 시공품질을 보장하지 못했다.
또한, 내.외부 폼 결속용 타이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 결속과 해체를 위해 소모되는 다양한 부속부품들의 분산 배치 및 보관에 따른 관리상의 문제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 폼 결속에 소요되는 세팅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후 내.외부 폼의 해체 인양이 비교적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외부 폼 세팅을 위해 적용되는 결속체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외부 폼의 결속과 해체를 위해 소요되는 다양한 부속부품들을 한위치에 통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판넬과 보강빔을 구비하는 내.외부 폼과, 상기 내.외부 폼의 판넬간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내.외부 폼을 결속하고 내.외부 폼의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외부 폼 사이 간격에 타이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 폼 결속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볼트로 가공되어 있고 타단은 내부 폼에 결합되는 타이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체결하기 위하여 내경이 타이볼트의 볼트 진입에 따라 체결될 수 있는 척을 단부상에 구비하고, 그 척으로 부터 연장된 로드 및 볼트머리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장착되는 척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척볼트의 척의 맞물림과 분해 결합을 위해 외부 폼 판넬 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타이볼트와 척볼트의 매칭과 탈거를 안내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를 구성하면, 폼의 세팅과 콘크리트 타설 후 폼의 해체 인양 작업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성과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고, 벽구조물의 외관 개선과 품질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작업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폼 결속 구조의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결속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폼 결속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전체 구성도 (b)는 척볼트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장치에 의한 내.외부 폼의 세팅 단면도
도 6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폼의 세팅 순서도
도 7의 (a)(b)(c)(d)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부 폼의 해체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내부 폼 41:외부 폼
50:타이볼트 51:볼트
52:전단핀 53:전단선
60:척볼트 61:척
62:로드 63:볼트머리
64:리턴스프링 65:구배면
66:나사홈 70:지지대
80:캡 90:스피드핸들
91:벽구조물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판넬(31)과 보강빔(32)을 구비하는 내.외부 폼(40)(41)과, 내.외부 폼(40)(41)의 판넬(30)간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내.외부 폼(40)(41)을 결속하고 내.외부 폼(40)(41)의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외부 폼(40)(41) 사이 간격에 타이볼트(5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주요부분은, 일단이 볼트(51)로 가공되어 있고 타단은 내부 폼(40)에 결합되는 타이볼트(50)와, 타이볼트(50)의 볼트(51)와 체결하기 위하여 내경에 나사홈(66)이 가공된 척(61)을 단부상에 구비하고, 그 척(61)으로 부터 연장된 로드(62) 및 볼트머리(63)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지지대(70)에 장착되는 척볼트(60)와, 타이볼트(50)의 볼트(51)와 척볼트(60)의 척(61)의 분해 결합을 위해 외부 폼(41)의 판넬(30) 내표면에 설치되어 타이볼트(50)와 척볼트(61)의 매칭과 탈거를 안내하는 캡(80)과, 타이볼트(50)와 척볼트(60)의 결합과 분해에 따라 척볼트(60)의 위치를 스프링 탄성력으로 변화 시키는 리턴스프링(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볼트(50)의 일단은 전단핀(52)으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70)는 척볼트(60)를 외부 폼(41)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척(61)의 내경 입구측은 타이볼트(50)의 선단 볼트(5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66)으로 형성되고, 척(61)의 외경은 캡(80)의 내측 구배면에 대응되는 구배면(65)으로 형성되어 캡(80)의 공간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전체 구조 및 폼의 세팅과 해체과정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결속장치의 전체 조립 구조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타이볼트(50)의 전단핀(52)을 제외한 전단선(53) 부터 타이볼트(50)와 캡(80)의 영역으로 표시된 'w1'은 벽구조물의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f1'은 외부 폼(41)의 단면두께 이며, 'f2'는 내부 폼(40)의 단면두께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장치에 의한 폼의 세팅 완료 상태이다.
타이볼트(5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전단핀(52)과 선단이 캡(80)으로 씌워지는 볼트(51)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매몰되며 내.외부 폼(40)(41)을 안쪽 방향으로 당겨서 척볼트(60)와 함께 내.외부 폼(40)(41)을 결속하는 기능을 한다.
척볼트(60)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폼의 간격 세팅단계에서 타이볼트(50)와 결합되어 타이볼트(50)를 내.외부 폼(40)(41) 간격 사이에 고정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폼의 해체단계에서는 외부 폼(41)과 함께 타이볼트(50)로부터 분리 탈거되어 폼의 해체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
지지대(70)는 척볼트(60)를 외부폼(41)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외부 폼(41)의 판넬(30)을 보강하는 보강빔(31)들 사이에 적당하게 배치된다. 즉, 결속장치를 외부 폼(41)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타이볼트(50)와 척볼트(60)가 만나는 부위에 설치되는 캡(80)은타이볼트(50)의 볼트(51) 부분과 척볼트(60)의 척(61)에 형성된 나사홈(66)간의 결합 과정에서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해체 단계에서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콘크리트 양생 후 캡을 탈형 하면 탈형 부분은 벽구조물에 홈 형상으로 남는다.)
도 6의 (a)(b)(c)은 본 고안에 따른 결속장치에 의한 폼의 세팅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a)는 타이볼트(50)의 인서트 사전 단계로서, 먼저 외부 폼(41)의 판넬(30) 내표면에는 캡(8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붙어있고, 외부 폼(41)의 바깥으로는 지지대(70)가 있으며, 그 지지대(70) 안에는 척볼트(60)의 로드(62) 부분이 리턴스프링(64)에 탄지되어 있고, 척(61)은 외부 폼(41)을 관통하여 캡(80)의 공간에 안착시킨 상태로 척볼트(60)는 외부 폼(41)에 사전 세팅되어 있다.
(b)는 타이볼트(50)의 인서트 대기 상태로서, 외부 폼(41)을 기준으로 세팅된 결속장치의 캡(80)에 마련된 볼트 홈에 맞추어 타이볼트(50)의 선단 볼트(51) 부분을 내부 폼(40)에 마련된 홈을 먼저 관통시켜 척(61)이 있는 캡(80)의 홈(81)으로 밀어넣는 상태이다.
(c)는 타이볼트(50)의 인서트 상태로서, 타이볼트(50)의 선단 볼트(51)가 캡(80) 공간에서 그대로 척볼트(60)의 척(61)에 볼트 결합된 상태이다.
여기서, 척볼트(60)와 타이볼트(50)의 결합위치는 사전에 미리 정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볼트(50)의 결합에 조임력의 편차를 발생하지 않게 한다. 즉, 다수의 타이볼트를 사용하여 폼을 결속하는 경우 동일한 결합 접촉점을 통해 균일한 분포로 타이볼트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b)(c)(d)는 콘크리트 타설 양생후 폼 해체에 따른 본 고안의 결속장치의 해체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a)는 스피드 핸들(90)을 이용하여 척볼트(60)의 볼트머리(63)를 회전 시키는 상태로서, 스피드 핸들(90)을 이용하여 척볼트(60)를 돌리면 그 회전에 의해 척(61)의 나사홈(66)과 맞물려 있던 타이볼트(50)가 분리된다.
(b)는 척볼트(60)와 타이볼트(50)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타이볼트(50)를 결합하고 있던 척(61)이 타이볼트(50)의 볼트(51)로부터 약간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c)는 타이볼트(50)와 척볼트(60) 그리고 캡(80)이 완전히 분리되어 벽구조물(91)에서 탈거된 상태로서, 이 과정은 내부 폼(40)은 그대로 두더라도 외부 폼(41)의 탈거 과정에서 나타난다. 즉, 외부 폼(41)을 탈거하면, 외부 폼(41)에 내표면에 붙어있는 캡(80)과 그 바깥에 배치된 척볼트(60) 및 척볼트(6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70) 등의 모든 결속장치들이 벽구조물(91)로부터 분리되고, 타이볼트(50)만 경화된 벽구조물(91)에 매몰된 상태로 남게된다. 이 경우는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되어 폼의 해체 작업에 나타난다.
(d)는 내부 폼(40) 제거 상태를 보인 것으로, 타이볼트(50)의 전단핀(52)을 전단선(53)을 기준으로 잘라내어 내부 폼(40)을 분리하는 경우이다.
본 고안의 특징들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 폼의 세팅과 폼의 해체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본 고안의 결속장치에 의한 내.외부 폼의 세팅에서는 타이볼트(50)를 척볼트(60)에 맞추어 돌려 끼우는 것만으로 내.외부 폼(40)(41)의 세팅을 마칠 수 있다.
또한 내.외부 폼(40)(41)의 세팅 작업에서 타이볼트(50)는 그 상대측이 되는 척볼트(60)에 정확하게 볼트 결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성이 개선되고 시공도 간편하다.
내.외부 폼(40)(41)들의 해체단계에서도 스피드 핸들(90)을 사용하여 척볼트(60)를 회전시켜 타이볼트(50)로부터 분리한 뒤 간단하게 폼의 해체가 가능하다. 여기서 캡(80)도 폼과 함께 벽구조물로로부터 탈형되므로 별도의 캡 제거 작업이 필요없다.
내.외부 폼(40)(41)의 결속을 위해서 사용되는 타이볼트는 볼트 및 너트류, 와셔류, 핀류 등이 별도로 필요했으나, 본 고안의 결속장치는 이같은 모든 부속부품류를 지지대(70)를 중심으로 배치하여 분실이나 손실 그리고 부품 관리 등에 따른 불편은 개선하고 부품사용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외부 폼의 결속을 위한 세팅과 해체 시간을 단축 시켜 작업성과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내.외부 폼의 해체 인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내.외부 폼의 세팅과 해체 그리고 작업중 폼 결속장치의 각종 부품이한곳에 집중된 구조이므로 다 부품 관리부담을 줄여주고 이들 부품에 한 일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판넬과 보강빔을 구비하는 내.외부 폼과, 상기 내.외부 폼의 판넬간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내.외부 폼을 결속하고 내.외부 폼의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외부 폼 사이 간격에 타이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내.외부 폼 결속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볼트로 가공되어 있고 타단은 내부 폼에 결합되는 타이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체결하기 위하여 내경이 타이볼트의 볼트와 결합 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된 척을 단부상에 구비하고, 그 척으로 부터 연장된 로드 및 볼트머리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장착되는 척볼트와,
    상기 타이볼트의 볼트와 척볼트의 척의 맞물림과 분해 결합을 위해 외부 폼 판넬 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타이볼트와 척볼트의 결합과 탈거를 안내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의 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볼트의 일단을 전단핀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의 결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외경은 상기 캡의 구배면에 대응되는 구배면으로 형성되어 캡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의 결속장치.
KR2020020026697U 2002-09-06 2002-09-06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KR200298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97U KR200298073Y1 (ko) 2002-09-06 2002-09-06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97U KR200298073Y1 (ko) 2002-09-06 2002-09-06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73Y1 true KR200298073Y1 (ko) 2002-12-12

Family

ID=7312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697U KR200298073Y1 (ko) 2002-09-06 2002-09-06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9B1 (ko) * 2012-03-12 2013-09-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량형 타이볼트 장치를 가진 외단열 갱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09B1 (ko) * 2012-03-12 2013-09-05 주식회사 근하기공 개량형 타이볼트 장치를 가진 외단열 갱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388B2 (en) Tendon gripping device
JP4929331B2 (ja) 鉄骨露出型柱脚部の施工方法
US9169635B2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KR101095933B1 (ko) 거푸집 고정용 거치대
KR200298073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CA3101653C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KR200298072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200298071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 폼 결속장치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1057551B1 (ko) 기둥거푸집 고정장치
KR100980637B1 (ko) 보강 일체형 옹벽 시공을 위한 스페이서 겸용 지압판 및 이에 의한 옹벽 시공방법
CN114108837A (zh) 一种预埋套筒装置及其安装方法
CN108570939B (zh) 用于桥梁加固修复的结构及其加固修复方法
KR200439750Y1 (ko) 피에쓰씨 빔용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구조
KR200254795Y1 (ko) 거푸집 긴결 장치
KR200441943Y1 (ko) 슬래브 거푸집 패널
JP4031626B2 (ja) 内壁用型枠の支持構造
US20220212365A1 (en) Method of producing a plurality of concrete cast elements
KR101933536B1 (ko) 수축브레이드형 철근고정구
KR20100057991A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342782Y1 (ko)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CN114060378A (zh) 一种预埋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200347288Y1 (ko) 거푸집 체결용 윙너트의 체결해지 부재
JPH044456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支持装置のタイ金具および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