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353Y1 - 양수장치 - Google Patents

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353Y1
KR200292353Y1 KR2020020020661U KR20020020661U KR200292353Y1 KR 200292353 Y1 KR200292353 Y1 KR 200292353Y1 KR 2020020020661 U KR2020020020661 U KR 2020020020661U KR 20020020661 U KR20020020661 U KR 20020020661U KR 200292353 Y1 KR200292353 Y1 KR 200292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ic motor
casing
pulley
lo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귀남
강귀종
Original Assignee
강귀남
강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귀남, 강귀종 filed Critical 강귀남
Priority to KR2020020020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353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이 유입되도록 물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진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체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 파이프가 연결되는 배출 연결관로 이루어진 물배출장치; 상기 케이싱 내부의 회전날개에 일측 외경이 수평을 유지하여 축설된 회전장축과, 상기 회전장축의 타측에 축설된 풀리와, 상기 회전장축과 상기 풀리가 지지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받침대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 및 저수지 등에는 물배출장치인 상하부체로 이루어진 케이싱은 물에 잠기도록 하고, 외부에서는 동력전달수단인 전동모터 및 벨트을 구비한 다음, 물배출장치와 동력전달수단을 비교적 긴 회전장축으로써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써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비교적 용량이 적은 전동모터로써 많은 량의 물을 퍼올리게 되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수장치{PUMPING WATER APPARATUS}
본 고안은 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 모터를 구비하고, 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장축으로 연결하여 물속에 잠겨진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외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간단한 구조로써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장이나 그 밖의 저수지 등의 물을 다른 곳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펌프 전체를 전동기와 함께 물속에 담가서 사용하는 수중모터와 얕은 곳에서 물을 높은 곳으로 올리는 양수기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중펌프는 용량의 한계로 일정 이상의 토크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많은 량의 물을 퍼올리는 데 적합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그리고 양수기는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어 많은 량의 물을 퍼 올릴 수 있으나, 그 가격이 비싸고 설치장비가 복잡하여 경제적으로 용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에 모터를 구비하고, 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장축으로써 수중의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장치로써 많은 량의 물을 퍼올리게 되는 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는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배출장치 20 : 하부체
22 : 물유입공 24 : 회전날개
26 : 안전망 30 : 상부체
40 : 케이싱 50 : 배출연결관
60 : 외부파이프 70 : 동력전달장치
74 : 회전장축 76 : 풀리
78 : 받침대 80 : 고정브라켓
82 : 전동모터 84 : 벨트
A : 동력발생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물이 유입되도록 물유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진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체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 파이프가 연결되는 배출 연결관로 이루어진 물배출장치; 상기 케이싱 내부의 회전날개에 일측 외경이 수평을 유지하여 축설된 회전장축과, 상기 회전장축의 타측에 축설된 풀리와, 상기 회전장축과 상기 풀리가 지지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받침대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풀리로 전달하는 벨트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는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는 크게 물배출장치(10), 동력전달장치(70) 및 동력발생수단(A)으로 이루어져 가두리 양식장이나 그 밖의 저수지 물을 퍼올리게 위한 것이다.
상기 물배출장치(10)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물유입공(22)이 형성되고, 물유입공(22)에 노출되도록 회전날개(24)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체(20)와, 하부체(20)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체(30)로 이루어져 물속에 잠기게 되는 케이싱(40)과, 케이싱(20)의 상부체(3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 파이프(60)가 연결되는 배출 연결관(5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날개(24)는 그 개수가 7~8개 정도로 유지되고,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날개(24)가 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면, 회전날개(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출연결관(50)을 통하여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도 3참조)
반대로, 회전날개(24)가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면, 회전날개(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연결관(50)은 반대쪽으로 위치되어 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체(20)의 물유입공(22) 외주연에는 케이싱(4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26)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70)는 케이싱(40) 내부의 회전날개(24)에 그 일측 외경이 수평을 유지하여 축설된 회전장축(74)과, 회전장축(74)의 타측에 축설된 풀리(76)와, 회전장축(74)과 풀리(76)가 지지되는 받침대(78)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장축(74)은 받침대(78)의 적정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부싱(77)에 의해 지지되고, 그 길이는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동력발생수단(A)은 받침대(78)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80)과, 브라켓(80)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82)와, 전동모터(82)의 동력을 풀리(76)로 전달하는 벨트(84)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양수장치는 가두리 양식장 및 저수지 등에 바지선을 띄여놓고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양수장치중 물배출장치(10)는 가두리 양식장 및 저수지 등에 잠기도록 하고, 동력전달장치(70) 및 동력발생수단(A)는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양수장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받침대(78)의 고정브라켓(80)에 설치된 전동모터(82)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동모터(82)를 회전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전동모터(82)가 동작되어 벨트(84)로써 연결된 풀리(7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풀리(76)와 회전날개(24)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받침대(78)에 부싱(77)으로써 지지된 회전장축(74)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날개(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케이싱(40)의 하부체(30)에 형성된 물유입공(22)을 통하여 물이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즉 물공급장치(10)의 케이싱(40)이 물에 잠겨진 상태에서 회전날개(24)를 따라 물이 회전되면서 하부체(30)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상부체(20)로 계속적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20)의 상부체(30)와 연통되게 연결된 배출 연결관(50)과 배출 연결관(50)에 삽입된 외부 파이프(60)를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날개(24)는 그 개수가 7~8개 정도로 유지되고,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데, 회전날개(24)가 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면, 회전날개(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출연결관(50)을 통하여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도 3참조)
반대로, 회전날개(24)가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면, 회전날개(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배출연결관(50)은 반대쪽으로 위치되어 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회전날개(24)의 방향에 따라 전동모터(82)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부체(20)의 물유입공(22) 외주연에는 안전망(26)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회전날개(24)의 회전에 방해되는 이물질이 케이싱(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양수장치에 의하면, 가두리 양식장 및 저수지 등에는 물배출장치인 상하부체로 이루어진 케이싱은 물에 잠기도록 하고, 외부에서는 동력전달수단인 전동모터 및 벨트을 구비한 다음, 물배출장치와 동력전달수단을 비교적 긴 회전장축으로써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써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비교적 용량이 적은 전동모터로써 많은 량의 물을 퍼올리게 되었으며, 간단한 구조로써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물이 유입되도록 물유입공(2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날개(24)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체(20)와, 상기 하부체(20)의 일측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체(30)로 이루어진 케이싱(40)와, 상기 케이싱(20)의 상부체(3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 파이프(60)가 연결되는 배출 연결관(50)으로 이루어진 물배출장치(10);
    상기 케이싱(40) 내부의 회전날개(24)에 일측 외경이 수평을 유지하여 축설된 회전장축(74)과, 상기 회전장축(74)의 타측에 축설된 풀리(76)와, 상기 회전장축(74)과 상기 풀리(76)가 지지되는 받침대(78)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70); 및
    상기 받침대(78)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80)과, 상기 브라켓(80)에 고정 설치된 전동모터(82)와, 상기 전동모터(82)의 동력을 풀리(76)로 전달하는 벨트(84)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A);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20)의 물유입공(22) 외주연에는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망(2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장치.
KR2020020020661U 2002-07-10 2002-07-10 양수장치 KR200292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61U KR200292353Y1 (ko) 2002-07-10 2002-07-10 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61U KR200292353Y1 (ko) 2002-07-10 2002-07-10 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353Y1 true KR200292353Y1 (ko) 2002-10-19

Family

ID=7312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61U KR200292353Y1 (ko) 2002-07-10 2002-07-10 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3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111A (zh) * 2018-09-29 2019-01-11 安徽江南化工股份有限公宁国分公司 炮孔抽水装置
CN115788911A (zh) * 2022-11-30 2023-03-14 南京苏信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排水单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111A (zh) * 2018-09-29 2019-01-11 安徽江南化工股份有限公宁国分公司 炮孔抽水装置
CN115788911A (zh) * 2022-11-30 2023-03-14 南京苏信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排水单元
CN115788911B (zh) * 2022-11-30 2023-09-15 南京苏信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排水单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560A1 (en) Water wheel with cylindrical blades
FR2811720A1 (fr) Turbine aerienne (air) ou immergee (eau) en deux rotors a rotation inversee
CN207349117U (zh) 一种高效潜水泵
KR101236425B1 (ko) 이물질 자동배출형 수중모터펌프
KR200292353Y1 (ko) 양수장치
KR20140042591A (ko) 수중펌프의 방열장치
CN208749598U (zh) 一种具有机械密封降压结构的潜水电泵
RU2435075C2 (ru)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и насосная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US2896544A (en) Deep well pump
JP3657950B2 (ja) 波力発電システム
CN113754086A (zh) 一种水体增氧处理装置
KR20010109241A (ko) 수중펌프
KR20020094757A (ko) 수중펌프
JP3124447U (ja) 水処理用軸流ポンプ
CN219711814U (zh) 一种高效的潜水泵
KR950005003B1 (ko) 게이트 펌프장치
JP5215732B2 (ja) 可動羽根ポンプ
US2552681A (en) Vertical lift pump
CN106685140B (zh) 一种潜污电机
CN220302428U (zh) 泵过滤保护结构
JP3065588U (ja) 水車ポンプ
KR100691508B1 (ko) 유압구동식 게이트펌프
CN110319029B (zh) 一种增强排水流量的潜水泵装置
CN206830473U (zh) 一种油浸潜水电泵
KR200393422Y1 (ko) 침수식 양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