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445Y1 -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445Y1
KR200296445Y1 KR2019970025642U KR19970025642U KR200296445Y1 KR 200296445 Y1 KR200296445 Y1 KR 200296445Y1 KR 2019970025642 U KR2019970025642 U KR 2019970025642U KR 19970025642 U KR19970025642 U KR 19970025642U KR 200296445 Y1 KR200296445 Y1 KR 200296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ontrol device
rotating
handl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536U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19970025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4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25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in feed control, i.e. approaching of tool or work in successive decreasing velocity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서 회전조작되는 핸들(Handle)이나 풀리(Pully)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핸들이나 풀리와 같은 회전체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된 분할판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분할판의 양측으로 발신부와 검출부를 설치구성하여 상기 분할판의 설정된 위치로의 회전이송을 발신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하여 수치화한 것을 판독하므로 회전체의 정확한 회전이송제어를 제공하게 됨과 동시에 이를 회전체본체상에 집약구성하여 그 설치작업은 물론 사용자의 장치사용에 다른 공간확보가 최대한 제공되어 별도로 구비장착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장치의 비대화를 배제하므로 사용자의 작업성이 편리하게 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서 회전조작되는 핸들(Handle)이나 풀리(Pully)와 같은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부와 검출부에 의해 회전체에 고정설치되는 분할판의 회전이송각도를 정확하게 판독하게 되어 회전체의 회전이송제어가 우수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작업신뢰도가 우수하게 됨은 물론 이를 회전체본체상에 일체로 집약구성함에 따라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편리하게 제공되는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의 가공작업을 행하는 공작기계는 공구(바이트, 연삭숫돌등)가 설치되는 공구대와 피가공물이 설치되는 왕복대를 설정된 만큼 이송시키기 위해서 핸들, 풀리 등의 회전체가 설치구성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정간격의 눈금이 각인된 기준눈금표시판(10)과 가변눈금표시판(12)을 회전축(15)상에 설치하되 회전축(15)의 선단에 회전체(20)를 결합구성하여서 상기 회전체(20)에 의해 회전축(15)을 회전시켜 공구대 또는 왕복대를 이송하여 피가공물의 가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에 의한 회전축(15)의 정확한 회전이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회전축(15)과 동시에 회전작동되는 가변눈금표시판(12)을 본체상에 고정되는 기준눈금표시판(10)과의 상호 눈금으로 비교하여 회전이송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눈금에 의한 이송치수확인은 육안식별에 따라 그 정확성이 제공되기 곤란하여 정확한 이송제어가 제공되지 못하므로 공작기계의 가공정밀도가 저하되게 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성저하, 피로증대 등의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공작기계의 회전체(핸들) 이외에도 풀리와 같이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만큼의 정확한 회전이송이 요구되는 회전체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을 동일하게 수반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공작기계의 핸들, 풀리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이송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축상에 엔코더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이송을 상기 엔코더에 의해 제어하므로 정확한 회전이송 및 이에 따른 작업정밀도를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었으나 이는 상기 엔코더를 회전축상에 별도구비하여 설치해야됨에 따라 설치상에 따르는 추가공수의 제공으로 설치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또한 전체 장비가 비대해져 장치사용에 따른 공간확보의 어려움으로 작업성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공작기계의 핸들이나 풀리와 같은 회전체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된 분할판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분할판의 양측으로 발신부와 검출부를 설치구성하여 상기 분할판의 설정된 위치로의 회전이송을 발신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하여 이것을 판독하므로 회전체의 정확한 회전이송제어를 제공하게 됨과 동시에 이를 회전체본체상에 집약구성하여 그 설치작업은 물론 사용자의 장치사용에 다른 공간확보가 최대한 제공되어 별도로 구비장착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장치의 비대화를 배제하므로 사용자의 작업성이 편리하게 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작기계에 적용되는 종래의 회전체를 보인 요부단면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체를 보인 요부단면구성도로서,
도 2는 회전체로서 공작기계의 핸들이 적용된 경우이고,
도 3은 회전체로서 풀리가 적용된 경우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요부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회전축 20. 회전체
21,22. 지지단차부 30. 분할판
35. 지지판 40,47. 브라켓트
42. 발신부 44. 검출부
60. 전자석
다음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한다.
즉,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는 공작기계의 핸들이나 풀리와 같이 회전축(15)상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체(20)를 회전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의 내측에는 지지단차부(21)를 형성하여 원주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눈금이 형성된 분할판(30)을 고정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원통형의 지지브라켓(40)를 감싸는 형태로 비회전구동이 되도록 베어링(B)에 지지설치하되 상기 지지브라켓(40)의 내측에 분할판(30)의 양측으로 발신부(42)와 검출부(44)를 설치구성하여서 회전체(20)의 회전이송에 따른 분할판(30)의 회전이송량을 일측의 발신부(42)의 발신을 타측의 검출부(44)가 검출하여 이에 연결된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회전이송량을 판독하여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에는 디지털카운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검출부(44)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회전체(20)의 회전이송량을 판독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으로 지지단차부(22)를 형성하여 고정판(35)을 고정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원통형의 지지브라켓(47)을 감싸는 형태로 비회전구동이 되도록 베어링(B)에 지지설치하되 상기 고정판(35) 일측위치의 지지브라켓(47)상에는 전자석(60)을 설치하여 회전체(20)의 설정된 만큼의 회전이송시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상기 전자석(60)의 작동으로 상기 고정판(35)을 전자석(60)에 부착하거나 이격되게 하여 회전체(2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회전체(20)의 내측에 복수의 지지단차부(21)(22)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단차부(21)에는 분할판(30), 지지단차부(22)에는 고정판(35)을 집약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B는 베어링, 29는 회전체(20)의 회전손잡이, 45는 지지브라켓(40)을 본체(50)상에 고정설치하는 지지간, 72는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고무실, 75는 벨트, 77은 이탈방지구, 48은 원주상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지연결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공작기계의 핸들과 같은 회전체(20)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이송하고자하는 공구대와 왕복대상에 적정가공을 위한 공구(바이트, 연삭숫돌등)와 가공대상의 피가공물을 고정설치한 후, 상기 공구대와 왕복대와 결합되는 회전축(15)상의 회전체(20)를 회전시켜 공구대와 왕복대상에 고정된 가공체와 피가공물을 소정길이만큼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작업으로써 피가공물에 대한 설정치수의 정확한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이송으로 회전체(20)의 지지단차부(21)상에 고정설치된 분할판(30)이 동시에 회전이송하게 되면서 분할판(30)의 일측방에 설치구성된 발신부(42)에서 발신되어 분할판(30)의 회전이송량을 타측방의 검출부(44)에서 검출하여 이에 연결된 콘트롤러(미도시)에서 분할판(30)의 회전이송량을 판독하여 확인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상기 분할판(30)이 고정설치된 회전체(20)가 설정된 치수만큼 회전이송되면 상기 발신부(42)와 검출부(44)에 의해 이에 연결된 콘트롤러에서 용이하게 판독확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20)는 설정된 회전이송치로 용이하게 제어하여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미도시)는 분할판(30)의 설정된 치수만큼의 회전이송시 부져 등의 신호음을 발생케하여 그 확인을 더욱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회전체(20)의 정확한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는 도 3에 도시된 각종 풀리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실시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회전체(20)의 설정된 치수만큼의 회전이동시 상기 회전체(20)를 고정 또는 해지하여 회전체(20)의 백래쉬를 방지하게 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바와같이 회전체(20)가 설정된 치수만큼 회전 이송되면 발신부(42)와 검출부(44)에 연결된 콘트롤러(미도시)에서 용이하게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석(60)을 작동시켜 회전체(20)상에 고정설치된 고정판(35)을 상기 전자석(60)에 부착되게하여 회전체(20)의 회전이 정지되어 백래쉬를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에 의해 상기 전자석(60)의 작동을 중지하게 되면 상기 고정판(35)이 전자석(60)에서 이격되어 회전체(20)는 다시 회전자재로운 상태가 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는 공작기계의 핸들이나 풀리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이송을 발신부와 검출부에 의해 검출확인하여 설정된 치수만큼의 회전이송양을 판독하여 조절하게 되므로 회전체의 정확한 회전이송제어를 제공하게 됨은 물론 상기 기술구성을 회전체본체상에 집약 구성하여 그 설치작업 및 사용자의 장치사용에 따른 공간확보가 최대한 제공되어 작업성이 편리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작기계의 핸들이나 풀리와 같이 회전축(15)상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체(20)를 회전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내측에 지지단차부(21)를 형성하여 원주상에 일전각도로 분할눈금이 형성된 분할판(30)을 고정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원통형의 지지브라켓(40)을 감싸는 형태로 비회전구동이 되도록 베어링(B)에 지지설치하되 상기 지지브라켓(40)의 내측에 분할판(30)의 양측으로 발신부(42)와 검출부(44)를 설치구성하여서 회전체(20)의 회전이송에 따른 분할판(30)의 회전이송량을 일측의 발신부(42)의 발신을 타측의 검출부(44)가 검출하여 이에 연결된 콘트롤러에 의해 회전이송량을 판독하여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KR2019970025642U 1997-09-10 1997-09-10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KR200296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642U KR200296445Y1 (ko) 1997-09-10 1997-09-10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642U KR200296445Y1 (ko) 1997-09-10 1997-09-10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536U KR19990012536U (ko) 1999-04-06
KR200296445Y1 true KR200296445Y1 (ko) 2003-02-25

Family

ID=493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642U KR200296445Y1 (ko) 1997-09-10 1997-09-10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042A (zh) * 2018-10-01 2019-01-11 昆山斯格威电子科技有限公司 手动自动一体式手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536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412B1 (ko) 스위치드릴럭턴스모터용 회전자의 위치검출장치
EP0896855B1 (en) Actuator
JP5487316B2 (ja) 精密旋削工具
JP2006322936A (ja) エンコーダ装置とエンコーダ装置を開放心合せする装置
EP2913679A3 (en) Bearing apparatus with sensor and rolling bearing with sensor
GB2194253A (en) An alignment device for a sewing machine
US6311402B1 (en) Rotary transducer
JPS58149171A (ja) 表面温度制御装置
GB2086569A (en) Torque measuring apparatus
EP1089053A3 (de) Winkelmesseinrichtung und Verwendung dieser Winkelmesseinrichtung in einer Spindelanordnung
KR940008813A (ko) 회전전후 이송장치
TW202118579A (zh) 旋轉定位裝置
KR200296445Y1 (ko)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회전이송판독 및 제어장치
KR950005455A (ko) 스크롤상 공작물의 가공방법 및 장치
US6671972B2 (en) Angle measuring instrument and its use
JPH0581375B2 (ko)
KR101762397B1 (ko) 로터리 엔코더가 구비된 로터리 테이블
JPS62264887A (ja) ロボツトの回転検出機構
JP5475512B2 (ja) スピンドル診断装置
JP3035881B2 (ja) 可搬式真円度測定器
KR100217241B1 (ko) 모타축 가공장치
JPH084996B2 (ja) 回転位置検出器を具備したスピンドルモ−タ
ZA200404702B (en) Reel drive device utilizable in gaming machine
US5540161A (en) Sewing apparatus having a sandwich synchronizer
SE513705C2 (sv) Abraderande maskin för bearbetning av mantelytan hos ett cylindriskt arbetsstyc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