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387B1 -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 Google Patents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387B1
KR100417387B1 KR10-2000-0004822A KR20000004822A KR100417387B1 KR 100417387 B1 KR100417387 B1 KR 100417387B1 KR 20000004822 A KR20000004822 A KR 20000004822A KR 100417387 B1 KR100417387 B1 KR 10041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ntrol
helicopter
point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578A (ko
Inventor
이시카와시즈오
야마모토미치오
고노도오루
Original Assignee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8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 B64C27/59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 B64C27/605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mechanical including swash plate, spider or 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스워쉬 플레이트를 조종기측에서의 조작에 대응하여 동작시킨다.
(해결수단)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을 기초로 그 각부(角部)에 각각 제어점 (A,B,C)을 설치하고, 각 제어점(A,B,C)을 각각 서보장치에 연결한다. 또,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 중앙에 대하여 회전축(2)의 축선(Z)상에 배치되어 각 제어점 (A,B,C)이 이루는 면을 축선(Z)에 따른 슬라이딩동작 및 축선(Z)에 대한 경사동작을 행하는 가동점(O)을 설치한다. 때문에 축선(X) 또는 축선(Y)을 중심으로하여 각 제어점(A,B,C)으로 되는 면을 경사시킬 경우, 각 제어점(A,B,C)에서 가동점(O)까지의 거리가 같아져서 가동점(O)을 중심으로하여 각 제어점(A,B,C)을 같은 양으로 이동시키기가 가능하게 되고, 가동점(O)이 축선(Z)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다른 조작이 혼재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조종기측에서의 조작에 의한 서보장치의 작동량에 대응하여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의 비행동작을 행하게 할수 있다.

Description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RADIO-CONTROLLED HELICOPTER}
본 발명은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비행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워쉬 플레이트를 구비한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관한 것이다.도 4는 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이하 헬리콥터라 함)는 엔진이나 모터 등의 구동원(도시안됨)의 회전력을 직립된 회전축(102)에 의해 메인로터(103)에 전달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헬리콥터는 회전축(102)에 대하여 가동하는 스워쉬 플레이트(104)를 구비하고 있다. 스워쉬 플레이트(104)는 메인로터(103)와 송신기(도시안됨)에 의해 무선조작되는 각 서보장치(108) 사이에서 각각에 연결되고, 각 서보장치(108)의 동작을 메인로터(103)에 전달한다.도 5는 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104)는 기초원 중심에 있는 가동점(O)을 회전축 (102)의 축선(Z)상에 두고 있다. 이 기원은 원주가장자리 부분에 가동점(O)을 중심으로하여 120°분할한 3개의 제어점(A,B,C)을 가지고 있다. 즉, 각 제어점(A,B,C)은 가동점(O)에서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어점(A,B,C)은 각각이 각 서보장치(108)에 연결되어 있다. 각 서보장치(108)는 같은 속도와 같은 양으로 작동한다. 또, 스워쉬 플레이트(104)의 가동점(O)은 항상 회전축(102)의 축선(Z)상에 있어, 그 축선(Z)에 따른 상하 슬라이딩 동작과 각 제어점(A,B,C)이 이루는 제어면(109; 기원이 이루는 면)의 경사동작이 가능하다. 이 스워쉬 플레이트(104)는 가동점(O)을 기점으로 한 각 제어점(A,B,C)의 상하 동작에 따라 헬리콥터의 비행조작에 관여한다.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동작과 헬리콥터의 비행조작의 1예를 도 6a∼ 6c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6a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6b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6c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배면도이다.또한, 도 6a∼ 도 6c중의 1점 쇄선은 스워쉬 플레이트(104)의 제어면(109)을 회전축(102)의 축선(Z)에 대하여 직각(즉 수평)으로한 기준위치이다. 또, 스워쉬 플레이트(104)는 도 5에 있어서의 제어점(A)을 헬리콥터 전방으로 향하게 하고, 다른 제어점(B,C)을 헬리콥터의 좌우측방으로 향하게 설정하고 있다.우선, 도 6a와 같이 기준위치에서부터 제어점(A,B,C)을 올려서 가동점(O)을 회전축(102)의 축선(Z)상에 따르도록 상방으로 움직인다. 이에따라 메인로터(103)의 피치각도(메인로터(103)의 각 회전날개(103a)의 각도)가 증가하고, 헬리콥터가 상승한다. 반대로, 제어점(A,B,C)을 내려서 가동점(O)을 하방으로 움직이면 헬리콥터가 하강한다. 이와같이 가동점(O)의 상하 동작에 의해 헬리콥터의 상승·하강 (콜렉트피치 조작)이 행해진다.다음에, 도 6b와 같이 제어점(A)을 내리고 제어점(B,C)을 올려서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면(109)을 전방으로 기울인다. 이에따라 주기적으로 메인로터(103)의 피치각도가 변화하여 메인로터(103)의 회전면이 헬리콥터의 기체와 함께 전방으로 기울여 헬리콥터가 전진한다. 반대로, 제어점(A)을 올리고 제어점(B,C)을 내려서 제어면(109)을 후방으로 기울이면 메인로터(103)의 회전면이 헬리콥터의 기체와 함께 후방으로 기울여 헬리콥터가 후퇴한다. 이와같이 제어면(109)의 전후 경사동작에 의해 헬리콥터의 전진·후퇴(엘리베이터조작)이 행해진다.다음에 도 6c와 같이 제어점(A)은 움직이지 않고 제어점(B,C)을 반대방향으로 내리고 올리고하여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면(109)을 좌방 또는 우방으로 기울인다. 이에따라 주기적으로 메인로터(103)의 피치각도가 변화되어 메인로터(103)의 회전면이 헬리콥터의 기체와 함께 좌방 또는 우방으로 기울고, 헬리콥터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제어면(109)의 좌우 경사동작에 의해 헬리콥터의 좌우이동(에일런 조작)이 행해진다.때문에 스워쉬 플레이트(104)는 각 서보장치(108)의 작동에 응답하여 각 제어점(A,B,C)이 상하 이동됨으로써 가동점(O)을 기점으로하여 제어면(109)을 상하이동, 전후경사, 좌우경사지게하여 헬리콥터에 있어서의 콜렉트피치 조작, 엘리베이터 조작, 에일런 조작과 같은 기본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이들 기본조작이 복합되어 새로운 복잡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서는 스워쉬 플레이트(104)에 있어서의 각 제어점(A,B,C)이 기초원의 원주가장자리 부분에서, 가동점(O)을 중심으로 120°분할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6a, 6b에 있어서의 A-O간의 거리(도 5 표시의 m1)에 대해 도 6a, 도 6b에 있어서의 B-O간 및 C-O간의 거리(도 5 표시의 m2)가 ½이 된다.
즉, 엘리베이터 조작에 있어서, 가령 제어점(A)을 내리고, 제어점(B,C)을 올려서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면(109)을 전방으로 기울이면 도 6b와 같이 제어점(A)의 이동량(h1; 제어점(A)에 관한 서보장치의 작동량)과 제어점(B,C)의 이동량(h2; 제어점(B,C)에 관한 각 서보장치의 작동량)이 다르다.
그러나, 각 서보장치(108)는 같은 속도와 같은 양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제어점(A)이 소망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어점(B,C)이 소망위치에 도달한다(도 6b중 A', B', C'). 이 때문에 가동점(O)이 도 6b중 O'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축선(Z)상에 따르게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조작, 소위 콜렉트피치조작이 혼재하기 때문에 전방으로만 비행하는 키(조종기측의 조작)를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는 조작도 가해져서 콘트롤이 어렵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도 6c에 있어서의 B-O간 및 C-O간 (도 5 표시의 m3)의 거리에 있어서는 m1(A-O간)의 거리에 대해/2 가 된다.
에일런 조작에서는, 기본조작은 제어점(A)을 동작시키지 않기 때문에 제어점 (B,C)의 이동량(h3)은 같아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시와 같은 문제는 없다. 그러나 에일런 조작에 제어점(A)의 동작을 복합시킨 조작을 행할 경우는 m1과 m3의 거리가 다름으로서 헬리콥터를 비행조작하기 위해 조종기측에서의 조작에 의한 서보장치(108)의 작동량에 대하여 헬리콥터의 비행동작이 대응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워쉬 플레이트를 조종기측에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동작시킬수 있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스워쉬 플레이트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b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c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
도 4는 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스워쉬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6a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6b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6c는 도 5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회전축 3b: 회전날개
4: 스워쉬 플레이트 5: 어퍼플레이트(제 1 플레이트)
6: 로어플레이트(제 2 플레이트)
8: 서보장치 A,B,C: 제어점
O: 가동점 Z: 축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1 기재의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는 조종기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서보장치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스워쉬 플레이트를 갖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있어서,
상기 스워쉬 플레이트는,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을 기초로, 그 각각의 각부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서보장치에 연결되는 3개의 제어점과,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각 제어점이 이루는 면을 상기 축선에 따른 슬라이딩 동작 및 상기 축선에 대한 경사 동작을 행하는 가동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는 조종기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서보장치에 의해 작동함과 동시에 회전날개의 각도를 가변하도록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스워쉬 플레이트를 갖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있어서,
상기 스워쉬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따른 슬라이딩 동작 및 상기 축선에 대한 경사동작을행하는 가동점을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을 기초로 그 각각의 각부에 설치되어 각각 상기 서보장치에 연결되는 3개의 제어점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이하 헬리콥터라 함)는 기체(1)에 대하여 회전축(2)이 직립되어 있다. 회전축(2) 상단에는 메인로터(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메인로터(3)는 회전축(2)의 축선(Z)에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축부(3a)를 통하여 부착된 한쌍의 회전날개(3b)를 가지고 있다.
이 종류의 헬리콥터는 엔진이나 모터등의 구동원(도시안됨)의 회전력을 회전축(2)을 통하여 메인로터(3)에 전달한다. 또한 각 회전날개(3b)를 축부(3a)를 통하여 적의각도(피치각도)를 갖게 함으로써 상승·하강(콜렉트피치), 전진·후퇴(엘리베이터), 좌우이동(에일런)의 3개의 기본동작이 행해진다. 이들 기본동작은 스워쉬 플레이트(4)에 의해 행해진다. 이 스워쉬 플레이트(4)는 제1 플레이트로서의 어퍼플레이트(5)와 제2 플레이트로서의 로어플레이트(6)를 가지고 있다.
어퍼플레이트(5) 및 로어플레이트(6)는 회전축(2)에 대하여 끼워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어퍼플레이트(5)와 로어플레이트(6)는 그 사이에 볼베어링 등(도시안됨)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퍼플레이트(5)는 회전축(2)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축(2)의 축선(Z)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동작과, 회전축(2)의 축선(Z)에 대하여 경사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회전축(2)에 대하여 가령 스페리컬베어링 등(도시안됨)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어퍼플레이트(5)는 회전축(2)에 대한 슬라이딩·경사동작에 기인하여 주로 메인로터(3)의 회전날개(3b)에 관한 축부(3a)를 중심으로한 상기 회전동작을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로어플레이트(6)는 상기 스페리컬 베어링에 의해 어퍼플레이트(5)와 함께 회전축(2)의 축선(Z)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동작과, 회전축(2)의 축선(Z)에 대하여 경사지게 동작을 하나, 상기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축(2)의 회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 로어플레이트(6)는 송신기(7)에 의해 무선조종되는 각 서보장치(8)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서보장치(8)는 같은 속도와 같은 양으로 작동한다.
로어플레이트(6)는 도 2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 표시한 바와같이 3개의 제어점(A,B,C)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어점(A,B,C)은 회전축(2)의 축선(Z)상에 상기 슬라이딩·경사동작을 하도록 가동부(O)를 중심에 둔 정사각형에 대하여, 그 사각형의 1변 중앙과, 그 1변과 대향하는 타변의 각 단부(정사각형의 각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제어점(A,B,C)은 회전축(2)의 축선(Z)상에 있는 가동부(O)에서 135°, 135°, 90°로 분할되어 있다. 또 각 제어점(A,B,C)은 밑변(BC)과 높이 (AD)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의 각부 각각에 위치하고, 그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AD) 중앙에 가동점(O)을 이루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스워쉬 플레이트(4)는 로어플레이트(6)의 각 제어점(A,B,C)이 각 서보장치(8)의 작동에 의해 상하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점(O)을 기점으로하여 어퍼플레이트(5)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경사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스워쉬 플레이트(4)는 가동점(O)을 기점으로 한 각 제어점(A,B,C)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기 헬리콥터의 비행동작(콜렉트피치, 엘리베이터, 에일런)에 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과, 헬리콥터의 비행조작의 1예를 도 3a ∼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b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3c는 도 2에 관한 스워쉬 플레이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스워쉬 플레이트(4)는 제어점(A,B,C)이 이루는 제어면(9; 상기 정사각형이나 이등변 삼각형이 이루는 평면)이 회전축(2)의 축선(Z)에 대하여 직각(즉, 수평)으로된 기준위치를 이룬다. 도 3a ∼ 도 3c에서는 이 기준위치를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또, 스워쉬 플레이트(4)는 제어점(A)이 헬리콥터 전방을 향하게하고, 다른 제어점(B,C)이 헬리콥터의 좌우측방을 향하게 설정되어 있도록 한다.
우선, 헬리콥터의 상승·하강 조작인 콜렉트피치 조작을 든다.
도 3a와 같이 제어점(A,B,C)을 올리고, 가동점(O)을 회전축(2)의 축선(Z)상에 따르게 하면서 상방으로 움직인다. 이에따라 회전축(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메인로터(3)의 각 회전날개(3b)의 피치각도가 증가하고, 헬리콥터가 상승한다. 반대로 제어점(A,B,C)을 내려서 가동점(O)을 하방으로 움직이면 헬리콥터가 하강한다.
이 콜렉트피치 조작에서는 도 3a와 같이, 각 제어점(A,B,C)은 각각 같은 이동량(H1) 만큼 상방으로 움직이고, 제어면(9)은 기준위치에서 회전축(2)의 축선(Z)에 따라 평행으로 상승이동한다. 따라서, 각 제어점(A,B,C)을 이동시키는 각 서보장치(8)를 같은 양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다음에 헬리콥터의 전진·후퇴 조작인 엘리베이터 조작을 든다.
도 3b와 같이 제어점(A)을 내리고, 제어점(B,C)을 올려서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면(9)을 전방으로 기울인다. 이에따라 주기적으로 메인로터 (3)의 각 회전날개(3b)의 피치각도가 변화되고, 도 1 및 도 2 표시의 축선(Y)을 대략 중심으로하여 메인로터(3)의 회전면이 기체(1)와 함께 전방으로 기울여 헬리콥터가 전진한다. 반대로 제어점(A)을 올리고 제어점(B,C)을 내려서 제어면(9)을 후방으로 기울이면 메인로터(3)의 회전면이 헬리콥터의 기체(1)와 함께 후방으로 기울여 헬리콥터가 후진한다.
이 엘리베이터 조작은 도 3b 표시의 A-O간의 거리(도 2 표시의 M1)에 대하여 도 3b 표시의 B-O간 및 C-O간의 거리(도 2 표시의 M2)는 같다. 즉, 엘리베이터 조작에 있어서,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점(A)을 내리고 제어점(B,C)을 올릴 경우, 도 3b와 같이 제어점(A)과 제어점(B,C)이 함께 같은 이동량(H2)이 된다. 때문에 제어점(A)에 관한 서보장치(8)와 제어점(B,C)에 관한 각 서보장치 (8)를 같은 양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다음에 헬리콥터의 좌우이동 조작인 에일런조작을 든다.
도 3c와 같이 제어점(A)은 움직이지 않고 제어점(B,C)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면 가동점(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면(9)을 좌방 또는 우방으로 기울인다. 이에 의해 주기적으로 메인로터(3)의 각 회전날개(3b)의 피치각도가 변화되고 도 1 및 도 2 표시의 축선(X)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메인로터(3)의 회전면이 기체(1)와 함께 좌방 또는 우방으로 기울여 헬리콥터가 좌이동 또는 우이동한다.
이 에일런 조작에 있어서, 도 3c와 같이 B-O간과 C-O간의 거리(도 2 표시의 M3)는 같고 또 M1(A-O간)에 대해서도 같다. 즉, 에일런 조작에 있어서, 가동점 (O)을 기준위치에 둔 상태로 제어점(B,C)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시킬 경우, 제어점(B) 및 제어점(C)이 같은 이동량(H3)이 된다. 따라서, 제어점(B,C)에 관한 각 서보장치(8)를 같은 양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또, 상기 콘렉트피치, 엘리베이터, 에일런의 3조작을 복합시키면 더욱 복잡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스워쉬 플레이트(4)를 구비한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는 도 2 표시의 M1,M2,M3의 거리를 같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따라 도 3b 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에 있어서, 제어점(A)에 관한 서보장치(8)와, 제어점(B,C)에 관한 각 서보장치(8)를 같은 양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동점(O)을 중심으로한 스워쉬 플레이트(4)의 경사동작이 행해진다. 즉, 가동점(O)이 기준위치에서 움직이는 일이 없기때문에 엘리베이터 조작 이외의 다른 조작(콜렉트피치)이 혼재하지 않고 헬리콥터의 콘트롤이 쉽게 된다.
또, 도 2 표시의 M1,M2,M3의 거리가 같기때문에 가령, 도 3c 표시의 에일런 조작과 제어점(A)의 동작을 복합시킨 조작을 행할 경우, M1과 M3의 거리가 같으므로 헬리콥터를 비행조작하기 위한 조종기(7) 측에서의 조작과 서보장치(8)의 작동량에 기인하여 비행하는 헬리콥터의 비행동작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스워쉬 플레이트(4)는 제어점(A)이 헬리콥터 전방을 향하고, 다른 제어점(B,C)이 헬리콥터의 좌우측방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기타 제어점(A)의 설정위치는 가동점(O)을 축선(Z)에 둔 상태로 헬리콥터의 후방 또는 헬리콥터의 좌우측방을 향하고 있게(즉, 제어점(A)이 도 2 중 축선(Y,X)에 따르고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는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 중앙에 회전축 축선에 관한 가동점을 설치하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각부 각각에 서보장치에 관한 각 제어점을 설치한 스워쉬 플레이트를 이루고 있으므로 각 제어점이 이루는 면을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조작을 행할 경우, 제어점에서 가동점까지의 거리가 같은 상태로 가동점을 중심으로한 경사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가동점이 움직이는 이외의 조작이 혼재하지 않게된다. 때문에 조종기 측에서의 조작에 따른 서보장치의 작동량과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의 비행동작을 대응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조종기 조작으로 작동하는 서보장치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스워쉬 플레이트를 갖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있어서,
    상기 스워쉬 플레이트는,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을 기초로 그 각부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 상기 서보장치에 연결되는 3개의 제어점과,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각 제어점이 이루는 면을 상기 축선에 따른 슬라이딩 동작 및 상기 축선에 대한 경사 동작을 행하는 가동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2. 조종기 조작으로 작동하는 서보장치에 의해 작동함과 동시에 회전날개의 각도를 가변하게 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스워쉬 플레이트를 갖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에 있어서,
    상기 스워쉬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따른 슬라이딩 동작 및 상기 축선에 대한 경사동작을 행하는 가동점을 가지고, 상기 회전날개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 플레이트와,
    밑변과 높이가 같은 이등변 삼각형을 기초로 그 각부 각각에 설치되어 각각상기 서보장치에 연결되는 3개의 제어점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KR10-2000-0004822A 1999-02-05 2000-02-01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KR100417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28506 1999-02-05
JP11028506A JP2000225277A (ja) 1999-02-05 1999-02-05 ラジオコントロールヘリコプ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78A KR20000076578A (ko) 2000-12-26
KR100417387B1 true KR100417387B1 (ko) 2004-02-05

Family

ID=1225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822A KR100417387B1 (ko) 1999-02-05 2000-02-01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225277A (ko)
KR (1) KR100417387B1 (ko)
DE (1) DE1000137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272B2 (ja) * 2000-10-23 2010-08-2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模型用無線操縦ヘリコプタの操舵制御装置
JP4919746B2 (ja) 2006-09-14 2012-04-1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模型用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
DE102011082910A1 (de) * 2011-09-19 2013-03-21 Zf Friedrichshafen Ag Rotorblattsteuereinrichtung
DE102012203978A1 (de) 2012-03-14 2013-09-19 Zf Friedrichshafen Ag Rotorblattsteuereinrichtung
US10618645B2 (en) * 2015-08-25 2020-04-14 Aerovironment, Inc. Ganged servo flight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20220039281A (ko) 2020-09-22 2022-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트라이커 산포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7809A (en) * 1963-02-28 1965-11-16 Kaman Aircraft Corp Rotor blade pitch changing mechanism for rotary wing aircraft
JPS5614519B1 (ko) * 1971-04-06 1981-04-04
DE19524282C2 (de) * 1995-07-04 1997-12-04 Eurocopter Deutschland Rotorblattsteuerung, insbesondere für einen Hubschrau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01378B4 (de) 2004-09-09
DE10001378A1 (de) 2000-08-10
KR20000076578A (ko) 2000-12-26
JP2000225277A (ja) 200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0452B (zh) 方向可控的飞行器和用于实现其的螺旋桨结构
JP3723820B2 (ja) 同軸反転式ラジオコントロールヘリコプタ
KR20160131631A (ko) 추력의 방향 설정이 가능한 멀티로터 타입의 무인 비행체
KR20170135577A (ko) 틸팅 및 가변 피치 시스템이 적용된 무인 비행체
KR101853354B1 (ko) 드론
KR100417387B1 (ko) 라디오 컨트롤 헬리콥터
JP2005289128A (ja) 二重反転翼のピッチ角可変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二重反転翼を有する飛行装置
JP7076873B1 (ja) Focパワーシステムに基づいたティルト回転可能な6つのローター付きの水陸両用無人機
JP2004121798A (ja) 同軸反転式ラジオコントロールヘリコプタ
JP2004121798A5 (ko)
JP2002316699A (ja) 同軸反転型ヘリコプタ
JPS63255405A (ja) 表面作業機械
KR101416742B1 (ko) 틸트 로터형 비행체
US20190263520A1 (en) Flying body
CN107261523B (zh) 发射机
CN204473138U (zh) 用于大型无人直升机或载人直升机的周期螺距混控系统
JP2006089010A (ja) 4ローター型ヘリコプターの構造と姿勢制御方法
JP3742764B2 (ja) 模型ヘリコプターのスワッシュプレートスライド機構
KR100299622B1 (ko) 전방향 이동 로봇
JPH057037Y2 (ko)
KR200295729Y1 (ko) 모형 헬리콥터의 피치제어를 위한 스와시의 직접 구동장치
CN114872891B (zh) 旋翼飞行器、飞行器控制方法及装置
JP3802010B2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ヘリコプターのスワッシュプレート制御機構
CN108638095A (zh) 一种机器人运动控制装置及其操作方法
JPH05119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