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173Y1 -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173Y1
KR200296173Y1 KR2019970041619U KR19970041619U KR200296173Y1 KR 200296173 Y1 KR200296173 Y1 KR 200296173Y1 KR 2019970041619 U KR2019970041619 U KR 2019970041619U KR 19970041619 U KR19970041619 U KR 19970041619U KR 200296173 Y1 KR200296173 Y1 KR 200296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let port
cylinder body
oil inlet
mas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79U (ko
Inventor
성 욱 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70041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1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실린더 본체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결합되는 오일 탱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유입포트에 별도의 절삭 가공을 실시하지 않으면서도, 실링 효과 및 결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탱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 및 2차 피스톤; 상기 실린더 본체에 오일을 제공하도록 상기 오일 유입포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유출포트를 갖는 오일 탱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임의 위치에는 핀홈(76)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탱크(50)에는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돌출된 핀홈(56)을 갖는 한 쌍의 플랜지부(58)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70)의 핀홈(76)과 상기 플랜지부(58)의 핀홈(56)에는 조립핀(80)이 연통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실린더 본체의 오일 유입포트와 오일 탱크의 결합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조 작업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본 고안은 차량용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실린더 본체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결합되는 오일 탱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과 휠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페달의 답력을 휠 실린더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페달 답력을 배가시기 위해 설치되는 배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의한 차량용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 본체(1)와, 상기 실린더 본체(1) 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 피스톤(2)과 2차 피스톤(3), 그리고 상기 실린더 본체(1)에 오일을 공급하도록 이에 연결된 오일 탱크(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페달 답력은 미도시된 배력장치로 전달되고, 배력장치에서는 페달에 가해진 외력보다 더 큰 힘으로 배가되어 푸시로드(4)를 움직여 마스터 실린더측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 힘은 실린더 본체(1)에 내장된 1차 피스톤(2)과 2차 피스톤(3)을 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며 오일을 압축한다.
이때, 실린더 본체(1)에 연통되어 있던 오일 탱크(30)의 유로는 1차 및 2차 피스톤(2,3)의 둘레에 삽입된 오일 시일(8) 및 플런저(5)에 의해 폐쇄되며, 압축된 오일은 전륜 및 후륜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포트(6,7)를 통해 미도시된 휠 실린더측으로 전달되고, 이때의 오일압으로 차량이 제동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기 위해서 마스터 실린더와 오일 탱크는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마스터 실린더는 오일 유입포트(10)에 그로밋(20)을 끼워 실링 구조를 보완하고, 여기에 플라스틱 성형으로 제작된 오일 탱크(30)를 끼워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의 결합구조를 알기 쉽도록 단면인 상태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로밋(20)은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유입포트(10) 선단(12)에 지지되도록 연장단(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단(22)의 하측에는 외주 둘레에 소정 구간 돌출된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4)이 형성된 위치 부분의 내주면에는 단차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26)를 이루는 내주면 둘레와 걸림턱(24)의 외주 둘레에는 각각 실링부(27,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로밋(20)은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유입포트(10)에 삽입 고정되는데, 상기 오일 유입포트(10)는 상기 그로밋(20)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선단(12)의 소정 구간이 내경측으로 테이퍼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그로밋(20)의 걸림턱(24)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그와 상응하는 형상의 오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로밋(20)에는 오일 탱크(30)의 유출포트(3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유출포트(32)의 외주에는 그로밋(20)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실링부(27)가 삽입되도록 그에 상응하는 그루브(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포트(32)의 선단에는 상기 그로밋(20)의 단차부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패스너형 돌기(34)가 외주 둘레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탱크(30)의 유출포트(32)와 그로밋(20), 그리고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유입포트(10)의 조립상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마스터 실린더 본체는 알루미늄 재질로 금형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 가공 및 오목홈은 별도의 가공으로 절삭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삭 가공은 그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별도의 작업 공정에 따른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절삭 가공하여 오일 유입포트의 선단이 내경측으로 돌출된 구조에서는 그로밋을 끼워맞추는 조립 작업 시 강한 힘을 가하게 되어 그로밋이 변형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브레이크 오일의 교환 시 오일 탱크를 실린더 본체로부터 분해하려면 유출포트의 패스너형 돌기가 그로밋의 단차부에 맞물려 쉽게 분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유입포트에 별도의 절삭 가공을 실시하지 않으면서도,실링 효과 및 결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탱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일 탱크를 실린더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의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오일 탱크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오일 탱크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I - I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린더 본체 2 : 1차 피스톤
3 : 2차 피스톤 50 : 오일 탱크
52 : 유출포트 56 : 핀홈
58 : 플랜지부 60 : 그로밋(grommet)
62 : 실링부 70 : 오일 유입포트 72 : 그루브(groove) 74 : 단차부
76 : 핀홈 80 : 조립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본적 사상은 실린더 본체와 오일 탱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오일 유입포트로부터 독립적인 위치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오일 유입포트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그로밋과 오일 탱크의 유출포트의 구조도 간단하게 하자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 사상 위에서 창안된 본 고안의 구성은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 및 2차 피스톤; 상기 실린더 본체에 오일을 제공하도록 상기 오일 유입포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유출포트를 갖는 오일 탱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입포트의 임의 위치에는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탱크에는 상기 오일 유입포트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서로 대향하게 돌출된 핀홈을 갖는 한 쌍의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의 핀홈과 상기 플랜지부의 핀홈에는 조립핀이 연통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는 내주면 둘레에 각각 하나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로밋은 상기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에 형성된 그루브와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외주 둘레에 그 형상과 수에 상응하는 실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오일 유입포트가 실린더 본체로부터 수직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상기 오일 유입포트와 오일 탱크의 일측을 연통하는 홈 가공을 실시해야 하지만, 오일 유입포트의 선단이 내경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내주면의 소정 구간을 절삭하는 가공보다 오일 유입포트의 외측으로부터 실시되는 홈 가공은 이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다.
또한, 오일 탱크는 플라스틱재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오일 유입포트의 홈에 연통되도록 조립핀용 홈을 갖게하는 것도 그 작업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린더 본체의 오일 유입포트에 그로밋이, 그리고 상기 그로밋에 오일 탱크의 유출포트가 단순히 안착되는 구조이고,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조립핀의 역할이므로, 이들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조립핀만 뽑으면 쉽게 오일 탱크를 분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탱크 결합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1)와, 상기 실린더 본체(1) 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1차 및 2차 피스톤(2,3), 그리고 상기 실린더 본체(1)에 연결되어 오일을 제공하는 오일 탱크(50) 등으로 구성된 마스터 실린더에 적용된다.
여기서는 본 고안과 관련되는 실린더 본체와 오일 탱크의 결합 구조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린더 본체(1)에는 1차 피스톤(2)과 2차 피스톤(3)으로 각각 연통되도록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7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에는 오일 탱크(50)의 하부 일측에 돌출된 유출포트(5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본체(1)와 오일 탱크(50)에는 항상 오일이 충만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구조는 그 결합구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오일 탱크의 유출포트(52)와 실린더 본체(1)의 오일 유입포트(70) 사이에는 그로밋(60)이 개재되는데, 이들의 결합구조를 단면도인 상태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1)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7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내주면 둘레에는 소정 간격을 갖는 두 줄의 그루브(7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원중심 측으로 소정 구간 돌출된 단차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70) 사이에는 조립핀이 삽입되도록 핀홈(7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로밋(60)은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단차부(74)에 안착되는데, 그외주면 둘레에는 소정 간격을 갖는 두 줄의 실링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그루브(72)에 맞물려 실링되기 위함이다.
또한, 오일 탱크(50)는 하부 일측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유출포트(52)가 돌출되어 있는 바, 상기 유출포트(52)는 상기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70)에 결합되도록 이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유출포트(52) 사이에는 실린더 본체(1)의 오일 유입포트(70)에 형성된 핀홈(76)과 연통하는 핀홈(56)을 갖는 한 쌍의 플랜지부(58)가 연장되어 있다.
각각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 본체(1)의 오일 유입포트(70)와 그로밋(60), 그리고 오일 탱크(50)의 결합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에 그로밋(60)이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60)에 오일 탱크(50)의 유출포트(52)가 안착되며,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와 오일 탱크(50)의 플랜지부(58)를 관통하는 조립핀에 의해 실린더 본체(1)와 오일 탱크(5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립핀의 취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I - I선을 취해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서, 상기 실린더 본체와 오일 탱크를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탱크(50)의 하부에는 실린더 본체(1)의 오일 유입포트(70) 외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는 간격을 갖도록 한 쌍의 플랜지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플랜지부(58)에는 오일 유입포트(70)에 형성된 핀홈과 연통하는 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조립핀(80)이 관통되어 서로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일 탱크의 플랜지부를 오일 유입포트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연장시킨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오일 탱크에 암나사부를 만들어 오일 유입포트의 한 쪽에만 접촉되게 하고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실린더 본체의 오일 유입포트와 오일 탱크의 결합 구조가 단순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즉, 실린더 본체의 오일 유입포트가 단순한 원통형의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삽입되는 그로밋과 오일 탱크의 유출포트도 단순한 원통형의 구조로되어 제조 작업 용이해진다.
또한, 실린더 본체와 오일 탱크가 조립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이므로, 조립핀만 뽑으면 오일 탱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브레이크 오일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구성적 부분에 약간의 변형을 가감하여 실시할 수 있겠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한 쌍의 오일 유입포트가 형성된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1차 및 2차 피스톤; 상기 실린더 본체에 오일을 제공하도록 상기 오일 유입포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유출포트를 갖는 오일 탱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임의 위치에 형성되는 핀홈(76)과,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오일 탱크(50)에 서로 대향하게 돌출되며 핀홈(56)을 갖는 한 쌍의 플랜지부(58)와, 상기 유입포트(70)의 핀홈(76)과 상기 플랜지부(58)의 핀홈(56)에 연통하도록 고정되는 조립핀(80)과,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72)와, 상기 오일 유입포트(70)의 내면과 상기 오일탱크(50)의 유출포트(52) 외면 사이에 개재되며 그 외면에 상기 그루브(7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실링부(62)가 마련된 그로밋(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2019970041619U 1997-12-27 1997-12-27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KR200296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19U KR200296173Y1 (ko) 1997-12-27 1997-12-27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19U KR200296173Y1 (ko) 1997-12-27 1997-12-27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79U KR19990028979U (ko) 1999-07-15
KR200296173Y1 true KR200296173Y1 (ko) 2003-01-29

Family

ID=4939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619U KR200296173Y1 (ko) 1997-12-27 1997-12-27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1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268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실린더용 오일탱크 고정장치
KR100731691B1 (ko) * 2002-05-10 2007-06-25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의 결합구조
KR100720154B1 (ko) * 2005-12-08 2007-05-18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79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462B1 (ko) 브레이크 유압제어기
US4787292A (en) Brake booster
KR200296173Y1 (ko) 브레이크의마스터실린더
GB2059018A (en) A pressure-control valve unit
JP2729067B2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0720154B1 (ko)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AU606001B2 (en) Brake booster
JP2007076581A (ja) 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のリザ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8967B1 (ko) 마스터 실린더
CN215567555U (zh) 液压刹车装置及自行车
JPS6312029Y2 (ko)
JP2545061Y2 (ja) マスタシリンダ用樹脂ピストン
KR100774137B1 (ko) 마스터실린더
KR100375973B1 (ko) 마스터실린더
KR0115999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KR20030087263A (ko)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의 결합구조
KR100465394B1 (ko) 마스터실린더 조립체
KR100731691B1 (ko)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의 결합구조
KR100369290B1 (ko) 자동차용 유압식 조향 배력장치의 유압 파이프 연결구조
JPS5984656A (ja) 負圧式倍力装置
KR960002949Y1 (ko) 진공식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푸시로드와 실(seal) 이탈방지용 플레이트
KR19980055470U (ko) 진공배력장치의 다이어프렘고정용 리테이너
KR100201381B1 (ko) 자동차용 일체형 클러치부스터의 구조
KR0123697Y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US20050247057A1 (en) Master cylinder unit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