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376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376Y1
KR200297376Y1 KR2020020027332U KR20020027332U KR200297376Y1 KR 200297376 Y1 KR200297376 Y1 KR 200297376Y1 KR 2020020027332 U KR2020020027332 U KR 2020020027332U KR 20020027332 U KR20020027332 U KR 20020027332U KR 200297376 Y1 KR200297376 Y1 KR 200297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ing
coupling
circumferential surface
potted pla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20020027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376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의 모서리에 대각으로 마주보도록 안치부 및 안치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모서리에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이웃한 화분과 비뚤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을 다양한 각도로 연속 결합하면서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는 화분에 있어서, 몸체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면서 방사상 일측 원주면이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안치판과, 안치판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치공과, 안치판의 상부면 상에서 안치공을 중심으로 안치판의 원주면 끝단까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 배치되는 안치홈을 갖는 안치부; 및 몸체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면서 안치공에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돌기와, 결합돌기의 원주면 상에서 안치홈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안치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대를 갖으며, 결합대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몸체의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분{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모서리에 대각으로 마주보도록 안치부 및 안치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모서리에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이웃한 화분과 비뚤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을 다양한 각도로 연속 결합하면서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관상을 목적으로 또는 채소와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화분들은 도로변 등과 같은 곳에 배치되어 도로변의 풍경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시인들에게 자연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다수의 화분에 흙과 함께 식물을 식재한 상태에서 도로의 주변 자리에 일렬 또는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화분들을 배치한다.
그런데, 전술한 화분들은 이웃한 화분들과 분리되어 있어 조그마한 충격에도 대형(隊形)에서 이탈되어 들쑥날쑥하게 비뚤어져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개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간혹 화분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의 모서리에 대각으로 마주보도록 안치부 및 안치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모서리에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이웃한 화분과 비뚤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을 다양한 각도로 연속 결합하면서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A 및 B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화분 110 : 안치부
112 : 안치판 114 : 안치공
116 : 안치홈 120 : 결합부
122 : 결합돌기 124 : 결합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는 화분에 있어서;
몸체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면서 방사상 일측 원주면이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안치판과, 안치판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치공과, 안치판의 상부면 상에서 안치공을 중심으로 안치판의 원주면 끝단까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 배치되는 안치홈을 갖는 안치부; 및
몸체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면서 안치공에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돌기와, 결합돌기의 원주면 상에서 안치홈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안치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대를 갖으며, 결합대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몸체의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의 모서리에 대각으로 마주보도록 안치부 및 안치부에 대응하는 또 다른 모서리에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이웃한 화분과 비뚤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을 다양한 각도로 연속 결합하면서 배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A 및 B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분(100)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형상의 몸체(12)를 구비하며, 또한 몸체(12)의 서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동일한 형상의 안치부(110) 및 마찬가지로 서로 대각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부분에 동일한 형상의 결합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안치부(110)는 원판형상의 안치판(112)을 구비한다. 이러한 안치판(112)의 방사상 일측 원주면은 몸체(12)의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며, 중앙부분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환형의 안치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안치판(112)의 상부에는 안치판(112)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안치홈(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치홈(116)은 안치공(114)을 중심으로 안치판(112)의 원주면 끝단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결합부(120)는 안치부(110)의 안치공(114)에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돌기(122) 및 결합돌기(122)의 원주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안치홈(116)에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대(124)를 구비한다. 이때, 결합대(124)는 안치홈(11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결합돌기(122)의 원주면 끝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배치되고, 다수의 결합대(124)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몸체(12)의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화분(100)은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화분(100)을 연결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화분(100)이 필요하다. 도 3a 및 3b에서는 두개의 화분(100, 100a)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분(100, 100a)이 준비되면, 화분(10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결합부(120)를 또 다른 화분(100a)의 안치부(110a)에 안치시킨다. 이때, 결합부(120)의 결합돌기(122)는 안치부(110)의 안치공(114)에 안치되고, 각각의 결합대(124)는 각각의 안치홈(116)에 안치된다. 이와 같이 화분(100, 100a)의 일측 모서리부분이 연결되면, 마지막으로 타측 모서리부분을 연결하게 되는데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분(100)의 안치부(110)에 또 다른 화분(100a)의 결합부(122a)를 안치시킨다. 한편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100)과 또 다른 화분(100a)과 각도를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도면으로써, 결합된 화분(100)의 안치부(110)와 또 다른 화분(100a)의 결합부(120a) 사이에는 수직하게 관통하는 볼트(14) 및 관통된 볼트(14)에 체결되는 너트(16)에 의해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분(100)은 몸체(12)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다수의 안치홈(116)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치부(110) 및 마찬가지로 몸체(12)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안치홈(116)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대(124)가 형성된 결합부(120)를 구비함으로써, 화분(100)을 비뚤어짐 없이 연속적을 배열할 수 있으며 안치홈(116)에 결합대(124)가 다양한 각도로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과, 화분(100)을 다양한 각도로 연속 결합하면서 배열할 수 있는 잇점이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12)를 구비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면서 방사상 일측 원주면이 상기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원판형상의 안치판(112)과, 상기 안치판(112)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치공(114)과, 상기 안치판(112)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안치공(114)을 중심으로 상기 안치판(112)의 원주면 끝단까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안치홈(116)을 갖는 안치부(110); 및
    상기 몸체(12)에서 대각으로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면서 상기 안치공(114)에 끼워지는 환형의 결합돌기(122)와, 상기 결합돌기(122)의 원주면 상에서 상기 안치홈(116)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치홈(116)에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대(122)를 갖으며, 상기 결합대(122)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은 상기 몸체(12)의 상기 모서리부분에 일체로 부착되는 결합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상기 안치부(110) 및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결합부(120) 및 상기 안치부(11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볼트(14) 및 관통된 상기 볼트(14)에 체결되는 너트(16)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20020027332U 2002-09-12 2002-09-12 화분 KR200297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32U KR200297376Y1 (ko) 2002-09-12 2002-09-12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32U KR200297376Y1 (ko) 2002-09-12 2002-09-12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376Y1 true KR200297376Y1 (ko) 2002-12-11

Family

ID=7312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332U KR200297376Y1 (ko) 2002-09-12 2002-09-12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3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378A (en) Landscaping system
US20070227068A1 (en) Wraparound flower planter
USD415583S (en) Decorative tree light set
US7707768B2 (en) Landscape device
KR200297376Y1 (ko) 화분
KR200471719Y1 (ko)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US8091277B1 (en) Plant container having an elongated member for attachment within the ground and method for use thereof
EP1459620B1 (en) Improved plant tray
JP3117647U (ja) ポット苗の寄せ植え用固定具
JP3338689B2 (ja) 植木鉢及び植木鉢ユニット
JP2000041491A (ja) 連結鉢
USD461867S1 (en) Ground stake
JP3320689B2 (ja) 組立式植木鉢
WO2016189315A1 (en) Support apparatus
US20180271306A1 (en) Multipurpose vase
JPH0728833Y2 (ja) 植木鉢載置装置
JP3155381U (ja) 雑草防護具
KR0127267Y1 (ko) 적층식 재배용기
JPH0937651A (ja) 植木鉢転倒防止受皿
JP3197745U (ja) 組立式植木鉢
JP2809766B2 (ja) 樹木の支持装置
KR200288893Y1 (ko) 화분용 식물 지지대
JP3074122U (ja) 植木鉢台座
JPS5913796Y2 (ja) 植木鉢の転倒防止用カバ−
JP3044990U (ja) 柱を巻く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