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64Y1 -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64Y1
KR200297664Y1 KR2020020021578U KR20020021578U KR200297664Y1 KR 200297664 Y1 KR200297664 Y1 KR 200297664Y1 KR 2020020021578 U KR2020020021578 U KR 2020020021578U KR 20020021578 U KR20020021578 U KR 20020021578U KR 200297664 Y1 KR200297664 Y1 KR 200297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hollow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준재
Original Assignee
명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준재 filed Critical 명준재
Priority to KR2020020021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64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의 바닥면과 세면대의 저면 사이에 중공 원기둥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중공 원기둥의 하단이 정화조용 하수구에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공 원기둥에 양변기의 몸체를 고정시키되 상기 몸체의 배수관이 상기 중공 원기둥 내에 연결되게 설치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용변시에 는 양변기가 세면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용변이 끝난 후에는 양변기가 세면대 밑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실 내에서 양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STOOL ROTATABLE FROM SIDE TO SIDE}
본 고안은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사용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후방의 축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일정량의 세척수가 항상 담겨진 상태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배설물을 모아두기 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일단이 힌지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과, 용변 후 배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겨진 물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화장실의 일측 벽체에서 평균 신장을 가진 성인의 대략 허리 높이에 가로로 설치되며 한쪽에 세면기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의 하부에 위치되는 양변기는, 사용 편의상 세면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어 화장실의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화장실 내에서 양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클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실의 바닥면과 세면대의 저면 사이에 중공 원기둥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중공 원기둥의 하단이 정화조용 하수구에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중공 원기둥에 양변기의 몸체를 고정시키되 상기 몸체의 배수관이 상기 중공 원기둥 내에 연결되게 설치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사용 및 비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는, 일정량의 세척수가 항상 담겨진 상태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배설물을 모아두기 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일단이 힌지(21)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20)과, 용변 후 배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겨진 물탱크(30)로 이루어지며, 화장실의 일측 벽체의 소정 높이에 가로로 설치되며 한쪽에 세면기(41)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양변기이다. 이 양변기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양변기에 있어서, 화장실 바닥면의 정화조용 하수구와 상기 세면대(40)의 저면 사이에는 상하 각각 연결관(53)을 중공 원기둥(5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에는 O-링 형상에서 그 양단을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이 조여져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단 부근의 외주면에는 O-링 형상에서 그 양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이 조여져 설치된다.
상기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 및 고정 브라켓(13)의 각각의 양단에는 체결구(60)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55a, 1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배수관(15)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하단 부근에는 상기 몸체(10)의 배수관(15)이 삽입되는 삽입공(57)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기본 구성은, 일정량의 세척수가 항상 담겨진 상태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배설물을 모아두기 위한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상측에 일단이 힌지(21)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20)과, 용변 후 배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겨진 물탱크(30)로 이루어져 있다. 힌지(21)에는 좌판(20)을 덮는 덮개(29)가 더 연결되어 있다.
또한, 화장실의 일측 벽체에서 소정 높이, 즉 평균 신장을 가진 성인의 대략 허리 높이에 가로로 세면대(40)가 설치되며, 세면대(40)의 한쪽에는 세면기(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양변기는 세면대(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화장실 바닥면의 정화조용 하수구와 세면대(40)의 저면 사이에는 상하 각각 연결관(53)을 개재하여 중공 원기둥(5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공 원기둥(50)의 상하단부는 외주면에 끼움 홈(5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 홈(50a)에 연결관(53)의 하단 또는 상단의 내주면이 끼워 맞춰지므로 중공 원기둥(50)은 연결관(5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중공 원기둥(50)의 하단부가 하부 연결관(53)의 내주면 내에 배치되므로 중공 원기둥(50)을 통해서 하부로 흐르는 배수가 중공 원기둥(50)과 하부 연결관(53) 사이의 연결 부위에서 밖으로 누설되는 일이 없다. 또한, 중공 원기둥(50)의 하단부의 외주면이 하부 연결관(53)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지므로 정화조용 하수구의 냄새가 화장실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중공 원기둥(5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중공 원기둥(50)의 상단 또는 하단의 끼움 홈(50a)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로 이격된 2개의 제한 돌기(52)들을 설치하고, 상부 또는 하부 연결관(53)의 외주면에는 중공 원기둥(50)의 제한 돌기(52)들과 측면이 맞닿는 하나의 걸림 돌기(5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중공 원기둥(50)의 소정 높이, 즉, 평균 신장을 가진 성인의 대략 무릎 높이의 외주면에는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이 조여져 설치되고, 몸체(10)의 상단 부근의 외주면에는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이 조여져 설치된다.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와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은 O-링 형상에서 그 양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 형태이며, 이 연장된 양단에는 복수의 체결공(55a, 1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체결공(55a, 13a)들은 체결구(60)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과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13)은 서로 연결되며,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13)은 양변기의 몸체(13)을 고정한 채로 중공 원기둥(50)의 고정 브라켓(55)에 대하여 수평으로 지지된다.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이 중공 원기둥(50)의 외주면에서 아래로 밀리지 않고 제위치에 확고하게 지지되게 하기 위해서는, 중공 원기둥(50)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에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을 끼우기 위한 지지 홈(5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이 양변기의 몸체(12)을 확고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몸체(10)의 상단 부근의 외주면에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을 끼우기 위한 고정 홈(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양변기의 몸체(10)의 하부에 배수관(15)을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중공 원기둥(50)의 하단 부근에 몸체(10)의 배수관(15)이 밀봉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57)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하부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고 좌우로 회동 가능하면서도 몸체(10) 내의 세척수를 정화조의 하수구로 보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용변시에 양변기의 몸체(10)를 좌측으로 밀면 중공 원기둥(50)이 연결관(53)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40)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용변이 끝난 후에 양변기의 몸체(10)를 우측으로 밀면 중공 원기둥(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40)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에 의하면, 용변시에 는 양변기가 세면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용변이 끝난 후에는 양변기가 세면대 밑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실 내에서 양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량의 세척수가 항상 담겨진 상태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배설물을 모아두기 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일단이 힌지(21)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20)과, 용변 후 배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겨진 물탱크(30)로 이루어지며, 화장실의 일측 벽체의 소정 높이에 가로로 설치되며 한쪽에 세면기(41)가 일체로 형성된 세면대(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양변기에 있어서,
    화장실 바닥면의 정화조용 하수구와 상기 세면대(40)의 저면 사이에는 상하 각각 연결관(53)을 중공 원기둥(5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에는 O-링 형상에서 그 양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이 조여져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부근의 외주면에는 O-링 형상에서 그 양단을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한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이 조여져 설치되고,
    상기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 및 고정 브라켓(13)의 각각의 양단에는 체결구(60)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55a, 13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배수관(15)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하단 부근에는 상기 몸체(10)의 배수관(15)이 삽입되는 삽입공(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상하단부는 외주면에 끼움 홈(5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 홈(50a)에는 상기 연결관(53)의 하단 또는 상단의 내주면이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상단 또는 하단의 끼움 홈(50a)에 인접한 외주면에는 소정 각도로 이격된 2개의 제한 돌기(52)들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연결관(5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한 돌기(52)들과 측면이 맞닿는 하나의 걸림 돌기(5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기둥(50)의 소정 높이의 외주면에는 양단 조임형 지지 브라켓(55)을 끼우기 위한 지지 홈(5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부근의 외주면에는 양단 조임형 고정 브라켓(13)을 끼우기 위한 고정 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KR2020020021578U 2002-07-19 2002-07-19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KR200297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78U KR200297664Y1 (ko) 2002-07-19 2002-07-19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78U KR200297664Y1 (ko) 2002-07-19 2002-07-19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64Y1 true KR200297664Y1 (ko) 2002-12-12

Family

ID=7308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78U KR200297664Y1 (ko) 2002-07-19 2002-07-19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7664Y1 (ko) 좌우 회동 가능한 양변기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US10550559B2 (en) Urinal toilet device
JPH1143975A (ja) 浴室ユニットの浴槽排水構造
KR0130896Y1 (ko) 세족기가 부설된 좌변기
KR20070025341A (ko) 배수트랩
JPH0913462A (ja) 排水口の防臭装置
JPH036689Y2 (ko)
KR200240390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남성용 소변기
JP7255776B2 (ja) 浴室トイレ
KR101038061B1 (ko)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설치구조
JPH03458Y2 (ko)
WO2011067579A1 (en) Urinal waste outlet cap
JP3422766B2 (ja) ユニットバスの排水トラップ
KR200286655Y1 (ko) 하부 일측에 소변기 배수공과 연결키 위한 연결공이구비된 좌변기
CN218713666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易冲型蹲便器
JPH07532Y2 (ja) 洗面化粧台
KR200200797Y1 (ko) 집수판
CN213086974U (zh) 防堵塞台式蹲便器
KR200371456Y1 (ko) 소변기의 악취차단캡 구조
WO2007019615A1 (en) Waste outlet fitting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KR20000037450A (ko) 폐수를 이용한 변기 세척수 공급장치
KR100524187B1 (ko) 건축 및 도로용 개폐식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