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745Y1 - 고청정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고청정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745Y1
KR200294745Y1 KR2020020023279U KR20020023279U KR200294745Y1 KR 200294745 Y1 KR200294745 Y1 KR 200294745Y1 KR 2020020023279 U KR2020020023279 U KR 2020020023279U KR 20020023279 U KR20020023279 U KR 20020023279U KR 200294745 Y1 KR200294745 Y1 KR 200294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partition wall
chamber
blow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 식 김
Original Assignee
주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식 김 filed Critical 주 식 김
Priority to KR202002002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7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745Y1/ko

Link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Ventilat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대하여 항온 항습을 유지시키기 위한 항온항습기로서, 히팅 코일, 쿨링 코일, 제2 블로어 팬 및 필터 유닛이 순차 내장되고, 전방단에 흡입구를 갖는 박스형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는, 제1 블로어 팬이 내장되고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박스형 본체의 전방측 내부를 구획하는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의 후단에 상기 제1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2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내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내지는 가열하여 상태 변화를 조성하기 위한 히팅코일과 쿨링 코일이 병렬 배치되는 공조실과, 상기 공조실의 후단에 상기 제2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태 변환된 공기에 대하여 가습이 요망될 경우 일정 농도의 수분을 분무하여 가습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기와, 상기 제1 블로어 팬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 전송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제2 블로어 팬이 병렬 설치된 송풍실과, 상기 송풍실의 제3 격벽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 구획되고, 내부에 필터 유닛이 상기 제2 블로어 팬과만 연통 가능하게 구획 배설된 청정실을 순차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청정실의 측방 외측면들에는 상기 청정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실내에 구비되는 각종 기기등과의 상호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 제약을 받지 않아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내를 전방위적으로 광범위하게 항온항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고청정 항온항습기{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with high clean level}
본 고안은 고청정 항온 항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가의 컴퓨터나 전산 기기등이 구비된 전산실, 병,의원의 수술실 및 버섯 재배실 등과 같은 정밀한 온도, 습도 제어를 요구하는 장소에서의 실내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항온 항습기를 실외 천장 또는 외벽면에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실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항온 항습기는, 실외 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항온 항습이 요구되는 실내를 비롯하여 각종 기기에 송풍함으로서 냉,난방, 제습, 가습, 공기 청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육면체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하방과 상방 일측에는 공기 흡입 및 배출을 위해 그릴을 구비한 본체(10)와,
그 내방에는 흡입 그릴(11) 저면으로 공기중 미세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 필터(12)가 개재되고,
그 후방으로 공기의 냉각과 가열을 통한 상태 변화를 이루는 쿨링 코일(13)과 히팅 코일(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쿨링 코일(13)과 히팅 코일(14) 일측에는,
쿨링 코일(13) 내방을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와 쿨링 및 히팅 코일(13,14)을 통과한 공기의 가습이 요구될 경우, 일정한 농도의 습기를 배출하는 가습기(16)가 본체(10) 하방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공기의 상태 변화를 위해 쿨링과 히팅 코일(13,14) 및 가습기(16)를 장착한 항온 항습기(1)는 냉각, 가열,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해 본체 상방으로 블로워팬(17)을 개재하고,
상기 블로워팬(17)은 구동 모터(18)를 구동력으로 하는 시로코(sirocco)타입의 원형팬으로 축방향의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직각 방향으로 토출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블로워팬(17) 토출측 상방에는 본체(10)의 배출 그릴(19)과 연계되는 토출 덕트(20)를 구비하여 공기의 원활한 배출에 따른 공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항온 항습기(1)는 항온 항습을 요구하는 실내의 벽면이 연결되는 모퉁이부분 혹은 가장 자리등에 직립 비치됨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항온 항습기(1)의 대부분 형상이 육면체를 이루어 항온 항습을 요하는 실내 공간을 잠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상기 항온 항습기가 육면체로서 설비됨은 항온 항습 용량이 증가할 수로 본체의 규격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문제점을 초래함은 물론, 실내 가장 자리등에 직립 고정되므로 배출 그릴을 통해 토출된 공기의 순환 시간 지연과 운집한 각종 기기와 원거리에 위치하여 직접 냉각 혹은 가열을 통한 항온 항습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항온 항습기를 실외 천장 및 벽면에 구비하여 설비 공간을 극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의 증대와 신속한 공기 순환을 유도하며, 나아가 항온 항습기의 배출구에 덕트 장착이 용이하여 이를 통한 각종 기기에 직접 토출이 가능하게 하여 항온 항습 효율 상승과 공간 활용성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온 항습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항온 항습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의 상단 커버를 제외한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항온 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B-B에 따른 항온 항습기의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의 제어반측과 토출구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실내 30 : 본체
31 : 흡입구 31a : 블레이드
31b : 흡입덕트 40 : 흡입실
41 : 제1 블로어 팬 50 : 공조실
60 : 송풍실 70 : 청정실
80 : 강성 파이프 81 : 가요성 파이프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실내에 대하여 항온 항습을 유지시키기 위한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히팅 코일, 쿨링 코일, 제2 블로어 팬 및 필터 유닛이 순차 내장되고, 전방단에 흡입구를 갖는 박스형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는,
제1 블로어 팬이 내장되고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박스형 본체의 전방측 내부를 구획하는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의 후단에 상기 제1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2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내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내지는 가열하여 상태 변화를 조성하기 위한 히팅코일과 쿨링 코일이 병렬 배치되는 공조실과,
상기 공조실의 후단에 상기 제2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태 변환된 공기에 대하여 가습이 요망될 경우 일정 농도의 수분을 분무하여 가습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기와, 상기 제1 블로어 팬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 전송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제2 블로어 팬이 병렬 설치된 송풍실과,
상기 송풍실의 제3 격벽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 구획되고, 내부에 필터 유닛이 상기 제2 블로어 팬과만 연통 가능하게 구획 배설된 청정실을 순차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청정실의 측방 외측면들에는 상기 청정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고안에 채용된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R)에 대하여 항온 항습을 유지시키기 위한 항온항습기이다.
또, 상기 항온항습기는, 제1 블로어 팬(41), 쿨링 코일(13), 히팅 코일(14),제2 블로어 팬(61) 및 필터 유닛(71)이 순차적으로 구획되어 내장되고, 전방단에 흡입구(31)를 갖는 박스형 본체(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박스형 본체(30)는, 제1 블로어 팬(41)이 내장되고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박스형 본체(30)의 전방측 내부를 구획하는 흡입실(40)과, 상기 흡입실(40)의 후단에 상기 제1 격벽(30a)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2 격벽(30b) 사이에 배열되고, 내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내지는 가열하여 상태 변화를 조성하기 위한 히팅코일(14)과 쿨링 코일(13)이 병렬 배치되는 공조실(50)과, 상기 공조실(50)의 후단에 상기 제2 격벽(30b)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 격벽(30c)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태 변환된 공기에 대하여 가습이 요망될 경우 일정 농도의 수분을 분무하여 가습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기(63)와, 상기 제1 블로어 팬(41)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 전송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제2 블로어 팬(61)이 병렬 설치된 송풍실(60)과, 상기 송풍실(60)의 제3 격벽에 의해 상기 본체(30) 내에 구획되고, 내부에 필터 유닛(71)이 상기 제2 블로어 팬(61)과만 연통 가능하게 구획 배설된 청정실(70)을 순차로 구비한다.
또, 상기 본체(30)의 청정실(70)의 측방 외측면들에는 상기 청정 공조된 공기를 실내(R)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스형 본체(30)는, 항온 항습 처리될 실내(R) 공간의 외벽 일예로 천장 외벽면에 형성된 공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3)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하면에 구비한다.
또, 상기 청정실측의 배출구(33)들에는 실내(R)의 내부로 연장 배치되어 실내(R)의 공조될 구역까지 자유자재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요성 파이프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요성 파이프(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정실(70) 외측면에 연통 가능하게 접속된 강성 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배치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30)는 흡입, 배출 및, 순환 작용을 수행하도록 일예로, 천장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30)와 격판(30a, 30b, 30c, 30d)들은 단열재가 함입된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제어반을 조작하여 습도와 온도를 초기 설정한 후, 항온항습기를 턴온시키면, 상기 본체(30) 전방측에 실내(R) 공기를 흡입덕트(31b)를 매개로 공기흡입방향을 설정하면서 흡입하기 위한 블레이드(31a)가 다수 개 일정간격으로 회동 자유롭게 흡입구(31)측에 지지되고, 이 흡입구(31)를 통해 제1 블로어 팬(41)을 매개로 실내(R) 공기를 흡입실(40)로 흡입한 후, 다음의 공조실(50)로 송풍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실내(R)로부터 흡입되어 공조실(50)로 송풍된 흡입공기는, 쿨링 또는 히팅 코일(13 또는 1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어 공조되게 된다.
또, 상기 공조실(50)에서 공조된 공조 공기는, 가습이 요망될 경우에는 가습기(63)에 의해 일정 농도의 수분을 분무하여 가습 작용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에가습/비가습된 공조 공기를 다음의 청정유닛(71) 내로 제2 블로어 팬(61)에 의해 강제 송풍된다.
이때, 상기 청정 유닛(71)의 하부는 필터(F)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청정 유닛(71)의 필터(F)에서 흡입 공기 중 포함된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된 후, 본체(30)에 마련된 배출구(33)를 통해 실내(R)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로어 팬들(41, 61)은 원통형인 시로코타입의 블로어 팬으로서, 공기 흐름을 위한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인 구성으로 되며, 상기와 같이 필터에서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쿨링 코일(13)과 증발열에 의한 가열작용을 수행하는 히팅 코일(14)을 통과한 공조 공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한 이후, 실내(R)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배출구(33)를 통해 상기 청정 공조된 공기가 실내(R)로 배출되는 데, 공조 공기를 실내(R)로 전면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본체(30)의 하면에 마련된 토출구(35)를 통해, 항온 항습 처리될 실내(R) 공간의 천장 외벽에 형성된 공조된 공기가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또, 상기 토출구(35)를 통해 실내(R)로 제공되는 공조 공기는 실내(R)의 중앙부의 공조를 위한 것이지만, 상기 본체(30)의 배출구(33)에 기밀하게 접속된 가요성 파이프(81)는, 실내(R)의 내부로 연장 배치되어 실내(R)의 공조될 구역까지 자유자재로 이동하면서, 실내(R)에 전방위적으로 공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R)를 공조시킨 공기는 실내(R)의 외측면에 마련된 흡입덕트를 매개로 재차 흡입, 배출 및, 순환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유동되는 공기는 실내(R)와 항온항습기 사이를 순환하면서, 지속적으로 실내(R)로 재토출되어 항온 항습 작용을 수행하며, 쿨링/히팅 코일(13 또는 14)을 통과한 공기내의 습도가 적정 수준 이하일 경우, 유동하는 공기에 가습기(63)를 통하여 일정 농도의 습도를 유지하도록 수분을 분무한 후 본체(30)의 배출구(33)를 통해 실내(R)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외벽면 부착형 항온 항습기는 항온 항습이 요구되는 실내(R)의 천장 상부 또는 외벽면에 장착됨으로써, 실내(R)에 구비되는 각종 기기등과의 상호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 제약을 받지 않아 실내(R)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내(R)를 전방위적으로 광범위하게 항온항습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R) 구비되는 각종 기기들과의 공간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천장 또는 외벽면에 장착됨으로 인해 실내(R)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요성 파이프를 통해 실내(R)를 전방위적으로 공조, 항온 항습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Claims (3)

  1. 실내에 대하여 항온 항습을 유지시키기 위한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히팅 코일, 쿨링 코일, 제2 블로어 팬 및 필터 유닛이 순차 내장되고, 전방단에 흡입구를 갖는 박스형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형 본체는,
    제1 블로어 팬이 내장되고 제1 격벽에 의해 상기 박스형 본체의 전방측 내부를 구획하는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의 후단에 상기 제1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2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내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내지는 가열하여 상태 변화를 조성하기 위한 히팅코일과 쿨링 코일이 병렬 배치되는 공조실과,
    상기 공조실의 후단에 상기 제2 격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 격벽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상태 변환된 공기에 대하여 가습이 요망될 경우 일정 농도의 수분을 분무하여 가습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기와, 상기 제1 블로어 팬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 전송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한 제2 블로어 팬이 병렬 설치된 송풍실과,
    상기 송풍실의 제3 격벽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 구획되고, 내부에 필터 유닛이 상기 제2 블로어 팬과만 연통 가능하게 구획 배설된 청정실을 순차로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청정실의 측방 외측면들에는 상기 청정 공조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항온항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본체는, 항온 항습 처리될 실내 공간의 외벽에 형성된 공조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하면에 갖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항온항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실측의 배출구들에는 실내의 내부로 연장 배치되어 실내의 공조될 구역까지 자유자재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요성 파이프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항온항습기.
KR2020020023279U 2002-08-03 2002-08-03 고청정 항온항습기 KR200294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79U KR200294745Y1 (ko) 2002-08-03 2002-08-03 고청정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79U KR200294745Y1 (ko) 2002-08-03 2002-08-03 고청정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745Y1 true KR200294745Y1 (ko) 2002-11-13

Family

ID=7308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279U KR200294745Y1 (ko) 2002-08-03 2002-08-03 고청정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7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1207A (zh) * 2023-08-25 2023-11-21 三河同飞制冷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厂房空气调节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1207A (zh) * 2023-08-25 2023-11-21 三河同飞制冷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厂房空气调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9677B (zh) 空调
KR101039768B1 (ko) 기류전환용 호퍼와 스윙그릴을 부착한 천장 4방향 에어콘의 실내기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JP598788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JP201607058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04864494B (zh) 空调机室内机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WO2023065693A1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KR20180098943A (ko) 개인용 에어컨
JP2001141293A (ja) 空気調和装置
KR200294745Y1 (ko) 고청정 항온항습기
CN216744618U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JP2003021356A (ja) 空気調和機
KR200211988Y1 (ko) 천장형 항온 항습기
KR20010026764A (ko) 가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조기기
KR100730649B1 (ko) 국부 공조 시스템
JP65928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H05288378A (ja) クリーンルーム
KR20020025128A (ko) 대류식 복합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
JPH04363523A (ja) 空気調和機
EP3795919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device
JP3159383B1 (ja) 天吊形空調機
JP3218458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