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06Y1 -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06Y1
KR200293606Y1 KR2020020018484U KR20020018484U KR200293606Y1 KR 200293606 Y1 KR200293606 Y1 KR 200293606Y1 KR 2020020018484 U KR2020020018484 U KR 2020020018484U KR 20020018484 U KR20020018484 U KR 20020018484U KR 200293606 Y1 KR200293606 Y1 KR 200293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opening
edg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
Original Assignee
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석 filed Critical 허석
Priority to KR2020020018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06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칼이나 과도, 주방용 가위, 수저 등을 포장하기 위한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포장 케이스의 구조를 개량하여 주방도구 내용물의 삽입이 편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구입한 소비자가 내용물을 꺼낼 때 포장 케이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그 내용물의 휴대용 케이스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서로 다른 주방도구라 하더라도 같은 형태의 포장 케이스를 사용하므로써 생산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는 임의의 외곽 형상모양을 가지는 바닥판(12)과, 그 끝단을 따라 입설된 본체 테두리(11)와, 그 본체 테두리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이홈(13)과, 바닥에 형성된 내용물 가이드 돌기(14)와, 상기 바닥판(12)의 일부가 중단의 절첩선부(15)를 시작 지점으로 하는 좌,우 절개선(16a)(16b)을 따라 양쪽으로 절개된 후, 상기 절첩선부를 지점으로 절첩될 수 있으면서 그 외측단에 걸고리(17)를 가지는 개폐판(18)을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의 외곽 형상모양을 따라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본체 테두리(11)의 내경에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끝단을 따라 형성된 덮개 테두리(21)와, 그 덮개 테두리의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23)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 걸고리(17)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27)를 가지는 덮개(20)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0)와 덮개(2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18)을 절첩하여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Kitchen utensils case}
본 고안은 주방용 칼이나 과도, 주방용 가위, 수저 등을 포장하기 위한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폐부분의 구조를 개량하여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면서도 케이스 자체를 내용물 휴대가 편리한 보관 케이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이나 과도, 주방용 가위, 수저 등의 주방도구는 같은 제조회사에서 생산한다 하더라도 그 각각의 형태에 맞게 서로 다른 포장 케이스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그 포장상태를 보면 후지(厚紙)재 및 합성수지재로써 만들어 포장하는 것이 많다. 예컨데, 후지(厚紙)재로써 본체 상자와 덮개(또는 뚜껑)를 만들고, 그 덮개의 표면에 일부 투시창을 만들어 내용물을 볼 수 있는 상태로 포장하는 형태, 또는 주방도구이 외곽 형상을 따라 융기시킨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케이스를 만들고, 그 이면을 두꺼운 받침판재로 막아 속을 볼 수 있도록 포장하는 예가 많았다.
그러나 종래의 어떠한 포장상태라도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일부 파손을 해야하고, 파손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포장용기를 남겨둘 이유는 없었기 때문에 폐기처분해야 하고, 이는 물자절약에 위배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사용하던 주방도구를 야외로 나갈 때 휴대해야 한다든지 이사를 하기 위해 다시 포장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 때 가서 별도의 포장수단을 찾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포장 케이스의 구조를 개량하여 주방도구 내용물의 삽입이 편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구입한 소비자가 내용물을 꺼낼 때 포장 케이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그 내용물의 휴대용 케이스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서로 다른 주방도구라 하더라도 같은 형태의 포장 케이스를 사용하므로써 생산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는 임의의 외곽 형상모양을 가지는 바닥판과, 그 끝단을 따라 입설된 본체 테두리와, 그 본체 테두리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이홈과, 바닥에 형성된 내용물 가이드 돌기와,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중단의 절첩선부를 시작 지점으로 하는 좌,우 절개선을 따라 양쪽으로 절개된 후, 상기 절첩선부를 지점으로 절첩될 수 있으면서 그 외측단에 걸고리를 가지는 개폐판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곽 형상모양을 따라 형성된 상판과, 상기 본체 테두리의 내경에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끝단을 따라 형성된 덮개 테두리와, 그 덮개 테두리의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 걸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를 가지는 덮개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와 덮개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을 절첩하여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종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폐판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11 : 본체 테두리
12 : 바닥판 13 : 걸이홈
14 : 가이드 돌기 15 : 절첩선부
16a,16b : 좌, 우 절개선 17 : 걸고리
18 : 개폐판 19 : 돌출편
20 : 덮개 21 : 덮개 테두리
22 : 상판 23 : 걸림돌기
27 : 단턱부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는 본체(10)와 덮개(20)를 서로 조립하여 만드는 것이 가장 용이한 제조방법이다.
상기 본체(10)는 임의의 외곽 형상모양을 가지는 바닥판(12)과, 그 끝단을 따라 입설된 본체 테두리(11)와, 그 본체 테두리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이홈(13)과, 바닥에 형성된 내용물 가이드 돌기(14)와, 상기 바닥판(12)의 일부가 중단의 절첩선부(15)를 시작 지점으로 하는 좌,우 절개선(16a)(16b)을 따라 양쪽으로 절개된 후, 상기 절첩선부를 지점으로 절첩될 수 있으면서 그 외측단에 걸고리(17)를 가지는 개폐판(18)을 가지는 것이다.
이때의 개폐판(18)은 본체(10)와 함께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만들어 지며, 그 절첩선부(15)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얇은 두께로 연결되어 있어 절첩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좌,우 절개선(16a)(16b)은 두께가 경사지게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닫았을 경우 그 경사진 부분이 겹쳐진 채로 닫히게 되어 이물질이 쉽게 투입되지 않는다.
또 덮개(20)는 상기 본체의 외곽 형상모양을 따라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본체 테두리(11)의 내경에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끝단을 따라 형성된 덮개 테두리(21)와, 그 덮개 테두리의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23)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 걸고리(17)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27)를 가지는 것이다.
이들 본체(10)와 덮개(20)는 서로 조립하였을 때, 본체 테두리(11)의 걸이홈(13)에 덮개 테두리(21)의 걸림돌기(23)들이 끼워져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판(18)은 그 상측에 견인용 구멍(19a)을 가지는 돌출편(19)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상품 진열에 유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물을 인출하기에 용이하도록 도 4에서 보듯이 그 절개선(16a)(16b)을 본체 테두리(11)까지 연장하여 양쪽 본체 테두리의 일부가 개폐판(18)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판(18)은 앞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되, 본체(10)가 아닌 덮개(20)에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또는 표면에 상품 설명서 등을 삽입 및 부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는 전체의 형상 모양을 도면에 예시한 것에 외에 여러 가지 형태로 달리할 수 있으나, 그 각각의 형상 모양에서 개폐판의 구성만큼은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는 본체(10)와 덮개(20)를 조립한 상태로 준비하고, 내용물을 포장할 때는 개폐판(18)을 열어 내용물을 넣고 다시 닫으면 개폐판(18)의 걸고리(17)가 덮개(20)의 단턱부(27)에 걸려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품이 공급되면 개폐판(18)의 상측에 구비된 돌출편(19)의 견인용 구멍(19a)을 이용하여 매달아 진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 속에 내장된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최초 내용물을 꺼낼 때는 물론 다시 넣고 뺄 때마다 개폐판(18)을 열고 닫으므로 써 특별한 포장의 수고를 거치지 않고도 원하는 때 그 내용물을 휴대하기가 용이 해 진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주방용 칼이나 과도, 주방용 가위, 수저 등을 포장하기 위한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를 구성하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써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을 구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의 삽입이 편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주방도구라 하더라도 개폐판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태의 포장 케이스를 계속 사용하므로써 생산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구입한 소비자가 내용물을 꺼낼 때 포장 케이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꺼낼 수 있기 때문에 그 내용물의 휴대용 케이스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임의의 외곽 형상모양을 가지는 바닥판(12)과, 그 끝단을 따라 입설된 본체 테두리(11)와, 그 본체 테두리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이홈(13)과, 바닥에 형성된 내용물 가이드 돌기(14)와, 상기 바닥판(12)의 일부가 중단의 절첩선부(15)를 시작 지점으로 하는 좌,우 절개선(16a)(16b)을 따라 양쪽으로 절개된 후, 상기 절첩선부를 지점으로 절첩될 수 있으면서 그 외측단에 걸고리(17)를 가지는 개폐판(18)을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의 외곽 형상모양을 따라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본체 테두리(11)의 내경에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끝단을 따라 형성된 덮개 테두리(21)와, 그 덮개 테두리의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기(23)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 걸고리(17)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27)를 가지는 덮개(20)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0)와 덮개(2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18)을 절첩하여 내용물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판(18)은 그 상측에 견인용 구멍(19a)을 가지는 돌출편(19)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판(18)의 절개선(16a)(16b)은 본체 테두리(11)까지 연장하여 본체 테두리의 일부가 개폐판(18)에 포함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4. 삭제
KR2020020018484U 2002-06-18 2002-06-18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KR200293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84U KR200293606Y1 (ko) 2002-06-18 2002-06-18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84U KR200293606Y1 (ko) 2002-06-18 2002-06-18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06Y1 true KR200293606Y1 (ko) 2002-11-02

Family

ID=730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84U KR200293606Y1 (ko) 2002-06-18 2002-06-18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7000A (en) Rubber band dispenser
CA2202119C (en) Five-piece open container with locking arrangement
JP6465866B2 (ja) ボタン解除手段を備える容器
US20080029528A1 (en) Storage and dispenser box for small articles
US20070131694A1 (en) Unique-shaped container lid
KR101358360B1 (ko) 일회용 밀폐용기
KR200293606Y1 (ko) 주방도구 포장 케이스
JP5106183B2 (ja) 容器
US2576708A (en) Container with integral snapping closure fastener
EP3326931B1 (en) Container with hinge lid
JP2006282243A (ja)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200387534Y1 (ko) 인조손톱 케이스
JP3202638B2 (ja) 蓋付き容器及びそのブランク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JP5119758B2 (ja) 包装箱
KR200485808Y1 (ko)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0741664B1 (ko) 포장박스
CN220713496U (zh) 文创展柜包装盲盒
KR200310542Y1 (ko) 잠금구를 갖춘 포장용 박스
US11939122B2 (en) Child-safe packaging
JP2500534Y2 (ja) 包装用容器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KR200344563Y1 (ko) 의료용품 종이상자
KR200446129Y1 (ko) 지함 잠금 구조
KR200309122Y1 (ko) 투명창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한 농수산물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