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12Y1 -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12Y1
KR200297612Y1 KR2020020013563U KR20020013563U KR200297612Y1 KR 200297612 Y1 KR200297612 Y1 KR 200297612Y1 KR 2020020013563 U KR2020020013563 U KR 2020020013563U KR 20020013563 U KR20020013563 U KR 20020013563U KR 200297612 Y1 KR200297612 Y1 KR 200297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hook
screw
hanger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석
Original Assignee
장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규석 filed Critical 장규석
Priority to KR2020020013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12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깃발을 게양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요지는 걸이구지지부(20)(20')는 국기봉(10)의 외면을 압입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요부(11)를 각각 형성하고, 걸이구(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면서, 후단에 상기의 요부(11) 직경과 같은 직경의 내경을 가진 원형고리부(31)를 구성하고 원형고리부(31)의 양단이 각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돌출되어 끝단에 걸고리부(32)를 구성하며, 걸고리부(32)의 개방부(34) 부근에는 나사부(33)를 구성한 후, 나사부(33)에 나사관(35)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기봉(10)에 깃발(1)를 게양함에 있어서, 상하부의 걸이구지지부(20)(20')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고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게양을 완료할 수가 있으며, 또한 게양된 후에는 고리부(32)로부터 깃발(1)이 쉽게 이탈되지 아니함은 물론이고 나사관(35)을 움직여 나사부(33)를 감싸게 되면 절대로 깃발이 이탈되지 아니하므로 이탈될 염려에 대하여 안심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A hoist structure for flag}
본 고안은 국기, 민방위기 등의 각종 깃발을 게양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깃발을 국기봉에 걸어주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견고하게 게양된 상태가 유지되는 등 게양상태가 양호하며, 바람의 방향 변화에 의한 깃발의 회전도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깃발을 게양할 때는 국기봉에 로우프를 걸고 로우프에 깃발을 매달아 게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로우프가 바람에 날리므로 깃발이 게양된 상태가 단정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바람의 방향이 바뀜에 의해 깃발이 국기봉에 감기기도 하며, 깃발을 로우프에 걸어주는 것이 불편할 뿐 아니라 게양된 상태에서 묶은 상태가 풀어져버리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국기봉에 걸이구를 고정한 후 걸이구에 깃발을 바로 걸어주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을 보면 국기봉에 걸이구를 설치하는 것과 걸이구에 깃발을 걸어주는 등의 구성이 복잡하고 깃발을 걸어주는 동작이 불편한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에 의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깃발을 게양하는 구조가 최대한으로 간단하고 깃발을 걸어주거나 제거하는 동작이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게양된 상태가 매우 단정하고 견고한 깃발 게양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깃발이 게양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걸이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걸이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국기봉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깃발 2: 걸이구멍
10, 10': 국기봉 11, 11', 11": 요부
13: 돌출부 14: 암나사
15: 수나사 20, 20': 걸이구지지부
30: 걸이구 31, 31': 원형고리부
32, 32': 걸고리부 33: 나사부
34: 개방부 35: 나사관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깃발이 게양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국기봉(10)의 상단에 걸이구(30)가 설치되는 걸이구지지부(20)가 구성된 후 걸이구(30)에 깃발(1)의 상단이 걸린 상태를 알 수 있고, 깃발(1)의 하단부 위치에 해당하는 국기봉(10)에도 역시 걸이구(30)가 설치되는 걸이구지지부(20')를 구성한 후 걸이구(30)에 깃발(1)의 하단이 걸려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라 할 수 있는 걸이구지지부(20)(20')의 구성을 상세히 알 수 있도록 한 단면도로서, 걸이구지지부(20)(20')는 국기봉(10)의 외면에 걸이구(30)가 걸려 흘러 내리지 않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요부(11)를 각각 형성하고 여기에 걸이구(30)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의 걸이구지지부는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도면상 2개를 도시하였으나 그 구성 숫자에는 제한이 있을 수 없으며, 여러 개의 걸이구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게양할 깃발의 규격에 따라 적합한 걸이구지지부를 선택하여 게양을 하도록 함이 편리할 것이다.
걸이구(30)의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걸이구(3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면서, 후단에 상기의 요부(11) 직경 보다 조금 더 큰 내경을 가진 원형고리부(31)가 구성되고 원형고리부(31)의 양단이 반원형 단면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에 걸고리부(32)가 구성되는데, 걸고리부(32)는 원형고리부(31)의 일측이 연장되어 타원형을 이루면서 다른 일측은직선부만으로 구성되어 개방부(34)가 이루어진다.
또한 걸고리부(32)의 개방부(34) 부근에는 나사부(33)를 구성하고 개방부(34)를 통하여 나사관(35)을 삽입함으로써 나사부(33)에 나사관(35)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걸이구(30)를 국기봉(10)에 결합할 때는 원형고리부(31)를 벌려서 삽입을 하고 요부(11)에 다다르면 탄성력으로 직경이 수축되면서 삽입이 되며, 나사관(35)이 결합되면 원형고리부(31)가 이탈되는 것을 완전하게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깃발(1)은 걸이구(30)의 걸고리부(32)를 깃발(1)에 형성되는 걸이구멍(2)에 끼운 다음 나사관(35)을 나사부(33)에 결합시키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깃발게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국기봉(10)에 걸이구(30)가 설치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걸이구(30)가 설치되는 구성을 보면 국기봉으로부터 걸이구가 돌출되지 않고 일직선으로 매끈하게 결합이 되므로 매우 단정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며, 깃발(1)을 게양하거나 제거하는 작업도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하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실시 예를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요부를 구성함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하 2개의 돌출부(13)를 형성함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이 요부(11')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관이 더욱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이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서,걸이구(30')의 걸고리부(32')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리되지 않은 연결부(32a)를 구성한 후 끝단에 걸고리부(32')를 구성하고, 이때에 원형고리부(31')의 일측부분을 상하로 두께가 2등분되도록 절개한 절개부(32b)를 형성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걸이구(30')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구성실시 예는 국기봉에 요부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국기봉(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몇 개의 관체로 분리 구성한 후 이를 결합하여 국기봉(10')을 구성하는데, 걸이구(30)가 설치되어야 할 부분을 결합하는 부위로 설정을 한 후 각 암나사(14)와 수나사(15)를 구성하여 결합을 하면서 수나사(15)의 하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구성하여 이러한 부분이 걸이구(30)가 결합될 요부(11")가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는 국기봉의 길이가 상당히 긴 경우나 가정용으로 국기봉을 분리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국기봉(10)에 깃발(1)을 게양함에 있어서, 상하부의 걸이구지지부(20)(20')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외관 또한 단정하고, 설치된 걸이구(30)의 고리부(32)에 깃발(1)의 걸이구멍(2)을 끼워주는 것만으로 게양을 완료할 수 있어서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게양을 완료할 수가 있으며, 또한 깃발을 제거하는 것도 간편하므로 세탁이 필요하여 여러 개의 깃발을 수거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 깃발의 회전을 위한 걸이구(30)의 원형고리부(31)가 요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깃발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게양된 후에는 고리부(32)로부터 깃발(1)이 쉽게 이탈되지 아니함은 물론이고 나사관(35)을 움직여 나사부(33)를 감싸게 되면 깃발과 걸이구가 절대 이탈되지 아니하므로 이탈될 염려에 대하여 안심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국기봉(10)의 상단부에 걸이구가 설치되어 깃발(1)의 상단이 걸리고, 깃발(1)의 하단부 위치에 해당하는 국기봉(10)에도 역시 걸이구가 설치되어 깃발(1)의 하단이 걸리는 깃발 게양구조에 있어서,
    걸이구지지부(20)(20')는 국기봉(10)의 외면에 걸이구(30)가 걸려 흘러내리지 않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요부(11)를 각각 형성하고,
    여기에 삽입되는 걸이구(3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면서, 후단에 상기의 요부(11) 직경보다 조금 더 큰 내경을 가진 원형고리부(31)를 구성하고 원형고리부(31)의 양단이 각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돌출되어 끝단에 걸고리부(32)를 구성하되,
    걸고리부(32)는 원형고리부(31)의 일측이 연장되어 타원형을 이루면서 다른 일측은 직선부만으로 구성되어 개방부(34)가 이루어지게 하고 걸고리부(32)의 개방부(34) 부근에는 나사부(33)를 구성한 후, 나사부(33)에 나사관(35)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국기봉(10)에 요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하 2개의 돌출부(13)를 형성함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이 요부(11')가 되도록 하고, 걸이구는 원형고리부(31')의 일측부분을 상하로 두께가 2등분되도록 절개부(32b)를 형성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국기봉에 요부를 형성하는 다른 구성으로, 국기봉(10')을 몇 개의 관체로 분리 구성한 후 이를 결합하여 국기봉(10')을 구성하되, 걸이구(30)가 설치되어야 할 부분을 결합하는 부위로 설정을 한 후 각 암나사(14)와 수나사(15)를 구성하여 결합을 하면서 수나사(15)의 하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구성하여 이러한 부분이 요부(11")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KR2020020013563U 2002-05-03 2002-05-03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KR200297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3U KR200297612Y1 (ko) 2002-05-03 2002-05-03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63U KR200297612Y1 (ko) 2002-05-03 2002-05-03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12Y1 true KR200297612Y1 (ko) 2002-12-18

Family

ID=7312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63U KR200297612Y1 (ko) 2002-05-03 2002-05-03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6739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
KR200297612Y1 (ko) 회전식 깃발 게양구조
JP3179397U (ja) ハンガー
JP2005245729A (ja) ペット用衣服掛け
KR100356269B1 (ko) 단추
JP3226741U (ja) 高強度の組立紐止め構造
KR200203033Y1 (ko) 회전형 낚시용 봉돌
KR200249249Y1 (ko) 우럭채비를 겸한 지선연결구
KR200213670Y1 (ko) 엉킴방지용 국기 게양봉
KR200324335Y1 (ko) 핀온릴의 회전방지 구조
KR200334487Y1 (ko) 낚시줄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대낚시대
KR200212205Y1 (ko) 물고기 꿰미
KR200361568Y1 (ko) 물고기 꿰미
JP3262774B2 (ja) 釣針付き仕掛け
JP3097996B2 (ja) 吊り下げ具
KR200386150Y1 (ko) 안전핀
KR100545982B1 (ko) 낚시줄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대낚시대용 릴
KR200174168Y1 (ko) 낚시대 손잡이 마개
JP3001408U (ja) 中通し竿用のトップガイド
JP3139484U (ja) 狭い襟ぐりでも出し入れできる落下しない洗濯ハンガー
KR200205022Y1 (ko) 단추
KR200244051Y1 (ko) 멀티 깃대
KR200321945Y1 (ko) 엉킴방지 및 처짐방지용 낚시채비
JP2005046385A (ja) ハンガー
JP3065341U (ja) ハン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