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288Y1 -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288Y1
KR200293288Y1 KR2020020021586U KR20020021586U KR200293288Y1 KR 200293288 Y1 KR200293288 Y1 KR 200293288Y1 KR 2020020021586 U KR2020020021586 U KR 2020020021586U KR 20020021586 U KR20020021586 U KR 20020021586U KR 200293288 Y1 KR200293288 Y1 KR 200293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pper
feeding roller
feeding
plasma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옥
신사문
Original Assignee
윤재옥
신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옥, 신사문 filed Critical 윤재옥
Priority to KR2020020021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288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즈마 용접시에 사용되는 용접용 파우더를 정량으로 급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급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급송장치는 파우더가 내장되는 호퍼의 하부 배출구에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지고 표면에 널링부가 이루어진 급송로울러를 설치하여 급송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파우더가 낙하하면서 정량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외부 충격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호퍼가 약간이라도 기울어지게 되면 파우더가 흘러내려 파우더의 손실이 많고, 그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하여 정확한 정량 급송이 이루어지기는 힘든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파우더가 급송로울러의 양측 방향으로는 누출되지 않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호퍼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기울게 되더라도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어 항상 정량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호퍼의 배출구를 통한 파우더의 손실을 방지하여 플라즈마 용접 분야를 포함한 용접분야에서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a Fixed Quantity Feeding Device for the Plazma Welding Powder}
본 고안은 플라즈마 용접시에 사용되는 용접용 파우더를 정량으로 급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급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급송장치는 파우더가 내장되는 호퍼(1)의 하부 배출구(2)에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지고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널링부가 이루어진 급송로울러(5)를 설치하여 급송로울러(5)의 회전에 따라 파우더가 낙하하면서 정량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급송로울러(5)의 표면에 형성된 널링부의 요부 깊이가 깊지 않고 얕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1)와 급송로울러(5)사이에 파우더의 급송을 위한 일정 거리의 간극을 두어야만 하고, 이 간극의 거리에 따라 파우어의 공급량이 결정되게 되어 있는 관계로, 외부 충격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호퍼(1)가 약간이라도 기울어지게 되면 파우더가 흘러내려 파우더의 손실이 많고, 그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하여 정확한 정량 급송이 이루어지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파우더가 급송로울러의 양측 방향으로는 누출되지 않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고 호퍼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기울게 되더라도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정량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한 파우더의 손실을 방지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플라즈마 용접 분야를 포함한 용접분야에서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정량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인 바람직한 일례로서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일례를 보여 주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호퍼, 2:배출부,
3:본체, 4:구동모터,
5:급송로울러, 6:하부통로,
50,50:배출방지부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퍼의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의 하부엔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급송로울러를 위치시켜 호퍼의 내부에 들어 있던 파우더가 급송로울러의 표면에 낙하하고 표면에 위치하고 있던 파우더가 낙하하면서 하부통로를 거쳐 정량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파우더 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부 및 측면의 단면구조를 급송로울러의 외주면과 양단부에 부합되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조립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의 양단엔 파우더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배출방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 정량 급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송로울러의 외주연엔 기어형 단면구조를 갖는 치차부를 형성하거나, 아니면 상기 배출방지부의 경우 양측에 단턱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한 아니면 상기 배출부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만곡돌부를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의 대응된 부위는 만곡요부를 형성하여 상기 만곡요부의 양측부위가 배출방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각각 살펴보기로 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정량 공급장치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호퍼(1)의 하부에 배출구(2)를 형성하고 배출구(2)의 하부엔 본체(3)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급송로울러(5)를 위치시켜 호퍼(1)의 내부에 들어 있던 파우더가 급송로울러(5)의 표면에 낙하하고 표면에 위치하고 있던 파우더가 다시 낙하하면서 하부통로(6)를 거쳐 정량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파우더 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를 중심으로 하부 및 측면의 단면구조를 급송로울러(5)의 외주면과 양단부에 부합되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조립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5)의 양단엔 파우더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배출방지부(50,50)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급송로울러(5)의 외주연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형 단면구조로서 다수의 홈(58)을 갖는 치차부(56)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배출구(2)를 통하여 상기 급송로울러(5)에 낙하하는 파우더가 상기 치차부(56)의 홈(58)에 들어가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위치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일정량씩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하부통로(6)를 거쳐 정량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방지부(50,50)의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단턱부(52,5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호퍼(1) 등이 기울어지더라도 치차부(58)의 홈(56)에 위치하고 있거나 아니면 배출부(2)와 급송로울러(5)의 외주연 사이 간극부위에 위치하고 있던 파우더가 이들 배출방지부(50,50)인 단턱부(52,52)에 걸리게 되어 엉뚱한 외부로 배출되어 낭비가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만곡돌부를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5)의 대응된 부위는 만곡요부(54)를 형성하여 상기 만곡요부(54)의 양측 부위가 배출방지부(50,50)의 역할을 자연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로서 7은 호퍼(1)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우더를 보관하기위한 드럼을 나타내고, 8은 상부 캡을 나타내며, 9는 파우더 분배밸브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드럼(8) 내부엔 상부캡(8)을 열고 파우더를 보충하거나 충전시키고 상부캡(8)을 닫아 작동의 준비를 행한 다음,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본체(3)의 내부로서 배출구(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급송로울러(5)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드럼(7)의 내부에서 호퍼(1)를 거쳐 배출구(3)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우더는 급송로울러(5)의 표면에 형성된 치차부(56)의 다수홈(58)에 순차적으로 채워졌다가 회전하면서 그 위치가 하향으로 변위하게 되면 낙하하여 하부 통로(6)와 파우더 분배밸브(9)를 거쳐 필요한 위치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치차부(56)에 형성된 다수홈(58)은 일정하고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그 다수홈(58)에 쌓이게 되는 파우더의 량은 항상 일정하게 되며, 급송로울러(5)의 변위 또는 그 회전수가 일정한 경우엔 항상 정량의 파우더가 하부로 낙하하여 정량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급송로울러(5)의 양측에는 배출방지부(50)로서 단턱부(52)가 형성되고, 때에 따라서는 배출구(2)에는 만곡돌부 형태로 이루어지고 급송로울러(5)엔 이에 대응되게 만곡요부(54)를 형성하며 상기 급송로울러(5)의 외주면과 배출구(2)는 서로 간극이 없이 밀작된 상태로 결합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호퍼(1)나 드럼(8)이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배출구(2)를 통하여 배출되는 파우더는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단지 다수홈(58)을 통하여 정량만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파우더는 정량의 급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정량 공급장치에 의하면, 호퍼(1)의 배출구(2)를 통하여 배출되는 파우더가 급송로울러(5)의 양측 방향으로는 누출되지 않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호퍼(1)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기울게 되더라도 파우더가 흘러내리지 않고 외부로의 낭비가 없이 항상 정량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호퍼(1)의 배출구(2)를 통한 파우더의 손실을 방지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플라즈마 용접 분야를 포함한 용접분야에서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호퍼(1)의 하부에 배출구(2)를 형성하고 배출구(2)의 하부엔 본체(3)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급송로울러(5)를 위치시켜 호퍼(1)의 내부에 들어 있던 파우더가 급송로울러(5)의 표면에 낙하하고 표면에 위치하고 있던 파우더가 다시 낙하하면서 하부통로(6)를 거쳐 정량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파우더 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를 중심으로 하부 및 측면의 단면구조를 급송로울러(5)의 외주면과 양단부에 부합되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조립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5)의 양단엔 파우더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배출방지부(50,50)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로울러(5)의 외주연엔 기어형 단면구조로서 다수의 홈(58)을 갖는 치차부(56)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지부(50,50)가 양측에 단턱부(52,5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만곡돌부를 구성하고 상기 급송로울러(5)의 대응된 부위는 만곡요부(54)를 형성하여 상기 만곡요부(54)의 양측 부위가 배출방지부(50,50)의 역할을 자연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KR2020020021586U 2002-07-19 2002-07-19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KR200293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6U KR200293288Y1 (ko) 2002-07-19 2002-07-19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6U KR200293288Y1 (ko) 2002-07-19 2002-07-19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288Y1 true KR200293288Y1 (ko) 2002-10-30

Family

ID=7312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86U KR200293288Y1 (ko) 2002-07-19 2002-07-19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2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87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WO2021080288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KR2021004967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87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WO2021080288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KR2021004967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KR102540666B1 (ko) * 2019-10-25 2023-06-07 주식회사 인스텍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370B2 (en) Toner cartridge
JP4568737B2 (ja) 閉ループレベル制御およびペースト塊の制御排出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293288Y1 (ko) 플라즈마 용접용 파우더의 정량 공급장치
KR101267848B1 (ko) 분말 연속공급장치
CN111435224B (zh) 一种显影剂供给容器
US20080014031A1 (en) Feeder apparatus for controlled supply of feedstock
KR101315147B1 (ko) 분말 연속공급장치
US5143254A (en) Device for the metering of granular or powdered products and method of mixing raw rubbers using this device
JP4937606B2 (ja) ロータリ型充填弁
JP2010070219A (ja) 粉粒体の分配装置および分配方法
KR19980078087A (ko) 모르타르 혼합장치
KR20110058794A (ko) 재료 충전 장치 및 재료 충전 방법
US1785585A (en) Hopper feeding device
US353360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malgams
US8172645B2 (en) Dosing device
KR102298812B1 (ko) 빌드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챔버
KR200274309Y1 (ko) 쌀 정량토출장치
CN113200334B (zh) 一种密封件的自动上料机
JP2814040B2 (ja) 定量容器
CN205418624U (zh) 一种高精度计量的粉体喂料器
EP2016020A1 (en) Dispensing apparatus
CN215843351U (zh) 一种多轴高速砂磨机的密封定心装置
JP2005320075A (ja) スクリュー型材料供給装置
JPH11198901A (ja) 粉粒体の充填機
CN220448516U (zh) 一种便于颗粒药物取药的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