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42Y1 -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42Y1
KR200295642Y1 KR2020020026014U KR20020026014U KR200295642Y1 KR 200295642 Y1 KR200295642 Y1 KR 200295642Y1 KR 2020020026014 U KR2020020026014 U KR 2020020026014U KR 20020026014 U KR20020026014 U KR 20020026014U KR 200295642 Y1 KR200295642 Y1 KR 200295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pport
hands
connector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20026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4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거치대에 커넥터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단말기에 핸즈프리를 연결할 때의 커넥터 연결동작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 단말기 제조사 및 모델별로 설계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호환가능하게 거치시키면서 플러그 인(plug-in)을 할 수 있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측 소정위치에 범용 커넥터가 구비된 단말기 지지대; 상기 단말기 지지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내면에 소장크기의 홈이 형성된 측면 지지대; 상기 단말기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양 측면 지지대의 내측 홈에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 폭크기에 따라 완충적으로 가변되는 완충부재; 상기 측면 지지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단말기의 폭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한 후 상기 후면지지대에 측면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즈프리 만능거치대{A handsfree all-perpose hanging member}
본 고안은 각종 차량에 단말기를 거치시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다양한 종류에 상관없이 호환이 가능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운전중에도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의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이 가중되고 있어 휴대폰을 차량에 거치시켜 통화할 수 있는 다양한 핸즈프리 거치대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종래의 단말기 거치대는 자석을 이용하여 거치시키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들 핸즈프리 거치대는 각 휴대폰 제조회사에서 출시된 휴대폰에 맞게 설계되어 있어 다른 휴대폰과 상호호환시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핸즈프리 거치대에는 커넥터가 불변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에 반하여 단말기는 각 제조회사별, 모델별로 크기와 폭이 다르며, 또한 배터리이 두께에 따라 단말기의 커넥터와 핸즈프리의 커넥터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종 단말기와 핸즈프리간의 호환이 불가능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휴대폰을 분실하여 다른 휴대폰으로 교체하였을 경우, 상기 구입한 휴대폰과 호환되는 핸즈프리 거치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동작하기 위한 핸즈프리 거치대의 경우, 핸즈프리에 이어폰 잭(earphone jack)을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카 키트 커넥터(car-kit connector)를 단말기 하단의 리셉터클에 삽입하여 통신대기를 하여야 한다. 이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제1 동작과 커넥터를 삽입해야 하는 제2 동작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와 핸즈프리간의 연결작업이 매우 번거로움이 따르는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치대에 커넥터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단말기에 핸즈프리를 연결할 때의 커넥터 연결동작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 단말기 제조사 및 모델별로 설계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호환가능하게 거치시키면서 플러그 인(plug-in)을 할 수 있는 헨즈프리 만능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인 범융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말기 지지대 2: 측면지지대
3: 볼록패널 4: 스프링
5: 격자판 6: 스크류
7: 단말기 8: 범용 커넥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측 소정위치에 범용 커넥터가 구비된 단말기 지지대; 상기 단말기 지지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내면에 소장크기의 홈이 형성된 측면 지지대; 상기 단말기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양 측면 지지대의 내측 홈에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 폭크기에 따라 완충적으로 가변되는 완충부재; 상기 측면 지지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단말기의 폭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한 후 상기 후면지지대에 측면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는 제조회사별 또는 모델별로 각기 크기 및 두께가 다른 단말기 모두를 호환가능하게 거치시키면서 핸즈프리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소정위치에 범용 커넥터(8)가 구비되며, 단말기(7)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된 사각 패널 형상의 단말기 지지대(1)와; 상기 단말기 지지대(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단말기(7)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내면에 소정크기의 홈이 형성된 측면 지지대(2)와; 상기 측면지지대(2)의 내측 홈에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7) 폭크기에 따라 완충적으로 가변되는 연성재질의 볼록패널(3)과; 상기 볼록패널(3)이 완충적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측면지지대(2)와 볼록패널(3)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과; 상기 측면 지지대(2)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단말기(7)의 폭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한 후 상기 측면지지대(2)에 단말기 지지대(1)를 고정시키며, 가로면에 긴 홀(5a)이 형성된 격자판(5); 및 상기 격자판(5)의 홀(5a)을 관통하여 단말기 지지대(1)에 고정되는 스크류(6)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단말기 지지대 또는 측면지지대에 스피커나 마이크를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범용 커넥터(8)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는 현재 출시되는 신형 단말기의 핀수에 맞게 입력홀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구형 및 신형 단말기의 핀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입력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록패널(3)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단말기(7)의거치시, 긁힘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조회사별 또는 모델별로 각기 다른 다양한 폭크기를 갖는 단말기의 폭크기에 맞게 단말기 지지대(1)의 양측에서 격자판(5)의 폭을 조절하고, 또 상기 단말기(7)의 배터리 두께도 고려하여 상기 격자판(5)을 전후진 시켜 조절하고, 범용 커넥터(8)의 위치와 단말기(7)의 커넥터 위치가 맞는지 확인한 후, 스크류(6)를 상기 격자판(5)의 홀에 관통시켜 단말기 지지대(1)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격자판(5)에 장착되어 있는 측면 지지대(2)도 자연적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상태에서 단말기 지지대(1) 상에 단말기(7)를 끼우게 되면, 볼록부재(3)가 측면지지대(2)의 홈측으로 삽입되었다가 상기 단말기(7)의 위치가 결정되면, 스프링(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볼록부재(3)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단말기(7)를 가압함으로써 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7)를 지지대(1)에 지지시킬 때, 범용 커넥터(8)가 단말기(7)의 커넥터 위치와 일치되므로써 별도의 커넥터 케이블 연결시, 단일 동작에 이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말기 제조회사, 모델별로 단말기 크기가 다르고, 배터리의 두께에 따라 단말기 커넥터의 위치에 맞게 단말기 지지대와 측면 지지대의 위치를 격자판을 매개로 조절하고 커넥터를 세팅함으로서 커넥터 케이블 연결시, 단일 동작에 의해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종 단말기의 크기 및 폭에 맞게 측면 지지대가 조절되면서 볼록패널이 완충적으로 가변되므로, 각종 단말기의 호환이 가능하게 되어 단말기를 교체하였을 경우에도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른 효과을 가진다.

Claims (3)

  1. 하부측 소정위치에 범용 커넥터가 구비된 단말기 지지대;
    상기 단말기 지지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단말기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내면에 소장크기의 홈이 형성된 측면 지지대;
    상기 단말기의 양 측면과 접촉하는 양 측면 지지대의 내측 홈에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 폭크기에 따라 완충적으로 가변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측면 지지대의 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단말기의 폭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한 후 상기 후면지지대에 측면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측면지지대의 내측 홈에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설치된 연성재질의 볼록부재; 및
    상기 볼록부재가 완충적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측면지지대와 볼록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가로면에 긴 홀이 형성된 격자판; 및
    상기 격자판의 홀을 관통하여 단말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만능 거치대.
KR2020020026014U 2002-08-30 2002-08-30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KR200295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014U KR200295642Y1 (ko) 2002-08-30 2002-08-30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014U KR200295642Y1 (ko) 2002-08-30 2002-08-30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42Y1 true KR200295642Y1 (ko) 2002-11-18

Family

ID=7305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014U KR200295642Y1 (ko) 2002-08-30 2002-08-30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0719A1 (en) Adapter for portable telephone usable as mobile telephone in vehicle
US7333837B2 (en) Universal hands-free unit for mobile telephones
KR200403065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295642Y1 (ko) 핸즈프리 만능거치대
US20040132343A1 (en) Adapter for a telephone holder of a hands-free device
WO2013189415A2 (zh) 通用车载装置
KR200353977Y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JPH1127351A (ja) 携帯無線機用ホルダー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392958Y1 (ko) 다기종 핸즈프리 키트
US11863696B2 (en) Communications handset cradle attachment
KR200233069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및 이 핸즈프리세트에 사용되는휴대폰
KR20029113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 배터리 착탈장치
KR200226240Y1 (ko) 원터치핸즈프리접속장치
KR102522141B1 (ko) 단말기 거치대
KR100393325B1 (ko) 휴대폰용 어깨받침장치
CN219394886U (zh) 一种手机支架
US20040013265A1 (en) Cellular phone holding device
KR200255937Y1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핸드폰 접속구조
JP3769488B2 (ja) 電話機
CN2589282Y (zh) 车载手机免提装置
KR200287419Y1 (ko) 장착부재를 이용한 탈부착가능한 핸즈프리
KR100474865B1 (ko) 폰잭을 갖는 헤드셋과 그의 거치대
KR200171305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JP3071689U (ja) 自動車の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