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098Y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098Y1
KR200296098Y1 KR2020020023964U KR20020023964U KR200296098Y1 KR 200296098 Y1 KR200296098 Y1 KR 200296098Y1 KR 2020020023964 U KR2020020023964 U KR 2020020023964U KR 20020023964 U KR20020023964 U KR 20020023964U KR 200296098 Y1 KR200296098 Y1 KR 200296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ing
pipe
hous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현
Original Assignee
김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곤 filed Critical 김휘곤
Priority to KR2020020023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098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접합재나 공구 없이 간단하게 관을 연결시킬 수 있어 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착탈이 자유로워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양측에 관(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1)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에 삽입된 관(10)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될 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2)과,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0)와, 일측에는 상기 관(10)의 걸림턱(12)에 걸릴 수 있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절곡부(23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 연결구 {A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접합재나 공구 없이 간단하게 관을 연결시킬 수 있어 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착탈이 자유로워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기체의 이송관은, 규격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므로 원하는 길이 및 형태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관 연결구 중에서 하수관 등의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저압용 합성수지 관의 경우에는 체결력 보다는 관 연결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관(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구(101)가 구비된 관 연결구(100)를 관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여, 이 관 연결구(100)의 삽입구(101) 내주면 및 관(1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관(10)을 삽입하여 접착시키는 관 연결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관(10)과 관 연결구(100)의 접합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관 연결부의 체결 및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연결되는 관(10) 사이의 밀폐가 불량하게 될 우려가 높고, 관(10)의 외주면과 관 연결구(100) 내주면에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해야 하므로 관 연결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관 연결구(100)와 관(10)이 영구적으로 접합되므로 한 번 연결된 관은 다시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저압용 관 연결구로서, 연결될 관의 단부에 씌운 후에 열을 가해 관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열수축튜브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열수축 튜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관을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관의 연결을 위해서는 가열을 위한 버너가 구비되어야 하고 튜브 전체를 고르게 가열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관 연결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한번 수축된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연결된 관을 교체할 경우 튜브도 함께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관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하우징 220. 팩킹링
230. 고정부재 240. 고정돌기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양측에 관(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1)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에 삽입된 관(10)을 이탈되지 않도록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될 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2)과,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0)와, 일측에는 상기 관(10)의 걸림턱(12)에 걸릴 수 있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절곡부(23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돌기(24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돌출편(241)으로 구성되며, 이 돌출편(241)의 종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30)을 그 결합공(231)에 돌출편(241)이 삽입되도록 결합하면 고정턱(242)이 고정부재(230)의 외면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주름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연결될 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에 삽입구(211)가 형성된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는 관(10)의 단부에 결합되어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며 하우징(210)과 관(10)의 접합부를 밀폐시키는 팩킹링(220)과, 상기 하우징(210)의 삽입구(211)측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삽입된 관(10)을 하우징(2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2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팩킹링(220)에는 관(1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10)의 요홈(11)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22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팩킹링(22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필요 없게 되어 제품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팩킹링(220)을 관(10)에 결합한 후에 관(10)을 하우징(210)에 삽입하기만 하면 연결구의 팩킹이 이루어지므로, 관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삽입구(211)측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0)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2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230)의 일측에는 결합공(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24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돌출편(241)으로 이루어지며, 이 돌출편(241)의 종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4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고정돌기(240) 종단부에 고정부재(230)의 결합공(231)을 위치시킨 다음에 고정부재(230)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돌출편(24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면서 고정부재(230)의 결합공(231)을 관통하게 되어 고정부재(230)가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241)을 서로 근접되도록 오므리면 고정턱(242)이 고정부재(230)의 결합공(231)을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하우징(210)에 장착된 고정부재(230)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30)의 결합공(231) 반대측에는 관(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관(10)의 요홈(11)에 삽입되는 절곡부(23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30)를 하우징(210)의 고정돌기(240)에 삽입 결합시키면, 고정부재(230)의 절곡부(232)가 관(10)의 요홈(11)에 삽입되어 요홈(11) 사이의 걸림턱(12)에 걸리게 되므로, 삽입된 관(10)이 하우징(21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23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하우징(210)과 관(10)의 연결이 해제되어 연결된 관(1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상기 고정부재(230)를 하우징(210)에 장착하거나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관(10)을 연결시키거나 연결된 관(1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관의 연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고정부재(230)가 하우징(210)에 자유롭게 착탈되어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관로의 손상 등으로 인해 파손된 관을 교체할 때, 파손된 관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관로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되는 관(10)이 주름관으로 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름관이 아닌 통상의 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관(10)의 단부에 전술한 실시예의 주름관(10)의 요홈(11)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12)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230)를 그 절곡부(232)가 이 요철부에 걸리도록 하우징(210)에 장착하여 관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230)를 하우징(210)에 장착하거나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관(10)을 연결시키거나 연결된 관(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합재나 공구 없이 간단하게 관을 연결시킬 수 있어 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착탈이 자유로워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관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양측에 관(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211)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210)과, 이 하우징(210)에 삽입된 관(10)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될 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12)과,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40)와, 일측에는 상기 관(10)의 걸림턱(12)에 걸릴 수 있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절곡부(23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4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돌출편(241)으로 구성되며, 이 돌출편(241)의 종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턱(2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30)을 그 결합공(231)에 돌출편(241)이 삽입되도록 결합하면 고정턱(242)이 고정부재(230)의 외면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20020023964U 2002-08-10 2002-08-10 관 연결구 KR200296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64U KR200296098Y1 (ko) 2002-08-10 2002-08-10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964U KR200296098Y1 (ko) 2002-08-10 2002-08-10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098Y1 true KR200296098Y1 (ko) 2002-11-22

Family

ID=7307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964U KR200296098Y1 (ko) 2002-08-10 2002-08-10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0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914B1 (ko) 관죠인트 및 그 제조장치
JP2004537696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KR200296098Y1 (ko) 관 연결구
RU2005120001A (ru) Муф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424262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0855143B1 (ko) 원-터치 배관 연결구
US20050200126A1 (en) Connecting device for fluid conduits
KR200227784Y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200246835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KR200157151Y1 (ko) 냉.온 정수기 및 공압용 공급관의 연결구
KR200362324Y1 (ko)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KR20010085812A (ko) 케이블 이음용 시일의 분리면을 연결하는 결합부재
KR100431377B1 (ko) 콜렉터 고정용 카트리지
KR100405381B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JP2005195065A (ja) パイプ連結具
KR200255530Y1 (ko) 콜렉터 고정용 카트리지
KR100536985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84688Y1 (ko) 관 연결구
KR200223508Y1 (ko) 관이음쇠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KR20020044731A (ko) 관이음쇠
KR20030079846A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