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29Y1 -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29Y1
KR200295729Y1 KR2020020025885U KR20020025885U KR200295729Y1 KR 200295729 Y1 KR200295729 Y1 KR 200295729Y1 KR 2020020025885 U KR2020020025885 U KR 2020020025885U KR 20020025885 U KR20020025885 U KR 20020025885U KR 200295729 Y1 KR200295729 Y1 KR 200295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connecting rod
servo
lev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20020025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8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 B64C27/59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 B64C27/605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including swash plate, spider or 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03/00Flying model aircraft, flying toy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콜렉티브 피치 제어 및 싸이클릭 피치 제어를 위하여 축방향의 상하운동과 전후좌우로 경사지는 운동이 가능하게 메인 축에 장착되는 스와시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와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 및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7)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스와시(10)와; 전방 서보모터(30)의 회전왕복운동으로 상기 스와시(10)의 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전방 서보링크 시스템과; 측방 서보모터(50,60)의 회전왕복운동으로 상기 스와시(10)의 일측 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 및 제2측방 서보링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싸이클릭 피치와 콜렉티브 피치가 상기 3개의 서보모터 제어의 조합으로 달성되며, 서보모터의 구동이 간단한 링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스와시에 전달되므로 피치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보모터를 로터의 회전면에 가깝게 헬기 몸체 양측방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헬기의 운동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DIRECT SWASH DRIV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PITCH OF A MODEL HELICOPTER}
본 고안은 모형 헬리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3개의 서보모터 각각이 직접적으로 스와시의 전방 및 양측방의 상하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각 서보모터의 구동의 조합에 의하여 싸이클릭 피치와 콜렉티브 피치 제어가 가능한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는 양 블레이드에 균일한 양력이 발생하도록 양 블레이드의 양각을 균일하게 하는 콜렉티브 피치 제어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며, 양 블레이드에 불균형 양력이 발생하도록 양 블레이드의 양각을 서로 다르게 하는 싸이클릭 피치 제어에 의해 전후 좌우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콜렉티브 피치 및 싸이클릭 피치 제어를 위하여 모형 헬리콥터는 다양한 장치 및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는 무선 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는 콜렉티브 서보모터(100) 및 싸이클릭 서보모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콜렉티브 서보모터(100)가 작동되면, 그 샤프트에 장착된 원판(102)이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원판(102)에 링크(104)가 연계되어 지렛대(106)를 시소 운동시키며, 상기 지렛대(106)의 일 단부에 연결된 콜렉티브 샤프트(108)가 제1레버(110) 및 제2레버(112)를 승하강시켜 스와시(120)를 구동시킨다.
한편, 제1레버(110)는 도시하지 않은 좌우 싸이클릭 서보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링크(115)에 의해서 스와시(120)를 좌우로 구동시킨다. 제2레버(112)는 도시되지 않은 전후 싸이클릭 서보에 의해서 구동되고, 링크(117,118)에 의해서 스와시(120)를 전후로 구동시킨다.
한편, 도 2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스와시 구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등록번호:20-0191417-00-00)된 다른 실시예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스와시 구동장치는 콜렉티브 피치 제어장치, 좌우 싸이클릭 피치 제어장치 및 전후 싸이클릭 피치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콜렉티브 피치 제어장치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콜렉티브 서보모터(220)와 상기 콜렉티브 서보모터(220) 서보모터축에 장착되어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원판(222)과, 상기 왕복회전운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단과, 상기 수직왕복운동수단에 의해서 연결부(263)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시소 레버(264, 267)와, 상기 시소 레버(264, 67)의 각각의 축(265, 268)에 그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유동레버(330, 340)가 장착되며, 중앙측에 샤프트(292)를 중심으로 서로 연동되는 지렛대(291, 290)와 상기 유동레버(330,340)를 통하여 회전력을스와시(360)로 전달하는 링크 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싸이클릭 피치 제어장치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좌우 싸이클릭 서보모터(250)와, 상기 좌우 싸이클릭 서보모터(250)의 서보모터축(251)에 장착되어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판(253)과, 상기 회전운동을 수직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링크(261, 260)로 구성되어, 상기 링크(260, 261)의 상단이 시소 레버(264, 267)의 일단을 작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후 싸이클릭 피치 제어장치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후 싸이클릭 서보모터(370)와, 상기 전후 싸이클릭 서보모터(370)의 축에 장착되어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판(371)과, 상기 왕복회전운동을 유동레버(330, 340)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에 따른 콜렉티브 피치 제어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콜렉티브 서보모터(220)가 왕복회전운동하게 되고 이 운동이 지렛대의 단부 샤프트(296, 295)의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스와시(360)가 전체적으로 상하왕복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달성된다.
또한, 좌우 싸이클릭 피치 제어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좌우 싸이클릭 서보(250)의 왕복회전운동이 링크(331,332,350,351)의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스와시(360)가 좌우로 경사지게 됨에 따라 달성된다.
그리고, 전후 싸이클릭 피치 제어는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후 싸이클릭 서보(370)의 왕복회전운동이 유동레버(330, 340)의 왕복회전운동으로 전달되어 스와시(360)가 전후로 경사지게 됨에 따라 달성된다.
그러나, 도 1의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는 구조적으로 제어가 어려운 각속도 및 유격이 발생하고, 각 레버를 한개씩만 사용하여 링크의 파손이나 이탈시 헬리콥터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1의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도 2의 종래의 스와시 구동장치는 여전히 콜렉티브 피치 제어 구동과, 좌우 싸이클릭 피치 제어 구동 및 전후 싸이클릭 피치 제어 구동을 각각 독립된 서보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링크구조가 복잡하고, 이에따라 서보모터의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본 고안은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와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 및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스와시와; 전방 서보모터의 회전왕복운동으로 상기 스와시의 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전방 서보링크 시스템과; 측방 서보모터의 회전왕복운동으로 상기 스와시의 일측 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 및 제2측방 서보링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분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가 스와시의 전방을 상승시키고 후방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가 스와시의 전방을 하강시키고 후방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가 스와시의 제1측방을 상승시키고 제1측방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가 스와시의 전방, 제1측방 및 제2측방 모두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와시 11 : 하부 스와시
12 : 상부 스와시 15, 16, 17 : 커넥팅 로드 조인트
18 : 메인 축 30 : 전방 서보모터
33 : 전방 서보 디스크 35 : 전방 하부 링크
36 : 전망 상부 링크 38 : 전방 시소 레버
40 : 전방 회전 레버 47 : 전방 커넥팅 로드
50 : 제1측방 서보모터 53 : 제1측방 시소 레버
54 : 제1측방 커넥팅 로드 60 : 제2측방 서보모터
63 : 저2측방 시소 레버 64 :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는 도면에 미도시된 동체와 엔진 및 제어신호장치를 포함하는 모형 헬리콥터의 메인 축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 블레이드 및 스테빌라이저 바에 링크 기구로 연결되고, 축방향의 상하운동과 전후좌우로 경사지는 운동이 가능하게 메인 축에 삽입 장착되는 스와시를 구동시킴으로써 달성되며, 도 3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와시(10),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 제1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 및 제2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와시(10)는 하부 스와시(11)와 상부 스와시(12)로 이루어지며, 볼 조인트(20)가 메인 축(18)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 스와시(11)에는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와 좌우 후측방 각각에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 및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7)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스와시(11)의 바닥부에는 삽입부(11b)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는 직겨이 확장된 확장부(11a)가 형성된다.
상부 스와시(12)는 사방으로 피치 링크(19)가 연결되는 조인트가 형성되며, 볼조인트(20)와 함게 회전하며, 상기 볼조인트(20)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기판(12b) 하부에는 압입부(12a)가 연장된다.
상부 스와시(12)에 연결된 상기 볼 조인트(20)는 외면이 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스와시(12)의 압입부(12a)는 하부스와시(11)의 삽입부(11b)에 압입디고, 지지베어링(21)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 축(18)에 볼 조인트(20)에 의해서 장착된 스와시(10)는 피치 링크(19)에 의해 메인 축(18)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 블레이드 및 스테빌라이저 바(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어 각 서보 링크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구동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 블레이드 및 스테빌라이져 바의 피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볼 조인트(20)의 외면과 접하는 상부 스와시(12)의 기판(12b)은 모두 구면이므로 스와시(10)는 볼 조인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좌우로 자유자재로 기울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 서보링크 시스템은 전방 커넥팅 로드(47),전방 회전 레버(40), 전방 레버축(43), 전방 시소 레버(38), 전방 서보 디스크(33), 전방 상부 링크(36)및 전방 하부 링크(35)로 구성되어 메인 축(18) 앞쪽 동체에 장착된 전방 서보모터(3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전방 커넥팅 로드(47)는 상단이 상기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양쪽으로 갈라지는 로드 연장부(48)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회전 레버(40)은 전방 레버 몸체(41)와 상기 전방 회전 레버 몸체(41)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상기 로드 연장부(48)의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레버 연장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레버 몸체(41)에는 축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 레버축(43)은 상기 축삽입 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전방 회전 레버(40)와 일체로 되며, 소정의 축지지 수단에 의해 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는 중심이 상기 전방 레버축(43)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 서보 레버축(43)과 일체로 되며, 상기 전방 회전 레버(40) 및 상기 전방 레버 축(43)과 일체로 왕복회전하게 된다.
전방 서보 디스크(33)는 전방 서보모터축(31)에 장착되어 왕복회전하게 된다.
전방 상부 링크(36)와 전방 하부 링크(35)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 상단의 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서보 디스크(33) 원주면에 있는 2개의 조인트 각각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평행 4절 링크를 형성한다.
즉, 전방 상부 링크(36) 일단은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 상단의 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서보 디스크(33) 원주면에 있는 2개의 조인트 중 하나에 연결되며, 전방 하부 링크(35) 일단은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 하단의 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서보 디스크(33)의 나머지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상부 링크(36)와 나란하게 되어 평행 4절 링크가 된다.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은 제1측방 시소 레버(53)와 제1측방 커넥팅 로드(54)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축(18)의 일측방 동체에 장착된 제1측방 서보모터(5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일측 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1측방 시소 레버(53)는 중심이 상기 제1측방 서보모터축(51)에 고정되어 왕복회전운동한다.
상기 제1측방 커넥팅 로드(54)는 상기 제1측방 시소 레버(53) 일단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에 상단이 연결됨으로써 제1측방 서보모터(50)의 왕복회전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측방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제2측방 서보링크 시스템은 제2측방 시소 레버(63)와 제2측방 커넥팅 로드(64)로 구성되어 상기 제1측방 서보모터(50)의 반대편 동체에 장착된 제2측방 서보모터(6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과 연결된 스와시(10)의 측방 반대쪽 측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며 그 구조 및 작용은 상기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6은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의 상승 구동에 의해 스와시(10)의 전방이 상승됨과 동시에 제1측면 및 제2측면 서보 링크 시스템 모두의 하강 구동에 의해 상기 스와시(10)의 후방이 하강된 작동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의 상승 구동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트롤러(도면에 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 서보모터(30)가 구동되어전방 서보모터축(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 서보 디스크(3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보 디스크(33) 및 2개의 전방 링크(35, 36)의 4절 링크 운동에 의해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 레버 축(43)과 전방 회전 레버(40)도 전방 시소 레버(38)과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전방 회전 레버 연장부(42)는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회전 레버 연장부(42)에 연결된 전방 커넥팅 로드(47)도 위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전방 커넥팅 로드(47) 상단에 연결된 스와시(10)의 전방도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서보 링크의 상승 구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1측면 및 제2측면 서보 링크 시스템의 하강 구동은 다음과 같다.
도면에 미도시된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1측면 서보모터(50)가 구동되어 제1측면 서보모터축(51)이 반시계 방향(정면기준으로)으로 회전하면, 제1측방 시소 레버(53)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측방 시소 레버(53)에 하단이 연결된 제1측방 커넥팅 로드(54)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측방 커넥팅 로드(54)의 상단에 연결된 스와시(10)의 일측 후방이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2측방 서보 링크 서보 시스템의 하강 구동은 상기 제1측방 하강 구동과 대칭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스와시(10)이 전방으로 경사지는 구동은 상기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의 하강 구동과 제1측면 서보 링크 시스템 및 제2측면 서보 링크 시스템의 상승 구동으로 달성된다.
도 8에는 스와시(10)가 우에서 좌(정면 기준)로 기울어진 구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1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은 상승 구동을 하고 제2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은 하강 구동을 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이때,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이 하강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상기 스와시(10)는 우측 후방에서 좌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며,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이 상승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상기 스와시(10)는 우측 전방에서 좌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와시(10)가 좌에서 우(전방 기준)로 경사지는 구동은 상술한 과정과 대동소이하다.
도 9 에는 스와시의 콜렉티브 피치 제어를 위한 스와시(10)의 상하 구동이 도시되어 있다.
스와시(10)는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과 제1측방 및 제2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이 동시에 상승 구동과 하강 구동을 함으로써 스와시(10)의 경사 기울기의 변화없이 상하로 메인 축(18)을 따라 구동된다.
상술한 스와시(10)의 구동은 피치 링크(19)를 통하여 메인 블레이드 및 스테빌라이저 바에 전달되어 피치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전방 서보 링크 시스템과 제1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 및 제2측방 서보 링크 시스템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스와시(10)의 상하 운동 및 경사 운동은 상기 서보 링크 시스템 하나가 구동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상기 2개 또는 3개의 서보 링크 시스템의 구동이 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도 6내지 도 8은 헬리콥터의 싸이클릭 피치 제어을 위한 스와시의 구동상태이며, 도 9는 헬리콥터의 콜렉티브 피치 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구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는 싸이클릭 피치 제어와 콜렉 티브 피치 제어가 하나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3개의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링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구조가 간단하여 서보모터의 구동이 직접 스와시에 전달되므로 피치 제어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뿐만 아니라. 링크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1측면 서보모터 및 제2측면 서보모터를 메인 블레이드의 회전면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헬리콥터의 운동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동체와 엔진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형 헬리콥터의 메인 축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 블레이드 및 스테빌라이저 바에 다수개의 피치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콜렉티브 피치 제어 및 싸이클릭 피치 제어를 위하여 축방향의 상하운동과 전후좌우로 경사지는 운동이 가능하게 메인 축에 장착되는 스와시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와 좌우 후측방 각각에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 및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7)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스와시(11)와, 사방으로 피치 링크(19)가 연결되고, 상기 하부 스와시(11)의 윗쪽에서 압입되어 상기 하부 스와시(11)와 일체로 움직이는 상부 스와시(12)로 구성되며, 메인 축(18)가 함께 회전하며 외면이 구형인 볼 조인트(20)로 구성된 스와시(10)와,
    상기 동체에 장착된 전방 서보모터(30)의 구동력을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에 전달하여, 상기 전방 서보모터(3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방 서보링크 시스템과;
    상기 동체 일측에 장착된 제1측방 서보모터(50)의 구동력을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에 전달하여, 상기 제1측방 서보모터(5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일측 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1측방 서보링크 시스템; 및
    상기 동체 타측에 장착된 제2측방 서보모터(60)의 구동력을 제2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7)에 전달하여, 상기 제2측방 서보모터(60)의 회전왕복운동을 상기 스와시(10)의 타측 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는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측방 서보링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와시(10)의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서보링크 시스템은 상단이 상기 전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5)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양쪽으로 갈라지는 로드 연장부(48)가 형성되는 전방 커넥팅 로드(47)와;
    중심에 축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방 레버 몸체(41)와 상기 전방 회전 레버 몸체(41)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 상기 로드 연장부(48)의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레버 연장부(42)가 형성되는 전방 회전 레버(40)와;
    상기 축삽입 구멍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전방 회전 레버(40)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동체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레버축(43)과;
    중심이 상기 전방 레버축(43)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 서보 레버축(43)과 일체로 왕복회전하는 전방 시소 레버(38)와;
    상기 전방 서보모터축(31)에 장착되어 왕복회전하는 전방 서보 디스크(33)와;
    일단은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 상단의 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서보 디스크(33) 원주면에 있는 2개의 조인트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전방 상부 링크(36); 및
    일단은 상기 전방 시소 레버(38) 하단의 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 서보 디스크(33)의 나머지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상부 링크(36)와 나란하게 되는 전방 하부 링크(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방 링크 시스템은 중심이 상기 제1측방 서보모터축(51)에 고정되어 왕복회전운동하는 제1측방 시소 레버(53)와; 하단이 상기 제1측방 시소 레버(53) 일단의 조인트에 연결되며, 상단은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6)에 연결되는 제1측방 커넥팅 로드(54)로 구성되고,
    상기 제2측방 링크 시스템은 중심이 상기 제2측방 서보모터축(61)에 고정되어 왕복회전운동하는 제2측방 시소 레버(63)와; 하단이 상기 제2측방 시소 레버(63) 일단의 조인트에 연결되며, 상단은 제1측방 커넥팅 로드 조인트(17)에 연결되는 제2측방 커넥팅 로드(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KR2020020025885U 2002-08-30 2002-08-30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KR200295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85U KR200295729Y1 (ko) 2002-08-30 2002-08-30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85U KR200295729Y1 (ko) 2002-08-30 2002-08-30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729Y1 true KR200295729Y1 (ko) 2002-11-18

Family

ID=7305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85U KR200295729Y1 (ko) 2002-08-30 2002-08-30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244B1 (ko) * 2015-04-07 2016-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용 링케이지 장치
WO2018139694A1 (ko) * 2017-01-26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축 반전 로터를 이용한 드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244B1 (ko) * 2015-04-07 2016-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용 링케이지 장치
WO2018139694A1 (ko) * 2017-01-26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축 반전 로터를 이용한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16072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EP1462362B1 (en) Model helicopter rotor pitch control mechanism
US20100196161A1 (en) Rotor head of remotely-controlled helicopter and remotely-controlled helicopter
CA2749119C (en) Improved rotor-blad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295729Y1 (ko)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JP2002316699A (ja) 同軸反転型ヘリコプタ
JP4180726B2 (ja) ヘリコプター
EP1487698A1 (en) Device for steering a helicopter
JP2003103066A (ja) 模型ヘリコプターの回転翼ピッチコントロール機構
US20190263520A1 (en) Flying body
KR100417387B1 (ko)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KR200191417Y1 (ko)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 제어를 위한 스와시 구동장치
CN201551849U (zh) 单旋翼直升机的航向操纵装置
CN114126963B (zh) 马达单元及飞行物
KR200336766Y1 (ko) 날개짓 비행체 구동 메커니즘
US9821239B2 (en) Pitching arrangement for model helicopter
CN219355240U (zh) 一种玩具遥控直升飞机
KR20050011646A (ko) 날개짓 비행체 구동 메커니즘
KR200295730Y1 (ko) 모형 헬리콥터의 테일 블레이드 피치 제어 장치
CN219969849U (zh) 具有关节轴承的关节组件和机器人
US20080014087A1 (en) Tail rotor for remotely controlled toy helicopter
JPH0740896A (ja) 産業用無人ヘリコプタの操舵装置
KR102011299B1 (ko) 헬리콥터용 조종 장치
KR102240268B1 (ko) 골프 연습장용 4방향 경사도 구현이 가능한 스윙 플레이트
JP3050030U (ja) 模型ヘリコプタの操縦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