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66Y1 - 탑재용 공용베이스 - Google Patents

탑재용 공용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66Y1
KR200297266Y1 KR2020020027254U KR20020027254U KR200297266Y1 KR 200297266 Y1 KR200297266 Y1 KR 200297266Y1 KR 2020020027254 U KR2020020027254 U KR 2020020027254U KR 20020027254 U KR20020027254 U KR 20020027254U KR 200297266 Y1 KR200297266 Y1 KR 200297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equipment
mounting
coupl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철
Original Assignee
권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철 filed Critical 권영철
Priority to KR2020020027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6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의 탑재용 공용베이스는, 발전기나 엔진펌프 등을 탑재하는 조립결합식 베이스로 이는 협소한 공간이나 운반경로가 좋지 않는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성부들을 분해 후 운반하여 조립결합되는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하부단편과, 상기 결합구멍에 대응하도록 자체적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부단편 상부에 일방이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방은 상기 기기 및 장비와 부분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장비결합부분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편들은 이동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하부단편으로부터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운반 및 설치에 어려움이 많았던 기계설비의 베이스를 조립결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동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탑재용 공용베이스{The common useful base for embarkation}
본 고안은 탑재설비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발전기나 엔진펌프 등을 탑재하는 조립결합식 베이스로 이는 협소한 공간이나 운반경로가 좋지 않는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성부들을 분해 후 운반하여 조립결합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능률성을 기할 수 있는, 탑재용 공용베이스를 제시한 것이다.
하나의 건물에는 많은 내부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즉, 조명을 위한 전기시스템,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시스템, 공기의 순환을 위한 배기시스템 등 다양한 시설이 종합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또한 건물자체의 발전이나 동력을 위해 발전기나 발전시설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며, 소방(소화)펌프는 건물마다 갖추어야 할 의무시설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설비들이 설치되는 장소는 천차만별이어서, 각종 설비들을 위해 넉넉하고 정돈된 설치장소가 준비되어 있는 건물이 있는가 하면, 설비들의 운반경로가 협소하고 설치장소 또한 비좁은 건물들이 대부분이다.
발전기나 소방펌프 등의 설비에는 하부에 베이스(base, '베드'라고도 함)가 결합된다. 이 베이스는 설비의 받침대, 건물의 바닥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완충기능, 건물 바닥으로 일정 거리를 이격시킴으로써 바닥에 고일 수도 있는 물이나 기타 이물질들로부터 장비를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베이스를 특별한 고려없이 완전 용접시켜 베이스를 완성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설치해 왔으며 그에 따른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나 소화펌프 등은 적게는 수백 kg에서 많게는 수 톤에 이를 정도로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완전결합된 상태에서는 부피 또한 커서 건물내 설치장소나 운반경로가 정돈되지 못한 경우,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전기나 엔진펌프 등의 설비를 탑재하는 조립결합식 베이스로 협소한 공간이나 운반경로가 좋지 않는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성부들을 분해 후 운반하여 조립결합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능률성을 기할 수 있는, 탑재용 공용베이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재용 공용베이스의 부분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재용 공용베이스에 소방펌프가 탑재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부베이스단편 102 : 펌프베이스단편
103 : 배터리베이스단편 104 : 가로단편
105 : 연료탱크결합편 106 : 수직단편
201 : 엔진 202 : 펌프
203 : 용수관 204 : 보조펌프
205 : 압력탱크 206 : 라지에다
207 : 배터리 208 : 조작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탑재용 공용베이스는, 기기 및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조립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하부단편과, 상기 결합구멍에 대응하도록 자체적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부단편 상부에 일방이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방은 상기 기기 및 장비와 부분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장비결합부분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편들은 이동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하부단편으로부터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재용 공용베이스의 부분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탑재용 공용베이스에 소방펌프가 탑재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내에 설비되는 다양한 설비시스템 중 소방펌프 시스템이 조립결합되는 공용베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에 탑재용 공용베이스는 소방펌프를 설비하기 위한 공용베이스이며, 이러한 공용베이스는 2개의 하부베이스단편(101), 펌프베이스단편(102), 배터리베이스단편(103), 2개의 가로단편(104), 연료탱크결합편(105), 수직단편(106)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단편들의 모양을 제작한 다음에는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맞게 결합구멍을 뚫는다. 이때는 결합시 어느 정도 어긋날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장 모양의 기호처럼 중간이 긴 형태의 원형 구멍을 뚫는다.
이렇게 각 단편의 제작이 끝난 다음에 결합시에는, 먼저 2개의 하부베이스단편(101)을 도 1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띄워 놓는다. 이 하부베이스단편(101)은 공용베이스가 설치완성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여 떠 바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수백Kg 내지 수 톤의 무게에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그 모양도 최대한 큰 지지력을 낼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 후 다수의 직각 및 수직 결합형 단편을 결합시키게 되는 데, 먼저 하부베이스단편(101)과 직각으로 2개의 가로단편(102)과 펌프베이스단편(103)을 올려놓고 조립결합한다. 다음으로 하부베이스단편(101)의 중앙부위에 배터리베이스단편(104)과 연료탱크결합편(105)을 하부베이스단편(101)의 양쪽으로 각각 조립결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직단편(106)을 결합하면 공용베이스가 완성된다.
하지만 소방펌프 설치작업에 있어서는 필요한 단편, 일례로 수직단편(106) 같은 단편은 장비를 먼저 위치시킨 다음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공용베이스에 설치되는 예로는 도 2와 같이 엔진펌프의 경우, 다수의 가로단편들 상부에 중심위치에 엔진(201)이 설치되고 이 엔진(201)에 맞추어 펌프(202)가 연결되며, 용수관(203)을 통하여 보조펌프(204)로 통하는 압력탱크(205)로 연결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비되어 있다. 또한 펌프(202)가 있는 엔진(201)반대 위치에는 라지에다(206)가 설치되어 있고, 라지에다(206) 하부에는 배터리(207)가, 상부에는 조작변(20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수직단편(106)이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엔진펌프와 발전장치들은 결합완성된 상태에서는 그 크기와 부피가 클 뿐아니라 요철(凹凸) 부분이 많아 이동 및 운반시 걸리는 부분이 많고, 설치시에도 복잡한 것이 많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베이스가 엔진펌프와 결합되어 통체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작업이 어려우며, 설치장소가 협소하거나 여유가 적은 곳으로는 이동조차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단편들을 옮길 수 있고 엔진펌프의 경우도 어느 정도 알맞은 크기로 분리시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의 설치시 용접의 문제점도 없어 안전한 부분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종래 이동 운반 및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한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안은 종래 운반 및 설치에 어려움이 많았던 발전기, 엔진펌프 등 기계설비의 베이스를 조립결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동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간의 협소함 등에 제한 받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기기 및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조립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하부단편과,
    상기 결합구멍에 대응하도록 자체적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하부단편 상부에 일방이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방은 상기 기기 및 장비와 부분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장비결합부분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편들은 이동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용 공용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은
    각 단편의 결합구멍이 완전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결합이 용이하도록 운동장 기호 형상의 원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용 공용베이스.
KR2020020027254U 2002-09-11 2002-09-11 탑재용 공용베이스 KR200297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54U KR200297266Y1 (ko) 2002-09-11 2002-09-11 탑재용 공용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54U KR200297266Y1 (ko) 2002-09-11 2002-09-11 탑재용 공용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66Y1 true KR200297266Y1 (ko) 2002-12-11

Family

ID=7312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54U KR200297266Y1 (ko) 2002-09-11 2002-09-11 탑재용 공용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67B1 (ko) 2012-06-18 2012-11-30 박갑선 포드 인양장치 하중시험용 치구
KR20200024455A (ko) * 2018-08-28 2020-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형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67B1 (ko) 2012-06-18 2012-11-30 박갑선 포드 인양장치 하중시험용 치구
KR20200024455A (ko) * 2018-08-28 2020-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형체장치
KR102494423B1 (ko) * 2018-08-28 2023-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형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4226B (zh) 电站和用于运输燃烧发动机的组件及其构建方法
US11702919B2 (en) Adaptive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US20230071116A1 (en) Single-transport mobile electric power generation
EP3186490B1 (en) Gas turbine engine packag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5190210A (zh) 气冷模块化的lng生产设备
CN1322216C (zh) 低温空气分离设备及其制造方法
US10443580B2 (en) Wind turbine generator assemblies
CN105928179A (zh) 空调器
PL2181225T3 (pl) Budynek zawierający wiele modułów
KR200297266Y1 (ko) 탑재용 공용베이스
CN204591482U (zh) 燃气涡轮封壳设备
US20230349279A1 (en) Adaptive Mobile Power Generation System
CN104595037A (zh) 组装燃气涡轮封壳的方法
CN110925146A (zh) 一种海上风电导管架支承座
JP2008144554A (ja) 防音エンクロージャ及び防音エンクロージャの構築方法
KR101619246B1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CN214118332U (zh) 大型厢式发电站整机结构
KR100398907B1 (en) Built-up tree protection cover
JP2006327292A (ja) エンジンケーシング内の艤装ユニット
JP2002195054A (ja) ガスタービン設備
KR20180061922A (ko) 파이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CN215168399U (zh) 一种装配式商宅的预制组合结构
CN205354798U (zh) 一种模块化户外变压器箱
FI56739C (fi) Sjaelvbaerande ramkonstruktion och anordning foer en flyttbar i faerdigmonterat skick foerlaeggbar vaermecentral
CN215760697U (zh) 拼装式墙板及活动板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