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371Y1 -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 Google Patents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371Y1
KR200294371Y1 KR2019980012123U KR19980012123U KR200294371Y1 KR 200294371 Y1 KR200294371 Y1 KR 200294371Y1 KR 2019980012123 U KR2019980012123 U KR 2019980012123U KR 19980012123 U KR19980012123 U KR 19980012123U KR 200294371 Y1 KR200294371 Y1 KR 200294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roll
chute
sintered raw
sin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34U (ko
Inventor
조병국
김철호
최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12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37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371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결 배합원료의 분급 강화를 위한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소결원료(100)를 낙하하는 가이드 슈트(16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로서 제1 롤형 슈트(200)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200)의 원료접면(201) 반대측으로 롤 크리너(20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20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역시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를 개재하여 롤 크리너(211)가 설치된 제2 롤형 슈트(210) 및 그 하측으로 롤 크리너(221)가 설치된 제3 롤형 슈트(220)가 회전가능하게 순차로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180)내에 장입되는 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가 증가되어 분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소결원료(100)를 장입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소결원료를 소결기 대차내에 장입시 가이드 슈트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 1-3 롤형 슈트에 의해 소결원료의 유동을 크게 하며, 소결원료 입자간의 분급현상을 크게 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Charging device for distrigute strengthen of sinter mix}
본 고안은 제철소 등의 철광석 소결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내에 분급강화를 위하여 장입하기 위한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롤형슈트들을 통하여 낙하되는 장입 원료운동의 수향방향 속도가 증가됨으로 인하여, 적은 수의 롤형 슈트를 이용하여 소결원료 입자간의 원활한 분급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소결원료의 대차 장입시 상,하층으로 원료의 편석을 조장하여 소결원료의 소요열량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것에 더하여, 롤 크리너를 통한 롤형슈트의 표면 부착광제거가 용지하여 롤형 슈트의 표면청결에 의한 소결광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소결원료를 소결기 대차내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장치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철광석 분말에 부원료 및 분말 코크스를 배합한 소결원료(1)가 소결원료 저장조(2)내에 장입되며, 상기 저장조(2)내의소결원료(1)는 그 하측에 위치되는 원료 개폐기(4)(5)를 통해 드럼형 피더(3)로 공급되는 한편, 상기 드럼형 피더(3)의 가이드 슈트(6) 일측에는 제1 경사판(7) 및 상측에 슬릿 바아(9)가 설치된 제2 경사판(8)이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10)내에 소결원료(1)를 장입토록 하며, 상기 소결기 대차(10)의 전방에는 표면 고르기(11) 및 점화버너(12)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소결원료의 장입량을 검출하는 높이 검출봉(13)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결원료 저장조(2)내에 장입된 소결원료(1)는 저장조(2) 하측의 주 개폐기인 원료 개폐기(4)와, 소결원료를 분할 배출시키는 분할 원료 개폐기(5)를 통해 배출되어 회전하는 드럼형 피더(5) 및 가이드 슈트(6)에 의해 제1 경사판(7)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1 경사판(7)을 거친 소결원료(1)는 슬릿 바아(9)와 제2 경사판(8)의 작용에 의해 소결기 대차(10)에 상기 소결원료(1)가 장입토록 되며, 이때 상기 소결기 대차(10)에는 상측으로 작은입자와, 하측으로 큰입자가 분급되어 장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입 완료된 소결원료(1)는, 그 표면을 표면 고르기(11)로 고르게 하여 점화버너(12)에서 점화되고, 흡인 블로어를 통해 하부로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소결원료(1)내에 포함된 코크스가 연소되는 등의 소결반응을 통해 소결광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소결원료(1)는 내부에 6% 전후의 수분을 포함하는 관계로, 미분 철광석의 부착성이 크기 때문에 제1 경사판(7) 및 제2 경사판(8) 또는 슬릿 바아(9)에 불규칙한 부착원료의 발생에 의하여, 소결기 대차(10)내에 장입되는 소결원료(1)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며, 상기와같은 경우 소결기 대차(10)의 폭방향으로 소결원료(1)의 장입밀도의 변화를 초래하여 소결기 대차내의 반응상태를 불규칙하게 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소결원료(1)의 흐름방향 정면에 위치하는 슬릿 바아(9) 에서는 상기와같은 부착광의 발생이 극심하게 되어 슬릿 바아(9) 하부로 미분의 원료를 공급하는 분급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소결기 대차(10)내에 장입상태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소결원료(1)내의 수분의 작용에 의하여 소결원료 자체를 붕괴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경사판(7)(8) 및 슬릿 바아(9)의 부착광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일본 공개 특허공보 평7-110194호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 슈트(6)의 일측으로 제1 경사판(7) 대신에 롤형 분산기(50)를 설치하고, 그 하측으로 슬릿 바아(9)를 설치함으로써, 소결원료(1)는 드럼형 피더(3)에서 롤형 분산기(50)를 거쳐 슬릿 바아(9)로 공급되어 소결기 대차(10)내에 장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드럼형 피더(3)로 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단면(S1)에서는 상부에 비교적 큰입자가 분급되고, 다시 롤형 분산기(50)에서 그 흐름의 방향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롤형 분산기(50)는 단순히 소결원료를 슬릿 바아(9)로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되며, 슬릿 바아(9)에서 소결원료의 분산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릿 바아(9)에는 부착광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에서와 같이, 슬릿 바아(9) 하부로 미분의 원료를 공급하는 분급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소결기 대차(10)내에 장입상태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롤형슈트들을 통하여 낙하되는 장입 원료운동의 수향방향 속도가 증가됨으로 인하여, 적은 수의 롤형 슈트를 이용하여 소결원료 입자간의 원활한 분급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소결원료의 대차 장입시 상,하층으로 원료의 편석을 조장하여 소결원료의 소요열량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것에 더하여, 롤 크리너를 통한 롤형슈트의 표면 부착광제거가 용지하여 롤형 슈트의 표면청결에 의한 소결광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원료의 소결기 대차내 장입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롤형 분산기와 슬릿바아로 구성되는 소결원료 장입장치의 개 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급강화를 위하여 소결기 대차에 소결원료를 장입하는 다 수의 롤형 슈트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인 소결원료의 소결기 대차내 장입을 위한 장입장치의 작동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 장입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소결원료 120...소결원료 저장조
130,140...원료 개폐기 150...드럼형 피더
160...가이드 슈트 170...경사판
180...소결기 대차 190...구동롤러
191...벨트 200...제1 롤형 슈트
201...원료접면 202,211,221...롤 크리너
210...제2 롤형 슈트 220...제3 롤형 슈트
230...표면 고르기 240...높이 검출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소결원료가 저장되는 소결원료 저장조의 하측으로 원료 개폐기가 설치되며, 상기 원료 개폐기 하측에는 소결원료를 공급하는 드럼형 피더 및 가이드 슈트가 연설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판이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내에 소결원료를 장입토록 설치되는 소결원료의 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원료를 낙하하는 가이드슈트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구동롤러와 벨트로서 제 1 롤형 슈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의 원료접면 반대측에는 상기 롤형 슈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표면 부착광을 제거토록 하는 롤크리너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롤형 슈트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에는 구동롤러와 벨트로서 회전하여 낙하된 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원료의 작은 입자가 소결대차기의 표면측에 장입되도록 하여 장입되는 원료의 분급을 수행하는 제 2 및 제 3 롤형 슈트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롤형 슈트의 하측에는 그 표면에 밀착되어 표면 부착광을 제거토록 하는 롤 크리너가 각각 설치된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소결기 대차에 소결원료를 장입하는 롤형 슈트들의 개략 구성도로서, 소결원료(100)가 저장되는 소결원료 저장조(120)의 하측으로 원료 개폐기(130)(140)가 설치되며, 상기 원료 개폐기(130)(140) 하측에는 소결원료를 공급하는 드럼형 피더(150) 및 가이드 슈트(160)가 연설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판(170)이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180)내에 소결원료(100)를 장입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결원료(100)를 낙하하는 가이드 슈트(16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로서 제1 롤형 슈트(200)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200)의 원료접면(201) 반대측으로 롤 크리너(20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20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역시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를 개재하여 롤 크리너(211)가 설치된 제2 롤형 슈트(210) 및 그 하측으로 롤 크리너(221)가 설치된 제3 롤형 슈트(220)가 회전가능하게 순차로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180)내에 소결원료(100)를 장입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롤 크리너(202)(211)(221)들은 상기 제 1-3 롤형 슈트(200)(210)(220)의 하측으로 그 표면에 밀착토록 스크래퍼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롤 크리너(202)(211)(221)들은 상기 롤형슈트(200)(210)(220)들의 회전시 그 표면에 부착된 부착광들을 스크래퍼형태로 제거하여 롤형슈트들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롤형 슈트등의 표면손상을 방지토록 경화수지 예를 들어, 피씨비 기판(PCB 기판)으로 제조되는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경화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30은 소결기 대차(180)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표면 고르기이고, 240은 상기 소결기 대차(180)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소결원료(100)의 장입량을 조절하는 높이 검출봉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결원료(100)가 저장되는 소결원료 저장조(120)에 저장된 소결원료(100)가 주 개폐기인 원료 개폐기(130)와, 소결원료를 분할 배출시키는 분할 원료 개폐기(140)를 통해 배출되어 회전하는 드럼형 피더(150) 및 가이드 슈트(160)에 의해, 그 일측으로 설치되는 경사판(170)을 거쳐 소결기 대차(180)내에 소결원료(100)를 장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같이 가이드 슈트(160)를 거쳐 낙하하는 소결원료(100)의 흐름방향을 상기 드럼형 피더(150)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형 슈트(200)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바꾸게 되며, 재차 상기 제1 롤형 슈트(200)를 통해 전달되는 소결원료(100)를 제2 롤형 슈트(210)에서 받아서 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제2 롤형 슈트(2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소결원료를 제3 롤형 슈트(220)에서 순차로 받아서 원료 운동의 수평방향 속도를 증가시켜 소결기 대차(180)내에 장입하게 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은 경사판(170)의 수평길이를 가능한 길게 유지하여 제1 롤형 슈트(200)의 단면(H)에서 소결원료(100)의 사면 분급현상을 조장하며, 또한 제2 롤형 슈트(210)의 단면(W)에서 소결원료의 낙하폭을 비교적 넓게 유지하여 장입밀도를 작게하며, 경사판(170) 하단의 제3 롤형 슈트(220) 에서의 입자속도(V)중 수평방향 속도성분(VH)은 크게하고, 수직방향 속도성분(VU)은 작게하여 소결원료(100)의 소결기 대차(180)내에 분산을 조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롤형 슈트(200)와 제 2 및 제 3 롤형 슈트(210)(220)들은 그 일측으로 연설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로서 회전 구동하게된다.
도 5는 본 고안인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 장입장치의 작동 구조도로서, 가이드 슈트(160)를 거쳐 낙하되는 소결원료(100)는 드럼형 피더(150)의 작용에 의해 표면쪽으로 작은입자가 위치되고, 이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형 슈트(200)의 회전에 의해 입자가 서로 혼합 또는 표면으로 작은 입자가 위치되는 분급을 유도하게 되며, 이때 원료접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롤 크리너(211)에 의해 롤형 슈트의 표면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토록 된다.
계속해서, 제 1 롤형 슈트(200)를 거쳐 전달되는 소결원료는 제2 롤형 슈트(210)의 회전운동에 의해 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가 증가되어 제3 롤형 슈트(220)에 순차로 공급되며, 상기 제 1-3 롤형 슈트들을 거치면서 소결원료(100)의 입자는 표면쪽으로 작은입자가 위치되는 분급현상이 강화되어 소결기 대차(180)내에 장입되는 소결원료(100)는, 상부에 작은 입자가 그리고 하부에는 큰 입자가 분급되어 장입토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롤 크리너(202)(211) (221)들은 상기 제 1-3 롤형 슈트(200)(210)(220)의 하측으로 스크래퍼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롤형 슈트(200)(210)(220)들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롤형 슈트(200)(210) (220)들의 회전시 그 표면에 부착된 부착광들을 스크래퍼형태로 제거하여 롤형슈트들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롤크리너는 롤형 슈트의 표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피씨비 기판(PCB 기판)으로 제조되는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경화수지로 제작하여 상기 롤형 슈트(200)(210)(220)들의 표면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소결기 대차(180)내에 장입되는 소결원료(100)는, 제 1-3 롤형 슈트(200)(210)(220)를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하측에 큰입자와 표면에 작은입자의 분급현상이 원활하게 유도되고, 롤 크리너(202)(211)(221)에 의해 롤형 슈트의 표면이 청결하게 유지되어 부착광의 제거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에 의하면, 소결 대차기에 장입되는 장입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가 증가되어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통하여 소결원료 입자간의 원활한 분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소결원료의 대차내에 장입시 상,하층으로 원료의 편석을 조장하여 소결원료의 소요열량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한편, 부가적으로 상기 롤형 슈트들의 표면청경이 유지되어 소결광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소결원료(100)가 저장되는 소결원료 저장조(120)의 하측으로 원료 개폐기(130)(140)가 설치되며, 상기 원료 개폐기(130)(140) 하측에는 소결원료를 공급하는 드럼형 피더(150) 및 가이드 슈트(160)가 연설되고, 그 일측에는 경사판(170)이 설치되어 소결기 대차(180)내에 소결원료(100)를 장입토록 설치되는 소결원료의 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원료(100)를 낙하하는 가이드슈트(16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으로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로서 제 1 롤형 슈트(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롤형 슈트(200)의 원료접면(201) 반대측에는 상기 롤형 슈트(200)의 표면에 밀착되어 표면 부착광을 제거토록 하는 롤 크리너(202)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롤형 슈트(200) 하측의 소결원료 낙하측에는 구동롤러(190)와 벨트(191)로서 회전하여 낙하된 원료운동의 수평방향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원료의 작은 입자가 소결대차기(180)의 표면측에 장입되도록 하여 장입되는 원료의 분급을 수행하는 제 2 및 제 3 롤형 슈트(210)(22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롤형 슈트(210)(210)의 하측에는 그 표면에 밀착되어 표면 부착광을 제거토록 하는 롤 크리너(211)(221)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강화를 위한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KR2019980012123U 1998-07-03 1998-07-03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KR200294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23U KR200294371Y1 (ko) 1998-07-03 1998-07-03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23U KR200294371Y1 (ko) 1998-07-03 1998-07-03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34U KR20000002334U (ko) 2000-02-07
KR200294371Y1 true KR200294371Y1 (ko) 2002-12-20

Family

ID=6951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23U KR200294371Y1 (ko) 1998-07-03 1998-07-03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3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211B1 (ko) * 1999-12-01 2004-01-1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원료 장입장치의 부착광 제거 장치
KR100435474B1 (ko) * 1999-12-27 2004-06-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원료 장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다중 롤형슈트장치
KR101235757B1 (ko) * 2010-12-08 2013-02-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원료 장입장치
KR101365526B1 (ko) * 2011-12-26 2014-02-21 (주)포스코 소결 배합 원료 장입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1305B1 (ko) * 2013-07-05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KR101712389B1 (ko) * 2014-10-31 2017-03-06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34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9731C (en) Fresh wet concrete reclaimer
CN109967494B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装置
KR200294371Y1 (ko) 분급강화를위한소결원료의장입장치
US30819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eusable metallics from steel making slag and refuse
US3848815A (en) Granulating apparatus
CA1069763A (en) Ballast cleaner
CN212916508U (zh) 一种地铁建筑用沙子筛选设备
EP0286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intering raw mix
KR200255732Y1 (ko) 소결배합원료 장입장치
US4065061A (en) Ball mill
KR20110120148A (ko) 원료탄 장입 장치
USRE33935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intering raw mix
JPS61195931A (ja) Dl型焼結機の原料装入方法および装置
CN113967539A (zh) 一种高品质铁基3d打印用粉体的制备系统
JP3633403B2 (ja) 資源化物の前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3432785B2 (ja) 傾斜ベルトコンベヤの落荷回収装置
JPH07110194A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CN1791466B (zh) 重颗粒分离
KR100415211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의 부착광 제거 장치
GB2034606A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then separating discrete material into finer and coarser fractions
CN212502617U (zh) 用于砂石出料提升装置的砂石回收装置
CN215389589U (zh) 一种新型矿石破碎机
CN108212767A (zh) 一种塑胶助剂振动筛选装置
KR940003594Y1 (ko) 소결배합원료 장입장치
KR102239242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