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705Y1 - 연마기용 드럼 - Google Patents

연마기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705Y1
KR200294705Y1 KR2020020021282U KR20020021282U KR200294705Y1 KR 200294705 Y1 KR200294705 Y1 KR 200294705Y1 KR 2020020021282 U KR2020020021282 U KR 2020020021282U KR 20020021282 U KR20020021282 U KR 20020021282U KR 200294705 Y1 KR200294705 Y1 KR 200294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upler
washer
rubber roller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돈 이
Original Assignee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인성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2020020021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705Y1/ko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마기용 드럼을 개시한다.
이러한 연마기용 드럼은 외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는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연마기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심으로는 내주연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 외주연은 확장된 플랜지를 형성한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어 플랜지의 일면에 밀접하게 구비되어지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1와셔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고 외주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원통형의 러버롤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된 러버롤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2와셔와, 상기 제2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커플러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러버롤러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2커플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마기용 드럼은 탄성을 갖는 러버롤러의 외주면에 연마 페이퍼를 감은 상태에서 이를 양측에서 와셔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시에도 연마 페이퍼의 유동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마기용 드럼{drum for grinder}
본 고안은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연마 페이퍼가 외면에 구비되는 연마기용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드럼으로부터 연마 페이퍼가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마기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질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흔히 그라인더라고 불리우는 연삭기가 사용되어지며, 이러한 연삭기는 그 형태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통상 고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경도가 높은 금속 또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함침한 연마 페이퍼를 사용해서 대상물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연마기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장치(m)와, 이 동력장치(m)의 출력단(s)에 연결되는 드럼(100) 및 이 드럼(1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연마 페이퍼(p)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장치(m)는 고속의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통상의 정·역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장치(m)는 외부 또는 자체 전원을 인가받아 출력단(s)인 회전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선을 따라 홈이 형성된 나사 가공되는 구조이며, 후술할 드럼(100)과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드럼(100)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중심에는 상술한 회전축이 나사 체결될 수 있게 내주면이 나사 가공된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드럼(100)은 통상 선삭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지는 금속재로 마련되어진다.
상기 연마 페이퍼(p)는 표면에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재가 전착된페이퍼(p)로서,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마기는 동력장치(m)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이 드럼(100)과 일체로 고속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에는 연마 페이퍼(p)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연마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연마기용 드럼(100)은 선삭가공에 의해 구비되어지는 것에 의해 그 외부 표면이 매우 매끄러운 형태이고, 이러한 드럼(100)의 외면에 감겨진 연마 페이퍼(p)는 연마 작업중 쉽게 드럼(100)으로부터 유동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드럼(10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연마 페이퍼(p)를 접착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상기 드럼(100)이 고속으로 회전을 이루면서 연마 페이퍼(p)가 대상물 표면에 접촉되어지는 마찰력 때문에 유동 및 분리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연마 페이퍼(p)의 잦은 유동과 분리는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자칫 연마 페이퍼(p)가 찢겨지면서 원심력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럼상에 연마 페이퍼를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마 페이퍼의 유동에 의한 작업성 저하와 작업자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있도록 한 연마기용 드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커플러
20 : 제2커플러
30,35 : 와셔
40 : 러버롤러
m : 동력장치
s : 회전축
p : 연마 페이퍼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은, 외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는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연마기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심으로는 내주연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 외주연은 확장된 플랜지를 형성한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어 플랜지의 일면에 밀접하게 구비되어지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1와셔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고 외주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원통형의 러버롤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된 러버롤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2와셔와, 상기 제2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커플러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러버롤러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2커플러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제2커플러는 볼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1,2와셔는 러버롤러의 직경을 기준으로 대략 60~95%의 지름을 갖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마기용 드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마기 드럼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제1커플러(10)와, 제1와셔(35) 및 러버롤러(40) 그리고 제2와셔(30)와 제2커플러(20)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제1커플러(10)는 대략 관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으로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내주연에는 나선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즉, 나사 가공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1커플러(10)의 일측 끝단부 외주연에는 확장된 플랜지(1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제1와셔(35)는 상기 제1커플러(10)의 플랜지(11)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으로 끼움되는 평판의 고리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기 제1커플러(10)의 플랜지(11)에 비하여 큰 지름으로 성형되어진다.
러버롤러(40)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원통체의 부재로서, 그 중심으로는 상기의 제1커플러(10)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러버롤러(40)는 억지 끼움에 의해 상기 제1커플러(10)에 끼움되어진다.
한편, 상기 러버롤러(40)의 외주연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연마성분이 전착된 연마 페이퍼(p)가 감겨지게 되며, 이때의 연마 페이퍼(p)는 연마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짐으로써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제2와셔(30)는 상기 제1와셔(35)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되며, 상기 제1와셔(35)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러버롤러(40)에 접촉되는 구성이다.
제2커플러(20)는 그 형상이 대략 볼트 형태로 제공되는 구조로서, 나사 가공된 부분이 상기 제2와셔(30)의 중심을 관통하여 러버롤러(40)의 내주연에 구비된제1커플러(10)에 나사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커플러(20)는 상기 제1커플러(10)와의 나사 체결력을 높임으로써 제1,2와셔가 러버롤러(40)의 양측 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가압되는 러버롤러(40)는 외주연 방향으로 탄력적인 확장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부피가 팽창되는 것에 의해 그 외주면에 감겨진 연마 페이퍼(p)를 보다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m)은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s)는 상기 동력장치의 출력단인 회전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의 회전축(s)은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회전축(s)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커플러(10)와 나사 체결되어짐으로써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연마기용 드럼의 조립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형상을 갖는 제1커플러(10)는 일측 끝단부 외주연에 확장된 플랜지(11)가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이 플랜지(11)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단으로 제1와셔(35)와 러버롤러(40)를 순차적으로 끼움시킨다.
이어서, 상기 러버롤러(40)의 위로 즉, 제1와셔(35)와 반대되는 위치에 제2와셔(3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와셔(30)의 중심으로 볼트 형태로 제공되는 제1커플러(10)의 일단을 삽입시키고, 이 제2커플러(20)를 제1커플러(10)와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드럼은 제1,2커플러(10),(20)를 상호 조임으로써 상기 제1,2와셔(35),(30)가 러버롤러(40)의 양측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러버롤러(40)는 외주연 방향으로 탄력적인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러버롤러(40)의 외면에 감겨진 연마 페이퍼(p)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러버롤러(4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연마 페이퍼(p)를 구비한 드럼은 연마 대상물의 표면에 초기 접촉시 발생하는 접촉력을 러버롤러(40)에서 흡수 및 완충시키므로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마 대상물의 표면을 보다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마기용 드럼은 탄성을 갖는 러버롤러의 외주면에 연마 페이퍼를 감은 상태에서 이를 양측에서 와셔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드럼의 고속회전시에도 연마 페이퍼의 유동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마 페이퍼의 유동 및 분리에 의한 작업성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마 페이퍼가 유동된 상태에서 찢겨지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이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외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는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연마기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심으로는 내주연이 나사가공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끝단 외주연은 확장된 플랜지를 형성한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어 플랜지의 일면에 밀접하게 구비되어지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1와셔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되고 외주면에 연마 페이퍼가 감겨지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성형되는 원통형의 러버롤러와;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움된 러버롤러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제2와셔와;
    상기 제2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커플러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러버롤러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2커플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용 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는 볼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용 드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와셔는 러버롤러의 직경을 기준으로 대략 60~95%의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용 드럼.
KR2020020021282U 2002-07-16 2002-07-16 연마기용 드럼 KR200294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82U KR200294705Y1 (ko) 2002-07-16 2002-07-16 연마기용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82U KR200294705Y1 (ko) 2002-07-16 2002-07-16 연마기용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705Y1 true KR200294705Y1 (ko) 2002-11-13

Family

ID=7312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282U KR200294705Y1 (ko) 2002-07-16 2002-07-16 연마기용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78B1 (ko) * 2013-04-04 2014-01-14 성열 조 베개 속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678B1 (ko) * 2013-04-04 2014-01-14 성열 조 베개 속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145A (en) Clamp device for rotary tool element
KR101836378B1 (ko) 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체결장치
US5707279A (en) Abrasive tool
US3053063A (en) Abrading disc mount
KR200294705Y1 (ko) 연마기용 드럼
KR100418639B1 (ko)
JP2004322291A (ja) 被加工物保持具
US3287863A (en) Belt holder assembly
DK0826462T3 (da) Flaphjul
JPH06315812A (ja) 開先加工機などの倣い切削装置
US10328545B2 (en) Bell shaped rotary sander
KR20210041140A (ko) 그라인더용 원통형 연마휠 장착구조
US4471582A (en) Sanding drum
KR200331457Y1 (ko) 연마휠
JP3694854B2 (ja) 押出機のスクリュ軸継手装置
CN216731143U (zh) 手持式电动打磨机前端检测固定装置
JPH0623419Y2 (ja) ベルト研磨、研削用工具
CN212095762U (zh) 一种多功能电动工具
JPS634569Y2 (ko)
CN211193452U (zh) 一种高效研磨刷
JP2002046063A (ja) 手持ち工作機械
CN214110047U (zh) 一种轴承加工压料装置
JPH0451237Y2 (ko)
JPH0985562A (ja) 工具用ホルダ
KR200280327Y1 (ko) 핸드 그라인더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