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691Y1 - 교량의 가동받침 - Google Patents

교량의 가동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691Y1
KR200292691Y1 KR2020020021267U KR20020021267U KR200292691Y1 KR 200292691 Y1 KR200292691 Y1 KR 200292691Y1 KR 2020020021267 U KR2020020021267 U KR 2020020021267U KR 20020021267 U KR20020021267 U KR 20020021267U KR 200292691 Y1 KR200292691 Y1 KR 200292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tact
curved
plat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신엔지니어링
이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신엔지니어링, 이해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1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691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 구조에 전달하고 온도, 건조수축, 크리이프 그리고 활하중에 의한 이동과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부 구조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교량 내에서 발생하는 2차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판과 교각의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의 가동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과 교각에 의해 구속된 고력황동으로 제작된 반구형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통해 지반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고력황동받침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미끄럼 특성과 높은 지압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어링 플레이트에 곡면 접촉되는 하부좌대의 곡면접촉부를 종래의 경질크롬도금 대신에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이 설치된 교량의 가동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교량상판의 저부에 고정설치되는 상부좌대의 평면접촉부에 평면접촉 윤활작동판이 설치되고, 교각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좌대에 반구 형상의 홈으로 된 곡면접촉부에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이 설치되며, 상부는 평면이고 하부는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그 외주연에 씰링이 끼워져 상부 평면은 상기의 평면접촉 윤활작동판과 접촉되고, 하부 곡면은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에 접촉되게 설치된 교량의 가동받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의 가동받침{Hemispheric bridge bearing}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 구조에 전달하고 온도, 건조수축, 크리이프 그리고 활하중에 의한 이동과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상부 구조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교량 내에서 발생하는 2차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판과 교각의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의 가동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과 교각에 의해 구속된 고력황동으로 제작된 반구형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통해 지반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고력황동받침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미끄럼 특성과 높은 지압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어링 플레이트에 곡면 접촉되는 하부좌대의 곡면접촉부를 종래의 경질크롬도금 대신에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이 설치된 교량의 가동받침에 관한 것이다.
가동받침은 상판과의 접촉면을 평면으로 하고, 교각과의 접촉면을 원주면 혹은 구면으로 한 베어링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판 및 교각과 각각 면접촉 시키고 평면접촉부에서는 신축기능을, 곡면접촉부에서는 회전기능을 갖는 받침을 말한다. 상기의 가동받침은 뛰어난 미끄럼 특성과 높은 지압강도와 내마모성이 요구되므로 베어링 플레이트는 동합금중에서 강도가 가장 높은 고력황동주물 4종(HBsC4)이 사용되고, 상기의 베어링 플레이트가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하여 그 접촉면에는 고체윤활제를 상판에 설치하고, 하부좌대의 곡면접촉부에 경질크롬도금층을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미끄럼면에 도금을 행하는 경우는 도금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추가적으로 가공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도금 두께의 관리와 재가공이 표준화될 수 없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질크롬도금 작업시 중금속류의 공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 중 경질크롬층의 부식이 발생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교량의 가동받침에 사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평면접촉부와 곡면접촉부의 양면에서의 양호한 베어링 작용을 유도하고, 경질크롬도금의 침식에 의한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플레이트가 접하는 곡면접촉부에 경질크롬도금층을 대신하여 표준화된 생산이 가능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을 설치하여서 된 교량의 가동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곡면접촉 윤활작동판이 곡면접촉부에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경질크롬도금층이 곡면접촉부에 형성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상판 2 : 상부좌대 3 : 평면접촉부
4 : 평면접촉 윤활작동판 5 : 교각 6 : 하부좌대
7 : 곡면접촉부 8 : 경질크롬도금층 9 : 베어링 플레이트
10 : 씰링 11 : 곡면접촉 윤활작동판 12 : 접착제
100 : 가동받침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교량상판(1)의 저부에 고정설치되는 상부좌대(2)의 평면접촉부(3)에 평면접촉 윤활작동판(4)이 설치되고, 교각(5)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좌대(6)에 반구 형상의 홈으로 된 곡면접촉부(7)의 표면에 경질크롬도금층(8)이 피복되며, 상부는 평면이고 하부는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베어링 플레이트(9)가 그 외주연에 씰링(10)이 끼워져 상부 평면은 상기의 평면접촉 윤활작동판(4)과 접촉되고, 하부 곡면은 경질크롬도금층(8)에 접촉되게 설치된 교량의 가동받침(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좌대(6)의 곡면접촉부(7)에 일정두께의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이 접착제(12)로써 고정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의 재질은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경질크롬도금층(8)을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의 침식과 생산성의 저하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은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성형되어 하부좌대(6)의 곡면접촉부(7)에 부착됨으로써, 스테인레스강(STS316)의 뛰어난 내식성과 충격이나 신장에 강한 물성과 성형성이 좋은 장점 등으로 종래 경질크롬도금층(8)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경질크롬도금층(8)을 하부좌대(6)의 곡면접촉부(7)에 피복시킬 때, 도금작업시의 중금속류 등의 공해 물질이 발생하나, 본 고안의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작업할시에는 상기와 같은 공해물질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인 깨끗한 작업으로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이고, 작업자들의 건강에 무해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경우 도금작업 후 도금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아 이의 균일화를 위해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극히 저조하고, 도금을 행할 때마다 도금 두께나 두께의 분포가 달라짐으로써 2차 가공을 함에 있어 과학적이고 일관된 공정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일정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강(STS316)의 판재 등을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규격화된 생산품질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함께 생산에있어서 과학적이고 일관성 있는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성은 금형의 제작이나 관리가 정밀화 되어 있고,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의 재질을 성형성이 뛰어난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하기 때문에 금형으로 1차 성형만으로 목표하는 표면의 조도와 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는 경질크롬도금층(8)에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과의 접촉에 의해 침식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강(STS316)으로 정밀하게 성형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사활하중을 하부구조에 정확히 전달하는 하중전달기능과, 상부구조의 하중재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건조수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축 및 지진시 상하부 구조간의 상대변위를 원활히 흡수하는 신축기능과, 활하중 등 하중의 재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 구조의 힘, 상하부공 지점에서의 회전변위를 원활하게 하는 회전기능을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교량의 가동받침에 사용되는 베어링 플레이트(9)의 곡면접촉부(7)에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을 설치함으로써, 제조 과정상의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을 방지하고 정밀하고 체계화된 생산관리가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고, 침식 등의 방지로 하중전달기능, 신축기능, 회전기능 등의 교량받침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교량상판(1)의 저부에 고정설치되는 상부좌대(2)의 평면접촉부(3)에 평면접촉 윤활작동판(4)이 설치되고, 교각(5)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좌대(6)에 반구 형상의 홈으로 된 곡면접촉부(7)의 표면에 경질크롬도금층(8)이 피복되며, 상부는 평면이고 하부는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베어링 플레이트(9)가 그 외주연에 씰링(10)이 끼워져 상부 평면은 상기의 평면접촉 윤활작동판(4)과 접촉되고, 하부 곡면은 경질크롬도금층(8)에 접촉되게 설치된 교량의 가동받침(100)에 있어서, 상기 하부좌대(6)의 곡면접촉부(7)에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이 고정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가동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곡면접촉 윤활작동판(11)은 스테인레스강 특히 STS316의 재질이고, 그 하부면이 하부좌대(6)의 곡면접촉부(7)에 접착제(12)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가동받침.
KR2020020021267U 2002-07-16 2002-07-16 교량의 가동받침 KR200292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67U KR200292691Y1 (ko) 2002-07-16 2002-07-16 교량의 가동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67U KR200292691Y1 (ko) 2002-07-16 2002-07-16 교량의 가동받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441A Division KR20030058993A (ko) 2003-05-22 2003-05-22 교량의 가동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691Y1 true KR200292691Y1 (ko) 2002-10-25

Family

ID=7312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267U KR200292691Y1 (ko) 2002-07-16 2002-07-16 교량의 가동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6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00B1 (ko) 2009-08-28 2010-05-11 (주)태성알로이 스페리칼 베어링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2740B1 (ko) 2010-10-05 2011-05-06 에프알앤디건설(주) 교량의 교좌장치
KR101667695B1 (ko) * 2016-04-22 2016-10-20 포인텍이앤씨(주) 회전형 부반력 제어용 쐐기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1696600B1 (ko) * 2016-08-16 2017-01-1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마찰면의 오염물질 유입 방지 및 마찰면의 윤활제 유출 방지를 위한 마감 링이 구비된 받침장치
CN108951405A (zh) * 2018-08-01 2018-12-07 安徽尚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维护的大吨位球型钢支座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00B1 (ko) 2009-08-28 2010-05-11 (주)태성알로이 스페리칼 베어링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2740B1 (ko) 2010-10-05 2011-05-06 에프알앤디건설(주) 교량의 교좌장치
KR101667695B1 (ko) * 2016-04-22 2016-10-20 포인텍이앤씨(주) 회전형 부반력 제어용 쐐기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1696600B1 (ko) * 2016-08-16 2017-01-1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마찰면의 오염물질 유입 방지 및 마찰면의 윤활제 유출 방지를 위한 마감 링이 구비된 받침장치
CN108951405A (zh) * 2018-08-01 2018-12-07 安徽尚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维护的大吨位球型钢支座
CN108951405B (zh) * 2018-08-01 2024-04-05 尚德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维护的大吨位球型钢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58B2 (en) Method of making a sliding bearing
US3759148A (en) Piston and piston rings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92691Y1 (ko) 교량의 가동받침
KR20030058993A (ko) 교량의 가동받침
BR112012007650B1 (pt) anel de pistão e método para produzir o mesmo
KR101708886B1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마찰부재와 면진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4018A (ko) 피스톤 링
CN102906472B (zh) 低摩擦密封
JPS6343623B2 (ko)
RU2470200C2 (ru) Эластичный подшипник и способ его текущего ремонта 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CA2741640A1 (en) A pillow block for a segmented, media-lubricated plain bearing
KR101334104B1 (ko) 강재를 이용한 교량 받침용 베어링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ITMI980905A1 (it) Dispositivo di tenuta per ottenere la lubrificazione a vita degli elementi mobili delle varie articolazioni di un cingolo per veicoli da
CN103277514B (zh) 冷等静压机超高压密封装置及其密封环的制造工艺
CN103352420B (zh) 一种盆式钢支座
CN206889479U (zh) 一种长寿命耐腐蚀回转支承
US3768378A (en) Machines
CN219364300U (zh) 一种耐高温抗腐蚀的金属摩擦面球型支座
KR200272142Y1 (ko) 교량받침
CN111074759A (zh) 一种固定型自密封防挤出盆式橡胶支座
CN218468230U (zh) 新型浮动油封装置
CN205078608U (zh) 一种轻便反装式回转支承
KR950008820B1 (ko) 밀봉장치
CN216742403U (zh) 一种夹钩产品活塞组装耐磨结构
CN205025627U (zh) 活塞环及具有该活塞环的发动机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