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819Y1 - 무릎관절 보호밴드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보호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819Y1
KR200296819Y1 KR2020020024282U KR20020024282U KR200296819Y1 KR 200296819 Y1 KR200296819 Y1 KR 200296819Y1 KR 2020020024282 U KR2020020024282 U KR 2020020024282U KR 20020024282 U KR20020024282 U KR 20020024282U KR 200296819 Y1 KR200296819 Y1 KR 200296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protection band
jade
outer shell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020024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81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릎보호밴드는 무릎에 착용하였을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위해 어느정도의 견고함을 가지면서 무릎부위를 조여주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릎보호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경우 무릎을 접었다 폈다 하는 과정에서 무릎의 반대편(오금)이 외피에 의해 눌리면서 안락함 보다는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무릎보호밴드는 일상생활 이나 수면중에 사용함에 불편을 주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무릎부분 전체를 감싸는 외피를 형성하고, 이 외피의 내측에 무릎부분을 보온하는 융재질의 바닥재를 결합한 후 그 위에 내분비선에 고여있는 불순물의 배출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자석 및 옥을 배치하므로서, 착용감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활동할때나 수면중일때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무릎의 피곤이나 관절의 아픔을 다소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릎관절 보호밴드{Knee protection band}
본 고안은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감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활동할때나 수면중일때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무릎의 피곤이나 관절의 아픔을 다소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나 관절염 등 무릎에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여름철에 이불을 덮지 않고 자거나 계절에 관계없이 수면 후 관절이 빳빳해지는 증상이 발생하고, 심할경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같이 무릎관절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 무릎보호밴드이다.
종래의 무릎보호밴드는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할 수 있는 모양의 외피를 구비하고, 이 외피의 내측으로 무릎을 보온하기 위한 보온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무릎보호밴드는 무릎에 착용하였을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위해 어느정도의 견고함을 가지면서 무릎부위를 조여주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릎보호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경우 무릎을 접었다 폈다 하는 과정에서 무릎의 반대편(오금)이 외피에 의해 눌리면서 안락함 보다는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무릎보호밴드는 일상생활 이나 수면중에 사용함에 불편을 주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무릎부분 전체를 감싸는 외피를 형성하고, 이 외피의 내측에 무릎부분을 보온하는 융재질의 바닥재를 결합한 후 그 위에 내분비선에 고여있는 불순물의 배출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자석 및 옥을 배치하므로서, 착용감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활동할때나 수면중일때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무릎의 피곤이나 관절의 아픔을 다소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무릎관절 보호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탄력성과 보온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일정크기의 외피를 형성하고, 일면에 부드러운 털이 형성되어 있는 융재질의 바닥재를 외피의 내측에 적층하며, 이 바닥재 위에 바둑알 모양의 자석과 옥을 랜덤하게 배치한 후 그 위로 그물구조를 갖는 안감지를 덧대어 박음질하여 자석과 옥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바닥재와 외피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의 양측 끝단을 재봉하여 외피가 사용자의 무릎으로 끼워질 수 있는 원통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의 양측 끝단에 밴드를 재봉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무릎관절 보호밴드를 보인 전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무릎관절 보호밴드가 완성된 상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피, 2: 바닥재,
3: 자석, 4: 옥,
5: 안감지, 6: 재봉선,
7: 밴드,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호밴드를 전개하여 그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체적인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사방스판지로서 보호밴드의 외피(1)를 형성하는데, 이 외피(1)의 양측 끝단을 박음질하여 외피(1)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을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끝에서부터 외피(1)를 삽입하여 무릎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피(1)의 재질로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는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탄력성이 뛰어난데다 보온성까지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무릎부위에 착용하여도 전혀 거부감을 느끼지 못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1)의 내측으로 그 일면에 부드러운 털이 형성되어 있는 융재질의 바닥재(2)를 적층하고, 이 바닥재(2) 위로 바둑알 모양의 자석(3)과 옥(4)을 랜덤하게 배치하며, 이상태에서 상기 바닥재(2)의 위로 그물구조를 갖는 안감지(5)를 덧대어 박음질한다.
자석(3)과 옥(4)이 배치된 상태의 바닥재(2) 위로 안감지(5)를 박음질하게되면 자석(3)과 옥(4)이 바닥재(2)에 배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되고, 또한 바닥재(2)가 외피(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갖게된다.
박음질시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석(3)과 옥(4)의 외주연을 독립적으로 박음질하여 자석(3)과 옥(4)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하게되며, 도면부호 6a는 박음질에 의해 나타나는 재봉선이다.
또한, 도면부호 6 은 외피(1)의 양측 끝단을 박음질 결합하여 형성되는 재봉선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닥재(2)를 그 일면에 털이 형성되어 있는 융재질로서 형성함에 따라 바닥재(2)부분이 사용자의 무릎부위에 접촉될때 무릎부위를 보온해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자석(3)은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무릎 부근의 혈액순환을 활성화시켜 관절질환이 개선되도록 한다.
옥(4)은 인간의 신체에 극히 필요한 세가지 광물, 즉, 칼슘, 철분, 마그네슘을 포함해 20여종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옥에서 나오는 에너지(기-氣) 파동은 신체의 내분시선에 고여있는 불순물을 배출케하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하여 손상된 부위에 가까이하면 무릎질환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옥(4)은 신체의 균형성장을 도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신경을 안전시키며 피로를 가시게 하는 데도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경락을 자극하면 피부가 고와지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같은 특징을 갖고 있는 본 고안의 무릎관절 보호밴드를 도 4 와같이 무릎에 차게되면, 사방스판지로서 형성된 외피(1)가 신축성을 가지면서 무릎의 상하단에 동시에 밀착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며, 무릎이나 다리에 압박감을 주지않아 혈액순환에 지장을 주지안게되므로 수면중은 물론 일상 생활할때에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보호밴드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되면 융재질의 바닥재(2)가 무릎을 따뜻하게하여 혈액순환을 좋게하며, 특히 옥(4)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함께 피부깊숙히 침투하여 공진현상(인체의 파장과 기[원적외선과같은 에너지]의 파장이 합성하여 활성화 에너지로 변화되는 현상)을 일으켜 미세혈관을 확장 시킴으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의 뭉침을 막아주므로서 혈액순환, 체액순환, 대사기능이 촉진되어 생체활성화 작용을 하게되므로 무릎관절 질환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피(1)의 일측 상하단에 각각 밴드(7)를 형성하여 이 밴드(7)에 의해 외피(1)가 무릎부분에 착용된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과같은 본 고안의 무릎관절 보호밴드는 수용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외피를 형성함에 따라 관절질환을 앓고 있는 사용자가 수면중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도중에도 무릎에 착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었고, 외피(1)에 배치되어 있는 자석(3)과 옥(4)에 의해 무릎관절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무릎부분 전체를 감싸는 외피를 형성하고, 이 외피의 내측에 무릎부분을 보온하는 융재질의 바닥재를 결합한 후 그 위에 내분비선에 고여있는 불순물의 배출 및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자석 및 옥을 배치하므로서, 착용감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활동할때나 수면중일때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의해 무릎의 피곤이나 관절의 아픔을 다소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무릎관절 보호밴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탄력성과 보온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영복 원단으로 사용되는 사방스판지로서 일정크기의 외피(1)를 형성하고, 일면에 부드러운 털이 형성되어 있는 융재질의 바닥재(2)를 외피(1)의 내측에 적층하며, 이 바닥재(2) 위에 바둑알 모양의 자석(3)과 옥(4)을 랜덤하게 배치한 후 그 위로 그물구조를 갖는 안감지(5)를 덧대어 박음질하여 자석(3)과 옥(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바닥재(2)와 외피(1)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의 양측 끝단을 재봉하여 외피가 사용자의 무릎으로 끼워질 수 있는 원통형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양측 끝단에 밴드(7)를 재봉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밴드.
KR2020020024282U 2002-08-14 2002-08-14 무릎관절 보호밴드 KR200296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282U KR200296819Y1 (ko) 2002-08-14 2002-08-14 무릎관절 보호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282U KR200296819Y1 (ko) 2002-08-14 2002-08-14 무릎관절 보호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819Y1 true KR200296819Y1 (ko) 2002-12-05

Family

ID=7312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282U KR200296819Y1 (ko) 2002-08-14 2002-08-14 무릎관절 보호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8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464A (ko) * 2005-06-22 2006-12-28 김충선 무릎 보호대
KR101047073B1 (ko) 2010-11-19 2011-07-06 이수환 무릎보호대 및 무릎보호대의 황토염색방법
KR20150004599U (ko) 2014-06-17 2015-12-28 (주)한지 방사형 자석부재 구조
KR20210007306A (ko) * 2019-07-11 2021-01-20 임헌경 기능성 관절보호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464A (ko) * 2005-06-22 2006-12-28 김충선 무릎 보호대
KR101047073B1 (ko) 2010-11-19 2011-07-06 이수환 무릎보호대 및 무릎보호대의 황토염색방법
KR20150004599U (ko) 2014-06-17 2015-12-28 (주)한지 방사형 자석부재 구조
KR20210007306A (ko) * 2019-07-11 2021-01-20 임헌경 기능성 관절보호대
KR102345000B1 (ko) * 2019-07-11 2021-12-29 임헌경 기능성 관절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5888B1 (en) Therapeutic elastic body support
KR102444298B1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KR200296819Y1 (ko) 무릎관절 보호밴드
KR20140036586A (ko) 가압식 지압구 및 가압식 지압구를 구비한 의류 제품
KR200464041Y1 (ko) 발열기능을 가지는 건강 무릎보호대
KR200394306Y1 (ko) 기능성 목 밴드
CN209405052U (zh) 一种中医理疗用自发热护具
CN219125461U (zh) 一种多功能运动保健护膝
JP7286308B2 (ja) 温熱具
KR20120025321A (ko) 찜질팩이 구비된 무릎 보호대
JP3108866U (ja) 健康補助具
JPS6334654Y2 (ko)
KR200375958Y1 (ko) 자연석이 장입된 접이식 매트리스
KR200349040Y1 (ko) 두건 일체형 안면 마스크
JPH07305206A (ja) 遠赤外線放射健康衣料
WO2013150609A1 (ja) 温熱治療器
JP2007162155A (ja) 靴下
KR20080034069A (ko) 머플러 겸용 기능성 목 밴드
KR200357262Y1 (ko) 착용이 가능한 기능성 매트
KR200247781Y1 (ko) 뜸질용 벨트
KR200375238Y1 (ko) 무릎전용 온열치료기
KR200400809Y1 (ko) 베개 겸용 쑥 방석
JP3109533U (ja) 磁気健康靴下
JP2003342808A (ja) 半身浴用ケープ
JP2009261855A (ja) 手足の血流促進の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